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434B1 -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434B1
KR100260434B1 KR1019970080534A KR19970080534A KR100260434B1 KR 100260434 B1 KR100260434 B1 KR 100260434B1 KR 1019970080534 A KR1019970080534 A KR 1019970080534A KR 19970080534 A KR19970080534 A KR 19970080534A KR 100260434 B1 KR100260434 B1 KR 100260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screen
input
control signal
f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312A (ko
Inventor
김병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0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434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비디오 카메라의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부를 통해 촬상되는 화면의 일부만을 사용자가 포커스 강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해 구비된 기능키들과, 문자발생기와, 상기 문자발생기와 카메라 프로세서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들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슈퍼임포즈 처리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합성부와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의 논리레벨에 따라 선택출력하는 신호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방법에 있어서, 일부 화면의 포커스 강조를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시 상기 문자발생기를 제어하여 이동좌표블럭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1과정과, 상기 이동좌표블럭의 이동을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좌표블럭을 이동시키는 제2과정과, 정지된 상기 이동좌표블럭의 중앙을 기준으로 포커스 제어하는 제3과정과, 디스플레이 화면의 슈퍼임포즈 처리를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시 컬러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제4과정과, 디스플레이된 컬러설정 메뉴중 하나의 컬러선택을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시 선택된 컬러를 출력하기 위한 슈퍼임포즈 제어신호와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촬상관을 가지는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상되는 화면에서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촬상관을 가지는 비디오 카메라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마련된 기록매체상에 기록하고, 그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 및 음성신호처리장치이다. 일반적인 비디오 카메라는 플렉서블 존(Flexible Zone)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포커스만을 맞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페이드(fade)나 슈퍼임포즈(superimpose) 기능 또한 단순히 화면 전체를 대상으로 온/오프(on/off)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서 임의의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면서 그 주변화면을 페이드처리하거나 슈퍼임포즈 처리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부를 통해 촬상되는 화면의 일부만을 사용자가 포커스 강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원하는 위치에서 임의의 화면크기를 원화면으로 유지하면서 그외의 화면을 페이드처리하거나 슈퍼임포즈처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부 화면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기능키 누름시 그에 따른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키 조작부와,
포커스 강조모드 선택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중 일부분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상기 키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타에 따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문자정보 및 이동좌표블럭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문자발생기와,
상기 카메라 프로세서와 문자발생기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문자정보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와,
펄스제너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페이드 제어신호에 따라 1수평동기신호 주기의 컨트롤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페이드 증폭부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슈퍼임포즈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슈퍼임포즈 제어신호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 따라 상기 합성부, 메모리 및 페이드 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선택출력하는 신호 스위칭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키들만을 보인 키 조작부(10)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4는 도 3에서 포커스 강조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8)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동좌표블럭(T)의 이동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와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의 타이밍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부 화면만이 포커스 강조된 화면예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 및 도면에서 모드설정키, 이동키와 같은 키 명명 및 구체적인 처리흐름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키들만을 보인 키 조작부(10)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키 조작부(10)는 촬상된 영상화면의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고 기능키 누름시 그에 따른 키데이타를 발생하여 마이컴(12)으로 출력한다. 상기 기능키로서는 모드설정을 위한 모드설정키와, 포커스 강조하고자 하는 일부 화면외의 화면을 페이드처리하거나 슈퍼임포즈처리하기 위한 페이드키와 슈퍼임포즈키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기능키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조작부(10)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키 조작부(10)에는 포커스강조모드 설정시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이동좌표블럭을 상기 화면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키와 선택 및 해제키가 구비되어진다. 한편 마이컴(1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을 구비하는 동시에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동작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2)은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포커스 강조모드 선택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중 일부분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상기 키 조작부(10)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타에 따라 발생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마이컴(12)은 후술하는 이동좌표블럭(T)의 위치데이터를 참조하여 이동좌표블럭의 수평성분 구간동안 "하이"레벨을 갖는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를 수평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신호 스위칭부(26)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28)에 표시되는 영상신호를 제어한다. 문자 발생기(14)는 상기 마이컴(12)의 제어에 의해 이동모드 환경설정 및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한 OSD(On Screen Display)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포커스 모터 구동부(16)는 상기 마이컴(12)으로부터 출력되는 포커스 모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포커스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카메라 프로세서(20)내에 구비된 포커스 모터로 출력한다. 합성부(18)는 카메라 프로세서(20)내의 촬상관을 통해 얻어진 영상신호와 상기 문자 발생기(14)로부터 얻어진 OSD문자 혹은 이동좌표블럭을 합성하여 출력한다. 카메라 프로세서(20)는 상기 마이컴(12)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개의 렌즈들을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상하고, 촬상된 신호를 NTSC 혹은 PAL방식에 따른 영상신호로 신호처리하여 출력한다. 페이드 증폭부(22)는 펄스제너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컴(12)으로부터 출력되는 페이드 제어신호에 따라 1H 주기의 컨트롤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화면을 슈펴임포즈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4)는 상기 마이컴(12)으로부터 출력되는 슈퍼임포즈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신호 스위칭부(26)는 상기 마이컴(12)으로부터 입력되는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합성부(18), 페이드 증폭부(22), 메모리(24)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신호들을 선택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8)는 상기 신호 스위칭부(2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디스플레이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에서 포커스 강조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8)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동좌표블럭의 이동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와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의 타이밍 예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부 화면만이 포커스 강조된 화면예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화면만의 포커스 강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고자 키 조작부(10)에 구비된 모드설정키를 누르면, 마이컴(12)은 이를 40단계에서 인지하고 42단계로 진행하여 모드설정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8)에 표시되는 OSD문자가 도 4의 (a)와 같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이동키를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를 소망하는 메뉴항목에 위치시킨후 선택키를 누른다. 따라서 마이컴(12)은 44단계에서 키 조작부(10)를 통해 포커스강조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만약 44단계에서 포커스강조모드가 선택되었다면 마이컴(12)은 문자발생기(14)를 제어하여 모드설정메뉴를 오프시킨후 46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6단계에서 도 4의 (b)와 같이 화면중앙에 이동좌표블럭(T)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러한 경우 마이컴(12)은 포커스 모터 구동부(16)를 제어하여 화면중앙에 디스플레이된 이동좌표블럭(T)을 기준으로 포커스를 맞춘다. 한편 이동좌표블럭(T)을 디스플레이시킨 마이컴(12)은 이후 48단계에서 이동키 입력이 있으면 5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키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문자발생기(14)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화면중앙에 위치한 이동좌표블럭(T)은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8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이동좌표블럭(T)의 이동방향 및 이동간격이 표시한계범위를 벗어났음이 52단계에서 검색되면 마이컴(12)은 48단계로 되돌아가 이동키 입력을 재검사한다. 한편 52단계의 검색결과 이동좌표블럭(T)이 표시한계범위내에 존재하면 마이컴(12)은 54단계에서 포커스 모터 구동부(16)를 제어하여 이동좌표블럭(T)의 중앙을 기준으로 포커싱 제어한다. 상기 표시한계범위는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8) 화면의 모서리 끝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이동좌표블럭(T)외의 화면이 페이드 혹은 슈퍼임포즈 처리됨으로서 상기 이동좌표블럭(T)내의 화면이 포커스 강조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좌표블럭(T) 화면내의 중앙을 기준으로 포커싱 제어한 마이컴(12)은 56단계에서 페이드키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만약 56단계에서 페이드키 입력이 있다면 마이컴(12)은 58단계로 진행하여 페이드 제어신호 및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페이드 제어신호는 페이드 증폭부(22)에 인가되어 페이드량을 조절하게 되고, 신호 스위칭부(26)는 상기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의 논리레벨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출력한다. 즉, 마이컴(12)은 이동좌표블럭(T)의 위치데이터를 참조하여 이동좌표블럭의 수평성분동안 "하이"레벨을 갖는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를 수평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신호 스위칭부(26)로 출력함으로서 이동좌표블럭(T)내의 화면을 포커스 강조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와 영상신호의 타이밍 관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신호 스위칭부(2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상태의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페이드처리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28)로 출력하고, "하이"상태의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합성부(18)로부터 입력되는 본래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8)로 출력한다. 따라서 1프레임분의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28)에 표시되면 이동좌표블럭(T)외의 화면은 페이드처리된 화면으로 나타난다. 이를 예시하면 도 6의 (a)와 같다. 도 6의 (a)에서 A는 이동좌표블럭(T)내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B는 페이드처리된 화면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동좌표블럭(T)내의 화면은 포커스 강조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이동좌표블럭(T)외의 화면을 슈퍼임포즈 처리하여 상기 이동좌표블럭(T)내의 화면을 포커스 강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이동좌표블럭(T) 화면내의 중앙을 기준으로 포커싱 제어완료한 마이컴(12)은 60단계에서 슈퍼임포즈키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슈퍼임포즈키 입력이 있으면 마이컴(12)은 62단계로 진행하여 컬러설정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8)에 표시되는 컬러설정메뉴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이동키를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를 소망하는 컬러(color)에 위치시킨후 선택키를 누른다. 따라서 마이컴(12)은 64단계에서 키 조작부(10)를 통해 특정 컬러가 선택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만약 64단계에서 특정 컬러의 선택을 지시하는 선택키 입력이 있으면 마이컴(12)은 문자발생기(14)를 제어하여 컬러설정메뉴를 오프시키고, 선택된 컬러를 표시하는 문자를 화면의 일측 모서리에 디스플레이시킨후 66단계로 진행한다. 66단계에서 마이컴(12)은 슈퍼임포즈 제어신호 및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슈퍼임포즈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메모리(24)로부터는 슈퍼임포즈 영상신호가 출력되어 신호 스위칭부(26)로 인가되고, 신호 스위칭부(26)는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의 논리레벨에 따라 합성부(18)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슈퍼임포즈 영상신호를 선택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신호 스위칭부(26)는 "하이"레벨을 갖는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가 입력될때 상기 합성부(18)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로우"레벨을 갖는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가 입력될때 슈퍼임포즈 영상신호를 출력함으로서, 1프레임분의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28)에 표시되면 이동좌표블럭(T)외의 화면은 도 6의 (b)와 같이 슈퍼임포즈 처리된 화면(D)으로 나타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 화면외의 화면이 페이드 처리되거나 혹은 슈퍼임포즈 처리된 상태에서, 혹은 포커스강조모드가 설정된후 항시라도 해제키가 입력되었음이 68단계에서 검색되면, 마이컴(12)은 현재 설정된 포커스강조모드를 해제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화면만의 포커스 강조방법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화면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화면외의 화면을 페이드 처리하거나 슈퍼임포즈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카메라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부 화면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기능키 누름시 그에 따른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키 조작부와,
    포커스 강조모드 선택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중 일부분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상기 키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타에 따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문자정보 및 이동좌표블럭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문자발생기와,
    상기 카메라 프로세서와 문자발생기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문자정보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와,
    펄스제너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페이드 제어신호에 따라 1수평동기신호 주기의 컨트롤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페이드 증폭부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슈퍼임포즈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슈퍼임포즈 제어신호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 따라 상기 합성부, 메모리 및 페이드 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선택출력하는 신호 스위칭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조작부는 좌,우,상,하 방향과 사선방향으로 8개의 접점이 있는 VR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좌표블럭을 디스플레이 화면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3.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해 구비된 기능키들과, 문자발생기와, 상기 문자발생기와 카메라 프로세서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들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페이드 처리하기 위한 페이드 증폭부와, 상기 합성부와 페이드 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출력하는 신호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방법에 있어서,
    일부 화면의 포커스 강조를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시 상기 문자발생기를 제어하여 이동좌표블럭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1과정과,
    상기 이동좌표블럭의 이동을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좌표블럭을 이동시키는 제2과정과,
    정지된 상기 이동좌표블럭의 중앙을 기준으로 포커스 제어하는 제3과정과,
    디스플레이 화면의 페이드 처리를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시 페이드 제어신호와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를 각각 상기 페이드 증폭부와 신호 스위칭부로 출력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좌표블럭의 수평성분 구간동안만 "하이"레벨을 갖는 신호로써 수평동기신호에 동기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방법.
  5.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해 구비된 기능키들과, 문자발생기와, 상기 문자발생기와 카메라 프로세서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들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슈퍼임포즈 처리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합성부와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의 논리레벨에 따라 선택출력하는 신호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방법에 있어서,
    일부 화면의 포커스 강조를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시 상기 문자발생기를 제어하여 이동좌표블럭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1과정과,
    상기 이동좌표블럭의 이동을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좌표블럭을 이동시키는 제2과정과,
    정지된 상기 이동좌표블럭의 중앙을 기준으로 포커스 제어하는 제3과정과,
    디스플레이 화면의 슈퍼임포즈 처리를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시 컬러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제4과정과,
    디스플레이된 컬러설정 메뉴중 하나의 컬러선택을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시 선택된 컬러를 출력하기 위한 슈퍼임포즈 제어신호와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방법.
  6.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부 화면만을 포커스 강조하기 위해 구비된 기능키들과, 문자발생기와, 상기 문자발생기와 카메라 프로세서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들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페이드 처리하기 위한 페이드 증폭부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슈퍼임포즈 처리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합성부와 페이드 증폭부 및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의 논리레벨에 따라 선택출력하는 신호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방법에 있어서,
    일부 화면의 포커스 강조를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시 상기 문자발생기를 제어하여 이동좌표블럭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1과정과,
    상기 이동좌표블럭의 이동을 지시하는 기능키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좌표블럭을 이동시키는 제2과정과,
    정지된 상기 이동좌표블럭의 중앙을 기준으로 포커스 제어하는 제3과정과,
    기능키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의 검사결과 디스플레이 화면을 슈퍼임포즈 처리하거나 페이드 처리의 지시를 명하는 기능키가 입력되면 그에 따라 슈퍼임포즈 제어신호와 페이드 제어신호들중 하나와 포커스 강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의 검사결과 일부 화면의 해제를 지시하는 기능키가 입력되면 일부 화면의 포커스 강조모드를 해제시키는 제6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방법.
KR1019970080534A 1997-12-31 1997-12-31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및 방법 KR10026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534A KR100260434B1 (ko) 1997-12-31 1997-12-31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534A KR100260434B1 (ko) 1997-12-31 1997-12-31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312A KR19990060312A (ko) 1999-07-26
KR100260434B1 true KR100260434B1 (ko) 2000-07-01

Family

ID=1953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534A KR100260434B1 (ko) 1997-12-31 1997-12-31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4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417B1 (ko) * 2002-06-14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캠코더
KR100702954B1 (ko) * 2005-01-12 2007-04-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표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312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079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through image display function
US7711258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zoom image data generating, image display, image selection and image capture functions, and method for same
KR100279140B1 (ko) 촬상장치 및 촬상화상 가공장치
CN100394785C (zh) 控制字幕位置的装置和方法
JP2007019893A (ja) 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生成方法
JPH05344408A (ja) 特定部位拡大録画方法及び装置
KR100260434B1 (ko)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및 방법
JP3289892B2 (ja) 信号切換出力装置
KR20000051171A (ko) 디지털 줌 아웃 처리 장치
JP3784964B2 (ja) 書画カメラ付きデータプロジェクタ
JP2004312218A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再生装置
JP2007166539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537107B2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08331456A (ja) 字幕移動装置
JP2003348410A (ja) 音声入力可能なカメラ
JPH06268897A (ja) 日付表示装置
JP3205568B2 (ja) 撮像装置
JP2984281B2 (ja) 電子カメラ
JP2742111B2 (ja) ビデオカメラ
KR100233116B1 (ko) 윈도우 설정 및 이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564162A (ja) 画像信号処理装置
JP2006033126A (ja) 撮影用モニタ表示装置
JP2006020225A (ja) ビデオ撮像装置
JP3195255B2 (ja) 特定物体の画像抽出装置
KR970011828B1 (ko) 픽쳐-인-픽쳐기능이 내장된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