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108B1 - 금콜로이드면역측정법 - Google Patents

금콜로이드면역측정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108B1
KR100254108B1 KR1019970709151A KR19970709151A KR100254108B1 KR 100254108 B1 KR100254108 B1 KR 100254108B1 KR 1019970709151 A KR1019970709151 A KR 1019970709151A KR 19970709151 A KR19970709151 A KR 19970709151A KR 100254108 B1 KR100254108 B1 KR 100254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potassium
magnesium
sodium
form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709A (ko
Inventor
다케시 코츠가이
Original Assignee
타이도 나오카타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도 나오카타,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도 나오카타
Publication of KR1999002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51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inorganic
    • G01N33/553Metal or metal co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a particulate label, e.g. coloured late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6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e.g.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962Prevention or removal of interfering materials or reactants or other treatment to enhance results, e.g. determining or preventing nonspecific b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S436/826Additives, e.g. buffers, diluents, preserva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10T436/2525Stabilizing or preser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금 콜로이드 면역 측정법에 의한 피검출물 검출법에 있어서, 반응액중에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불화리튬, 요드화나트륨, 요드화칼륨, 요드화리튬, 요드화마그네슘, 브롬화나트륨, 브롬화칼륨, 브롬화리튬, 브롬화마그네슘, 염화리튬, 염화마그네슘,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리튬, 질산마그네슘,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리튬, 황산마그네슘, 포름산나트륨, 포름산칼륨, 포름산리튬, 포름산마그네슘,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리튬, 아세트산마그네슘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염을 면역 반응계에 용해시키고, 존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금 콜로이드 면역 측정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측정법에 의하면, 금속염의 작용에 의해 금 콜로이드의 발색이 대단히 선명하게 되고, 특히 검출한계농도부근의 검체에 대하여 육안에 의해 관찰하는 경우에 음성과 양성의 차가 보다 명확하게되기 때문에 판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에 의한 항원 또는 항체 검출법은 이전부터 알려져 있다. 이 측정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예를 들면, 피검출물이 항원인 경우에는 항원과 통상 협잡물 등을 복잡하게 함유하는 반응액중에서 이 항원을 인식하는 항체에서 감작된 금 콜로이드, 즉, 항체 감작 금 콜로이드를 이용하여 이 항원에 이 항체 감작 금 콜로이드를 특이적으로 결합시킨다. 이 반응의 결과로 생성된 복합체를 함유하는 복합체 함유 반응액을 반응액의 확산침투 현상을 이용하고, 반응액 투과성 매체를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 전개와 같은 투과 또는 반응액 투과성 매체에 의한 여과적 투과에 의해 복합체와 미반응의 항체 감작 금 콜로이드 및 협잡물 등을 함유하는 반응액을 침투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이동 경로상의 반응액 투과성 매체의 특정위치에 미리 고정하여 놓은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또한 상기 항체 감작 금 콜로이드와는 항원의 인식부위를 달리하는 포촉용 항체에 의해, 복합체만을 특정위치로 포촉하고, 다른 것은 반응액과 함께 이동시켜 제거하여 특정위치에서 나타난 복합체의 금 콜로이드의 색조에 의해 항원만이 구별되어 검출되는 것이다.
또한, 피검출물이 항체인 경우도 동일하게 항체를 함유하는 반응액중에서 이 항체에 인식되는 항원에서 감작된 금 콜로이드(항원 감작 금 콜로이드)와 이 항체를 특이적 결합에 의해 반응시키고, 이어서 생성된 복합체를 함유하는 복합체 함유 반응액을 상기와 동일하게 투과 침투현상을 이용하여 반응액 투과성 매체중을 이동시키고, 반응액 투과성 매체의 특정위치로 미리 고정하여 놓은 복합체중의 항원 또는 항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각각 포촉용 항체 또는 포촉용 항원의 어느 것에 의해, 복합체 함유 반응액중으로부터 복합체만을 특정위치에 포촉하여 특정위치에 나타난 복합체의 금 콜로이드의 색조에 의해 목적하는 항체만을 구별하여 검출하는 것이다.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에서 특이적인 결합은 항원 항체반응에 의한 결합이 일반적이며 이용되는 금 콜로이드는 일반적으로 적색계 내지 자색계의 것이다.
또한, 반응액은 생성성분 및 완충액 등을 함유하는 물을 매체로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특이적 결합반응을 방해하지 않고, 이와 같은 액체 매체, 즉, 액체매체로의 피검출물의 용해를 보조하는 등의 목적에서 일부 물이 디메틸술폭시드 또는디옥산 등의 불활성 수용성 유기 용매에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항체 등의 보호 또는 금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반응액의 유전율을 저하시키는 목적에서 불활성 고분자를 함유하여도 좋으며, 반응액에 의한 확산 침투현상을 보조하는 목적에서 계면활성물질 등을 함유하여도 좋다.
또한, 반응액 투과성 매체로서는 반응액 투과성을 가지며, 시이트상 또는 적층상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이 재료가 갖는 간극이나 다공을 반응용액과 함께 피검출물이 확산침투에 의해 이동한다. 이 재료는 여지상의 시이트, 면상, 해면상, 다공질의 필름 등의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된다. 시이트상에서는 면방향, 적층상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피검출물이 이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의 피검출물이 항원이면, 그 항원에 대한 2종의 항체를 이용하고, 통상 모노클로날인 그의 한 쪽에 금 콜로이드 감작한 것을 항체 감작 금 콜로이드로 하고, 항체감작 금 콜로이드와 항원의 인식부위를 달리하는 다른 쪽(모노클로날 또는 폴리클로날)을 포촉용 항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다 상세히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을 사람 오줌중에서 사람 융모막성 생식성 자극 호르몬(chorionic gonadotropin, hCG)를 검출하는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예를 들면, 반응액 투과성 매체로서 여지상 조각을 사용하고, 그의 한쪽 가까이에 항hCG항체로 금 콜로이드를 감작시킨 것(항hCG모노클로날 항체를 금 콜로이드 입자로 표지한 것)을 재용해(용리)가능하게 유지시켜 놓고, 다른 쪽 가까이 포촉용 항체로서 항hCG폴리클로날 항체 또는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와는 항원의 에피토프가 다른 모노클로날 항체를 재용출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놓는다.
더욱이 전개종료확인을 위해 필요하면, 예컨대 이 전개방향의 더 끝 위치에 상기 항hCG모노클로날 항체에 대한 어떤 항체(예를 들면, 모노클로날 항체가 마우스 IgG이면, 항마우스IgG항체)를 고정하여 놓는다.
측정은 피검출물을 함유하는 사람 오줌을 한쪽 끝에 적용하고, 항원 및 협잡물 등을 함유하는 오줌의 확산 침투현상에 의해 다른 쪽 방향으로 오줌과 함께 항원 및 협잡물을 페이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이 전개시킴으로서 행하여진다.
이 전개에 의해, 우선 한쪽 끝 가까이 유지되어 있는 항hCG모노클로날 항체감작 금 콜로이드가 오줌중에 용리하고, 이것과 오줌중에 함유되어 있는 hCG가 hCG-항hCG 모노클로날 항체감작 금 콜로이드 복합체를 형성하고, 다시 다른 쪽 방향으로 확산된다. 이 복합체는 포촉용 항체와 항원 항체에 의해 포촉되며, 포촉용 항체가 고정된 위치에 금 콜로이드의 색조가 고정된 형상(스폿트상, 마크상, 문자상 등)으로 나타나고, 항원인 hCG가 오줌중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오줌에서 단순히 용리한 것에서 hCG와는 미반응의 항hCG모노클로날 항체감작 금 콜로이드도, 오줌과 함께 다른 쪽 방향으로 확산하고, 포촉용 항체와는 항원항체반응을 하지 않고, 포촉용 항체위치를 통과하여 끝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항마우스IgG항체에 포촉되고, 금 콜로이드의 색조가 고정된 형상(스폿트상, 마크상, 문자상 등)으로 나타나고, 항원에 의해 전개가 확실하게 된 것을 나타낸다.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은 상기와 같은 원리로 행하여지며, 간편한 생체내 물질의 측정법으로서 이용되나, 이 특정법에서는 피검출물 검출을 위해 특이적 반응의 결과를 나타내는 금 콜로이드의 색조의 발현이 반드시 선명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비특이적 반응에 상응하는 백그라운드의 색조를 높이지 않고, 금 콜로이드 착색부위를 쉽고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시료중의 피검츨물의 존재의 유무 또는 존재의 정도를 측정하는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외 진단약 분야에서 이용되는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금 콜로이드의 색조가 명료하게 나타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검토한 결과, 시료 용액 또는 시료 용해용 용액중에 적당한 염을 혼재시키는 용이한 수단을 시행함으로서 이들 염이 용액중에 혼재하지 않는 시료 용액 또는 시료 용해용 용액, 즉, 통상의 반응액(특이적 결합반응을 위한 용액)에 비해 금 콜로이드의 색조가 극히 선명하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에 의한 피검출물 검출법에 있어서, 반응액중에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불화리튬, 요드화나트륨, 요드화칼륨, 요드화리튬, 요드화마그네슘, 브롬화나트륨, 브롬화칼륨, 브롬화리튬, 브롬화마그네슘, 염화리튬, 염화마그네슘,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리튬, 질산마그네슘,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리튬, 황산마그네슘, 포름산나트륨, 포름산칼륨, 포름산리튬, 포름산마그네슘,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리튬, 아세트산마그네슘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염을 면역 반응계에 용해시키고, 존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염은 알카리금속 또는 알카리토금속의 중화염이나, 완충용 또는 협잡물 등으로서 다른 염이 존재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으면 지장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의 항원 항체 반응시키는 반응액중, 즉, 피검출물을 함유하는 액체매체 즉, 액체매체중에서 전기 금속염을 존재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금속염은 시료용액중에 첨가하여도, 또는 시료 용해 내지 희석용 용액중에 첨가하여도 좋다.
반응액중의 금속염의 농도로서는 금 콜로이드의 색조발현이 선명하게 되는 농도이면 특히 한정하지 않으나,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색조발현이 선명하지 아니하여 소기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비특이적 반응이 촉진되어 소기의 특정을 실시할 수 없게 되는 외에, 고정한 항체 등이 유리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항원항체 반응시의 반응액중의 농도로서는 통상 금속염의 합계량이 반응 용액중에 0.05∼2몰/리터, 바람직하기로는 0.05∼1.5몰/리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1∼1몰/리터의 범위로 하면 좋다. 또한, 용해도가 낮은 염 단독에서 소요 농도를 얻을 수 없을 때 등에는 2종 이상의 염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오줌중 hCG의 검출
(1) 시약:
금 콜로이드 면역측정법에 의해 오줌중 hCG를 검출하는 시판의 임신검사약(하트 싸인 hCG "뉴 타잎" ; 에스에스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발매)를 이용했다.
본 시약은 반응 카셋트, 스포이드 및 채뇨 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응 카셋트는 중앙 구멍의 스펀지에 항hCG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감작 금 콜로이드 시약을 16 mg, 또한 이 반응 카셋트 내부, 중앙 구멍의 스펀지의 아래에 항hCG 마우스 항체가 하트형에 20 ㎍을 고정되어 있는 판정 플레이트를 내장하고 있다. 검체 오줌은 스펀지와 판정플레이트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2) 측정원리 및 검출감도:
항hCG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감작 금 콜로이드가 hCG를 개재하여 판정플레이트에 고정된 항hCG마우스항체와 결합하고, 판정플레이트가 적자 내지 자색으로 착색한다. 이 착색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오줌중의 hCG를 검출한다. 검출감도는 50 IU/리터이다.
(3) 시험용 검체:,
건강한 보통 남자 오줌 250 ㎖에 hCG (UCB-BioProducts 제품)을 500 IU/리터의 비율로 첨가했다.
(4) 염의 첨가:
상기 검체를 5 ㎖씩 각각 28개의 채뇨 컵에 분주하고, 각각에 금속염으로서 하기의 것이 0.24 몰/리터 오줌이 되도록 첨가 용해하여 시험용 검체로 하였다.
(금속염),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요드화나트륨, 요드화칼륨, 요드화리튬, 요드화마그네슘, 브롬화나트륨, 브롬화칼륨, 브롬화리튬, 브롬화마그네슘, 염화리튬, 염화마그네슘,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리튬, 질산마그네슘,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리튬, 황산마그네슘, 포름산나트륨, 포름산칼륨, 포름산리튬, 포름산마그네슘,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리튬, 아세트산마그네슘
대조용 검체로서는 상기 검체를 5 ㎖씩 5개의 채뇨 컵에 분주하고, 금속염류를 첨가하지 않은 것(종래법), 및 비교용 검체로서 상기 금속염 대신에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암모늄, 아세트산암모늄을 각각 0.24몰/리터씩 첨가 용해한 것을 사용했다(비교예 1∼4).
(5) 측정:
본 시약의 첨부문서에 따라, 채뇨 컵에 오줌을 취하고, 채뇨 컵에서 오줌을 스포이드의 선(눈금)까지 빨아올리고(0.5 ?㎖), 스포이드중의 오줌을 전량 반응 카셋트 중앙의 구멍에 적하한다. 약 1분간 유지하고, 오줌이 전부 흡수되면 반응 카셋트의 뚜껑을 열고, 판정플레이트를 꺼내 판정한다. 판정은 색조의 농담(濃淡)이 아니고, 하트의 유무에서 판정하고, 반응 종료후의 판정면의 중앙에 적자의 하트가 인식된 경우에 양성, 하트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를 음성으로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첨부문서에 준하여 (4)에서 조제한 각 검체를 0.5 ㎖씩 취하고, 각각 다른 반응 카셋트에 적하하고, 1 분간의 흡수후, 판정플레이트를 취출하고, 판정면의 중앙에 나타난 적자색의 하트형 스폿트를 육안으로 하기 기준으로 판정,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평가] [판정내용]
+4 종래법에 비하여 대단히 강한 정색이 인식되었다.
+3 종래법에 비하여 강한 정색이 인식되었다.
+2 종래법에 비하여 약간 강한 정색이 인식되었다.
+1 종래법에 비하여 같은 정도의 정색이 인식되었다.
± 발색불량으로 양성으로 판정할 수 없다.
(6) 결과 :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종래법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염을 가한 경우는 착색이 강하고 선명하게 되어 판정이 용이하게 되었다.
[표 1]
금 속 염 평 가
불화나트륨불화칼륨요드화나트륨요드화칼륨요드화리튬요드화마그네슘브롬화나트륨브롬화칼륨브롬화리튬브롬화마그네슘염화리튬염화마그네슘질산나트륨질산칼륨질산리튬질산마그네슘황산나트륨황산칼륨황산리튬황산마그네슘 +4+4+2+3+3+3+2+2+2+2+3+3+2+2+2+3+2+3+2+4
[표 1]계속
금 속 염 평 가
포름산나트륨포름산칼륨포름산리튬포름산마그네슘아세트산나트륨아세트산칼륨아세트산리튬아세트산마그네슘 +3+3+3+3+3+3+3+3
염화나트륨(비교예 1)염화칼륨(비교예 2)염화암모늄(비교예 3),아세트산암모늄(비교예 4) +1+1±±
없음(종래법; 대조) +1
실시예 2
분변중 사람 헤모글로빈의 검출
(1) 시약:
금 콜로이드 면역 측정법에 의해 분변중 헤모글로빈(이하, Hb라 한다)를 검출하는 시판의 변잠혈 검사약[메이체크 헤모플레이트(GS) ; 메이지세카가부시키가이샤 제]를 이용했다.
본 시약은 판정판, 금 콜로이드 시약, 금 콜로이드용 용해액 및 변용해용 완충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응 용기, 여과기, 판정용 사진, 채변용기, 채변 스틱이 부속되어 있다. 이중, 판정판에는 항Hb토끼 항체가 2.5 ㎍ 함유되어 있다. 또한 금 콜로이드 시약은 금 콜로이드 표지 항Hb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를 함유하고, 금 콜로이드용 용해액에 용해하여 반응시약으로 한다. 변용해용 완충액은 2 ㎖씩 채변용기에 포함되어 있다.
(2) 측정원리 및 검출감도:
금 콜로이드 표지 항Hb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가 Hb를 개재하여 판정판의 막에 고정한 항Hb토끼 항체와 결합함으로서 막이 적자 내지 자색으로 착색한다. 이 착색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분변중의 Hb를 검출한다. 검출감도는 40 ㎍/리터이다.
(3) 검체:,
건강한 보통 남자 변 1 g에 Hb (시그마 제)를 400 ㎍/g 변의 비율로 첨가하여 검체로 했다.
(4) 금속염의 첨가:
상기 검체를 10 mg씩 28개의 변용해용 완충액을 함유하는 채변용기에 각각 채취하고, 각각에 금속염으로서 하기의 것이 0.24 몰/리터 변용해용 완충액이 되도록 첨가 용해하여 시험용 검체로 하였다.
(금속염),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요드화나트륨, 요드화칼륨, 요드화리튬, 요드화마그네슘, 브롬화나트륨, 브롬화칼륨, 브롬화리튬, 브롬화마그네슘, 염화리튬, 염화마그네슘,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리튬, 질산마그네슘,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리튬, 황산마그네슘, 포름산나트륨, 포름산칼륨, 포름산리튬, 포름산마그네슘,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리튬, 아세트산마그네슘
대조 시료액으로서는 상기 검체를 10 mg씩 5개의 변용해용 완충액을 함유하는 채변용기에 분주하고, 여기에 금속염류를 첨가하지 않은 것(종래법), 및 비교용 시료액으로서 상기 금속염 대신에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암모늄, 아세트산암모늄을 각각 0.24 몰/리터씩 첨가 용해한 것을 조제했다(비교예 5∼8).
(5) 측정:
첨부문서에 준하여, (4)에서 조제한 각 시료액을 50 ㎕씩 취하고, 각각 다른 반응용기에 적하하고, 각각의 반응용기에 반응시액을 40 ㎕ 적하하고, 수회 진탕하여 혼합한다. 이 반응용기에 판정판을 올려놓고, 가볍게 누르고, 실온에서 3분간 방치후, 뒤집고, 투명한 반응용기를 통하여 판정면을 육안으로 관찰한다.
판정은 판정용 사진의 양성한계와 비교하여 판정면에 나타난 판정 마크(별표)의 착색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하고, 판정면에 명백한 착색(적자색 내지 자색)이 인식된 경우, 분변중 Hb 양성으로 판정하고, 판정용 사진의 양성한계와 비교하여 판정면에 착색이 인식될 수 없던가, 약한 착색밖에 인식되지 않는 경우 분변중 Hb음성으로 판정한다. 금속염 첨가의 효과는 대조 시료액과 비교하고, 하기 기준으로 판정,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평가] [판정내용]
+4 종래법에 비하여 대단히 강한 정색이 인식되었다.
+3 종래법에 비하여 강한 정색이 인식되었다.
+2 종래법에 비하여 약간 강한 정색이 인식되었다.
+1 종래법에 비하여 같은 정도의 정색이 인식되었다.
± 발색불량으로 양성으로 판정할 수 없다.
(6) 결과 :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종래법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염을 가한 경우는 착색이 강하고 선명하게 되어 판정이 용이하게 되었다.
[표 2]
금 속 염 평 가
불화나트륨불화칼륨요드화나트륨요드화칼륨요드화리튬요드화마그네슘브롬화나트륨브롬화칼륨브롬화리튬브롬화마그네슘염화리튬염화마그네슘질산나트륨질산칼륨질산리튬질산마그네슘황산나트륨황산칼륨황산리튬황산마그네슘 +3+3+2+2+3+3+3+3+3+3+3+3+2+2+2+3+2+2+2+2
[표 2] 계속
금 속 염 평 가
포름산나트륨포름산칼륨포름산리튬포름산마그네슘아세트산나트륨아세트산칼륨아세트산리튬아세트산마그네슘 +3+3+3+3+3+3+3+3
염화나트륨(비교예 5)염화칼륨(비교예 6)염화암모늄(비교예 7),아세트산암모늄(비교예 8) +1+1±±
없음(종래법; 대조) +1
실시예 3
각종 금속염 농도에 의한 오줌중의 hCG의 검출:
(1) 시약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금 콜로이드 면역 측정법에 의해 오줌중 hCG를 검출하는 시판의 임신검사약(하트 싸인 hCG "뉴 타잎" ; 에스에스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발매)를 이용했다.
(2) 검체:
실시예 1의 (3)에서 조제한 검체를 사용했다.
(3) 금속염의 첨가:
상기 검체를 5 ㎖씩 13개의 채뇨 컵에 분주하고, 각각에 염으로서 불화나트륨을 0.06, 0.12, 0.48 및 0.96 몰/리터 오줌, 불화칼륨을 0.06, 0.12, 0.48 및 0.96 몰/리터 오줌, 불화리튬을 0.06 몰/리터 오줌이 되도록 첨가하고, 또한 불화나트륨과 불화칼륨을 등몰씩 이들의 합계로 0.12, 0.24, 0.96 및 1.92 몰/리터 오줌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대조로서 상기 검체를 5 ㎖씩 5개의 채뇨 컵에 분주하고, 금속염류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했다(종래법).
(4) 측정 및 판정:
실시예 1과 같이 본 시약의 첨부문서에 준하여 측정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5) 결과 :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종래법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염을 가한 경우는 착색이 강하고 선명하게 되어 판정이 용이하게 되었다.
[표 3]
금 속 염 농 도 측 정
불화나트륨불화나트륨불화나트륨불화나트륨불화칼륨불화칼륨불화칼륨불화칼륨불화나트륨 + 불화칼륨불화나트륨 + 불화칼륨불화나트륨 + 불화칼륨불화나트륨 + 불화칼륨불화리튬 0.060.120.480.960.060.120.480.960.120.240.961.920.06 +2+3+3+2+2+3+3+2+3+4+2+2+2
없음(종래법:대조) +1
이상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금 콜로이드 면역 측정법의 항원 또는 항체 검출법에서 반응액중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금속염을 첨가한 쪽이 이들의 염을 함유하지 않은 종래법 및 다른 염을 첨가한 예에 비하여 금 콜로이드에 의한 착색이 증강되었다. 즉, 상기 금속염의 작용에 의해 금 콜로이드의 발생이 대단히 선명하게되고, 특히 검출한계농도부근의 검체에 대하여 육안에 의해 관찰하는 경우에 음성과 양성의 차가 보다 명확하게되기 때문에 판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5)

  1. 금 콜로이드 면역 측정법에 의한 피검출물 검출법에 있어서, 금 콜로이드에 의한 착색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반응액중에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불화리튬, 요드화나트륨, 요드화칼륨, 요드화리튬, 요드화마그네슘, 브롬화나트륨, 브롬화칼륨, 브롬화리튬, 브롬화마그네슘, 염화리튬, 염화마그네슘,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리튬, 질산마그네슘,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리튬, 황산마그네슘, 포름산나트륨, 포름산칼륨, 포름산리튬, 포름산마그네슘,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리튬, 또는 아세트산마그네슘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염을 검체에 가하고,
    금속염을 함유하는 검체를 항원 또는 항체를 가지고 있는 금 콜로이드와 접촉시켜 고정시키고, 검체중에 피검출물이 존재하는 경우, 항원 또는 항체가 피검출물과 복합체를 형성하고,
    형성된 복합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복합체의 양을 측정하고, 분리된 복합체의 양과 검체중의 피검출물의 존재 또는 부재를 상관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의 면역측정에 의한 금 콜로이드 면역 측정법.
  2. 제 1항에 있어서, 금속염이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요드화리튬, 요드화마그네슘, 염화리튬, 염화마그네슘, 질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포름산나트륨, 포름산칼륨, 포름산리튬, 포름산마그네슘,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리튬 또는 아세트산마그네슘에서 선택된 1종 떠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금 콜로이드 면역 측정법.
  3. 제 1항에 있어서, 금속염이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또는 양자의 혼합물인 금 콜로이드 면역 측정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반응액의 용매중에 0.05∼2 몰/리터인 금 콜로이드 면역 측정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금속염의 합계량이 반응액의 용매중에 0.1∼1 몰/리터인 금 콜로이드 면역 측정법.
KR1019970709151A 1995-06-22 1996-05-29 금콜로이드면역측정법 KR100254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77977A JPH095326A (ja) 1995-06-22 1995-06-22 金コロイド免疫測定法
JP177977/1995 1995-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709A KR19990022709A (ko) 1999-03-25
KR100254108B1 true KR100254108B1 (ko) 2000-06-01

Family

ID=1604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151A KR100254108B1 (ko) 1995-06-22 1996-05-29 금콜로이드면역측정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03538A (ko)
EP (1) EP0834741A4 (ko)
JP (1) JPH095326A (ko)
KR (1) KR100254108B1 (ko)
CN (1) CN1194036A (ko)
CA (1) CA2224430A1 (ko)
TW (1) TW438975B (ko)
WO (1) WO1997001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4052A1 (en) * 2001-01-08 2002-07-11 Leonard Fish Diagnostic instrument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alytes
US7736910B2 (en) * 2005-10-04 2010-06-15 Calypte Biomedical Corporation One-step production of gold sols
US20070092978A1 (en) * 2005-10-20 2007-04-26 Ronald Mink Target ligand detection
US8110406B2 (en) * 2005-11-25 2012-02-07 Jap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alytical method and analytical apparatus
CN104391118B (zh) * 2014-11-12 2017-03-15 深圳市锦瑞生物科技有限公司 降钙素原的检测装置、以及检测材料的制备方法
GB201818421D0 (en) 2018-11-12 2018-12-26 Cambridge Entpr Ltd Magnetic particle and method
CN116298277A (zh) * 2020-09-03 2023-06-23 菲鹏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样本处理液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17206C (en) * 1986-09-22 1993-05-04 Takeyuki Kawaguchi Method for detecting a component of a biological system and detection device and kit therefor
US5225326A (en) * 1988-08-31 1993-07-06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One step in situ hybridization assay
US5108933A (en) * 1988-09-16 1992-04-28 Immunicon Corporation Manipulation of colloids for facilitating magnetic separations
GR1000686B (el) * 1989-11-16 1992-10-08 Ortho Diagnostic Systems Inc Μεθοδος παραγωγης ενος αντιδραστηριου κολλοειδους μεταλλου που περιεχει κολλοειδη τεμαχιδια μεταλλου με προκαθορισμενο μεγεθος. εθος.
JPH04161853A (ja) * 1990-10-26 1992-06-05 Meiji Seika Kaisha Ltd 簡易な分析方法及び器具
JPH0712807A (ja) * 1993-06-24 1995-01-17 Nissui Pharm Co Ltd 体液試料中の濁りを防止する方法
GB9316743D0 (en) * 1993-08-12 1993-09-29 Kodak Ltd Immunoass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4036A (zh) 1998-09-23
CA2224430A1 (en) 1997-01-09
US6103538A (en) 2000-08-15
JPH095326A (ja) 1997-01-10
TW438975B (en) 2001-06-07
KR19990022709A (ko) 1999-03-25
EP0834741A4 (en) 2000-04-12
EP0834741A1 (en) 1998-04-08
WO1997001099A1 (fr) 199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6589A (en) Immunoassay utilizing formazan-prelabeled reactants
US4954452A (en) Non-metal colloidal particle immunoassay
US4847199A (en) Agglutination immunoassay and kit for determination of a multivalent immune species using a buffered salt wash solution
JP4383860B2 (ja) バイオセンサ、及び測定方法
US5110550A (en) Test carrier for the analytical determination of a component of a liquid sample
CN101680892B (zh) 诊断检测设备
EP0724157A2 (en) Quantitative detection of analytes on immunochromatographic strips
EP1917529B1 (fr) Dosage d'un analyte par immunochromatographie avec migration laterale
EP0505636A1 (en) Immunochromatographic assay method
JP6008670B2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試験ストリップ用メンブレン、試験ストリップ及び検査方法
GB1589234A (en) Test strip and method for its use
JP2000321278A (ja) 改善された免疫クロマトグラフィー分析
US20040235189A1 (en) Reversed chromatographic immunoassay
WO1991001003A1 (en) Silver enhanced gold-labelled immuno assay method
EP0888547B1 (en) Immunoassay with whole blood
KR100254108B1 (ko) 금콜로이드면역측정법
JP2010256012A (ja) 免疫クロマトディバイス
JP4212189B2 (ja) 乾式分析方法及び乾式分析要素
EP1061368B1 (en) Agglutination assay method in binder medium
KR20180039654A (ko) 면역학적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02071069A1 (fr) Procede d'analyse d'eprouvettes par une liaison specifique
JP2001059845A (ja) 乾式分析方法及び乾式分析要素
JP2001033453A (ja) リガンドの測定方法
JPS6348312B2 (ko)
JP2000019175A (ja) 免疫学的検査方法および免疫学的検査用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