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417B1 - 캠코더 - Google Patents

캠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417B1
KR100433417B1 KR10-2002-0033150A KR20020033150A KR100433417B1 KR 100433417 B1 KR100433417 B1 KR 100433417B1 KR 20020033150 A KR20020033150 A KR 20020033150A KR 100433417 B1 KR100433417 B1 KR 100433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display
unit
camcorder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579A (ko
Inventor
전홍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417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피사체에 대해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캠코더가 개시된다. 캠코더는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 색상에 대한 색 추출 범위를 가변시켜 선택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된 입력부와,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색 추출 범위에 대응되는 색상의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선택된 출력모드에 대응되는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캠코더에 의하면, 촬상된 영상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영역의 영상신호만을 가변적으로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게 처리함으로써, 기기의 편집기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여준다.

Description

캠코더 {Camcorder}
본 발명은 캠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색에 대한 선택 범위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캠코더에 관한 것이다.
캠코더는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영상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정 색상의 영상신호만을 추출하여 표시 및 기록할 수 있는 캠코더가 본 출원인에 의해 한국 공개 특허 제98-66013호에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제안된 캠코더는 설정된 단일 색상들에 대해서 설정된 범위로만 색을 추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외부 조도와 같은 촬상 환경 및 사용자의 취향 등에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색의 범위를 조정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표시색에 대한 색상 선택 범위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색선택 자유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캠코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캠코더의 표시부를 통해 제공되는 색선택 범위 확장/축소 선택 메뉴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캠코더에서 지원되는 색 선택 범위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NTSC방식에서의 컬러성분과 컬러 버스트와의 위상관계를 나타내 보인 그래프이고,
도 4는 도 3의 메뉴의 선택에 따라 추출되는 컬러 성분의 범위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색 선택 범위 조정에 대한 처리 과정을 나타내 보인 플로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촬상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녹화부
15: 인터페이스부 16: 제어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에 대해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캠코더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 색상에 대한 색 추출 범위를 가변시켜 선택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된 입력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색 추출 범위에 대응되는 색상의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선택된 출력모드에 대응되는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기록하는 녹화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표시색 선택모드 수행키 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색상별로 분류된 기본 색상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기본 색상에 대해서 후속적으로 표시색 추출 범위를 확장/축소시킬 수 있는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며, 상기 메뉴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한 색 추출 범위에 따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색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출력장치로 출력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캠코더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캠코더는 촬상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녹화부(14), 인터페이스부(15) 및 제어부(16)를 구비한다.
촬상부(11)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출력한다.
입력부(12)는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키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부(12)에는 촬상부(11)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 색상을 분리하여 표시, 기록 또는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 하는 표시색 선택 범위 가변 조정키가 마련되어 있다. 입력부(12)의 일 예가 도시된 도 2를 참조하면, 지원되는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키(MENU)(12a)와, 방향선택키(12b), 엔터키(12c)를 구비한다.
메뉴키(12a)는 촬상부(11)를 통해 촬상된 영상신호를 표시부(13), 녹화부(14), 인터페이스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의 출력을 선택할 수 있는 출력선택모드, 촬상부(11)를 통해 촬상된 영상신호로부터 원하는 색상의 영상신호의 추출 범위를 선택할 수 있는 표시색 선택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모드 수행을 지원하는 메뉴를 제공한다. 메뉴키(12a) 선택에 의해 제공되는 모드 리스트는 방향키(12b)를 조작하여 스크롤 방식에 의해 리스트업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향선택키(12b)는 표시부(13)를 통해 표시되는 커서(28)의 이동을 조작하는 키이다. 참조부호 12b1 및 12b2은 각각 왼쪽 및 오른쪽 방향지시키이고, 참조부호 12b3 및 12b4는 하방 및 상방 방향지시키이다.
엔터키(12c)는 표시부(13)에 제공된 메뉴를 선택하는 데 이용하는 키이다.
표시부(13)는 제어부(16)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3)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메인 표시부(미도시)와 메뉴 등 영상정보 이외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용도의 보조 표시부(13a)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녹화부(14)는 제어부(16)에 제어되어 녹화대상 영상신호를 기록매체(미도시)에 기록한다.
인터페이스부(15)는 제어부(16)에 제어되어 외부장치 접속용 포트를 통해 외부장치로의 영상신호 출력을 지원한다.
제어부(16)는 입력부(12)를 통해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6)는 입력부(12)를 통해 표시색 선택모드 수행키 신호가 수신되면, 촬상부(11)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에 대해 표시색 선택범위를 가변적으로 선택할수 있는 메뉴를 표시부(13)를 통해 제공하고, 제공된 메뉴에 대해 입력부(12)에 의해 선택된 색 선택 범위에 대응되는 색상의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선택된 출력장치로 출력한다. 여기서 표시부(13), 녹화부(14) 및 인터페이스부(15)는 출력장치에 해당하고, 제어부(16)는 선택된 출력모드에 따라 이들 출력장치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6)는 표시색 선택모드 수행키 신호가 수신되면, 표시부(13)를 통해 설정된 기본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기본 색상 선택메뉴를 제공하고, 제공된 기본 색상 선택메뉴에 대해 어느 하나의 색상에 대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기본 색상에 대해 색선택 범위를 가변 조정할 수 있는 후속 메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컬러 버스트와 컬러성분과의 위상관계를 고려하여, 제어부(16)는 표시부(13)를 통해 선택된 기본 색에 대해 색 선택범위를 증가할 경우의 인접색상군의 색 정보를 함께 표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표시색 선택 모드 수행키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는 적(R), 옐로우(Y), 녹, 시안(C), 청(B), 마젠타(M)를 기본 선택 색상메뉴로 표시부(13)를 통해 제공한다. 이때 기본 색상에 대응한 색 선택범위는 도 3의 그래프상에서 해당 색상의 각도를 중심으로 각도 범위가 설정된 범위 예컨대 30도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본 선택 색상 메뉴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부(12)를 통해 수신되면, 선택된 기본 색상의 추출 영역에 대해 후속적으로 색 선택범위를 증가/감소 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부(13)를 통해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부(12)를 조작할 때마다 설정된 각도 만큼 증분 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이러한 색선택 메뉴제공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중앙부분에 참조부호 23으로 표기된 박스안에 표기된 문자인 RED는 사용자가 표시색에 대한 기본 색상을 적색(R)으로 선택하였음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22로 지시된 박스에 표시된 양 쪽 방향표기기(22a)(22b) 및 S1으로 표기된 부분은 선택된 기본 색상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최외각 각도에 해당하는 부분이 S1임을 나타내고 S1을 제1 방향표시기(22a)방향으로 증분시킬 때는 옐로우 영역으로 색선택범위가 확장되고, 제2방향 표시기(22b)방향으로 감소시킬 때는 적색영역으로 색선택 범위가 축소됨을 알려주기 위한 표시기 역활을 한다. 또한, 참조부호 24로 표기된 부분은 선택된 기본 색상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의 최외각 각도에 해당하는 선(S2) 및 방향표시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표시색 선택범위 조정에 대한 사용자 안내 방식을 도 4를 도 2와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기본 색상의 색 선택각도범위가 30도로 설정되어 있고, S1과 S2가 적색에 해당하는 각도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즉, 양 방향으로 15도씩에 해당하는 각도로 설정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표시색에 대해 기본색상을 선택한 다음 제공되는 화면(도 2참조)을 통해 표시색 선택범위를 확장 또는 축소하고자 할 경우 확장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키를 조작하면된다. 일 예로서, 키 조작 방식에 대해 S1 또는 S2에 커서(28)를 위치시킨 다음 엔터키(12c)를 누르고, 이후 색선택 영역 확장 및 축소에 대응하는 방향키(12b1)(12b2)를 누룰 때 마다 설정된 양(α) 만큼이 해당 방향키(12b1)(12b2)에 대응되는 각도만큼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키의 조작과 그에 따른 색선택 범위 선택 정보 생성 방식은 설명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2에서 참조부호 21은 선택된 기본색상에 대해 S1의 각도가 시계방향으로 증가하는 각도로 색선택 영역을 확장할 경우 인접된 기본 색상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참조부호 25는 선택된 기본색상에 대해 S2의 각도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증가하는 각도로 색선택 영역을 확장할 경우 인접된 기본 색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캠코더의 표시색 선택 범위 조정에 대한 처리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6)는 표시색을 특정색상 영역에 대해 추출하여 처리하는 표시색 선택키신호가 수신됐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10). 여기서 표시색 선택키 신호는 표시색 모드 선택 이후 제공된 기본 색상 선택메뉴중 어느 하나의 기본 색상을 선택한 신호를 말한다.
그러면, 제어부(16)는 선택된 기본 표시색을 중심으로 색커버 영역을 확장/축소 할 수 있는 표시색 추출 범위 조정 메뉴를 표시부(13)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120).
이후, 제공된 메뉴에 대해 표시색 추출 범위 조정신호가 수신됐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30).
단계 130에서 표시색 추출 범위 조정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범위 조정신호에 따라 표시색 추출 범위를 결정한다(단계 140).
표시색 추출 범위 조정 신호 수신 이후 설정키 신호(엔터키 신호에 해당)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150), 촬상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결정된 색추출 범위에 해당하는 색신호를 분리하여 선택된 출력장치로 출력한다(단계 160).
이상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위해 컬러버스트와 컬러성분과의 관계를 고려한 색선택 범위 조정용 메뉴의 예를 설명하였고, 이와는 다르게 사용자에게 익숙한 표현의 조정 메뉴 예를 들면, 적색계통에 대해, 적색, 엷은 적색, 더 엷은 적색, 더 진한 적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색 선택범위를 확장/출소 조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제공된 메뉴에 대응하는 표시색 추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에 의하면, 촬상된 영상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영역의 영상신호만을 가변적으로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게 처리함으로써, 기기의 편집기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여준다.

Claims (3)

  1. 피사체에 대해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캠코더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 색상에 대한 색 추출 범위를 가변시켜 선택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된 입력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색 추출 범위에 대응되는 색상의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선택된 출력모드에 대응되는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기록하는 녹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표시색 선택모드 수행키 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색상별로 분류된 기본 색상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기본 색상에 대해서 후속적으로 표시색 추출 범위를 확장/축소시킬 수 있는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며, 상기 메뉴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한 색 추출 범위에 따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색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KR10-2002-0033150A 2002-06-14 2002-06-14 캠코더 KR100433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150A KR100433417B1 (ko) 2002-06-14 2002-06-14 캠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150A KR100433417B1 (ko) 2002-06-14 2002-06-14 캠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579A KR20030096579A (ko) 2003-12-31
KR100433417B1 true KR100433417B1 (ko) 2004-05-31

Family

ID=3238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150A KR100433417B1 (ko) 2002-06-14 2002-06-14 캠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4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3978A (ja) * 1983-12-08 1985-07-02 Kubota Ltd 色信号分離装置
KR940018563U (ko) * 1992-12-28 199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색절환회로
KR970031840A (ko) * 1995-11-28 1997-06-26 김광호 화면의 특정부분 칼라링 장치 및 방법
KR19980066013A (ko) * 1997-01-17 1998-10-15 김광호 특정 색상의 영상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캠코더
KR19990060312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3978A (ja) * 1983-12-08 1985-07-02 Kubota Ltd 色信号分離装置
KR940018563U (ko) * 1992-12-28 199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색절환회로
KR970031840A (ko) * 1995-11-28 1997-06-26 김광호 화면의 특정부분 칼라링 장치 및 방법
KR19980066013A (ko) * 1997-01-17 1998-10-15 김광호 특정 색상의 영상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캠코더
KR19990060312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일부 화면 포커스 강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579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6727B1 (en) Teletext receiver
JP500672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5275977A (ja)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H05110939A (ja) 複数の光学系を備えた撮像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2007181030A (ja) 画像表示装置
US20060152612A1 (en) Imag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U2005201485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on-screen display in digital TV
US8823877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13243569A (ja) リモコン操作可能な電子機器
JP4969390B2 (ja) 動画再生装置および動画再生方法
JP4314266B2 (ja) 画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238339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433417B1 (ko) 캠코더
JP2008294704A (ja) 表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5121121B2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US638094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n screen display
GB2253114A (en) Displaying at least two images on a divided screen
JP2008294705A (ja) 表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3601599B2 (ja) ディジタルバーサタイルディスクプレイヤ
JP2007068182A (ja) 撮像されたイメージ合成方法及び前記方法により撮像されたイメージを合成するカメラまたはカメラが内蔵された移動機器
JP5509590B2 (ja) 電子カメラ
JP4373027B2 (ja) 電子カメラ
JP5026731B2 (ja)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の半透明実現装置、実現システム及び実現方法
JP2019129471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14099697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