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774B1 -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774B1
KR100254774B1 KR1019980013236A KR19980013236A KR100254774B1 KR 100254774 B1 KR100254774 B1 KR 100254774B1 KR 1019980013236 A KR1019980013236 A KR 1019980013236A KR 19980013236 A KR19980013236 A KR 19980013236A KR 100254774 B1 KR100254774 B1 KR 10025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ilicon wafer
insulating film
forming
activ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173A (ko
Inventor
박건욱
Original Assignee
김규현
아남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현, 아남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규현
Priority to KR101998001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7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4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051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 H01L21/31053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involving a dielectric remov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19Smoothing of the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5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characterized by particular after-treatment steps
    • H01L21/76861Post-treatment or after-treatment not introducing additional chemical elements into the layer
    • H01L21/76864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 소자 제조시 폴리 실리콘과 전극용 금속막 사이를 절연하기 위하여 적층 구조의 절연막을 증착하여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자 분리 영역이 정의된 실리콘 웨이퍼의 각 활성 영역에 반도체 소자를 각각 형성하고, 실리콘 웨이퍼의 전면에 화학 기상 증착법에 의해 적층 구조 절연막을 증착한 다음,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해 평탄화한다. 그리고, 절연막 표면에 드러나는 취약면을 보호하기 위한 PETEOS막을 증착한 후, 전극 연결을 위한 콘택트 홀을 형성하고, 콘택트 베리어 메탈을 형성하여 열처리 공정을 통해 콘택트 실리사이드를 형성한 다음, 금속막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금속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PETEOS막이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이후 적층 구조 절연막의 표면에 드러나는 취약면을 보호하고, 후속 공정의 영향에 대한 저항성, 특히 인장 응력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킴으로써 후속 금속 전극 패턴 형성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도체 소자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 제조시 폴리 실리콘과 전극용 금속막 사이를 절연하기 위하여 적층 구조의 절연막을 증착하여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는 구조적으로 트랜지스터와, 바이폴러 IC(integrated circuit), MOS(metal-oxide-semiconductor) IC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 소자는 기본적으로 실리콘 웨이퍼에 베이스/이미터/컬렉터 또는 게이트/소스/드레인과 같은 각 소자의 전극 영역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나의 실리콘 웨이퍼에 각각의 반도체 소자가 형성될 활성 영역을 정의한 다음, 웨이퍼 일관 가공(FAB, fabrication) 공정에 의해 정의된 각 활성 영역에 각각의 반도체 소자를 형성한다. 그리고, 최종 단계로 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 전극 영역과 접속되는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금속막 패턴에 의한 각 소자의 전극 영역이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막과 각 소자의 전극 영역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를 절연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금속막과 실리콘 웨이퍼(각 소자의 전극 영역)의 절연을 위한 절연막은 화학 기상 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한 PSG(phospho-silicate glass)막 또는 BPSG(boro-phospho-silicate glass)막을 주로 사용한다. 현재 PSG막 또는 BPSG막 형성에 사용되는 화학 기상 증착 장비를 도 1에 예시하였다. 도 1에서와 같이 화학 기상 증착 장비는 증착에 필요한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인젝터(I)가 다중으로 형성된 핫 플레이트 방식을 이용하거나 적외 복사 가열 방식을 이용한 인 라인형(in-line type) 반응기가 이용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B)의 이동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된 실리콘 웨이퍼(1,11)에는 각 인젝터(I)에서 공급되는 반응 가스에 의하여 화학 반응이 일어나고, 이러한 반응에 의하여 PSG막 또는 BPSG막이 적층된다.
그러면, 도 1과 같은 화학 기상 증착 장비로 BPSG 적층 절연막을 증착하는 종래의 모스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서와 같이 실리콘 웨이퍼(1)의 소자 분리 영역에 트랜치(2) 또는 LOCOS(local oxidation of silicon) 방법에 의한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여 실리콘 웨이퍼(1)상에 모스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활성 영역을 정의한다. 그리고, 정의된 활성 영역에 게이트 산화막과 폴리 실리콘을 증착한 후, 패터닝(patterning)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그 다음,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레지스터로 실리콘 웨이퍼의 활성 영역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활성 영역에 모스 트랜지스터(3, 4)를 형성한다. 이후, 후속 공정에서 절연막으로 증착되는 BPSG막이 수분 함량이 많으므로, 이에 의한 실리콘 웨이퍼(1) 및 모스 트랜지스터(3,4)의 결함 방지 및 알칼리 이온이 실리콘 웨이퍼(1)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MD(pre metal dielectric) 라이너(liner)막(5)을 형성한다.
그 다음, 후속 공정에서 모스 트랜지스터의 전극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금속막과 폴리 실리콘(또는 소스/드레인 영역)과의 절연을 위한 절연막 형성을 위하여 PMD 라이너막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1)를 도 1과 같은 인 라인형 화학 기상 증착 장비에 투입한다. 그러면, 벨트 컨베이어(B)에 의해 실리콘 웨이퍼(1)가 이동되면서 각 인젝터(I)에서 공급되는 반응 가스에 의해 화학 반응이 발생하여 실리콘 웨이퍼(1)상에 도 2b와 같이 적층된 구조의 BPSG막(6)이 형성된다. 이후, 절연 특성 향상을 위하여 적층 구조로 증착된 BPSG막(6)을 치밀화하고, 어느 정도의 평탄화를 얻기 위해 열처리 공정을 통해 고밀도화한다.
그 다음, 실리콘 웨이퍼 전면을 화학 기계적 연마(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에 의해 적층 구조로 증착된 BPSG막(6)을 연마하여 도 2c에서와 같이 웨이퍼 전면을 평탄화한다. 그리고, 도 2d에서와 같이 각 모스 트랜지스터의 전극 연결을 위해 금속막과 각 모스 트랜지스터(3, 4)의 폴리 실리콘(또는 소스/드레인 영역)이 연결될 부위를 정의하기 위하여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정에 의해 BPSG막(6)을 식각하여 콘택트 홀(7)을 형성한다.
그 다음, 후속 금속 전극 형성시 콘택트 저항 감소, 이온 확산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e에서와 같이 티타늄(Ti)막(8)과 질화 티타늄(TiN)막(9)으로 구성된 콘택트 베리어(barrier) 메탈막을 형성하고, 열 공정을 통해 콘택트 실리사이드를 형성한다. 이후, 스퍼터링 등을 통해 금속막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금속 전극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모스 트랜지스터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적층 구조 BPSG막을 절연막으로 이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반도체 소자를 제조할 경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후 적층 구조 절연막의 표면에 적층의 계면(단절된 층)이 드러나게 되며, 이 계면은 적층된 다른 층의 절연막보다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이 드러난 절연막 표면의 계면은 후속의 세정 공정이나 콘택트 홀 형성을 위한 리소그래피 공정 등의 외부 영향에 의해 손상을 받게 되며, 지속적인 외부 영향을 받은 후, 그 상부에 형성되는 콘택트 베리어 메탈막의 큰 인장 응력과 콘택트 실리사이드 형성을 위한 열 처리 공정에 의한 손상에 의해 단절된 층이 계면을 따라 들고일어나게(peeling) 되므로, 후속 금속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반도체 소자의 제조 수율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층 구조 절연막을 화학 기계적 연마에 의해 평탄화하였을 경우 표면에 드러나는 취약한 계면을 보호하고, 상부 박막의 인장 응력 및 후속 열 처리 공정에 따른 손상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도 1은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중 절연막 증착에 사용되는 화학 기상 증착 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화학 기상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반도체 소자인 모스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순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f는 도 1의 화학 기상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도체 소자인 모스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공정 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층 구조 절연막을 평탄화하기 위한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이후, 평탄화된 적층 구조 절연막 표면에 드러나는 취약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PETEOS막을 패드 막으로 증착한 다음, 후속 공정을 통해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f는 도 1과 같은 화학 기상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적층 절연막을 증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스 트랜지스터를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실리콘 웨이퍼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에서와 같이 실리콘 웨이퍼(11)의 소자 분리 영역에 트랜치(12) 또는 LOCOS 방법에 의한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여 실리콘 웨이퍼(11)상에 모스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활성 영역을 정의한다. 그리고, 정의된 활성 영역에 게이트 산화막과 폴리 실리콘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그 다음,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레지스터로 실리콘 웨이퍼의 활성 영역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며,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활성 영역에 모스 트랜지스터(13, 14)를 형성한다. 이후, 후속 공정에서 절연막으로 증착되는 BPSG막이 수분 함량이 많으므로, 이에 의한 실리콘 웨이퍼(11) 및 모스 트랜지스터(13,14)의 결함 방지 및 알칼리 이온이 실리콘 웨이퍼(11)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MD 라이너막(15)을 형성한다.
그 다음, 후속 공정에서 모스 트랜지스터의 전극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금속막과 폴리 실리콘(또는 소스/드레인 영역)과의 절연을 위한 절연막 형성을 위하여 PMD 라이너막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11)를 도 1과 같은 인 라인형 화학 기상 증착 장비에 투입한다. 그러면, 벨트 컨베이어(B)에 의해 실리콘 웨이퍼(11)가 이동되면서 각 인젝터(I)에서 공급되는 반응 가스에 의해 화학 반응이 발생하여 실리콘 웨이퍼(11)상에 도 3b와 같이 적층된 구조의 BPSG막(16)이 형성된다. 그 다음, 절연 특성 향상을 위하여 적층 구조로 증착된 BPSG막(16)을 치밀화하고, 어느 정도의 평탄화를 얻기 위해 열처리 공정을 통해 고밀도화한다.
그 다음, 실리콘 웨이퍼 전면을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해 적층 구조로 증착된 BPSG막(16)을 연마하여 도 3c에서와 같이 웨이퍼 전면을 평탄화한다. 이때, 적층 구조의 BPSG막(16)의 표면에는 단절된 BPSG 층의 발생으로 인한 계면이 드러나게 된다. 그 다음, 적층 구조 BPSG막(16)을 화학 기계적 연마에 의해 평탄화하였을 경우 표면에 드러나는 취약한 계면을 보호하고, 상부 박막의 인장 응력 및 후속 열 처리 공정에 따른 손상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3d에서와 같이 평탄화된 BPSG막(16) 상부에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법에 의해 소정의 두께로 BPSG막보다 압축력이 있는 PETEOS(plasma enhanced thetraethyle orthosilicate)막(17)을 패드 막으로 증착한다.
그 다음, 도 3e에서와 같이 각 모스 트랜지스터의 전극 연결을 위해 금속막과 각 모스 트랜지스터(13, 14)의 폴리 실리콘(또는 소스/드레인 영역)이 연결될 부위를 정의하기 위하여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PETEOS막(17)과 BPSG막(16)을 식각하여 콘택트 홀(18)을 형성한다.
그 다음, 후속 금속 전극 형성시 콘택트 저항 저감, 이온 확산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f에서와 같이 티타늄막(19)과 질화 티타늄막(20)으로 구성된 콘택트 베리어 메탈막을 형성하고, 열 공정을 통해 콘택트 실리사이드를 형성한다. 이후, 스퍼터링 등을 통해 금속막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금속 전극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모스 트랜지스터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층 구조 절연막을 평탄화하기 위한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이후, PETEOS막을 패드 막으로 증착함으로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이후 적층 구조 절연막의 표면에 드러나는 취약면을 보호하고, 후속 공정의 영향에 대한 저항성, 특히 인장 응력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켜 후속 금속 전극 패턴 형성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도체 소자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소자 분리 영역이 정의된 실리콘 웨이퍼의 각 활성 영역에 반도체 소자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활성 영역에 반도체 소자가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의 전면에 화학 기상 증착법에 의해 적층 구조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 구조 절연막을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해 평탄화하는 단계와;
    상기 평탄화된 적층 구조 절연막을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전극 연결을 위한 콘택트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트 홀이 형성된 적층 구조 절연막 전면에 콘택트 베리어 메탈을 형성하고, 열처리 공정을 통해 콘택트 실리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 구조 절연막을 전면에 금속막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콘택트 홀을 통해 반도체 소자의 전극과 연결된 금속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한 적층 구조 절연막의 평탄화 단계 이후, 평탄화된 적층 구조 절연막 표면에 드러나는 취약면을 보호하기 위한 패드 막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패드 막은 PETEOS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19980013236A 1998-04-14 1998-04-14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254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236A KR100254774B1 (ko) 1998-04-14 1998-04-14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236A KR100254774B1 (ko) 1998-04-14 1998-04-14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173A KR19990080173A (ko) 1999-11-05
KR100254774B1 true KR100254774B1 (ko) 2000-05-01

Family

ID=1953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236A KR100254774B1 (ko) 1998-04-14 1998-04-14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4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023B1 (ko) * 2005-12-28 2007-02-27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173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1670B (zh) 半导体元件及其制作方法
US623222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reliable contact structure
US6576508B2 (en) Formation of a frontside contact on silicon-on-insulator substrate
US1143727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904589B1 (ko)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US7649218B2 (en) Lateral MOS transis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0254774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68802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6303449B1 (en) Method to form self-aligned elevated source/drain by selective removal of gate dielectric in the source/drain region followed by poly deposition and CMP
KR20000006316A (ko) 절연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개선된 sac 공정
KR10025907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683561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buried gate MOS semiconductor device having PIP capacitor
KR20000051490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033999A (en) Method of solving contact oblique problems of an ILD layer using a rapid thermal anneal
KR20000045456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460200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285579B1 (ko) 트랜치형성방법
KR100529627B1 (ko) 콘택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택을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KR100447729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970005704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190521B1 (ko) 디램 (dram) 소자의 적층형 캐패시터 제조 방법
TW432596B (en) A silicon nitride capped shallow trench isolation method for fabricating sub-micron devices with borderless contacts
KR10057138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45719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60885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