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953B1 -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 장치 및 부수신호 인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 장치 및 부수신호 인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953B1
KR100254953B1 KR1019920021835A KR920021835A KR100254953B1 KR 100254953 B1 KR100254953 B1 KR 100254953B1 KR 1019920021835 A KR1019920021835 A KR 1019920021835A KR 920021835 A KR920021835 A KR 920021835A KR 100254953 B1 KR100254953 B1 KR 100254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cident
color
color subcarrier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866A (ko
Inventor
예제브란드 티첼라르 요한네스
휴렌 마르셀
지오반니 테레사 프리모 바티스텔라 카를로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93001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4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horizontal blanking interval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확장된 텔레비젼 시스템에서, 부수신호가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수평 블랭킹 간격에 인코드되어 한번 또는 부수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컬러 버스트를 오버랩시킨다, 컬러 버스트 및 부수신호를 오버랩시킴으로 유발되는 어떤 작용은 n에 대해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가 0과 같고 n에 대해 1과 같은 n배로 0스펙트럼을 갖도록 부수신호를 처리함으로서 피할 수 있거나 혹은 적어도 충분히 완화된다.

Description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 장치 및 부수신호 인코딩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제1인코더의 블록 다이어 그램도.
제1(a)도는 n에 대한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가 0과 같고 n에 대해서는 1과 같은 n배에서 제로 스펙트럼을 얻기 위해 제1도의 펄스 형성기에 일체화시키기 위한 대역 필터의 유도도면.
제1(b)도는 펄스 형성기에 대역필터에 대한 진폭 스펙트럼 밀도는 물론 제1도의 제1인코더에 일체화시키기 위한 채널 인코더 및 펄스 형성기 조합의 제1실시도.
제1(c)도는 펄스 형성기의 대역필터에 대한 진폭 스펙트럼 밀도는 물론 제1도의 제1인코더에 일체화시키기 위한 채널인코더 및 펄스형 성기조합의 제2실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디코더의 블록 다이어그램도.
제2(a)도는 디코더 필터의 진폭 스펙트럼 밀도는 물론 제2도의 제1디코더에 일체화시키기 위한 디코더 필터 및 채널 디코더 조합의 제2실시도.
제2(b)도는 제2도의 제1디코더에 일체화시키기 위한 채널디코더의 제3실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제2인코더의 블록 다이어그램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디코더의 블록 다이어그램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제3인코더의 블록 다이어그램도.
제5(a)도는 제5도의 제3인코더로 일체화시키기 위한 시쿼드-위상 채널 인코더 및 펄스 형성기 조합의 실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디코더의 블록 다이어그램도.
제6(a)도는 제6도의 제3디코더에 일체화시키기 위한 스쿼드-위상 채널 디코더의 실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제4인코더의 블록 다이어그램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디코더의 블록 다이어그램도.
제9도는 제5도의 인코더에 대한 변형도.
제10도는 제6도의 디코더에 대한 변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변형기 103 : 에러교정 인코더
105 : 채널 인코더 107 : 펄스 형성기
115 : 증배기 117 : 가산기
119 : 분배기 121 : 저역필터
123 : 증배기 201 : TV 디코더
203 : 펄스 발생기 205 : 증배기
207 : 위상이록된 루프회로 209 : 게이트 펄스 발생기
215 : 분할기 316, 412 : 저역필터
414 : 복조기 507 : 펄스 형성기
517 : 가산기 903 : 병렬대 직렬 변환기
927 : 지연회로 1005 : 동기회로
1013 : 직렬대 병렬 변환기
본 발명은 화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수평 블랭킹 간격(horizontal blanking interval)으로 부수신호(an additional signal)가 인코더 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확장된 텔레비젼 시스템은 US-A-4, 479,150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 미국 특허에 공개된 방법은 컬러버스트가 후방 포오치(the back porch)로부터 수평 동기펄스의 바닥으로 교체되기 때문에 기존의 텔레비젼 수상기와 호환성이 있다. 더군다나, 수평 동기 펄스는 보다 작게 만들어진다. 그리하여 백 포오치는 보다 넓게 만들어져 부수적인 신호가 삽입할 수 있는 보다 넓은 공간이 존재하도록 컬러버스트가 존재하지 않게된다. 이렇게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는 정상적인 폭의 수평 동기 펄스와 컬러버스트가 후방 포오치내에 존재할 수 있는 표준 텔레비젼 수상기에 의해서 수신될 수 없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호환성 문제없이 표준 텔레비젼 수상기에 의해서 쉽게 디코드될 수 있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은 청구항 1과 같이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수평 블래킹 간격으로 부수적인 신호를 인코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면은 청구항 12와 같이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를 디코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텔레비젼 시스템에서, 컬러버스트는 정상적인 위치에 있다. 부수신호가 수평 블랭킹 간격의 백포오치내로 삽입되며, 그것에 의해서 컬러버스를 오버랩시켜 부수신호를 위하여 보다 많은 시간을 생성하게 된다. 컬러버스트와 부수신호의 오버랩으로 인한 부수적인 결과는 n에 대한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가 0과 그리고 n에 대해서 1과 같은 n배에서 0 스펙트럼을 갖도록 부수신호를 처리함으로서 피할수 있거나 혹은 적어도 충분히 완화된다.
본 발명의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는 표준 수상기에서 일어나는 수평 동기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전송하기 전에 부수신호 스펙트럼으로부터 저주파수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특히 1㎒까지의 저주파수 성분은 존재하는 모든 표준 수상기에서 약 1㎒에서 차단 주파수를 갖는 저역필터가 수평 동기 회로를 선행하기 때문에 반드시 제거되어야만 한다.
양호하게, 1㎒와 2㎒사이의, 부수신호 스펙트럼은 고주파수 에너지 성분을 갖지 않는데, 이것은 저역필터가 1㎒에서 그 차단 주파수를 벗어나 단지 유연한 상향전이 주파수를 갖기 때문이다. 후자의 제약은 만일 부수 신호가 충분히 랜덤하게 된다면 충족되며, 이것은 만일 부수신호가 디지탈 신호일뿐만 아니라, 부수신호가 스크램블 방법의 도움으로 아날로그 신호이라면 쉽게 달성될 수 있다. 만일 부수신호 스펙트럼 1㎒이하의 성분이 존재하지 않고 1㎒이상의 스펙트럼이 라인 동기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면 충분하다는 것을 임시조치가 보여주고 있다. 만일 표준 수상기의 수평 동기회로에 대한 알맞은 기능을 위하여 상기 조건이 충족된다면,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표준 수상기는 클램핑 에러를 나타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만일 부수신호의 스펙트럼이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로 부터 주파수 근처의 1㎒ 내지 2㎒ 밴드에서 거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현재의 텔레비젼 수상기에 존재하는 자동컬러제어(ACC)회로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부수신호에 의해서 교란되지 않을 것이다.
PAL 텔레비젼 송신시스템에서, 각각 약 5㎲지속되는 단위 프레임당 620 후방 포오치(라인 4 내지 313에서 그리고 라인 316 내지 625 에서)는 모든 625라인의 1㎲전방 포오치가 사용될 수 있는 동안 부수정보의 송신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부수신호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디지탈 신호의 비트스트림은 후방 포오치내에 적합한 620 데이타 버스트에 걸쳐 그리고 만일 부수신호에 대한 보다 많은 시간을 생성하기로 요구된다면 전방 포오치내에 적합한 620 혹은 심지어 625 데이타 버스트에 걸쳐 증배된다. 만일 비트스티림 그 자체가 충분히 랜덤하지 않다면, 먼저 랜덤하게 되어야만 한다.
다음과 같은 네가지 데이타 전송방법이 가능하다.
제1방법은 기술분야에 숙달된 사람들에게 알려진 것과 같이, 두 개의 위상(1989년 3월,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K.A Schouhamer Immink의 “스펙트럼 널 코드”참조), 쌍으로된 이진(1970년 7월, IBM J. Res, Dev, Croisier의 “의사삼진 전송코드 입문”참조), AMI 또는 4B3T(1976년 6월 Philips Telecommunication Review, vol.34,No.2, J.B,Buchner의 “삼진 라인코드”참조)와 같은 (의사) DC 자유 채널코드의 베이스 밴드 전송으로 구성된다. 이 채널 코드는 이러한 기호를(Symbol rate)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컬러 서브캐리어 주변의 스펙트럼이 충분히 낮다. 예로, 0.4의 상향전이 인수에서 코사인 상향전이 스펙트럼을 갖는 기호펄스를 사용하는 6.3㎒ 기호율은 충분할 것이다. J.G. Proakis의 “디지탈 통신”1989년 McGraw-Hill 출판사 제2판은 상향전이 스펙트럼과 상향전이인 수식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제공한다.
제2방법은 기호클럭이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로 그리고 그 합성 주파수로 그리고 그 합성 주파수중 한 개에 위상이 록(phase-locked)되는 베이스밴드 전송으로 구성된다. 컬러 서브캐리어를 사용하면 인코더 및 디코더에서 이미 이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새로운 주파수의 발생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r과 k가 모두 0과 같지 않은 정수로 r/k 배의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인 주파수로 기호 클럭의 위상이 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 r/k 3/2 일수 있다. 충분히 DC 가 없으며,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 근처의 주파수 성분을 충분히 억제하며 전송채널에 적합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채널코드가 선택되어야 한다. 만일 기호율이 컬러 서브캐리어의 두배라면, 스쿼드-위상 코딩법(상기 Schouhamer Immink 로부터 공지됨)과 부분적인 응답 클래스 4 코딩법(1966년 2월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 Technology, vol.COM-14, pp. 67-68에서 E.R, Kretzmer의 “이진 데이타 통신 기법의 일반화”로부터 공지됨)이 충분할 것이다.
제3전송방법은 가능한한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에서 진폭변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데이타 신호는 DC 자유 채널코드로 인코드된다. 인코드된 신호는 표준 수상기의 자동 컬러 제어회로의 적절한 기능을 교란시킬 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인코드된 신호는 서브 캐리어상으로 변조된다. 데이타 신호의 기호율은 대단하므로 변조후 1㎒이하의 스펙트럼은 비게된다. 이것은 0.37의 코사인 상향전이 스펙트럼과 상향전이 인수를 갖는 펄스를 사용하는 5㎒의 기호율로 달성될 수 있다.
제4방법은 제3방법과 많은 공통점을 갖는다.
베이스밴드 데이타 신호의 기호율은 이제 컬러 서브캐리어로 위상이 록된다. 충분히 DC가 존재하지 않으며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 근처의 주파수 성분을 충분히 억제하도록 채널코드가 선택된다. 예로,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와 같은 기효율을 갖는 이상(a bi-phase)코드가 충분할 것이다. 인코드된 신호는 가능한한 컬러 서브캐리어로 진폭-변조된다.
만일 제1 또는 제3방법이 사용된다면, 기호 클럭 기준신호는 또한 향상된 수상기에 의해 사용상 전송되어야 한다.
알맞은 기호클럭 기준신호는 텔레비젼 신호의 전방 포오치동안 기준 데이타 버스트를 포함한다. 이 기준 데이타 버스트는 정확한 위상에서 그리고 데이타 신호의 기호율의 절반에서 사이클의 정수를 가져야 한다. 만일 제2 혹은 제4방법이 사용된다면, 컬러버스트가 이미 이 기능을 충족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기호클럭 기준신호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데이타 전송력은 고품질의 디지탈 음성신호의 전송 또는 텔렉스같은 데이타 서비스에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와같은 그리고 다른면들은 이하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제1인코더의 블록 다이어그램도이다. 부수 디지탈 신호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전방 포오치에 기호율의 반으로 기준 데이타 버스트가 놓이는 동안 베이스밴드에 전송된다. 입력클럭 주파수 CK1에서 단위 샘플당 N1 비트를 갖는 디지탈 신호인 입력 부수신호는 변형기(101)에 인가된다. 유연성 있게 어드레스 가능한 RAM으로 구비될 수 있는 변형기(101)는 연속적으로 인가된 디지탈 신호를 예로, 텔레비젼 신호의 후방 포오치로 인코드될 단위 텔레비젼 프레임당 620개로 분리시킨다. 그리하여 변형기(101)의 출력 신호는 입력 부수신호의 클럭주파수 CK1보다 다른 보다 높은 클럭주파수 CK2 를 갖게 될 것이다. 변형기 출력신호는 단위 샘플당 N2 비트를 갖는다. 또한, 변형기(101)의 출력신호는 연속적으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후방 포오치 동안에도 존재한다.
전송 에러의 감도를 줄이기 위하여, 변형기 출력신호는 에러교정 인코더(103)에 인가되며, 이것은 각각의 후방 포오치에 대해 별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어느 경우든 에러교정 인코더(103)는 각각의 후방 포오치(RST1)에서 리세트된다. 에러교정 인코더(103)의 출력신호는 클럭 주파수 CK3 에서 1비트 신호이다. 이 1비트신호는 클럭 주파수 CK4,에서 단위 샘플당 N4 비트를 갖는 출력신호를 공급하는 채널인코더(105)에 인가된다. 채널 인코더 출력신호는 DC 둘레에 주파수를 갖지 않으며 2단계, 3단계 혹은 4단계 신호일 수 있다. 채널 인코더(105)는 각각의 후방 포오치의 처음에 리스트(RST2)될수 있다.
채널 인코더 출력신호는 간극필터일수 있으며, 코사인 상향전이 특성(블록 111)을 가질 수 있는 블록(109)의 인수 L에 의해 클럭 주파수를 동시에 증가시키는 펄스 형성기(107)에 인가된다. 유니트(109)에서 기호클럭 주파수 증가로 필터(111)에서 쉽게 필터되는 것이 가능하다. 펄스 형성기(107)의 단위 샘플 출력신호당 N5 비트는 D/A 변환기(113)에서 D/A변환되고, 인에이블 신호 EN-B 로 결정된 타임슬롯(후방 포오치)동안 증배기(115)에서 알맞게 선택된 인수 α-B 에 의해서 감쇄되어 마직막으로 가산기(117)에서 종래의 텔레비젼 신호 성분 TVin 이 부가된다.
채널 인코더의 출력에서 데이타 신호의 기호율을 나타내는 클럭신호 CK4 는 분배기(119)에서 2로 나뉘어져 기호율 주파수의 반을 갖는 아날로그 사인형 신호와 정확한 위상이 되도록 저역필터(121)에서 저역필터된다. 이 기준신호는 인에이블 신호 EN-F로 결정된 타임슬롯(전방 포오치)동안 증배기(123)에서 인수 α-F 에 의해 감쇄되며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 TV-o 을 공급하는 가산기(117)에서 종래의 텔레비젼 신호성분 TV_in에 부가된다.
증배기(115)는 그 출력신호의 최대진폭이 피크 화이트 수준의 약 25%로 되도록 보장한다. 만일 증배기 출력진폭이 컬러버스트 기간동안 너무 크다면, 가산기(117)의 출력신호는 수상기의 중간 주파수(1F)자동이득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수평 동기 펄스의 바닥수준 이하로 떨어질 것이다. 원칙적으로, 증배기(123)의 출력진폭은 피크 화이트 수준의 약 43% 이상으로 클 수 있으며, 그래서 가산기 출력신호가 수평 동기 펄스의 바닥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제1(a)도는 n가 0과 같고 n가 1과 같도록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의 n배에서 0 스펙트럼을 얻기 위해 펄스 형성기(107)에 일체화시키기 위한 대역필터의 유도를 설명한다.
제1(a)도의 대역필터는 1970년 8월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 Technoolgy, vol. COM-18, No.4, pp.367-376 Croisier 과 Pierret의 “디지탈 에코변조”라는 논문으로부터 공지된 나이퀴스트 전신전송 이론의 확장에 근거를 두고 있다.
소정의 대역필터 임펄스 응답은 최저곡선에 도시되어 있다. 이 임펄스 응답은 나이퀴스트 주파수의 사인파를 갖는 제1(a)도 상부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본 펄스를 증배함으로서 얻어진다. 대역필터의 이 임펄스 응답은 이상 인코더로서 대역필터가 동시에 동작케하는 효과가 있다. 공지된 것과 같이, 이상 인코더는 각 비트(이것은 -1 또는 +1 중 한 개이다)를 두 개의 비트로, 제1비트는 입력비트와 같고 제2비트는 입력 비트의 역과같게 교체된다. 상기 Croisier 등의 논문은 소정의 필터 임펄스 응답으로부터 시작하는 대역필터를 형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제1(b)도는 제1(a)도에 유도된 것과 같이 펄스 형성기의 대역필터 진폭 스펙트럼 밀도는 물론 채널인코더 및 펄스 형성기 조합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b)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클럭 주파수 증가유니트(109)를 따르는 대역필터(111A)가 소정의 0 스펙트럼이 확실히 존재하도록 함에 따라 개별적인 채널 인코더(105)가 필요하지 않다는 큰 장점이 있다. 제1(b)도는 게다가 다른 상향전이 인수를 갖는 가능한 두 개의 진폭 스펙트럼 밀도 곡선을 나타낸다. 물론, 다른 상향전이 인수도 물론 가능하다. 수평축에 표시된 기호주파수 fsym 은 펄스 형성기의 입력비트가 2T 만큼 떨어져 있을 때 1/T과 같다. 기호주파수 fsym 는 나이퀴스트 주파수 fNyg 의 2배이다. 예로, 0.5의 상향전이 인수에서 5㎒ 기호주파수인 O㎐ 및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 fsc에서 소정의 0 스펙트럼을 달성하는데 적당할 것이다.
제1(c)도는 펄스 형성기 대역필터의 진폭 스펙트럼 밀도는 물론 채널인코더 및 펄스형성기 조합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2T 만큼 떨어져 연속된 화살표로 나탄낸 입력데이타 비트 사이에 이 입력데이타 비트가 연속된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입력비트의 반전을 삽입하는 이상 채널 인코더(105)에 인가된다. 이상 인코더 신호는 세 개의 가능한 상향전이 인수를 위해 그 진폭 스펙트럼 밀도가 도시되어 있는 저역필터(111C)를 구비한 펄스형성기(107)에 인가된다.
예로, 0.4 상향전이 인수에서 6.3㎒ 기호 주파수는 O㎐와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 fsc 에서 소정의 0 스펙트럼을 달성하는데 적당할 것이다. 저역필터(111c)는 하프-나이퀴스트 필터이다. 가능한한, 인코더 및 디코더 모두가 하프-나이퀴스트 또는 루프-나이퀴스트 필터로 구성되며, 그래서 두 필터의 조합은 완전한 나이퀴스트 필터를 형성한다. 나이퀴스트 필터는 데이타 평가순간에 기호간의 간섭을 피한다. 나이퀴스트 필터링 이론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H. Nyquist 는 논문 “텔레그라프 전송이론의 몇 가지 논점”1928년 4월, AIEE Trans, Vol. 47, pp.617-644 와 R.A.Gibby 와 J.W.Smith의 논문 나이퀴스트 텔레그라프 전송이론의 몇가지 확장”1965년 9월, Bell Syst Tech.J., vol.44, 1487-1510 에서 찾을 수 있다. 디코더에 하프-나이퀴스트 필터의 사용(인코드도 역시 하프나이퀴스트 필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은 이 디코더 필터가 노이즈 감소에 기여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서든 나이퀴스트 필터링이 디코더에서 실행될 수 없는 인코더에 완전한 나이퀴스트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도는 제1도의 인코더에 대응하는 디코더의 블록회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입사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는 본 발명과 무관하기 때문에 제2도에 도시되지 않은 휘도 및 채도 신호를 공급하는 TV 디코더(201)에 인가된다. TV 디코더(201)는 입사하는 TV 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와 Vsync)를 얻는다. 전방 포오치 회로의 하부 분기점에서 전방 포오치 게이트 펄스 발생기(203)로 제어되는 증배기(205)에 의해서 입사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가 게이트 아웃(are gated out)된다. 결과적인 전방 포오치 클럭 기준신호는 증배기(205)의 인수 α-F 에 의해 증폭되어 위상이 록된 루프회로(207)에 인가된다. 게이트 펄스 발생기(203) 및 PLL(207)은 입사하는 확장된 TV 신호를 수신한다. 위상이 록된 루프회로(207)는 적당한 순간에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입사하는 데이타를 샘플링 하기 위해 기호클럭 기준의 재생을 공급한다. TV 신호 그자체, H 및 Vsync 신호 및 PLL 은 전방 포오치 게이트 펄스에 대한 소오스로 간주될 수 있다.
제2도 디코더의 상부 분기점에서, 후방 포오치는 후방 포오치 게이트 펄스발생기(209)로 제어되는 증배기(211)에 의해서 입사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를 게이트 아웃된다.
게이트 펄스발생기(209)는 TV 디코더(201)로부터 H 및 Vsync 신호를 수사하여 PLL(207)로 동기화된다. 결과적인 후방 포오치 데이타 신호는 증배기(211)의 인수 α-B 로 증폭되어 필터(213)로 인가된다.
필터(213)는 정합필터, 저역필터, 노치필터 혹은 상기 필터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정합필터는 디코더가 원칙적으로 인코더의 필터(111)와 유사한 필터로 구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인코더의 디코더 모두는 가급적 하프 나이퀴스트 필터로 구성된다. 인코더가 풀나이퀴스트 필터로 구성될 때, 디코더 필터(213)는 단지 예로 4.43㎒ 컬러 서브 캐리어 주파수를 제한하는 저역필터로만 구비될 수 있다. 이 두극단 사이의 가능성이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필터(213)는 또한 노피필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것은 부가적으로 데이타 신호의 비트 에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사하는 데이타 신호의 비트 에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사하는 데이타 신호의 컬러 서브 캐리어를 억제한다.
필터 출력신호는 PLL(207)로부터 재생한 데이타 클럭 신호 CK4 의 도움으로 데이타 신호를 샘플하는 분할 및 샘플러회로(215)에 인가된다. 예로, 만일 데이타 신호가 2단계 신호라면, 분할기(215)는 단지 입사하는 데이타 펄스가 0수준을 초과하는 지를 검사한다. 만일 데이타 신호가 3단계 신호라면, 분할기(215)는 데이타 펄스를 디코드하기 위해 입사하는 데이타 펄스를 양의 임계 +U/2 와 음의 임계 -U/2와 비교한다. 샘플된 데이타 신호는 다음에 채널 디코더(217)의 에어교정 디코더(219)를 거쳐 디코드된 데이타 신호를 공급하는 변형기(221)에 인가된다. 채널 디코더(217)는 가능한한 필터(213)후에 직접 놓이거나 혹은 필터(213)와 결합되며, 그래서 채널 디코더에서 수행되는 입력 데이타 기호의 조합은 노이즈 감소에 기여하며, 그래서 SNR, 이상의 신호는 분할기(215)에 인가되어 그 결과 보다 나은 결과가 얻어진다. 게다가, 채널디코더(217) 및 에어교정 디코더(219)는 각각 리세트신호 RST2와 RST1에 의해서 각 데이타 버스트이 초기에 리세트될 수 있다. 변형기(221)는 개별적으로 수신된 데이타 버스트로부터 데이타 클럭 CK1에서 연속적인 데이타 스트림을 생성한다.
디코더 필터(213)와 채널디코더(217)의 제1실시예에서, 디코더 필터(213)는 제1(a)도 및 제1(b)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인코더 대역필터와 동일하나, 채널디코더(217)는 필요하지 않다.
제2(a)도는 디코더 필터의 진폭 스펙트럼 밀도는 물론 디코더 필터 및 채널디코더 조합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다시, 채널디코더(213)가 저역필터(225)를 수반하는 증배기(223)를 포함하는 동안 채널디코더(217)는 존재하지 않는다.
증배기(233)는 입력데이타가 기호를 입력데이타 기호의 기호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곱한다. 또한 저역필터(225)의 진폭 스펙트럼 밀도도 도시되어 있다.
제2(b)도는 제1(c)도의 인코더 실시예에 대응하는 이상 채널 디코더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이상 디코더(217)는 제1(c)도에 도시된 저역필터(111c)와 동일한 하프 나이퀴스트 필터(213)에 후행한다. 디코더(217)는 입력데이타 기호가 인가되는 지연기(227)와 지연된 기호로부터 입력데이타 기호를 빼는 감산기(229)로 구비된다./
제3 및 4, 5 및 6 그리고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인코더 및 디코더는 제1 및 제2도의 인코더 및 디코더와 매우 유사하므로, 단지 그 차이점만 지적될 필요가 있다.
제3 및 제4도는 상기 제3방법의 실행을 도시한다.
제3도의 인코더에서, D/A 변환기(113)의 디지탈 화 출력신호는 컬러 서브캐리어로 변조된다 ; 변조 위상은 자유롭게 선택(에로, 0, 45, 90, 135, 180, 225, 270 또는 315도)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D/A변환기(113)의 입력신호는 컬러 서브캐리어로 변조된 것일 수도 있다. 변조는 다음에 저역필터(316)(단일 측파대 혹은 베스티지얼 측파대)가 따르는 변조기(314)에 의해 수행된다. 제4도의 디코더에서 복조는 증배기(211)와 필터(213)사이에 복조기(414)가 따르는 저역필터(4120 (단일 측파대 혹은 베스타지얼 측파대)에 의해 수행된다.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인코더 및 디코더의 블록회로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며, 이것은 상기 제2방법에 따라 동작한다. 제5도의 인코더에서 변환기(501)는 단위 샘플당 N1 비트를 갖는 연속적으로 수신된 데이타 스트림을 예로, 다음에 오는 회로소자에 의해 처리한 후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전방 포오치 및 후방 포오치동안 전송될 단위 비디오 프레임당 620 x2(정방 포오치와 후방 포오치)데이타 버스트에 걸쳐서 분산시킨다. 채널인코더(505)에서, 클럭신호 ck4, 즉 기호율은 컬러 서브캐리어로 위상이 록( 그 조화주파수 또는 r/k 배인 주파수)된다. 채널인코더(505)는 2단계, 3단계 혹은 4단계 출력신호가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 주변의 스펙트럼 성분이 충분히 억제되어, 예로 상기 Schouhamer Immink의 논문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에 0 스펙트럼이 생성되도록 입사하는 데이타 버스트를 처리한다. 채널인코더(505)다음에는 기호클럭 증가유니트(509)와 필터(511)를 포함하는 펄스형성기(507)가 온다. 증배기(515)는 D/A 변환기(113)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타 신호를 인에이블 신호 EN-F 로 표시된 전방 포오치동안 α-B 로 표시된 후방 포오치동안 α-B 로 감쇄한다. 가산기 (517)는 감쇄한 데이타 신호를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 TV-o 를 공급하기 위하여 다른 텔레비젼 성분 TV-in에 부가한다.
제5(a)도는 제5도의 인코더에 일체화시키기 위한 스쿼드-위상 인코더 및 펄스형성기 조합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입력 데이타 비트(x2i와 x2i+1)는 두 개의 0 비트를 두 개의 입력 비트에 각각 더하는 변형기(505A)에 인가된다. 변형기 출력 신호는 기호클럭 증가유니트(509)를 통해서 그 진폭 스펙트럼 밀도가 도시되어 있는 대역필터(511A)에 인가된다. 이 대역필터(511A)는 제1(a)도, 제1(b)도의 대역필터(111A)와 비슷하다.
그러나, 기호 주파수는 입력데이타 비트가 아직 2T 만큼 떨어져 있는 동안 1/(2T)이다. 이상 인코딩 대역필터(511A)가 변형기(505A)의 출력신호를 처리할 때 샘플(x2i)의 반전이 제3위치에 놓으며, 반면에 샘플(x2i+1)의 반전은 제4위치에 놓인다. 매시간 두 개의 연속적인 입력비트 및 그 두 개의 반전에 대한 총 시이퀀스는 스쿼드-위상 인코드 시이퀀스에 상당한다.
제5도의 인코더에 상당하는 제6도의 디코더에서 입사하는 확장될 텔레비젼 신호 TV-in 는 H 및 Vsync 신호와 컬러 서브캐리어(조화)와 같은 재생된 클럭 CK4, 을 공급하는 텔레비젼 디코더(601)에 인가된다. 입사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 TV-in 와 재생한 클럭 CK4은 전방 포오치 게이트신호 EN-F 와 후방 포오치 게이트 신호 EN-B 를 얻기위한 게이트 펄스 발생기(609)에 인가된다. 이 게이트 신호 EN-F, EN-B는 전방 포오치와 후방 포오치동안 전송된 데이타 신호를 얻기 위해, 역시 입사하는 확장도니 텔레비젼 신호 TV-in 를 수신하는 증배기(611)에 인가된다. 이 데이타 신호는 전방 포오치동안 α-B 에 의해 증폭된다.
증배기(611)의 출력은 디코더 필터(613)에 인가된다. 디코터 필터(613)로부터의 필터된 신호는 분할기(215)를 통해 채널 디코더(617)에 인가되며, 이것 다음에는 에러교정 디코더(219)와 변형기(221)가 온다. 가능한한, 채널디코더(617)는 분할기(215)에 선행한다.
제1 및 간단한 실시예에서, 디코더필터(613)는 제5(a)도에 도시된 인코더 대역필터(511A)와 유사하며, 반면에 채널 디코더(617)는 모든 제3 및 제4 기호를 제거한다. 제6(a)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디코더 필터는 생략될 수 있지만, 가급적 그 차단 주파수가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와 같은 노이즈 감소 절반을 갖는 코사인 위상신호로 곱하는 증배기(623)를 포함하고 있는 제1분기점에 인가되며, 그 다음에 기호(x2i)를 공급하는 저역필터(625)가 온다. 코사인 위상신호의 곱은 기호(x2i+1)와 그 역을 결합하며, 반면에 기호 (x2i+1)와 그 역은 코사인 위상신호의 0-크로싱으로 곱한다. 필터(613)로부터의 필터된 기호는 또한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구를 갖는 사인-위상 신호로 곱하는 증배기(627)를 포함하고 있는 제2분기점에 인가되며, 그 뒤에는 기호(x2i+1)를 공급하는 저역필터(629)가 온다. 사인-위상신호의 곱은 기호(x2i+1)와 그 반전을 결합시키며, 반면에 기호(x2i+1)와 그 반전은 사인 -위상신호의 0-크로싱으로 곱해진다. 스쿼드-위상코딩은 J.A.Bixby와 R.A.Kectham 의 논문 “Q.P., 고밀도 디지탈 기록을 위한 향상된 코드 ”.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MAG-15, No.6, P1467, 1979년 11월에 설명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상기 제4방법의 구현, 즉 기호율 CK4 가 다시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로 위상이 록(조화 또는 r/k 배)되며 데이타 신호가 컬러 서브캐리어로 변조되는 것을 도시한다. 제7도의 인코더에서, 제5도 인코더의 D/A 변환기 (113)의 디지탈 화 출력신호는 제3도와 비슷한 방법으로 컬러 서브캐리어로 변조된다 : 변조 위상이 다시금 자유로이 선택된다. 선택적으로, D/A 변환기(113)의 입력신호는 컬러 서브캐리어로 변조될 수 있다. 제8도의 디코더에서, 제6도의 증배기(611)출력은 제4도에서의 방법과 유사하게 복조된다.
제9도는 부수신호의 위상이 컬러 버스트와 관련하여 위상이 이동하게 되는 제5도의 인코더에 대한 변형을 도시한다. 제1실시예에서, 부수신호의 위상은 컬러 버스트 동안 데이타 신호 및 컬러 버스트 합계의 진폭이 최소화하도록 선택된다. 상술된 것과 같이,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가 표준 수상기에 위해서 수신될 때의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데이타 신호 및 컬러 버스트 합계의 진폭은 수평 동기 펄스의 최저수단 이하기 되어서는 안된다. 그리하여, 특별한 조처없이, 데이타 신호의 진폭은 컬러버스트의 최저수준과 H-sync 펄스의 최저 수준간의 차에 제한된다. 출원인은 만일 부수데이타 신호의 위상이 적절히 선택된다면, 데이타 신호 및 컬러 버스트 합계의 진폭은 진폭의 합계이하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것은 합계의 진폭이 H-sync 펄스의 바닥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동일한 진폭 제한으로서, 데이타 신호의 진폭은 상기 차보다 크게될 수 있으므로 데이타 신호의 신호대 노이즈 비율(SNR)은 노이즈의 영향을 덜 받는 보다 큰 진폭을 갖는 신호로서 향상될 수 있다는 것 장점을 낳는다.
제2위상이동 실시예에서, 위상이동의 목적은 컬러 버스트와 부수 상호간의 간섭을 최소로하는 것, 즉 위상이동은 그러하기 때문에 부수신호의 데이타 평가순간에 컬러 버스트는 그 0 크로싱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컬러 버스트 및 부수신호 진폭의 합계는 그 최대값을 가지므로, 이 실시예의 SNR은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몇 dB 낮다.
제9도에서, 입사하는 데이타 신호는 먼저 에러교정 인코더(923)와 랜덤화기(925)에 인가된다. 만일 필요하다면, 회로 모두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에 데이타 신호는 변형기(501)를 거쳐 병렬 대 직렬 변환기(903)에 인가된다. 병렬대 직렬 변환기(903)의 출력은 그 출력신호가 DC에서 그리고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인 나이퀴스트 주파수에서 0 스펙트럼을 갖도록 변조인코더(505)에 인가된다 ; 상기 Kretzer의 논문에서와 같이 설명된(의사) 3 진부분 응답 클래스 4코드 또는 Schouhamer Immink 의 저서 “디지탈 기록기의 코딩법”, Prentice Hall CUK 출판사. 1991년. 에서와 같이 설명된 2진 스쿼드-위상 코드는 양호하게 이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다. 출력 데이타 기호주파수(ck4)는 정확히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의 2배이다; 서브캐리어 그 자체가 억제된다. 이 방법에서, 약 8 데이타 기호가 1㎲의 사용가능한 625 전방 포오치 각각에 놓일수 있고, 약 44 데이타 기호가 각각 1㎲의 620 사용가능한 후방 포오치 각각에 놓일 수 있으므로 초당(8*625+44*620)*25HZ=807,000 데이타 기호의 총 데이타 율이 된다. 변조 인코더(505)의 출력은 클럭 주파수를 인수 L 만큼 증가시키는 펄스 형성기(107)에 인가된다. 펄스 형성기(107)는 코사인 상향전이 특성을 갖는 간극필터를 포함한다. 출력 데이타 신호는 컬러 서브캐리어 U-위상의 정확히 +л/4 rad 위상이동된 버전에 위상이 록된다. 펄스형성기(107)다음에는 컬러 서브캐리어 기간 Tsc 의 1/4 위상이동을 하도록 지연 회로(927)가 온다.
소정의 데이타 신호위상은 스위치(929)에 의해 자연회로(927)의 입력 또는 출력으로부터 얻어진다.
데이타 신호 및 컬러버스트 간의 위상차에 대하여 두가지 가능성이 존재한다. 제1가능성은 I 가 정수인 (i-0.5)*лrad 위상차이다. 스위치(929)는 V 컬러차 신호의 위상-교번-라인(PAL)위상 스위칭의 방법과 같이 라인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V 위상동안 스위치(929)는 그 좌측 위치에 있고 -v 위상동안 스위치(929)는 그 우측 위치에 있다.
결과적으로, 컬러 버스트와 데이타 신호간의 л/2 rad 위상 이동이 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컬러 버스트 및 부수신호 합계의 진폭이 최소화되어, 부수신호의 SNR이 향상된다.
데이타 신호의 컬러 버스트간의 가능한 제2위상차는 i가 정수인 i*πrad 의 위상차이다. 동일한 회로소자(927과 929)를 사용하여, 스위치(929)는 +v 위상동안 그 좌측 위치에 있고 스위치(929)는 -V 위상동안 그 우측 위치에 있다. 결국, 컬러 버스트와 데이타 신호간의 πrad 위상이동이 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컬러 버스트는 부수신호에 데이타 평가순간에 그 0 크로싱을 갖게되므로 두 신호간의 간섭이 최소화된다.
스위치(929)다음에는 제5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회로소자(113, 515 및 517)가 온다. 비록 제9도가 제5도의 변형으로 논의되었지만, 출원인을 위상이동 기법의 제7도의 회로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제9도에 도시된 인코더에 상당하는 제10도에 도시된 디코더에서, PAL 디코더(1001)는 입사하는 확장된 복합 비디오 신호로부터 그 출력(1003)에 공급된 억제된 컬러 서브캐리어의 매우 안정한 +V-위상 버전을 재생시킨다. PAL 디코더(1001)는 그 출력(1002)로부터 컬러 버스트의 V-성분 극성을 부가적으로 공급하며, 이 정보는 데이타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는데 요구된다. 재생된 V-위상 및 컬러버스트 V-위상의 극성은 컬러 버스트의 꼭대기(상술된 가능한 제1위상차 참조)혹은 컬러 버스트의 0 크로싱(상술된 가능한 제2위상차 참조)에 위상이 록되는 데이타 샘플링 클럭을 얻기 위해 충분한 정보를 공급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PAL 디코더(1001)의 출력(1003)에서 나오는 V-위상 신호는 위상이동기(1004)에 의해 컬러버스트의 V-위상 극성이 양일 때 -π/4 rad 위상이동이며, 반면에 PAL 디코더(1001)의 출력(1003)에서 나오는 V-위상 신호는 컬러 버스트의 V-위상 극성이 음일 때 -3π/4 rad 위상이동된다. 이 위상이동은 컬러 버스트를 갖는 위상차가 합계 진폭을 최소화 시키는 상기 제1가능성에 상당하는 π/2와 항상 같도록 보장한다. 부수신호와 컬러 버스트간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제2 가능성에서, 컬러 버스트의 V-위상 극성이 양일때, 위상이동이 π/4 rad이고 컬러 버스트의 V-위상 극성이 음일 때 위상이동이 3π/4 rad 또는 각각 -3π/4 및 -5π/4이다. 위상 이동기(1004)의 출력신호는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의 2배인 주파수 ck4의 데이타 샘플링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0 크로싱 검출기(1006)에 인가된다.
동기회로(1005)는 비디오 프레임에서 적어도 한 개의 정확한 시간기준을 결정하기 위해 H 및 Vsyns 동기신호와 고스트 캔슬 기준(ghost cancel reference)(GCR) 신호를 수신한다.
데이타 버스트의 시작순간을 정확히 결정된 시간 기준 순간으로부터 컬러 서브캐리어의 재생된 V-위상 기간의 1/2 수를 카운트함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데이타 버스트의 시작 순간 및 지속기간은 동기회로(1005)의 출력으로부터 공급된 전방 포오치 인에이블 신호 혹은 후방 포오치 인에이블 신호로 표시된다.
입사하는 확장된 복합 비디오 신호는 또한 데이타 추출을 위해 저역필터, 정합되거나 평활하는 필터(1007)에 인가된다. 이 필터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고려사항은 상술된 제2도의 필터(213)에 대한 것과 비슷하다. 필터(1007) 다음에는 그 비트 에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데이타 신호로부터 컬리 버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노치필터(1009)가 온다. 샘플링 및 복조회로(1011)는 동기회로(1005)에서 나오는 인에이블 신호가 존재할 때 0 크로싱 검출기(1006)로 표시된 재생된 클럭순간의 데이타 버스트를 샘플한다. 샘플된 데이타 버스트는 이진 데이타 버스트를 얻기 위해 복조되며, 이것은 직렬-대-병렬 변환기(1013)을 통해 변형기(221)에 인가된다. 만일 제9도의 인코더가 에러교정 인코더(923)와 랜덤화기(925)를 구비된 다면, 변형기(221)다음에는 탈랜덤화기(1025)와 회복된 데이타 신호를 공급하는 에러교정 디코더(1023)가 온다.
상기 예를 근거로 하여, 기술분야에 숙달된 사람들은 다음의 청구항으로 정의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영역안에 대체가능한 많은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0)

  1.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를 수평블랭킹 간격으로 부수 신호를 인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컬러 서브캐리어로 변조되는 휘도신호 및 채도신호는 물론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컬러 버스트를 전방 포오치, 수평동기 펄스 및 후방 포오치를 갖는 수평 블랭킹 간격을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텔레비젼 성분에 공급하는 단계.
    n에 대한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가 0과 같고 1과 같은 n배로 상기 부수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에 저에너지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부수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종래의 텔레비젼 성분과 상기 처리된 부수신호를 결합 시킴으로서, 상기 부수신호가 상기 수평 블랭킹 간격의 적어도 상기 후방 포오치로 삽입되며, 그것에 의해서 상기 컬러 버스트를 오버랩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수신호의 인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신호는 상기 블랭킹 간격의 상기 전방 포오치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수신호의 인코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포오치에 클럭기준 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수신호의 인코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신호의 기호클럭이 r와 k 가 0과 같지 않은 정수인 상기 컬러 서브캐리어의 r/k배로 위상이 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수신호의 인코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신호가 위상 이동되므로서 상기 부수신호가 컬러 버스트의 0크로싱에서 그 데이타 평가순간을 갖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수신호의 인코딩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신호가 위상 이동되며 상기 컬러버스트 및 상기 부수신호 합계의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수신호의 인코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r/k 는 2와 같고 상기 부수신호가 컬러 서브캐리어 기간의 0 및 1/4사이에서 번갈아 라인이 교번하여 위상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수신호의 인코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신호가 상기 컬러 서브캐리어로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수신호의 인코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이상으로 인코드되어 처리된 부수 신호를 얻기 위해 상기 부수신호를 대역필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수신호의 인코딩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부수신호를 이상 채널 인코딩 하며, 상기 처리된 부수신호를 얻기 위해 이상 채널 인코드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수신호의 인코딩 방법.
  11.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부수신호 각각에 두 개의 기호에 두 개의 0 기호를 더하며, 형식화된 신호를 얻기 위해 두 개의 0 기호를 더하며, 스쿼드-위상으로 인코드되어 처리된 부수신호를 얻기 위해 상기 형식화된 신호를 대역 필터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수신호의 인코딩방법.
  12. 상기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서브 캐리어로 변조된 휘도신호 및 채도신호는 물론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를 갖고 컬러 버스트를 구비한 전방 포오치, 수평동기 펄스 및 후방 포오치를 갖는 수평 블랭킹 간격을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텔레비젼 성분을 갖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를 디코딩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블랭킹 간격의 적어도 상기 후방 포오치로 삽입시킴으로서 상기 컬러 버스틀오버랩핑시키는 부수신호를 가지며, 상기 부수신호는 n에 대한 상기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가 0과 그리고 n에 대해서는 1과 같은 n배로 상기부수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에 저에너지 영역을 갖는 상기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적어도 상기 후방 포오치 동안 상기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얻기위한 수단과 상기 게이트 신호로서 상기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적어도 상기 후방 포오치로부터 상기 부수신호를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클럭 기준신호가 상기 전방 포오치에서 인코드되며, 상기 전방 포오치로부터 상기 클럭 기준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신호의 기호클럭은 m이 양의 정수인 상기 컬러 서브캐리어의 m배로 위상이 록되며, 상기 컬러 서브 캐리어로부터 상기 기호클럭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신호가 상기 컬러 서브캐리어로 변조되며, 상기 분리수단은 변조된 부수신호를 복조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신호가 위상이동되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부수신호가 상기 위상이동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위상이동을 보상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위상이동 판단수단에 결합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상기 분리수단에 결합된 수단과 상기 디코딩 수단은 이상 또는 스쿼드-위상으로 인코드된 부수신호를 디코드시키기 위한 대역필터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상기 분리수단에 결합된 수단과 상기 디코딩 수단은 상기 부수신호의 기호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서 상기 부수신호를 곱하기 위한 증배기를 구비하며, 저역필터 수단이 디코드된 부수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증배수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상기 분리수단에 결합된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디코딩 수단은 디코드된 부수신호의 제1기호를 얻기 위해 상기 부수신호를 코사인-위상신호로 곱하기 위한 제1복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디코드된 부수신호의 제2 기호를 얻기 위해 상기 부수신호를 사인-위상 신호로 곱하기 위한 제2 복조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 장치.
  20.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에 있어서, 상기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컬러 서브캐리어로 변조된 휘도신호 및 채도신호는 물론 컬러 서브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컬러 버스트를 구비한 전방 포오치, 수평동기 펄스 및 후방 포오치를 갖는 수평 블랭킹 간격을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텔레비젼 성분과 n에 대해 상기 컬러 서브캘,어 주파수가 0과 같고 n에 대해서 1과 같은 n배로 상기 부수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에 저에너지 영역을 간으며, 상기 수평 블랭킹 간격의 적어도 상기 후방 포오치로 삽입되어 상기 컬러 버스트를 오버랩시키는 부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장치.
KR1019920021835A 1991-12-13 1992-11-20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 장치 및 부수신호 인코딩 방법 KR100254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1203289 1991-12-13
EP91203289.3 1991-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866A KR930015866A (ko) 1993-07-24
KR100254953B1 true KR100254953B1 (ko) 2000-05-01

Family

ID=820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835A KR100254953B1 (ko) 1991-12-13 1992-11-20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 장치 및 부수신호 인코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546628B1 (ko)
JP (1) JPH05284539A (ko)
KR (1) KR100254953B1 (ko)
AT (1) ATE146027T1 (ko)
DE (1) DE69215651T2 (ko)
ES (1) ES2097275T3 (ko)
FI (1) FI9255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48304A1 (en) * 1993-05-26 1998-04-17 Philips Electronics Nv Start code for signalling bits
DE19544582A1 (de) * 1995-11-30 1997-06-05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Zusatzinformationen in Videosignal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77787A (de) * 1967-12-12 1969-08-31 Fortushenko Alexandr Dmitrievi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Farbfernsehsignalen
JPS5037972B1 (ko) * 1969-05-22 1975-12-06
US4688246A (en) * 1985-12-20 1987-08-1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ATV scrambling system with compressed digital audio in synchronizing signal intervals
EP0580638A1 (de) * 1991-04-18 1994-02-02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Verfahren zum kompatiblen übertragen einer signalart-zusatz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15651D1 (de) 1997-01-16
ATE146027T1 (de) 1996-12-15
JPH05284539A (ja) 1993-10-29
FI925591A0 (fi) 1992-12-09
KR930015866A (ko) 1993-07-24
DE69215651T2 (de) 1997-06-05
ES2097275T3 (es) 1997-04-01
FI925591A (fi) 1993-06-14
EP0546628B1 (en) 1996-12-04
EP0546628A1 (en) 199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7237A (en) Transmitting data with video
KR100211206B1 (ko) 엔티에스시 텔레비젼신호의 추적 및 재추적 구간내에 디지탈 신호를 싣기 위한 송신기
KR0162603B1 (ko) 직각위상 화상 반송파에 디지탈 신호를 가진 엔티에스씨 텔레비젼 신호 처리 장치
US5387941A (en) Data with video transmitter
US5410360A (en) Timing control for injecting a burst and data into a video signal
US4660072A (en) Televis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5831679A (en) Network for retrieval and video transmission of information
KR0153618B1 (ko) 직각위상 영상 반송파상에 엔티에스씨 티브이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비피에스케이 신호처리 장치
KR0153619B1 (ko) 텔레비젼 신호에 실려있는 이진 위상 이동 변조의 "전치-프레임-콤" 및 "전치-라인-콤" 부분-응답 필터링
KR0162610B1 (ko) 엔티에스시 텔레비젼신호의 추적 및 재추적 구간내에 실린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JP2694221B2 (ja) ビデオ信号のオーバースキャン部分のディジタルデータを伝送す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S6142334B2 (ko)
CA1191246A (en) Digital chrominance filter for digital component television system
KR910002610B1 (ko) 디지탈 텔레비젼 신호 처리 시스템
KR100260421B1 (ko) 최종 중간 주파수 신호 포락선의 필드 동기화 코드에 응답하는정합필터를 구비한 디지털 수신기
KR100254953B1 (ko) 확장된 텔레비젼 신호의 디코딩 장치 및 부수신호 인코딩 방법
US62526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high quality digital data in video
EP0271540B1 (en) Mac format with alternating dc level and clock recovery signals
JP3300178B2 (ja) Tv信号内のディジタル信号のためにオーバサンプリングアナログ−ディジタル変換を遂行する受信機
JP2901605B2 (ja) 信号再生装置
Bernosky et al. Digital video signal transcoding
JPH02170688A (ja) 多重伝送方法およびその信号発生装置ならびにその信号再生装置
JPS6260382A (ja) テレビ信号処理装置
JPH0220184A (ja) 直交多重伝送方式及びその送信側に用いる信号発生装置と受信側に用いる信号再生装置
JPH04328993A (ja) 波形等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