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190B1 - 자동차의 도어 힌지 책커부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힌지 책커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190B1
KR100260190B1 KR1019950043413A KR19950043413A KR100260190B1 KR 100260190 B1 KR100260190 B1 KR 100260190B1 KR 1019950043413 A KR1019950043413 A KR 1019950043413A KR 19950043413 A KR19950043413 A KR 19950043413A KR 100260190 B1 KR100260190 B1 KR 100260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er
door
gear
hinge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625A (ko
Inventor
강순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3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190B1/ko
Publication of KR97002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2011/103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with circumferential and evenly distributed detents around the pivot-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종에 관계없이 도어 힌지에 장착하여 작동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부재로 도어 힌지에 있어서,
차체에 설치된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의 지지수단과;
상기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에 삽입되어 도어가 거치되도록 하는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의 거치 지지수단과;
상기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에 결합되는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의 브릿지 플레이트 상측에 설치되는 첵커부재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힌지 책커부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첵커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A-A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B-B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 첵커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첵커를 도시한 도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종에 관계없이 도어 힌지에 장착하여 작동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제4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첵커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30)는 도어 첵 커부재를 지칭한다.
상기한 도어 첵커부재(30)는 첵커 플레이트(31)와, 도어 첵커(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 첵커부재(30)의 첵커 플레이트(31)는 도어(33)에 설치되는 첵커브라켓트(34)에 연결되면서 차체(35)에 내장되어 도어(33) 개구시 멈춤이 도어 첵커(32)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첵커홈(36)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도어 첵커부재(30)의 도어 첵커(32)는 차체(35)에 설치되며, 도어 첵커 하우징(37)에 내장된 고무부재(38)를 측면에 두고 탄성력을 갖는 첵커링(39)에 의해 개재되어 슬라이드 하게 한다.
상기한 도어(33)를 열고 닫을 때 첵커 플레이트(37)가 첵커링(39)에 첵커링(39)에 의해 개재되어 슬라이드 하게 된다.
상기한 도어(33)를 열고 닫을 때 첵커 플레이트(31)가 첵커링(39)에 첵커홈(36)이 걸리게 되므로서 도어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순간적으로 열려 외부의 물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한 도어 첵커부재(30)는 도어(33)를 거치 설치하는 도어 힌지 사이에 설치되므로서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차종 개발시마다 별도의 도어 첵커부재를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차종 개발시 도어 젝커부재의 설치를 도어 힌지 사이에 하여야 하므로서 설계의 자유도가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차종에 관계없이 도어 힌지에 장착하여 작동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 힌지에 있어서,
차체에 설치된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의 지지수단과;
상기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에 삽입되어 도어가 거치되도록 하는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의 거치 지지수단과;
상기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에 결합되는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의 브릿지 플레이트 상측에 설치되는 첵커부재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첵커부재는 오일이 충진되면서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첵커 하우징과, 이 첵커 하우징 내에 제1,2 도어 힌지 브라켓트를 힌지 고정하는 제1힌지축과, 이 힌지축에 대해 스플라인 결하도록 하는 제1첵커기어와, 제1첵커기어와 기어 결합하여 도어의 개구시 회전하도록 제2힌지축으로 설치되는 제2첵커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제1힌지축은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의 힌지공에 삽입되는 스플라인 기어축부와, 이 스플라인 기어축부에서 연장되어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의 힌지공에 삽입되는 중간축부와, 이 중간축부에서 연장되어 제1첵커기어와 기어 결합하게 형성한 스플라인 기어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제2첵커기어는 도어의 개폐시 멈춤 동작이 이루어진 후 완전 개구가 이루어지도록 소정 부분의 기어를 가로질러 횡으로 형성되는 오일 통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 첵커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제3도는 제1도의 B-B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1)은 도어 힌지첵커를 지칭한다.
상기한 도어 힌지첵커(1)는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2)와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3), 첵커부재(4)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도어 힌지첵커(1)의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2)는 지지수단으로 차체에 소정의 형태로 밴딩되어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도어 힌지첵커(1)의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3)는 거치수단으로 도어측에 장착되고,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2)는 차체의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3)는 도어에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5)와 이 장착 플레이트(5)에서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2)에 삽입 거치되도록 브릿지 플레이트(6)에 힌지공(7)을 뚫으면서 상,하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도어 힌지 첵커(1)의 첵커부재(4)는 제어수단으로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2)에 결합되는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3)의 브릿지 플레이트(6) 상측에 설치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첵커부재(4)는 오일이 충진되면서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3)에 일체로 형성되는 첵커 하우징(7)과, 이 첵커 하우징(9)내에 제1,2도어 힌지 브라켓트(2)(3)를 힌지 고정하는 제1힌지축(10)과, 이 제1힌지축(10)에 대해 스플라인 결합하도록 하는 제1첵커기어(12)와, 제1첵커기어(12)와 기어 결합하여 도어의 개구시 회전하도록 제2힌지축(13)으로 설치되는 제2첵커기어(14)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첵커부재(4)의 제1힌지축(10)은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2)의 힌지공(7)에 삽입되는 스플라인 기어축부(15)와, 이 스플라인 기어축부(17)에서 연장되어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3)의 힌지공(7)에 삽입되는 중간축부(16)와, 이 중간축부(16)에서 연장되어 제1첵커기어(12)와 기어 결합하게 스플라인 기어축부(17)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첵커부재(4)의 제2첵커부재(14)는 도어의 개폐시 멈춤 동작이 이루어진후 완전 개구가 이루어지도록 어느 부분의 기어이(齒)(18)를 횡으로 가로지르게 오일 통로홈(19)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차체에 설치된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2)에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3)로 힌지 설치된 도어를 열면 제2도어힌지 브라켓트(3)가 제1힌지축(10)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첵커부재(4)내의 제1첵커기어(12)는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2)의 힌지공(7)에 조립된 제1힌지축(10)의 스플라인 기어축부(15)와 스플라인 기어축부(17)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제1첵커기어(12)는 도어를 열 때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며, 도어의 개구시에는 제1첵커기어(12)와 맞물려 있는 제2첵커기어(14)가 첵커 하우징(9)내의 오일압을 극복하면서 회전하여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열리게 된다.
상기한 제2첵커기어(14)는 도어 개구시 제2힌지축(13)을 축으로 회전하는데, 제1첵커기어(12)와 기어 결합이 이루어질 때 가)측에서 오일압이 증대하여 도어(4)의 개구를 제한한다.
이때 상기한 도어를 완전히 열면 첵커 하우징(9)의 가)측에서는 오일압이 증대되어 도어의 열림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의 내측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밀어도 어느 범위를 넘으면 더 이상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첵커부재(4)의 첵커 하우징(9)내 가)측에 형성되는 오일압은 가압된 상태로 도어가 열려 있다가 도어를 더열면 제2첵커기어(1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오일 통로홈(19)이 형성된 기어이(18)가 제1첵커기어(12)와 물리게 되면 가)측에 형성된 오일압은 오일 통로홈(17)을 통해 나)측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상기한 첵커부재(4)의 첵커 하우징(7)에 형성된 오일압은 낮아져 도어(4)의 개구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도어(4)의 개구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도어(4)의 닫힘은 상기 동작의 반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종에 관계없이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설치 가능하므로서 신규 개발될 차종에 따른 설게의 자유도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첵커부재의 첵커 하우징에 점성이 다른 오일을 충진하므로서 작동 조절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어 힌지에 있어서, 차체에 설치된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와 여기에 도어가 거치되도록 하는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의 브릿지 플레이트 상측에 오일이 충진되면서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첵커 하우징과, 이 첵커 하우징내에 제1, 2 도어 힌지 브라켓트를 힌지 고정하는 제1힌지축과, 이 제1힌지축에 대해 스플라인 결합하도록 하는 제1젝커 기어와, 제1첵커 기어와 기어 결합하여 도어의 개구시 회전하도록 제2힌지축에 설치되는 제2첵커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제1힌지축은 제1도어 힌지 브라켓트의 힌지공에 삽입되는 스플라인 기어축부와, 이 스플라인 기어축부에서 연장되어 제2도어 힌지 브라켓트의 힌지공에 삽입되는 중간축부와, 이 중간축부에서 연장되어 제1첵커 기어와 기어 결합하게 형성한 스플라인 기어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제2첵커 기어는 도어의 개폐시 멈춤 동작이 이루어진 후 완전 개구가 이루어지도록 소정 부분의 기어를 가로질러 횡으로 오일 통로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힌지 첵커부재.
KR1019950043413A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도어 힌지 책커부재 KR100260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413A KR100260190B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도어 힌지 책커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413A KR100260190B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도어 힌지 책커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625A KR970027625A (ko) 1997-06-24
KR100260190B1 true KR100260190B1 (ko) 2000-07-01

Family

ID=1943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413A KR100260190B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도어 힌지 책커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1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160U (ko) * 1979-10-30 1981-06-04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160U (ko) * 1979-10-30 1981-06-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625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3301B (zh) 用于车辆的车门打开/关闭装置
KR920000428A (ko) 자동차의 문 부착방법
BR9909930A (pt) Amortecedor automático de fechamento de porta tipo dobradiça
KR100260190B1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 책커부재
US6557209B1 (en) Device for restraining movement of a door
KR100448063B1 (ko) 체커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장치
JP3291411B2 (ja) 自動閉戸装置
KR940015142A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JPH0893313A (ja) 開扉角度制限付丁番型ドアクローザ
KR200388499Y1 (ko)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KR102145419B1 (ko) 화장실 칸막이의 도어 안전 장치
JP3796907B2 (ja) 跳ね上げ式門扉
JP2978109B2 (ja) 両扉同時開閉可能な観音開き扉
JPH03129078A (ja) ダンパ付きドアヒンジ
JPH10220101A (ja) 門扉用ドアクローザ
KR0130282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KR100534314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200153378Y1 (ko) 차량용 도어의 체커 일체형 힌지구조
KR200209589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0273475Y1 (ko)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고정 구조
KR200306000Y1 (ko) 자동 닫힘 클립 및 이러한 클립이 장착된 자동 닫힘 경첩
KR101180807B1 (ko) 쓰로틀 바디용 샤프트의 고착 방지 구조
KR0159862B1 (ko) 차량용 도어의 상향식 오픈닝 구조
KR920003620Y1 (ko) 경첩에 내설되는 여닫이장치
KR20030066058A (ko)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