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304B1 - 케이블.호스의보호안내체인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호스의보호안내체인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304B1
KR100257304B1 KR1019970001654A KR19970001654A KR100257304B1 KR 100257304 B1 KR100257304 B1 KR 100257304B1 KR 1019970001654 A KR1019970001654 A KR 1019970001654A KR 19970001654 A KR19970001654 A KR 19970001654A KR 100257304 B1 KR100257304 B1 KR 100257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hain
cable
stopper
shaf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오 하마
Original Assignee
도미오 하마
가부시키가이샤 하모 소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미오 하마, 가부시키가이샤 하모 소켄 filed Critical 도미오 하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케이블, 호스 등의 가요성을 가지는 긴 물체를 안내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호스의 보호안내체인 및 그 제조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굴곡각도가 다른 안내체인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다품종의 물품을 갖추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안내체인의 제조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안내체인으로서 충분한 강성을 가지며, 또한 케이블 혹은 호스와 같은 안내체인에 수납한 수납물에 손상을 주지 않는 적합한 보호안내체인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안내체인(10)의 연달아 접하는 부분에 떼고붙이기 가능하게 캡(34)을 설치하고, 캡(34)에 스톱퍼편(40a,40b)을 설치하므로써 안내체인의 굴곡가동범위를 가변으로 한다. 이에 의해, 캡(34)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굴곡각도가 다른 안내체인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지재로서 복합재료를 사용하므로써, 강화필러재를 혼입하고 또한, 표면이 평활한 안내체인을 제공할 수가 있어, 이에 의해 안내체인에 수납된 케이블 등이 손상하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케이블이나 호스의 보호안내체

Description

케이블· 호스의 보호안내체인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케이블, 호스 등의 가요성을 가지는 긴 물체를 안내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호스의 보호안내체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호스의 보호안내체인은 기계장치 등의 이동부분에 접속한 케이블 혹은 호스 등을 유지하고, 이동체와 함께 케이블 또는 호스가 이동할 때에 케이블 혹은 호스가 구부러지거나 하지 않도록 유지하여 원활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안내체인의 일반적인 구조는 케이블 등을 수납하여 유지하는 링크부재를 체인형상으로 연달아 접하고, 링크부재의 연달아 접한 부분에서 체인이 일정각도 이상 굴곡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제 9도는 케이블· 호스의 보호안내체인의 종래예를 나타낸다. 도면은 링크부재(10)를 2개 연달아 접한 상태이다. 링크부재(10)는 정면방향에서 보아 바닥판(12)의 에 의해 기립편(14a, 14b)을 평행하게 대항하여 지지한 ㄷ 자형상으로 형성된다. 기립편(14a, 14b)의 위끝단사이에는 플랩(flap)(16)이 개폐가능하게 건너질러서 붙여 고정된다. 케이블에 보호안내체인 장착하는 경우는, 플랩(16)을 열어 링크부재(10)의 내측에 케이블을 넣고, 플랩(16)을 닫으면 좋다.
링크부재(10)는 다수개 연달아 접하여 체인형상으로 하는데, 링크부재(10)을 연달아 접한 부분에서 굴곡가능하게 되도록, 기립편(14a,14b)의 앞부분에, 연달아 접하는 링크부재의 축이 끼워넣어지는 축구멍(20)을 설치하고, 뒷부분에 외측면으로 부터 돌출시켜서 축구멍에 끼워넣는 축(18)을 설치한다.
링크부재(10)의 굴곡각도를 규제하는 스톱퍼수단은 기립편(14a,14b)의 앞부분의 내면에 설칫한 스톱퍼 네일(22)과, 스톱퍼 네일(22)과 걸어맞춤가능하게 기립편(14a,14b)의 뒷부분의 외측면에 설치한 스토버 홈(22a)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 종래예에서는 기립편(14a,14b)의 뒷부분의 외측면에도 다른 스톱퍼 네일(26)을 설치하고, 기립편(14a,14b)의 앞부분의 내측면에 스톱퍼 네일(26)이 걸어맞춤되는 스톱퍼 홈(26a)을 설치하고 있다.
링크부재(10)를 연달아 접한 상태에서, 스톱퍼 홈 (22a,26a)은 축(18)을 중심으로 하여 중심으로 하여 스톱퍼 네일(22,26)이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만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스톱퍼 네일(22,26)이 스톱퍼 홈(22a,26b)의 양끝단에 맞닿는 위치가 체인이 가장 굴곡한 위치가 된다. 이리하여, 링크부재(10)의 내부에 케이블, 호스등을 수납하고, 링크부재(10)의 회전운동각도를 규제하므로써 케이블 등이 과도하게 굴곡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등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 등의 보호안내체인은 링크부재(10)의 연달아 접하는 부분에 스톱퍼수단을 설치하여 링크부재(10)를 연달아 접했을 때에 일정각도 이상 국곡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스톱퍼 각도는 링크부재(10)로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으로, 안내체인의 굴곡각도를 변화시키는 데는 링크부재 그자체를 교환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는, 굴곡각도에 따라서 다품종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보호안내체인에는 수지성형에 의해서 작성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체인으로서 필요한 강성(剛性)을 얻을 수 있도록 유리섬유 등의 강화필러재를 혼입한 수지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강화필러재를 첨가한 수지재를 이용하여 안내체인을 수지성형하면, 수지성형품의 표면에 강화필러재의 첨단이 돌출하고, 또는 강화필러재가 있으므로써 수지성형품의 표면이 요철면이 된다(제 2 도). 수지성형품의 표면이 요철면이 되는 것은, 수지성형시에 수지재가 냉각할 때, 모재(母材)가 결정화하여 수축하는데 대해서 필러는 수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수지성형품의 표면으로 부터 필러가 돌출하고, 또는 수지성형품의 표면이 요철면이 되면, 안내체인에 수축된 케이블 또는 호스가 동작시에 안내체인과 닿아서 손상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안내체인은 케이블 혹은 호스와 같은 긴 물체를 부호하기 위한 것인데, 수백만회와 같은 다수회에 걸쳐서 작동하기 때문에 케이블 등과 안내체인이 스치는 것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근래는 안내체인을 부착하는 로보트 등의 성능향상에 의해 케이블 등의 이동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안내체인의 강성향상이 요구도고, 이것은 강화필러재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는 것 등에 의해서 보충할 수 있는 것인데, 그 반면, 안내체인이 케이블등의 수납체를 손상한다는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이와 같이 케이블·호스의 보호안내체인에서는 안내체인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가 있고, 또한, 케이블, 호스 등의 수납체에 손상을 주지 않는 제품이 요구되는데, 통상의 수지성형방법에서는 이들은 상반하는 조건이 되므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이 제공되고 있지 않는 현상이 있다.
또한, 케이블·호스의 보호안내체인에서는 링크부재를 서로 연달아 접하는 부위에 관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필요하며, 또 플랩의 지지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굴곡각도가 다른 안내체인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다품종의 물품을 갖추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안내체인의 제조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안내체인으로서 충분한 강성을 가지며, 또한 케이블 혹은 호스와 같은 안내체인에 수납한 수납물에 손상을 주지않는 적합한 보호안내체인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 1 도는, 안내체인의 수지성형품에서 표면근방부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안내체인의 종래예에서 표면근방부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안내체인의 일실시형태의 사시도.
제 4 도는, 링크부재의 본체의 사시도.
제 5 도는, 링크부재의 본체의 측면도.
제 6a 도는, 캡의 정면도.
제 6b도는, 캡의 배면도.
제 7 도는, 안내체인의 평면도.
제 8 도는, 안내체인의 단면도.
제 9 도는, 안내체인의 종래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수지 2a : 지방족 폴리아미드수지
2b : 방향족 폴리아미드수지 4 : 필러
10 : 링크부재 12 : 바닥판
14a,14b : 기립편 16 : 플랩
18 : 축 20 : 축구멍
22,26,30 : 스톱퍼 네일 22a,26a : 스톱퍼 홈
32 : 스톱퍼 구멍부 34 : 캡
36 : 끼워맞춤홈 36a : 돌출테두리부
38a,38b,38c : 걸림홈 39a,39b,9c : 걸림편
40a,40b : 스톱퍼편 42 : 해체용 구멍
44 : 부착축 46 : 칸막이판
A : 금형면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수지성형금형을 이용하여 정면형상을 ㄷ자형상으로 수지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링크부재(10)를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굴곡가능하게 체인형상으로 연달아 접하고, 케이블, 호스 등의 긴 물체를 수납하여 가이드지지하는 보호안내체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10)를 구성하는 수지재로서, 복수종의 수지재를 혼합한 복합재료를 모재로 하고, 모재에 성형품의 강성을 강화하는 강화필러재를 혼입하고, 수지성형품의 표면으로 상기 강화필러재가 돌출하지 않는 매끄러운 면으로 수지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보호안내체인에 의해서 유지한 케이블 등에 작용하는 손상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케이블 등에 작용하는 손상을 억제하면서, 수지재에 가하는 강화필러재를 증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써, 안내체인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복합재료로서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와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혼합한 폴리아미드계의 수지재를 접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강화필러재로서는, 유리섬유필러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대항하여 배치한 한쌍의 기립편(14a,14b)의 이래끝단 사이를 바닥판(12)에 의해 연결하여 정면형상을 ㄷ자형상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기립편(14a,14b)의 앞부분에 외측면으로 부터 돌출시켜서 축(18)을 설치함과 동시에 기립편(14a,14b)의 뒷부분에 축구멍(20)을 설치한 링크부재(10)를, 연달아 접하는 링크부재(10) 사이에서 상기 축구멍(20)에 상기 축(18)을 끼워넣으므로써 굴곡가능하게 다수개 연달아 접하고, 연달아 접하는 부분에 스톱퍼기구를 설치하여 링크부재(10)의 굴곡각도를 규제한 케이블·호스의 부호안내체인에 있어서, 상기축(18)에 스톱퍼 네일(30)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축구멍(20)에 상기 스톱퍼 네일(30)의 가동범우를 규제하는 스톱퍼 구멍부(32)를 설치하고, 상기 기립편(14a,14b)에서 상기 축구멍(20)을 형성한 부위에, 상기 축구멍(20) 및 상기 스톱퍼 구멍부(32)를 폐지하는 캡(34)을 떼고붙이기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링크부재(10)의 연달아 접하는 부분에 캡(34)을 장착하므로써, 연달아 접하는 부분에 외부로 부터 먼지가 파고드는 덧을 방지하여, 원활한 체인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캡(34)에는, 상기 스톱퍼 구멍부(32) 내에 끼워넣어 상기 스톱퍼 네일(30)의 가능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편(40a,40b)을 설치함으로써 캡의 교환만으로 굴곡각도가 다른 안내체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동작시에 있어서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스토버 네일(30)은 상기 축(18)과 동일면 내에서 축(18)의 바깥둘레로 부터 외측에 네일형상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축구멍(20)에는, 상기 축(18)을 끼워넣는 축구멍(20)에 연이어 통하여 상기 스톱퍼 네일(30)을 이동가능하게 하는 부채형상의 스톱퍼 구멍부(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안내체인의 굴곡각도가 규정된다.
또, 상기 기립편(14a,14b)의 위끝단 사이에, 양측으로 부터 개폐가능하게 플랩(16)을 건너질러 장착하므로써, 케이블 등으로의 안내체인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상기 바닥판(12)에 상기 기립편(14a,14b)의 위끝단 사이에 건너질러서 장착된 플랩(16)과의 사이에서 걸어서 지지되는 케이블 등의 칸막이판(46)을 설치한 것에 의해, 케이블 등을 구분하여 유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케이블· 호스의 보호안내체인은, 사출성형 등에 의해 수지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링크부재를 연달아 접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안내체인으로서 충분한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안내체인 내에 수납한 케이블 또는 호스를 손상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원활한 표면을 가지는 수지성형품으로 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도 종래제품과 마찬가지로 수지의 모재에 강화필러재를 첨가한 수지재를 이용하여 수지성형하는데, 본 발명의 방법에서 특징으로 하는 것은 수지성형품의 표면으로 부터 필러를 돌출시키거나, 필러에 의해서 수지성형품의 표면이 요철면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지성형하는 점에 있다.
필러를 가한 수자재를 이용하여 수지성형품의 표면으로 부터 필러를 돌출시키지않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안내체인의 제조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와 수지성형시의 수지의 수축을 보완하는 작용을 이루는 다른 종류의 수지재를 블렌드한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수지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에 가하는 다른 종류의 수지재로서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사용하므로써, 표면평활성이 좋은 수지성형품을 얻을 수가 있었다. 또한, 여기서 사용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의 수측을 보완하는 수지재로서 사용한 것으로, 이것과 동등한 작용을 가지는 수지재라면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와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복합재료에 강화필러재로서 유리섬유필러를 혼입한 수지재를 사용하여 링크부재를 얻었다. 제1도는 본 실시형태의 방법에 의해서 수지성형하여 얻은 링크부재의 표면근방부분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 2도는 비교예로서 종래품의 표면근방부분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제 2 도에서는 A선은 금형면(금형 전사면)을 나타낸다. 금형에 수지를 충전한 후, 종래품의 경우는 수지(2)가 지방족 폴리아미드뿐이므로, 수지성형품이 식을 때에 수지(2)가 수축하여 금형면으로 부터 약간 수지면이 후퇴하는 것에 대해서 필러(4)는 수축하지 않고 남기 때문에, 수지성형품의 표면은 필러(4)가 돌출한 부위가 돌기형상이 된 요철면이 된다. 이 돌기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체인 내에 수축한 케이블, 호스와 닿는 부분으로, 단단한 필러(4)의 돌기가 케이블 등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대해서, 제1도에 나타낸 수지성형품의 경우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수지(2a)와 방향족 폴리아미드수지(2b)의 복합재료를 사용한 것에 의해, 수지성형품이 식을 때에 지방족 폴리아미드수지(2a)가 수축하여도 방향족 폴리아미드수지(2b)가 수축하지 않기 때문에 지방족 폴리아미드수지(2a)가 수축한 부위를 방향족 폴리아미드수지(2b)가 보완하여, 금형면(A)으로 부터 수지면이 수축하지 않고 수지성형된다. 이에 의해서, 필러(4)는 수지재 중에 매몰하여 수지성형되고, 수지성형품의 표면으로 부터 필러(4)가 돌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수지성형품의 표면이 원활면으로 성형되므로써, 안내체인 내에 수납된 케이블 혹은 호스 등과 링크부재의 표면이 닿아 손상한다는 문제를 적절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재를 이용하여 수지성형한 제품은 표면이 광택면이 되며, 통상이 지방족 폴리아미드수지에 필러를 혼입시킨 수지성형품과는 분명히 외관이 다름과 동시에, 종래품에서는 표면의 요철에 의해 감촉이 약간 껄끄러운데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수지성형품에서는 표면이 매우 매끄럽게 완성된다는 특징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지재에 혼입하는 필러의 분량을 종래품보다 증대시켜도 케이블 등에 대한 손상을 적게 할 수가 있다. 실제로, 본 실시형태의 방법에 의해 종래품과 동일 제품으로 필러를 증가혼입하여 성형한 안내체인과 종래품의 안내체인에서 케이블의 손상 정도를 시험한 바, 본 실시형태의 보호안내체인을 사용하므로써 적어도 수배 이상의 내구성이 얻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안내체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필러를 증량하므로써 안내체인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또한 안내체인의 표면을 평활하게 형성하여 케이블 등의 수납물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와 방향족 폴리미드를 블렌드한 수지재를 모재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 2종의 수지는 모두 결정성고분자이며 상용성(相熔性)을 가지는 것, 융점근방에서 모두 결정되지 않는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지방족 폴리아미드만을 이용하여 수지성형하는 종래법에 비하여, 결정화 속도를 지연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지방족 폴리아미드가 결정화하여 수축할 때에도 거의 수축하지 않고 결정화되어 수지성형시의 사출압력을 충분히 전달하는 작용을 이룬다. 이에 의해서, 금형면까지의 수지충전이 향상하고, 금형표면을 거울면으로 하여 두면, 금형 전사성이 좋으므로, 수지성형품의표면을 요철이 없는 평탄면으로 하는 작용이 이룬다.
안내체인을 수지성형할 때에 작용하는 수지재로서는, 상기 수지재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성질을 가지는 2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재를 복합하여 사용하므로써, 필러를 혼입한 수지재를 이용하여도, 수지성형품의 표면을 평활면으로하여, 필러가 수지성형품의 표면으로 부터 돌출하거나, 필러에 의해서 수지성형품의 표면이 요철면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필러로서 유리섬유필러재를 사용하였지만, 유리섬유필러에 한정되지 않고, 미네랄섬유필러 등의 다른 강하필러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필러의 형상도 상술한 바늘형상으로 형성한 필러 외에, 사각 형상, 공형상의 것등을 사용할 수 있다.
미네랄섬유필러는 유리섬유필러에 비하여 케이블 등을 손상하는 작용이 작고, 사각형상 등의 필러도 바늘형상의 필러에 비하여 케이블 등에 대한 손상작용이 억제되지만,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지성형품의 표면으로 부터 필러를 돌출시키지않고 수지성형할 수 있으므로, 유리섬유필러와 같이 수지성형품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강화필러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 3 도∼제 8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안내체인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한 안내체인의 실시형태를 나태낸다. 제 3 도는 링크부재(10)를 연달아 접한 사시도로, 설명상, 2개의 링크부재를 연달아 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링크부재(10)의 전체형상은 제 9도에 나타낸 종례예와 마찬가지로, 바닥판(12)에 의해 기립편(14a, 14b)의 아래끝단을 연결하여 정면형상이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기립편(14a,14b)의 위끝단 사이에는 플랩(16)이 개폐가능하게 건너질러서 붙여 고정된다. 제 3 도에서는 설명상, 한쪽의 플랩(16)을 연 상태를 나타낸다. 플랩(16)은 좌우의 기립편(14a,14b) 중 어느 측으로도 여는 것이 가능하다.
제 4 도는 링크부재(10)의 본체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링크부재(10)의 본체는 기립편(14a,14b)의 앞부분에 외측면으로 부터 링형상으로 돌출하는 축(18)을 설치하고, 기립편(14a,14b)의 뒷부분에 이 링크부재(10)에 연달아 접하는 링크부재(10)의 이 끼워넣어지는 축구멍(20)을 설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서 기립편(14a, 14b)의 앞쪽, 뒤쪽과 같은 경우 위치관계는 설명상의 표현으로, 링크부재(10)를 사용할 때에 특별히 전후방향이 규정되는 것이 아니다. 축(18)과 축구멍(20)은 링크부재(10)를 연달아 접할 때에, 인접하는 링크부재(10)의 축이 축구멍에 끼워넣어 연계되는 부위이며, 축(18)이 축구멍(20) 내에 미끄럼접합하여 끼워넣는 치수로 규정되어 있다.
축(18)에는 링형상으로 형성한 축부분의 외측에 스톱퍼 네일(30)이 설치된다. 이 스톱퍼 네일(30)은 축구멍(20)에 연이어 통하는 스톱퍼 구멍부(32)내에 삽입되고, 링크부재(10)를 연달아 접했을 때에 스톱퍼 구멍부(32)와의 관계에서 링크부재(10)의 굴곡각도를 규정한다. 축구멍(20)에 연이어 통하는 스톱퍼 구멍부(32)는 스톱퍼 네일(30)을 삽입가능하게 축구멍(20)의 내부지름보다도 큰 지름으로 형성하고, 링크부재(10)의 굴록가능범위를 규정하는 부채형상으로 형성한다.
링크부재(10)를 임의개수 연달아 접한 후, 기립편(14a, 14b)의 외측면에 캡(34)를 장착한다. 이 캡(34)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구멍(20)부분을 봉하여 축구멍(20)에 축(18)을 장착한 부위가 외부에 노출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 캡(34)은 축구멍(20)에 연이어 통하여 설치한 스톱퍼 구멍부(32)에 정확히 끼워넣는 스톱퍼편을 설치해두므로써. 캡(34)을 장착했을때에 스톱퍼 구멍부(32)에 스톱퍼편을 끼워넣어, 스톱퍼 구멍부(32) 내에서의 스톱퍼 네일(30)의 가동범위를 규제함으로써 링크부재(10)의 굴곡각도를 규제할 수가 있다.
제5도는 링크부재(10)의 측면도이다. 축(18)과 축(18)의 외측에 스톱퍼 데일(30)을 설치한 것, 축구멍(20) 및 축구멍(20)에 연이어 통하여 스톱퍼 구멍부(32)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36은 캡(34)을 장착하기 위한 끼워맞춤 홈, 38a,38b,38c는 캡(34)을 걸기 위한 걸림홈이다.
제6도(a,b)는 캡(34)의 정면도와 배면도를 나타낸다. 캡(34)은 기립편(14a, 14b)에 장착하는 좌우에서 대칭형이 되어 형상이 달라져 있다. 도시예는 제5도의 기립편에 장착하는 캡이다.
제6도(a)에서 42는 기립편에 끼워붙인 캡(34)을 떼어놓기 위한 해체용 구멍이다. 제6도(b)에서 36a는 기립편의 끼워맞춤홈(36)에 끼워넣는 돌출테두리부, 39a,39b,39c는 기립편의 걸림홈(38a,38b,38c)에 걸리는 걸림편이다, 40a,40b는 상술한 스톱퍼 구멍부(32)에 끼워넣는 스톱퍼편이다. 이 예에서는 스톱퍼 구멍부(32)의 둘레방향의 양끝단에 각각 스톱퍼편(40a,40b)을 설치하고 있다. 제5도에서는, 캡(34)을 기립편에 장착했을 때의 스톱퍼편(40a,40b)의 위치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면과 같이 스톱퍼편(40a,40b)을 스톱퍼 구멍부(32)내에 끼워넣으므로써, 스톱퍼 네일(30)은 스톱퍼편(40a,40b)에 의해서 규제된 범위 내에서만 이동가능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링크부재(10)의 굴곡각도가 규정되게 된다.
캡(34)은 제5도에 나타낸 링크부재(10)의 본체와는 별도 부품으로 형성하므로, 링크부재(10)와의 호환성을 유지하여 스톱퍼편(40a,40b)의 설치위치르 변화시킨 부품을 작성하므로써 간단하게 링크부재(10)가 굴곡할 수 있는 범위를 바꿀 수가 있다. 실시형태의 링크부재(10)는 축구멍(20)과 스톱퍼 구멍부(32)를 종래의 링크부재에 비하여 매우 크게 설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링크부재(10)의 가동범위를 크게 설정하여, 제품에 의해서 필요로 하는 가동범위를 캡(34)에 의해서 규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링크부재(10)와 같이 축(18)의 지름치수를 종래보다도 크게 설정하므로써, 링크부재(10)의 연달아 접하는 부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안내체인 전체로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34)에 스톱퍼편(40a,40b)을 설치하여 스톱퍼 네일(30)이 스톱퍼편(40a,40b)에 맞닿도록 한 것에 의해, 스톱퍼 네일(30)이 스톱퍼부재에 충돌할 때의 충돌음이 작게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종래의 링크부재에서는 링크부재의 본체에 스톱퍼부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본체에 공명하여 충돌음이 커질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제3도에서 34a는 안내체인의 가장 끝단부의 링크부재(10)에 장착하는 캡을 나타낸다. 안내체인을 기기에 부착하는 가장 끝단부에서는 부착금속부재를 이용하여 링크부재(10)를 기기에 고정하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체인의 가장 끝단부에 부착하는 캡(34a)의 형상을 축구멍(20)으로부터 기립편(14a,14b)의 내측에 원통형상으로 부착측(44)이 연장하는 형태로 하므로써, 부착금속부재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기존의 링크 부재의 경우는, 기립편(14a,14b)의 내측면에 스톱퍼부재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등의 이유에서, 부착방향이나 부착방법에 의해서 여러종류의 부착금속부재가 필요하였는데, 본 실시형태의 보호안내체인의 경우는, 부착부분의 구성을 공통화할 수 있으므로, 이동측과 고정측에서 각각 1종류씩의 2종류의 부착금속부재로 해결할 수가 있다.
제7도에서는 플랩(16)을 닫는 상태에서의 링크부재(10)의 연달아 접하는 상태의 평면도, 제8도는 링크부재(10)의 단면도이다. 플랩(16)의 평면형상은 적절한 디자인이 가능하고, 실시형태와 같이 인접하는 플랩(16)의 사이에 소정간격을 설정하여도 좋으며, 플랩(16)의 사이에 간격을 두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12)은 링크부재(10)를 연달아 접한 상태에서 바닥판(12)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바닥판(12)의 디자인도 적절히 설정할 수가 있다.
제8도에서는 바닥판(12) 위에 칸막이판(46)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칸막이판(46)은 케이블의 종류마다 구분하여 유지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적용한다. 바닥판(12)의 윗면에 칸막이판(46)을 거는 홈을 설치하여, 칸막이판의 아래끝단을 홈내에 걸고, 플랩(16)의 내면에 설치한 홈에 칸막이판(46)의 위끝단을 걸고, 칸막이판(46)이 이동하거나 하지 않도록 바닥판(12)과 플랩(16)에 의해 칸막이판(46)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안내체인에서는, 수지형성시에는 성형시의 퍼팅라인이 케이블 등을 수납하는 링크부재(10)의 내면에 나타나지 않게 하고, 이에 의해서 케이블 등이 더욱 손상받기 어려워지도록 설계하였다. 또, 각 부재의 코너부분을 R형상으로 하여, 케이블 등에 손상을 주지 않는 설계로 하였다. 이에 의해서, 케이블 혹은 호스와 같은 수납체의 손상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케이블· 호스의 보호안내체인은, 링크부재를 연달아 접하는 부위를 폐지하는 캡을 링크부재 본체와는 별도 부품에 의해서 구성한 것에 의해, 연달아 접하는 부분에 외부로부터 먼지가 파고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체인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 캡에 스톱퍼편을 설치하여 링크부재의 굴곡각도를 규제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캡의 교환만으로 굴곡각도가 다른 안내체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안내체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필러재를 증량하므로써 수지성형품의 강성을 유효하게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필러를 수지성형품의 표면으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매끄로운 표면으로서 수지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체인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안내체인에 수납한 케이블 혹은 호스 등의 손상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이룬다.

Claims (7)

  1. 수지성형금형을 이요하여 정면형상을 ㄷ자형으로 수지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링크부재(10)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굴곡가능하게 체인형상으로 연달아 접하고, 케이블. 호스 등의 긴 물체를 수납하여 가이드 지지하는 보호안내체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10)를 구성하는 수지재로서, 지방족 폴리아미드와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혼합한 폴리아미드계의 수지재를 모재로 하고, 모재에 성형품의 강성을 강화하는 강화필러(filler)재를 혼합하여, 이것을 수지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호스의 보호안내체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필러재로서 유리섬유필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케이블·호스의 보호안내체인의 제조방법.
  3. 대향하여 배치한 한쌍의 기립편(14a,14b)의 아래끝단 사이를 바닥판(12)에 의해 연결하여 정면형상을 ㄷ자형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기립편(14a,14b)의 앞부부분에 외측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축(18)을 설치함과 동시에 기립편(14a,14b)의 뒷부분에 축구멍(200을 설치한 링크부재(10)를, 연달아 접하는 링크부재(10) 사이에서 상기 축구멍(20)에 상기 축(18)을 끼워넣으므로써 굴곡가능하게 다수개 연달아 접하고, 연달아 접하는 부분에 스톱퍼기구를 설치하여 링크부재(10)의 굴곡각도를 규제한 케이블·호스의 보호안내체인에 있어서,
    상기 축(18)에 스톱퍼 네일(30)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축구멍(20)에 상기 스톱퍼 네일(30)의 가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 구멍부(32)를 설치하고,
    상기 기립편(14a,14b)에서 상기 축구멍(20)을 형성한 부위에, 상기 축구멍(20) 및 상기 스톱퍼 구멍부(32)를 폐지하는 캡(34)를 떼고 붙이기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호스의 보호안내체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34)에는 상기 스톱퍼 구멍부(32)내에 끼워 넣어 상기 스톱퍼 네일(30)의 가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편(40a,40b)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호스의 보호안내체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네일(30)은 상기 축(18)과 동일면 내에서 축(18)의 바깥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네일형상으로 연장설치되고, 상기 축구멍(20)에 상기 축(18)을 끼워넣는 축구멍(20)에 연이어 통하여 상기 스톱퍼 네일(30)을 이동가능하게 하는 부채형상의 스톱퍼 구멍부(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스의 보호안내체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편(14a,14b)의 위끝단 사이에, 양측으로부터 개폐가능하게 하는 플랩(16)이 건너질러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호스의 보호안내체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2)에는 상기 기립편(14a,14b)의 위끝단 사이에 건너질러서 장착된 플랩(16)과의 사이에서 걸어서 지지되는 케이블 등의 칸막이판(4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호스의 보호안내체인.
KR1019970001654A 1996-08-02 1997-01-21 케이블.호스의보호안내체인및그제조방법 KR100257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204591A JP3115995B2 (ja) 1996-08-02 1996-08-02 ケーブル・ホースの保護案内チェーン
JP204591 1996-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7304B1 true KR100257304B1 (ko) 2000-05-15

Family

ID=164930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645A KR19980018007A (ko) 1996-08-02 1997-01-21 케이블·호스의 보호안내체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9970001654A KR100257304B1 (ko) 1996-08-02 1997-01-21 케이블.호스의보호안내체인및그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645A KR19980018007A (ko) 1996-08-02 1997-01-21 케이블·호스의 보호안내체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10688A (ko)
EP (2) EP0822353B1 (ko)
JP (1) JP3115995B2 (ko)
KR (2) KR19980018007A (ko)
DE (2) DE69718074T2 (ko)
TW (1) TW33874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61B1 (ko) 2006-12-05 2007-06-13 주식회사 코닥트 궤도 곡률이 조절되는 케이블 베어 시스템
KR100897403B1 (ko) 2008-06-03 2009-05-14 주식회사 코닥트 궤도 곡률이 조절되는 케이블베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1706C1 (de) * 1997-01-21 1998-09-03 Igus Gmbh Energiezuführungskette
JP3922614B2 (ja) * 1999-02-10 2007-05-30 日東工業株式会社 引出しユニット
DE10162066A1 (de) * 2001-12-17 2003-07-03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einer Energieführungskette zumindest teilweise aus nachwachsendem Rohstoff ausgebilde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und Energieführungskette
JP3722482B2 (ja) * 2003-02-17 2005-11-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3897351B2 (ja) 2003-08-05 2007-03-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05147233A (ja) 2003-11-13 2005-06-09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DE102004007891A1 (de) 2004-02-17 2005-09-01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ettenglied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DE102005061777A1 (de) * 2005-12-23 2007-06-28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mit einer mehrachsigen Gelenkverbindung
JP4137117B2 (ja) * 2005-12-27 2008-08-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JP4118304B2 (ja) 2006-03-14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8306B2 (ja) 2006-03-28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8308B2 (ja) 2006-04-14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08025775A (ja) 2006-07-24 2008-02-07 Tsubakimoto Chain Co 折り曲げ組み立て式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052073B2 (ja) 2006-09-04 2012-10-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350735B2 (ja) 2006-09-20 2009-10-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折り曲げ式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391547B2 (ja) 2007-04-17 2009-12-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ューブ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102009030857B4 (de) * 2009-06-26 2018-10-31 Tsubaki Kabelschlepp GmbH Element eines Kettengliedes einer Energieführungskette, das durch ein Fluid-Innendruck-Spritzgieß-Verfahren hergestellt ist
JP2013070552A (ja) * 2011-09-26 2013-04-18 Tsubakimoto Chain Co 合成樹脂製のケーブル・配管類保護案内部材
JP5628124B2 (ja) 2011-09-26 2014-11-1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合成樹脂製のケーブル・配管類保護案内部材
JP5709799B2 (ja) 2012-05-28 2015-04-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部材
JP5946222B2 (ja) * 2013-11-28 2016-07-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金属製チェーン
TWI584715B (zh) * 2014-08-04 2017-05-2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伺服器裝置
KR102047179B1 (ko) * 2018-02-21 2019-11-2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주행 차량의 실내온도 과열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58451B1 (de) * 1973-11-23 1975-01-30 Kurt 8000 Muenchen Hennig Energieführungskette
DE7714056U1 (de) * 1977-05-04 1977-08-18 Wilh. Frank Gmbh, 7022 Leinfelden-Echterdingen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holmes mit einem hohlprofil
US4272952A (en) * 1979-05-08 1981-06-16 Dresser Industries, Inc. Plastic chain and tubular link pin
DE3414412C1 (de) * 1984-04-17 1987-11-12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Energiefuehrungskette
US4590961A (en) * 1985-08-16 1986-05-27 Cooper Industries, Inc. Modular rolling conductor support
DE3605382A1 (de) * 1986-02-20 1987-08-27 Ernst Klein Selbsttragender oder gefuehrter energieleitungstraeger aus gegeneinander verschwenkbaren, ganz oder teilweise aus kunststoff bestehenden gliedern
DE3709740A1 (de) * 1987-03-25 1988-10-06 Ernst Klein Einseitig kruemmbare, selbsttragende energiezufuehrungskette
DE3714056C1 (en) * 1987-04-28 1988-08-25 Murr Plastik Gmbh Energy management chain
FR2628267B1 (fr) * 1988-02-03 1990-09-14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formable pour relier des conduits de distribution d'energie electrique
DE3806400A1 (de) * 1988-02-29 1989-09-07 Igus Gmbh Energiezufuehrungskette
US4863418A (en) * 1989-02-13 1989-09-05 Envirex Inc. Non-metallic chain including wound composite chain links and molded pins
US5108350A (en) * 1991-03-06 1992-04-28 A&A Manufacturing Co., Inc. Conduit carrier chain
US5269129A (en) * 1992-02-14 1993-12-14 Aluminum Company Of America Chain of fiber-reinforced resin composite material
JPH0632978A (ja) * 1992-07-13 1994-02-08 Oiles Ind Co Ltd 摺動部材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5461852A (en) * 1994-05-03 1995-10-31 Hitachi Metals, Ltd. Chain and Connecting pin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61B1 (ko) 2006-12-05 2007-06-13 주식회사 코닥트 궤도 곡률이 조절되는 케이블 베어 시스템
KR100897403B1 (ko) 2008-06-03 2009-05-14 주식회사 코닥트 궤도 곡률이 조절되는 케이블베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38743B (en) 1998-08-21
EP0822353B1 (en) 2001-02-14
DE69718074D1 (de) 2003-01-30
DE69704068D1 (de) 2001-03-22
EP1043518B1 (en) 2002-12-18
EP0822353A2 (en) 1998-02-04
KR19980018007A (ko) 1998-06-05
EP1043518A2 (en) 2000-10-11
DE69718074T2 (de) 2003-07-17
DE69704068T2 (de) 2001-08-02
JPH1047441A (ja) 1998-02-20
EP0822353A3 (en) 1998-02-11
JP3115995B2 (ja) 2000-12-11
US5810688A (en) 1998-09-22
EP1043518A3 (en) 200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304B1 (ko) 케이블.호스의보호안내체인및그제조방법
EP1319865B1 (en) Closed cable drag chain
US6725642B2 (en) Protective guide for flexible elongated article
EP0763671B1 (en) Rotary damper
US20070218829A1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CA1133859A (en) Multiple-point hinge for double-wall plastic box
US7109420B2 (en) Harness prot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1094585B1 (en) Cable drag chain
US880749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US6966527B2 (en) Closed cable drag chain
US11118720B2 (en) Cable protector
US6352369B1 (en) Wearing ring for a cable guidance tube of a robot
KR101788768B1 (ko) 등속조인트용 부트 및 이를 구비한 등속조인트
CA1251041A (en) Male component for two-piece animal ear tag
CA2654153A1 (en) Method and system of molding integral joint
JP3394213B2 (ja) ヒンジ部材
CA2051708A1 (en) Windscreen-wiper blade of unitary structure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H1037256A (ja) 合成樹脂製量水器ボックスのリンク蝶番
CA2187714C (en) Detent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60001191A1 (en) Shroud assembly and a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US20230323713A1 (en) Device for holding an opening element in an ajar position, comprising a protective wall
GB2334424A (en) Moulded horseshoe
KR930003780B1 (ko) 취입 성형 회선형 부우트
SK8052002A3 (en) Protective cap
CN116118118A (zh) 汽车饰件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