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456B1 -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456B1
KR100260456B1 KR1019970043343A KR19970043343A KR100260456B1 KR 100260456 B1 KR100260456 B1 KR 100260456B1 KR 1019970043343 A KR1019970043343 A KR 1019970043343A KR 19970043343 A KR19970043343 A KR 19970043343A KR 100260456 B1 KR100260456 B1 KR 100260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e beam
rear axle
bus
bracket
w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904A (ko
Inventor
임용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7004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456B1/ko
Publication of KR1999001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02Dead axles, i.e. not transmitting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5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10Assembling; dis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50Sec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51Handling of obstacles or difficult ter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리어액슬의 액슬 케이스(16) 전.후면에 제 1,2 브라켓(12,14)이 형성되고, 이 브라켓(12,14)에 결합되는 와이드 빔(20)의 중간부가 분리되어 제 1,2 와이드 빔(20A,20B)으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2 와이드 빔(20A,20B)의 각 끝단부에 제 1,2 고정단(22A,22B)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 고정단(22A,22B)이 상기 제 1,2 브라켓(12,14)에 밀착되어 장볼트(30)로 결합됨으로써, 리어액슬(10)에 와이드 빔(20)이 결합되는 것으로, 리어액슬(10)의 중심선상에 와이드 빔(20)이 결합됨으로써, 버스 차체의 최저지상고를 높힐 수 있고, 이로써 버스가 고르지 못한 도로를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
본 발명은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 서스펜션(AIR SUSPENSION ) 타입이 적용된 버스의 리어액슬 케이스 전.후면에 다수개의 볼트공을 구비한 브라켓을 형성하고, 이에 결합되는 와이드 빔의 중간부를 분리하여 제 1,2 와이드 빔으로 형성하며, 상기 각 와이드 빔의 끝단부 고정단을 형성하여 상기 브라켓에 밀착시키고, 상기 브라켓에 밀착된 각 와이드 빔을 장볼트로 체결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리어액슬의 중심선상에 각 와이드 빔을 결합하여 버스 차체의 지상고를 높힐 수 있는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차량은 지면으로부터 차체의 높이, 즉 최저지상고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차체의 길이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차체의 길이가 짧은 승용차는 그 최저지상고가 낮고, 버스와 같이 차체의 길이가 긴 차량은 최저지상고가 높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의 최저지상고는 차량이 노면이 고르지 못한 도로를 주행할 경우에 차체의 저부가 돌출된 노면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각 차량마다 그 높이가 다르게 되어 있다.
상기 최저지상고는 그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돌출된 노면에 차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노면이 고른 도로를 주행하는데 적합하였고, 그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굴곡진 도로 주행시 차체가 불안한 문제점이 발생하여 노면이 거치른 도로를 주행하는데 적합하였던 것이다.
한편, 에어 서스펜션 타입이 적용된 버스의 최저지상고를 결정하는 것은 액슬과 이 액슬에 결합되고 양단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와이드 빔인 것으로, 이들의 결합위치에 따라 최저지상고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버스의 리어액슬은 엔진의 회전력을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것으로, 종감속 기어, 차동기어, 액슬 및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리어액슬은 차체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와이드 빔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드 빔의 양 끝단은 에어 스프링에 의해 차체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버스의 최저지상고를 결정하는 종래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버스에 있어서,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은 다음과 같이 결합되어 있었다.
즉, 리어액슬(A)의 하우징(B) 저부에 와이드 빔(C)의 중간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드 빔(C)과 리어액슬(A)이 다수개의 볼트(D)로 결합되어 있었고, 상기 와이드 빔(C)의 양 끝단은 프레임(E)의 저부에 설치된 에어 스프링(F)과 결합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리어액슬(A)의 하우징(B) 저부에 와이드 빔(C)이 다수개의 볼트(D)로 결합됨으로써, 지면(G)으로부터 차체의 높이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리어액슬(A)의 하우징(B) 저부에 와이드 빔(C)이 결합됨으로써, 와이드 빔(C)이 결합된 프레임(E)이 지면(G)과 가까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는 버스가 노면이 고르지 못한 도로를 주행할 경우에 돌출된 노면에 차체 하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고안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에어 서스펜션 타입이 적용된 버스의 리어액슬 케이스 전.후면에 볼트공을 구비한 브라켓을 형성하고, 에어 스프링과 결합된 와이드 빔의 중간부를 분리하여 각각 볼트공을 구비한 고정단을 형성하여, 상기 각 와이드 빔의 고정단을 브라켓에 각각 밀착시키고, 상기 각 브라켓과 고정단을 장볼트로 체결하여 상기 와이드 빔을 리어액슬의 중심선상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버스 차체의 최저지상고를 높힐 수 있는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의 휠이 설치되는 리어액슬과, 차체의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액슬의 하우징 좌.우측에 형성된 액슬 케이스 전.후면에 다수개의 볼트공을 구비한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드 빔의 중간부가 분리되어 제 1 와이드 빔과 제 2 와이드 빔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와이드 빔의 끝단부에 다수개의 볼트공을 구비한 제 1 고정단이 형성되어 제 1 브라켓에 밀착되고, 상기 제 2 와이드 빔의 끝단부에는 다수개의 볼트공을 구비한 제 2 고정단이 형성되어 제 2 브라켓에 밀착되며, 상기 제 1,2 브라켓에 밀착된 제 1,2 고정단이 다수개의 장볼트로 체결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의한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 고안에 의한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액슬 12 : 제 1 브라켓
14 : 제 2 브라켓 16 : 액슬 케이스
20 : 와이드 빔 20A : 제 1 와이드 빔
20B : 제 2 와이드 빔 22A : 제 1 고정단
22B : 제 2 고정단 30 : 장볼트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요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의 휠이 설치되는 리어액슬(10)과, 차체의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와이드 빔(2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액슬(10)의 하우징 좌.우측에 형성된 액슬 케이스(16) 전.후면에 다수개의 볼트공을 구비한 제 1 브라켓(12)과 제 2 브라켓(14)이 형성된다.
한편, 에어 스프링과 양단이 결합된 상기 와이드 빔(20)은 그 중간부가 분리되어 제 1 와이드 빔(20A)과 제 2 와이드 빔(20B)으로 나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와이드 빔(20A)의 끝단부에는 상기 제 1 브라켓(12)에 밀착되도록 다수개의 볼트공을 구비한 제 1 고정단(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와이드 빔(20B)의 끝단부에는 상기 제 2 브라켓(14)에 밀착되도록 제 2 고정단(22B)이 다수개의 볼트공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어액슬의 제 1 브라켓(12)과 제 2 브라켓(14)에 각각 밀착된 제 1 와이드 빔(20A)의 제 1 고정단(22A)과 제 2 와이드 빔(20B)의 제 2 고정단(22B)을 체결하여 상호 결합하는 다수개의 장볼트(30)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의 리어액슬(10) 중심선상에 와이드 빔(2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리어액슬(10)의 하우징 좌.우측에 형성된 액슬 케이스(16) 전면과 후면에 제 1 브라켓(12)과 제 2 브라켓(14)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 1 브라켓(12)과 제 2 브라켓(14)의 상.하부에 다수개의 볼트공을 형성한다.
한편, 에어 스프링과 양단이 결합된 상기 와이드 빔(20)의 중간부를 분리하여 제 1 와이드 빔(20A)과 제 2 와이드 빔(20B)으로 나누어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와이드 빔(20A)의 끝단부에는 상기 제 1 브라켓(12)에 밀착되도록 제 1 고정단(22A)을 형성하되, 다수개의 볼트공을 상기 제 1 브라켓(12)과 제 2 브라켓(14)에 형성된 볼트공과 일치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와이드 빔(20B)의 끝단부에 상기 제 2 브라켓(14)에 밀착되도록 제 2 고정단(22B)을 형성한다. 이때에도 다수개의 볼트공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브라켓(12)과 제 2 브라켓(14)에 형성된 볼트공과 일치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리어액슬(10)에 제 1 브라켓(12)과 제 2 브라켓(14)이 형성되고, 와이드 빔(20)이 분리되어 제 1 와이드 빔(20A)과 제 2 와이드 빔(20B)이 형성되며, 상기 각 와이드 빔(20A,20B)의 끝단부에 고정단(22A,22B)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각 와이드 빔(20A,20B)을 리어액슬(10)의 전.후면에 형성된 브라켓(12,14)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 1 와이드 빔(20A)의 제 1 고정단(22A)을 제 1 브라켓(12)의 전면에 밀착시키되, 제 1 고정단(22A)에 형성된 볼트공과 제 1 브라켓(12)에 형성된 볼트공이 일치하도록 밀착시키고, 상기 제 2 와이드 빔(20B)의 제 2 고정단(22B)을 제 2 브라켓(14)에 밀착시키되, 제 2 고정단(22B)의 전면에 형성된 볼트공과 제 2 브라켓(14)의 볼트공이 일치하도록 밀착시킨다.
즉, 제 1 브라켓(12)과 제 2 브라켓(14)에 밀착된 제 1,2 고정단(22A,22B)의 볼트공이 제 1,2 브라켓(12,14)에 형성된 볼트공과 일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2 브라켓(12,14)에 제 1,2 와이드 빔(20A,20B)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장볼트(30)를 제 2 고정단(22B)의 볼트공에 각각 삽입하여 제 2 브라켓(14)의 볼트공과 제 1 브라켓(12)의 볼트공, 계속해서 제 1 고정단(22A)의 볼트공을 관통하도록 하여 너트로 체결한다.
이는 제 1 고정단(22A) 측에서 장볼트(30)를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하여도 무방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와이드 빔(20)은 그 중간부가 분리되어 리어액슬(10)의 중심선상에 결합됨으로써, 버스 차체의 최저지상고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는 리어액슬의 액슬 케이스 전.후면에 제 1,2 브라켓이 형성되고, 이 브라켓에 그 중간부가 분리된 와이드 빔의 제 1,2 와이드 빔이 장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리어액슬의 중심선상에 와이드 빔이 결합됨으로써, 버스 차체의 최저지상고를 높힐 수 있고, 이로써 버스가 고르지 못한 도로를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버스의 휠이 설치되는 리어액슬(10)과, 차체의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와이드 빔(2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액슬(10)의 하우징 좌.우측에 형성된 액슬 케이스(16) 전.후면에 다수개의 볼트공을 구비한 제 1 브라켓(12)과 제 2 브라켓(14)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드 빔(20)의 중간부가 분리되어 제 1 와이드 빔(20A)과 제 2 와이드 빔(20B)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와이드 빔(20A)의 끝단부에 다수개의 볼트공을 구비한 제 1 고정단(22A)이 형성되어 제 1 브라켓(12)에 밀착되고, 상기 제 2 와이드 빔(20B)의 끝단부에는 다수개의 볼트공을 구비한 제 2 고정단(22B)이 형성되어 제 2 브라켓(14)에 밀착되며, 상기 제 1,2 브라켓(12,14)에 밀착된 제 1,2 고정단(22A,22B)이 다수개의 장볼트(30)로 체결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
KR1019970043343A 1997-08-30 1997-08-30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 KR10026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343A KR100260456B1 (ko) 1997-08-30 1997-08-30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343A KR100260456B1 (ko) 1997-08-30 1997-08-30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904A KR19990019904A (ko) 1999-03-25
KR100260456B1 true KR100260456B1 (ko) 2000-08-01

Family

ID=1951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343A KR100260456B1 (ko) 1997-08-30 1997-08-30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4927B1 (fr) * 2005-12-19 2009-12-04 Renault Trucks Vehicule tout terrain a plusieurs essieux moteu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904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9608A (en) Automobile having wings
JPH07237567A (ja) クローラベルト式車両の懸架装置
US4969661A (en) Vehicular rear suspension system and rear end construction including same
KR100260456B1 (ko) 버스의 리어액슬과 와이드 빔의 결합구조
KR920002740B1 (ko) 자동차
CN209833762U (zh) 商用车的转向总成
KR100901578B1 (ko) 차량의 트레일링아암 장착구조
CN219821426U (zh) 导向组件、转向架、轨道车辆及轨道交通系统
KR100293781B1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용 부시
KR100224493B1 (ko)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
JPH1035545A (ja) 車両のバランス制御装置
WO2021047013A1 (zh) 无轨电车动力走行系统及无轨电车
KR200142040Y1 (ko) 조향 너클
WO2021047018A1 (zh) 无轨电车走行系统及无轨电车
JPS61175109A (ja) 不整地走行用車両の後輪懸架装置
KR100579733B1 (ko) 자동차 리어 서스펜션 장치의 얼라인먼트 조정장치
KR100471753B1 (ko) 토션빔 타입 현가장치
KR200260742Y1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KR0145652B1 (ko)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JPS633296Y2 (ko)
RU14034U1 (ru) Шасси автомобиля
CN116424048A (zh) 巴士
JPH08156553A (ja) シャシクロスメンバ構造
JPH06340278A (ja) クローラベルト式走行装置の懸架装置
JPH01269615A (ja) 4輪駆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