KR100260499B1 - 진동 표시기와 접속하기 위한 선택 호출 수신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진동 표시기와 접속하기 위한 선택 호출 수신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499B1
KR100260499B1 KR1019940014784A KR19940014784A KR100260499B1 KR 100260499 B1 KR100260499 B1 KR 100260499B1 KR 1019940014784 A KR1019940014784 A KR 1019940014784A KR 19940014784 A KR19940014784 A KR 19940014784A KR 100260499 B1 KR100260499 B1 KR 10026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resistor
terminal
cor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265A (ko
Inventor
데루유끼 모또하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5000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갖는 수신기: 전원에 의해 충전된 2차 전원 및 2차 전원에 의해 등작된 진동 발생원을 갖는 진동 수단; 2차 전원을 충전시키고, 진동 발생원의 동작을 제어할수 있도록 수신기와 진동 수단을 접소기시키기 위한 제1 코드; 및 접지선으로 사용하도록 수신기와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2 코드를 포함하는 선택 호울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동 발생부와 수신기의 본체를 2개의 전선으로 접속시킬 수 있고, 부가적으로 경비 절감과 수신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표시기와 접속하기 위한 선택 호출 수신기의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블럭도.
제2도는 수신기의 본체와 진동 발생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3도는 수신기의 본체와 진동 발생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4도는 수신기의 본체와 진동 발생부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
제5도는 종래의 수신기의 본체와 진동 발생부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무선부
3 : 파형 정형 회로 4 : 디코더부
5 : ID 메모리부 6 : CPU
7 : 메모리 8 : 스위치부
9 : 구동기 10 : LED
11 : 스피커 12 : LCD 구동기
13 : LCD 14 : 진동부 제어부
15 : 접속기 16 : 진동 발생부
17A, l7B : 전선 19 : 2차 배터리
100 : 수신기 본체 101 : 배터리
102 : 수신기 본체 회로 110 : 진동기용 모터
본 발명은 선택 호출 수신기(여기서는 수신기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기 본체 및 진동 표시기(vibration annunciator)로 구성된 선택 호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수신기의 최근 형태는 휴대에 편리하도록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특히, 카드형 수신기가 인기가 높다. 반면, 다른 사람들에게 폐가 안되도록 진동을 이용하여 신호하는 수신기가 특히 인기있다.
그러나, 진동기용 모터는 진동으로 신호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런 종류의 모터를 카드형 수신기와 일체화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실용화를 위한 형태는 수신기 본체로부터 진동 발생부를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이것들을 접속시키는 것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소정 형태로 수신기의 본체와 진동 발생부를 조합하여 이것들을 일체화시킨 형태 또는 수신기 본체로부터 진동 발생부를 분리하여 이것들을 코드(전선)로 접속하는 형태가 있다.
취급하기에는 수신기의 본체와 진동 발생부의 일체형이 편리하다. 그러나 이 경우 수신기의 전체 구조는 대형화되어서 휴대용으로는 부적 합하다 따라서, 수신기의 본체 및 진동 발생부를 코드로 접속시킨 구조가 바람직하다.
코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수신기의 본체가 진동 발생부에 접속될 때, 전원으로서 제공된 진동 발생부 전용 배터리를 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진동 발생부는 대형화되어, 진동 발생부를 구성하는 진동기용 모터의 전력 소비가 커지기 때문에 대형 배터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은 휴대에 불편하다. 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진동 발생부의 전 원용으로 수신기의 본체내에 배터리를 내장하는 방법 또는 수신기의 본체내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진동 발생부의 전원이 수신기의 본체내에 내장될 때에는 2개의 배터리 유니트들이 수신기의 본체내에 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2개의 배터리를 내장하는 것은 카드형 수신기의 크기를 감안할 때 불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카드형 수신기의 전원으로 공기 아연 전지(air zinc cell)가 사용된다. 따라서 수신기 본체의 배터리는 진동기용 모터와 같은 큰 전력 소비 장치용 전원으로서는 양호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5-15050(1993)호에 언급된 바와 같이, 진동 발생부내에 재충전 2차 배터리를 내장하고, 수신기의 본체내에 내장된 배터리를 사용하여 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하여, 진동 발생부의 큰 전력 소비에 대응하기 위한 시도가 행해졌다.
제5도는 진동 발생부내에 2차 배터리가 내장된 재충전가능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이러한 구조로, 구동 신호가 본체 회로(51)측에 출력되지 않을 때, 트랜지스터(52)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53)은 온되어 모터(54)가 동작하지 않는다. 진동 발생부측의 전원(56)은 트랜지스터(53)을 통해 본체 회로(51)측의 전원(55)에 의해 충전된다.
반면, 구동 신호가 본체 회로(51)측에 의해 출력될 때, 트랜지스터(52)는 턴온된다. 트랜지스터(53)은 동시에 턴오프된다. 그다음, 진동 발생 부측의 전원(56)에 대한 본체 회로(51)의 전원(55)측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가 정지되어, 모터(54)가 진동 발생 부측의 전원(56)에 의해서만 구동된다.
그러나, 다음의 3가지 종류의 코드가 수신기(51)의 본체와 진동 발생부를 접속하여 상술한 동작을 실현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1) 2차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 라인.
(2) 진동 발생부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신호 라인.
(3) 공통 접지 라인.
또한, 3극 접속기(57)은 이들 전선을 접속시키기 위해 부가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코드가 필요하고, 소형 접속기를 사용하는 것은 어려우며, 비용증가 및 수신기의 크기가 대형으로 된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 발생부와 선택 호출 수신기의 본체를 2개의 라인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제어부와 진동 시스템을 2개의 라인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진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원을 갖는 수신기; 전원에 의해 충전된 2차 전원 및 2차 원에 의해 동작된 진동 발생원을 갖는 진동 수단; 2차 전원을 충전하고 진동 발생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신기와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1 코드; 및 접지선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수신기와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2 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발생부와 수신기의 본체를 접속하는 코드들 중의 하나는 수신기의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 또는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라인으로서 선택적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제품의 코드를 사용할 수 있고, 2극 접속기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 및 소형화가 가능한 선택 호출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기술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안테나(1)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호출 신호)는 무선부(2)에서 증폭되어 복조된다.
복조된 신호는 파형 정형 회로(3)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고, 검출부(4)에서 ID 메모리부(5)에 저장된 자체 호출 번호가 조합된다.
자체 호출 번호가 수신될 때, 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신호가 CPU(6)에 출력된 디코더부(4)로부터 이 신호를 수신될 때, CPU(6)은 LED(10) 및 스피커(11)을 구동함으로써 광(light)과 음성(sound)을 사용하여 발생되는 호출을 알리기 위해 구동부(9)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더우기, 메시지가 수신된 신호내에 포함되어 있다면, 제어 신호는 LCD 구동기(12)로 출력되고, 메시지는 LCD(13)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메시지는 메모리(7)내의 CPU(6)에 의해 저장되어 나중에 다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스위치부(8)은 신호표시의 정지, 판독 메시지 선택 및 삭제, 및 신호표시 모드의 선택을 수행한다.
또한, 진동 발생부(16)은 LED(10) 및 스피커(11) 이외의 신호표시 수단의 하나로서 제공된다.
이 진동 발생부(16)은 접속기(15) 및 코드(17)의 상기 상술한 구조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본체(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즉, 수신기의 본체내에 진동부 제어부(14)가 제공되어, CPU(6)으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진동부 제어부(14)로 입력될 때에 발생되는 호출을 진동을 발생시켜 알리는 진동부 제어부(14)에 의해 진동 발생부(17)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진동부 제어부(14)와 진동 발생부(16)의 구체적인 구성이 설명된다.
제2도는 진동부 제어부(14)와 진동 발생부(16)을 포함하는 수신기 본체의 일부 구성을 각각 도시하는 제1 회로도이다.
제2도에서, 100은 수신기의 본체이고, 이것은 전원용 배터리(101), 수신기 본체 회로(102) 및 진동부 제어부(14)로 구성된다.
103은 충전 저항이고, 이것의 한 단부는 접속기(15)의 단자(15a)에 접속된다.
104 및 105는 전류 제한용 저항들이고, 수신기 본체 회로(102)로부터의 제어 신호 S가 입력되는 측에 접속된다.
106은 PNP 트랜지스터이고, 그 베이스 단자는 저항(104)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는 배터리(101)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는 충전 저항(103)을 통해 단자(15a)에 접속된다.
107은 NPN 트랜지스터이고, 그 베이스 단자는 저항(105)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는 단자(15b)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는 단자(15a)에 접속된다.
진동부 제어부(14)는 충전 저항(103), 전류 제한 저항(104 및 105) 및 트랜지스터(106 및 107)로 구성된다.
더우기, 수신기 본체 회로(102)로부터의 신호 S는 전류 제한 저항(104 및 105)를 통해서 트랜지스터(106 및 107)의 각각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17은 접속기(15)에 접속된 코드이고, 구동을 위한 충전 및 제어용 전선(17A) 및 접지용 전선(17B)로 구성된다.
108은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이고, 이것의 한 단부는 전선(17A)에 접속된다.
109는 배터리(101)에 의해 충전된 2차 배터리이고, 이것의 한 단부는 다이오드(108)을 통해서 전선(17A)에 접속되고, 다른 단부는 전선(17B)에 접속된다.
110은 2차 배터리(109)에 의해 구동된 진동기용 모터이다.
111은 전류 제한용 저항이고, 이것의 한 단부는 전선(17A)에 접속된다.
112는 PNP 트랜지스터이고, 이것의 베이스 단자는 저항(111)을 통해서 전선(17A)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는 다이오드(108) 및 2차 배터리(109)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는 진동기용 모터(110)에 접속된다.
그리고, 진동 발생부(16)은 다이오드(108), 2차 배터리(109), 진동기용 모터(110), 저항(111) 및 트랜지스터(112)로 구성된다.
또한, 진동 발생부(16)은 접속기(15)를 통해서 전선(17A 및 17B)으로 구성되는 코드(17)에 의해 진동부 제어부(14)에 접속된다. 여기서, 전선(17B)는 접지된다.
제3도는 수신기의 본체(100)이 접속기(15)를 통해 전선(17)로 진동 발생부(16)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수신기 본체 회로(102)로부터의 신호 S는 수신기가 대기 모드에 있을 때에 “L” 레벨로 된다. 이 순간에, 트랜지스터(106)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107)은 턴오프된다. 따라서, 전력은 접속기(15)와 코드(17)을 통해서 수신기의 본체(100)내의 배터리(101)로부터 진동 발생부(76)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2차 배터리(109)는 다이오드(108)을 통한 전력에 의해 보충되고, 충전이 수행된다. 트랜지스터(112)가 오프될 때, 진동기용 모터(110)이 정지되어 진동에 의한 신호표시는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수신기가 자체 호출 번호를 수신하고, 수신기 본체 회로(102)로부터의 신호 S가 “H” 레벨로 될 때, 트랜지스터(106)은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107)은 턴온된다. 그러므로, 배터리(101)로부터 진동 발생부(16)으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07)이 턴온되고 전선(17A)가 접지되기 때문에, 진동 발생부(16)내의 트랜지스터(112)는 턴온되어, 2차 배터리(109)가 진동기용 모터(110)와 접속된다.
이 동작에 의해, 진동기용 모터(110)은 2차 배터리(109)내에 충전된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신호표시를 수행하기 위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 때에, 다이오드(108)은 2차 배터리(109)로부터 전선(17A)로 역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진동부 제어부(14)는 수신기 본체 회로(102)로부터의 신호 S에 근거하여 진동 발생부(16)과 수신기의 본체의 배터리(101)을 접속 또는 해제시킴으로써 진동 발생부(16)내에 제공된 2차 배터리(107)에 충전을 실행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동작과 동시에 신호 S에 근거하여, 진동 발생부(16)내의 2차 배터리(107)와 진동기용 모터(110)는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기의 본체(100)에 진동 발생부(16)을 접속하는 코드(17)은 전선(17B)를 접지 라인으로 셋팅하고, 진동부 제어부(14)에 의해 전선(17A)를 스위칭시 킴으로써 충전 또는 신호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존 제품 형태인 2-라인 구성의 코드가 수신기의 본체(100)과 진동 발생부(16)을 접속시키기 위한 코드(17)로 채택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2극 구성 형태가 접속기(15)용으로 채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용의 절감 및 접속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4도는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여기서, 제1 실시예의 소자와 동일한 소자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붙여졌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201은 충전 저항이고, 이것의 한 단부는 접속기(15)의 단자(15a)에 접속된다.
202는 P 채널 FET이고, 이것의 게이트 단자는 수신기 본체 회로(102)로부터의 신호 S가 입력되는 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는 배터리(101)에 접속되며, 소스단자는 충전 저항(201)을 통해 단자(15a)에 접속된다.
203은 N 채널 FET이고, 이것의 게이트 단자는 수신기 본체 회로(102)로부터의 제어 신호 S가 입력되는 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는 단자(15a)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는 단자(15b)에 접속된다.
진동부 제어부(14)는 충전 저항(201), FET(202) 및 FET(203)으로 구성된다.
수신기 본체 회로(102)로부터의 신호 S는 FET(202) 및 FET(203)의 게이트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204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이고, 이것의 한 단부는 전선(17A)에 접속된다.
205는 P 채널 FET이고, 이것의 게이트 단자는 전선(17A)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는 다이오드(204) 및 2차 배터리(109)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는 진동기용 모터(110)에 접속된다.
그리고 진동 발생부(16)은 2차 배터리(109), 진동기용 모터(110), 다이오드(204) 및 FET(205)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진동 발생부(16)은 2개의 전선(17A 및 17B)로 구성되는 코드(17)에 의해 접속기(15)를 통해서 진동부 제어부(14)에 접속된다. 또한, 전선(17B)는 접지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수신기 본체 회로(102)로부터의 신호 S는 수신기가 대기 상태일 때에 “L” 레벨로 되고, FET(202)가 턴온되고 FET(203)이 턴오프되기 때문에 전력은 접속기(15) 및 코드(17)을 통해서 수신기 본체(100)의 배터리(101)로부터 진동 발생부(16)에 공급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2차 배터리(109)에는 다이오드(204)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이 수행된다. 더우기, FET(205)가 턴오프되면, 진동기용 모터(110)이 정지되어 진동에 의한 신호표시가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수신기가 자체 호출 번호를 수신하고, 수신기 본체 회로(102)로부터의 신호 5가 “H” 레벨로 될 때에, FET(202)가 턴오프되고 FET(203)이 턴온되어, 배터리(101)로부터 진동 발생부(16)으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부가적으로, FET(203)이 턴온될 때에 전선(17A)가 접지되기 때문에, 진동 발생부(17)내의 FET(205)는 턴온되고 2차 배터리(109)는 진동기용 모터(110)에 접속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진동기용 모터(110)은 2차 배터리(109)에 충전된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진동이 신호표시를 수행하기 위해 발생된다. 이 때에, 다이오드(204)는 2차 배터리(109)로부터 전선(17A)로의 역전류를 방지한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진동부 제어부(14)는 수신기 본체 회로(12)로부터의 신호 S에 근거하여, 진동 발생부(16)에 수신기의 본체내의 배터리(101)를 접속 및 해제시킴으로써 진동 발생부(16)내에 제공된 2차 배터리(109)의 충전을 수행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더우기, 상술한 동작과 동시에, 신호 S에 근거하여, 진동 발생부(17)내의 2차 배터리(109)와 진동기 모터(110)이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기의 본체(100)에 진동 발생부(16)을 접속시키는 코드(17)은 전선(10)를 접지 라인으로 셋팅하고, 전선(17A)를 진동부 제어부(14)에 의해 스위칭시킴으로써 충전 또는 신호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14) 및 진동 발생부(16)내의 트랜지스터들 및 FET들은 이들 실시예들의 소자 이외의 다른 종류의 스위칭 소자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1)

  1. 전원을 갖는 수신기; 상기 전원에 의해 충전된 2차 전원 및 상기 2차 전원에 의해 동작된 진동 발생원을 갖는 진동 수단; 상기 2차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진동 발생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기와 상기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1 코드; 및 접지선으로 사용되도록 상기 수신기와 상기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2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와 상기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이 상기 제1 코드 및 상기 제2 코드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자체 호출 번호가 수신될 때,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신기의 본체; 및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는 상기 2차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는 상기 진동 발생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수단이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전원과 상기 제1 코드 사이를 턴오프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 상기 전원 및 상기 제1 코드에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코드와 상기 제2 코드 사이를 턴온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 상기 제1 코드 및 상기 제2 코드에 접속되는 제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수단이 한 단부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는 제1 저항; 한 단부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는 제2 저항;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3 저항;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1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제3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는 PNP형 제1 트랜지스터;및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2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제2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NPN형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수단이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측에 접속되는 제4 저항;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제4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는 P 채널형 제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제2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N 채널형 제2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상기 2차 전원의 충전이 정지될 때 상기 2차 전원과 상기 진동 발생원 사이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진동 발생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수단은 상기 2차 전원의 충전이 정지될 때 상기 2차 전원과 상기 진동 발생원 사이를 턴온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코드의 일측, 상기 2차 전원 및 상기 진동 발생원에 접속되는 제3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수단이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5 저항; 및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5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의 일측 및 상기 2차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진동 발생원의 일측에 접속되는 PNP형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수단이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및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일측 및 상기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진동 발생원의 일측에 접속되는 P 채널형 제3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11.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1 접속 단자, 상기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2 접속 단자 및 전원을 포함하고, 자체 호출 번호가 수신될 때 상기 진동 수단을 동작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제어부가 한 단부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는 제1 저항; 한 단부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는 제2 저항; 한 단부가 상기 제1 접속 단지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3 저항;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1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제3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는 PNP형 트랜지스터 ; 및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2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제2 접속 단자의 일측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일측에 접속되는 NPN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12.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1 접속 단자, 상기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2 접속 단자 및 전원을 포함하고, 자체 호출 번호가 수신될 때 상기 진동 수단을 동작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한 단부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1 저항;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제1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는 P 채널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제2 접속 단자의 일측에 접속되는 N 채널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13. 수신기에 접속된 제1 코드; 상기 수신기에 접속된 제2 코드; 상기 수신기의 전원에 의해 충전된 2차 전원, 상기 2차 전원을 사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원;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다이오드;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저항; 및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의 일측 및 상기 2차 전원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진동 발생원의 일측에 접속되는 PN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진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14. 수신기에 접속된 제1 코드; 상기 수신기에 접속된 제2 코드; 상기 수신기의 전원에 의해 충전된 2차 전원; 상기 2차 전원을 사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원;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에 접속되는 다이오드; 및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의 일측 및 상기 2차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진동 발생원의 일측에 접속되는 P 채널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진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15. 전원, 제1 접속 단자, 제2 접속 단자, 자체 호출 번호가 수신될 때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신 회로, 한 단부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는 제1 저항, 한 단부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는 제2 저항, 한 단부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3 저항,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1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제3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는 PNP형 제1 트랜지스터, 및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2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제2 접속 단자측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일측에 접속되는 NPN형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본체;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속된 제1 코드;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접속된 제2 코드; 및 한 단부가 상기 제2 코드에 접속되고 상기 전원에 의해 충전된 2차 전원, 상기 2차 전원을 사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원,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다이오드,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4 저항, 및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4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의 일측 및 상기 2차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진동 발생원측에 접속되는 PNP형 제3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진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16. 전원, 제1 접속 단자, 제2 접속 단자, 자체 호출 번호가 수신될 때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 회로, 한 단부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1 저항,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제1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는 P 채널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제2 접속 단자의 일측에 접속되는 N 채널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본체;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속된 제1 코드;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접속된 제2 코드; 및 한 단부가 상기 제2 코드에 접속되고 상기 전원에 의해 충전된 2차 전원, 상기 2차 전원을 사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원,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다이오드,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의 일측 및 상기 2차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진동 발생원의 일측에 접속되는 P 채널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진동수단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17. 재충전가능 전원 및 상기 재충전가능 전원을 사용하여 동작되는 진동 발생원을 갖는 진동 수단; 상기 재충전가능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진동 발생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1 코드; 및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진동 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2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드를 통해서 상기 재충전가능 전원을 충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진동 발생원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코드를 통해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이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1 저항; 및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1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의 일측 및 상기 재충전 전원의 일측에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진동 발생 원측에 접속되는 PNP형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이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및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일측 및 상기 2차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진동 발생원의 일측에 접속되는 P 채널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진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 출력부; 한 단부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는 제2 저항; 한 단부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는 제3 저항;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4 저항,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2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제3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는 PNP형 제2트랜지스터; 및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3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상기 제2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며,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NPN형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진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 출력부; 한 단부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5 저항;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전원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제5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는 P 채널형 제2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측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며, 소스 단자가 상기 제2 코드의 일측에 접속되는 N 채널형 제3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시스템.
KR1019940014784A 1993-06-28 1994-06-27 진동 표시기와 접속하기 위한 선택 호출 수신기의 구조 KR100260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78528A JP2518525B2 (ja) 1993-06-28 1993-06-28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93-178528 1993-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65A KR950002265A (ko) 1995-01-04
KR100260499B1 true KR100260499B1 (ko) 2000-07-01

Family

ID=1605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784A KR100260499B1 (ko) 1993-06-28 1994-06-27 진동 표시기와 접속하기 위한 선택 호출 수신기의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57280A (ko)
JP (1) JP2518525B2 (ko)
KR (1) KR100260499B1 (ko)
CN (1) CN1046606C (ko)
GB (1) GB2279831B (ko)
TW (1) TW2403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835B1 (ko) * 1995-12-30 1998-12-01 김광호 진동구현회로를 분리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JP2859233B2 (ja) * 1996-12-25 1999-02-17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CN104063056B (zh) * 2006-04-06 2018-04-20 意美森公司 用于增强的触觉效果的系统和方法
KR101515767B1 (ko) * 2006-12-27 2015-04-28 임머숀 코퍼레이션 진동 촉각 피드백을 통한 가상 디텐트
US8167813B2 (en) * 2007-05-17 2012-05-01 Immersion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 blood vessel
US8156809B2 (en) * 2008-03-27 2012-04-1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sonance detection
CN101662531A (zh) * 2008-08-26 2010-03-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震动装置
US9547366B2 (en) 2013-03-14 2017-01-1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and gesture-driven paper sim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0934A (en) * 1977-08-11 1979-07-1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Current control circuit for light emitting diode
JPS5853782Y2 (ja) * 1979-01-08 1983-12-07 日本電気株式会社 個人選択呼出受信機
JPS55179452U (ko) * 1979-06-08 1980-12-23
JPS5750196A (en) * 1980-09-11 1982-03-24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Power source supply system to terminal station in remote monitor control system
DE3125964A1 (de) * 1981-07-01 1983-02-03 Karl 8617 Mönchaltdorf Weber Signaluebertragungssystem mit signalgeber und empfangs- bzw. sendeumsetzer
JPS61159834A (ja) * 1985-01-07 1986-07-19 Sanshin Denki Kk 聴覚障害者用防災無線装置
US4667142A (en) * 1985-09-09 1987-05-19 Tie/Communications, Inc. Three-way power source circuit
EP0274279B1 (en) * 1987-01-08 1994-04-27 Nec Corporation Holding structure for a paging receiver having extra functions
JPH04156233A (ja) * 1990-10-19 1992-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充電装置
JP2632604B2 (ja) * 1991-03-15 1997-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選択呼出受信器
JPH0515059A (ja) * 1991-06-28 1993-01-22 Casio Comput Co Ltd 携帯用電子機器
US5194857A (en) * 1991-07-23 1993-03-16 Motorola, Inc. Pager with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charging same
JPH0541686A (ja) * 1991-08-06 1993-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選択呼出受信機
US5272475A (en) * 1991-12-09 1993-12-21 Motorola, Inc. Alerting system for a communication receiver
BR9205798A (pt) * 1992-01-22 1994-08-02 Motorola Inc Rádio, e processo de operar rádio
US5343092A (en) * 1992-04-27 1994-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biased feedback-controlled active pull-down signal swit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79831B (en) 1998-01-07
GB2279831A (en) 1995-01-11
KR950002265A (ko) 1995-01-04
JPH0779458A (ja) 1995-03-20
JP2518525B2 (ja) 1996-07-24
CN1046606C (zh) 1999-11-17
TW240357B (ko) 1995-02-11
US5757280A (en) 1998-05-26
GB9412731D0 (en) 1994-08-17
CN1103522A (zh) 1995-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731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et having backlighted display
EP0326413A2 (en) Radio telephone set used as portable set and vehicle-mounted set
KR930020979A (ko) 휴대용 tv 겸용 영상모니터장치
KR100260499B1 (ko) 진동 표시기와 접속하기 위한 선택 호출 수신기의 구조
CA2021066C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n electric machine in a vehicle
JPH05160774A (ja) 携帯電話車載充電装置
KR100581604B1 (ko)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전자 장치
JPH0779188A (ja) 電源切換回路
JPH10133788A (ja) 電源制御機能付き無線型情報入力装置
JPH0823366A (ja) 携帯電話機用音響信号制御装置
JPS61273098A (ja) ワイヤレスリモコン
KR1006326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내 알람기능을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JP3490245B2 (ja) 充電器インタフェース回路および携帯機器
KR200158902Y1 (ko) 개인통신용 단말기의 과충전 방지장치
JP3865870B2 (ja) 個別呼出受信機用無線信号送信機
JPH0833216A (ja) 電子機器及び無線送受信装置
KR0156890B1 (ko) 오디오기기의 무선호출정보 표시방법 및 그 장치
JP3247272B2 (ja) 携帯機器
JP3266493B2 (ja) 通信端末装置
JPH06132866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10336907A (ja) 携帯用電話機
KR900008274Y1 (ko) 비디오 카메라의 원격 조정회로
JPH01264537A (ja) 二次電池内蔵電子機器の充電方法
JPH05241693A (ja) 電子機器
JPH0517490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コンセン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