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017B1 -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017B1
KR100254017B1 KR1019970063316A KR19970063316A KR100254017B1 KR 100254017 B1 KR100254017 B1 KR 100254017B1 KR 1019970063316 A KR1019970063316 A KR 1019970063316A KR 19970063316 A KR19970063316 A KR 19970063316A KR 100254017 B1 KR100254017 B1 KR 10025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ipe
pipe rail
sleeve nipple
branch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824A (ko
Inventor
기쿠오 아사다
Original Assignee
우스이유따로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스이유따로,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스이유따로
Publication of KR1998004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2Non-disconnectibl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0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extremity of the pipe being screwed in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는 : 축선상의 도관과, 둘레벽에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주 파이프 레일로서, 그 각각의 관통공은 둘레면에 형성되어 외부로 개방되는 수압면을 구비하는 그러한 주 파이프 레일; 주 파이프 레일의 도관과 연통하는 도관을 구비하고, 단부에 형성된 접속 헤드를 포함하고, 가압면을 형성하여 그 가압면이 주 파이프 레일의 수압면과 접촉되게 함으로써 주 파이프 레일과 결속되는 분기 접속체; 주 파이프 레일 상에 장착되는 접속 이음구 및; 분기 접속체에 미리 조립되어 접속 헤드를 가압하면서 접속 이음구에 체결됨으로써 분기 접속체를 주 파이프 레일에 접속시키는 너트를 구비하는, 그러한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로서, 상기 접속 이음구는 슬리브 니플의 기저 단부를 수압면 부근의 주 파이프 레일의 외주에 접속함으로써 분기 접속체가 주 파이프 레일에 접속되도록 나사면을 갖는 원통형 슬리브 니플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JOINT STRUCTURE FOR BRANCH CONNECTORS IN COMMON RAILS}
본 발명은 디젤 내연 기관의 고압 연료 매니폴드 또는 블록 레일(block rail)과 같은 공통 레일(common rail)의 분기관 또는 분기 이음구에 의한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유형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중 하나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파이프 레일(11)의 둘레벽에 형성되어 내부 도관(11-1)과 연통하는 관통공(11-2)을 외부로 개방되는 수압면(11-3; 受壓面)으로 형성하고, 수압면 부근의 주 파이프 레일(11)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접속 이음구(13)는, 좌굴 방법(buckling method)에 의해 테이퍼지는 분기 접속체(12)의 접속 헤드(12-2)에 의해 형성되는 가압면(12-3)을 수압면(11-3)의 단부 부분과 접촉 결합시켜, 분기 접속체(12)에 미리 조립된 수형 너트(male nut;14)와 접속 이음구로부터 돌출된 나사벽(13-1)을 접속 헤드(12-2)의 목 아래쪽에서 가압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분기관(12)을 주 파이프 레일(11)에 접속시키는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도면 부호 15는 슬리브 와셔를 지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속 구조에서는, 연결 부분에서의 제품 중량이 전술한 링형 접속 이음구(13)의 사용에 의해 현저하게 증대되어, 제품 중량을 감소시킬 수 없다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더욱이, 접속 이음구는 주 파이프 레일(11) 상에 끼워 맞추어지기 때문에, 그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제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벗어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이탈은 연결된 부분을 누출을 야기시킬 정도로 이완(弛緩)시켜, 연결을 불안정하게 한다. 더욱이, 분기 접속체(12)가 분리될 때에, 접속 이음구(13)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먼지가 주 파이프 레일(11)의 외면으로부터 주 파이프 레일(11)과 접속 이음구(13) 사이의 틈 속으로 침입할 수 있다는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접속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상응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니플의 기저 단부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각각, 슬리브 니플의 기저 단부에 작은 폭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예와, 슬리브 니플의 기저 단부에 큰 폭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니플의 기저 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슬리브 니플의 다른 접속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각각, 슬리브 니플의 접속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및, 도 6a의 선 Ⅵ-Ⅵ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의 종래 기술의 접속 구조를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파이프 레일
2 : 수압면
3 : 분기 접속체
4-1, 4-1a, 4-1b : 암나사식 슬리브 니플
4-2 : 수나사식 슬리브 니플
5-1 : 수형 너트
5-2 : 캡 너트
6 : 용접 덧땜부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수반된 전술한 문제의 관점에서 고려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속 이음구로서 종래 기술의 링 형상 접속 이음구 대신 슬리브 니플을 사용하고 또 주 파이프 레일에의 접속을 위해 용접 또는 납땜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제품 중량을 감소시키고, 접속 이음구의 위치 이탈의 문제를 해결하며, 한편, 접속 부분에서 야기될 수 있는 누출 또는 먼지 침입의 문제를 장기간 동안 없애고, 신뢰성 있고 안정적이며 용이한 연결을 보장할 수 있는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체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는 : 축선상의 도관과, 둘레벽에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며, 그 각각의 관통공은 둘레면에 형성되어 외부로 개방되는 수압면을 구비하는 주 파이프 레일; 주 파이프 레일의 도관과 연통하는 도관을 구비하고, 단부에 형성된 접속 헤드를 포함하며, 가압면을 형성하여 그 가압면이 주 파이프 레일의 수압면과 접촉되게 함으로써 주 파이프 레일과 접속되는 분기 접속체; 주 파이프 레일 상에 장착되는 접속 이음구 및; 분기 접속체에 미리 조립되어 접속 헤드를 가압하면서 접속 이음구에 체결됨으로써 분기 접속체를 주 파이프 레일에 접속시키는 너트를 구비하는, 그러한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로서, 상기 접속 이음구는 슬리브 니플의 기저 단부를 수압면 부근의 주 파이프 레일의 외주에 접속함으로써 분기 접속체가 주 파이프 레일에 접속되도록 나사면을 갖는 원통형 슬리브 니플로 구성된다. 더욱이,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에서, 분기 접속체에 미리 조립되는 캡 너트(cap nut)는 접속 헤드를 가압하면서 접속 이음구 내부에 체결됨으로써 분기 접속체가 주 파이프 레일에 접속되게 하며, 접속 이음구는 슬리브 니플의 기저 단부를 수압면 부근의 주 파이프 레일의 외주에 접속함으로써 분기 접속체가 주 파이프 레일에 접속되도록 나사면이 외주에 형성된 원통형 슬리브 니플로 구성된다. 또한, 나사면이 내주에 형성된 원통형 슬리브 니플과 나사면이 외주에 형성된 원통형 슬리브 니플의 각각은 그 기저 단부에 접속용 플랜지를 구비한다. 또한, 나사면이 내주에 형성된 원통형 슬리브 니플과 나사면이 외주에 형성된 원통형 슬리브 니플의 각각은 그 기저 단부가 주 파이프 레일의 외주 상에 탑재되도록 주 파이프 레일에 접속된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주 파이프 레일의 외주의 일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원통형 슬리브 니플을 사용하는 용접 또는 납땜 접합 방법에 따른 접속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접속 부분의 크기와 중량이 감소될 수 있고 컴팩트해질 수 있으며, 또 슬리브 니플의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음으로써, 접속 부분의 이완에 의해 초래되는 누출 및 먼지의 침입이 장기간 동안 방지될 수 있어, 안정적이고 용이한 접속이 보장된다. 더욱이, 원통형 슬리브 니플의 기저 단부에 접속용 플랜지를 제공하고, 또 원통형 슬리브 니플의 기저 단부를 수압면 부근의 주 파이프 레일의 외주 상에 탑재되어 있는 동안 주 파이프 레일에 접속함으로써, 기저 단부와 주 파이프 레일의 외주 사이의 접합 면적이 증대되어 접합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납땜 방법이 채택되는 경우, 개별적인 슬리브 니플 뿐만 아니라, 브래킷 및 주 파이프 레일의 단부의 밀봉 부분 전체가 접합될 수 있다. 분기 접속체가 제거되는 경우, 또한, 원통형 슬리브 니플의 축방향 또는 원주 방향 이동이 방지될 수 있음으로써, 주 파이프 레일의 외주로부터 슬리브 니플 내부로의 먼지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도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부호 1은 공통 레일로서의 주 파이프 레일; 2는 수압면; 3은 분기 접속체; 4-1, 4-1a 및 4-1b는 암나사식 슬리브 니플; 4-2는 수나사식 슬리브 니플; 5-1 및 5-2는 각각 수형 너트 및 캡 너트를 지시하며; 도면 부호 6은 용접 덧땜부(welded padding) 또는 땜납 필렛(solder fillet)을 지시한다.
공통 레일로서의 주 파이프 레일(1)은, 예컨대 직경이 약 20 ㎜이고 두께가 약 6 ㎜인 비교적 두껍고 직경이 가는 금속 파이프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주 파이프 레일(1)은 그 축선상의 내부 도관(1-1) 및 둘레벽에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1-2)을 구비하며, 그 각각의 관통공은 외측으로 개방되어 그 둘레부에 수압면(2)을 형성하며 도관(1-1)과 연통된다.
한편, 분기 접속체(3)는 분기관 또는 분기 이음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도관(3-1)을 구비하여 도관(1-1)과 연통된다. 이러한 분기 접속체(3)는 테이퍼지는 접속 헤드(3-2)를 그 단부에 구비하는데, 접속 헤드에는 좌굴 방법에 의해 직경이 점차 확장되어 가압면(3-3)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형 너트(5-1)의 선단부 또는 캡 너트(5-2) 내에 삽입된 슬리브 와셔(7)의 일단부가 접촉하여 압압하는 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 헤드에는 상기 견부로부터 그 단부의 끝면을 향해 연장되는 상부 절단 원추형의 원통형 외주면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분기 접속체의 접속 이음구는 수압면(2)을 둘러쌀 정도의 직경으로 된 원형 형상의 암나사식 원통형 슬리브 니플(4-1), 또는 원형 형상의 수나사식 원통형 슬리브 니플(4-2)로 구성된다. 이러한 슬리브 니플(4-1 또는 4-2)은 수압면(2)을 둘러싸도록 수압면(2)의 외측에서 수압면(2)과 동심으로 주 파이프 레일(1)에 용접 또는 납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에서, 분기 접속체(3)와 미리 조립된 수형 너트(5-1) 상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면(5-1a)이 내주에 형성된 원통형 슬리브 니플(4-1)이 접속 이음구로서 사용되며, 그 기저 단부는 수압면(2)을 둘러싸도록 수압면(2) 부근의 주 파이프 레일(1)의 외주에 상기 수압면(2)과 동심으로 용접 또는 납땜되며, 분기 접속체(3)의 접속 헤드(3-2)에 의해 형성된 가압면(3-3)은 주 파이프 레일(1)의 수압면(2)과 접촉 결합하게 되고, 그 결과 분기 접속체(3)는 수형 너트(5-1)가 슬리브 니플(4-1) 내부에 체결됨으로써 주 파이프 레일(1)에 접속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에서, 분기 접속체의 접속 이음구는 수압면(2)을 둘러쌀 정도의 직경을 갖는 수나사식 원통형 슬리브 니플(4-2)로 예시되어 있으며, 전술한 암나사식 슬리브 니플(4-1)과 마찬가지로, 그 기저 단부가 수압면(2)과 동심으로 수압면(2) 부근의 주 파이프 레일(1)의 외주에 용접되거나 납땜되어 수압면(2)을 둘러싸며, 분기 접속체(3)의 접속 헤드(3-2)에 의해 형성된 가압면(3-3)은 주 파이프 레일(1)의 수압면(2)과 접촉 결합하게 되며, 그 결과, 분기 접속체(3)는 캡 너트(5-2)를 슬리브 니플(4-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주 파이프 레일(1)에 접속된다. 도면 부호 7은 슬리브 와셔를 지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슬리브 니플(4-1 또는 4-2)과 주 파이프 레일(1)은 슬리브 니플(4-1 또는 4-2)의 덜거덕거리는 현상(chattering) 및 축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용접 방법 또는 납땜 방법에 의해 견고하게 접합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접속 이음구로서 예시된 암나사식 원통형 슬리브 니플(4-1) 및 수나사식 원통형 슬리브 니플(4-2)은 모두 용접 방법 또는 납땜 방법에 의해 주 파이프 레일(1)에 직접 접합된다. 접합을 위해 용접 방법이 채택되면, 분기 접속체(3)의 연결 부분은 열 영향에 의해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슬리브 니플(4-1 또는 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저 단부의 외주에서 용접 덧땜부(6)에 의해 용접되므로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게 되도록 되는데, 그 이유는 용접열의 영향이 주 파이프 레일(1)의 도관(1-1)의 내압 피로의 시작 위치(α)의 부근 및 분기 접속체(3)의 접속 헤드(3-2)의 가압면(3-3)과 주 파이프 레일(1)의 수압면(2)과의 사이에 있는 밀봉선 위치(β)의 부근까지는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납땜 방법이 채택되면, 열 영향은 내압 피로의 시작 위치(α)의 부근 및 밀봉선 위치(β)의 부근까지 미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열 영향을 받기 어려운 재료가 주 파이프 레일(1) 또는 슬리브 니플(4-1 또는 4-2)의 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납땜 방법이 채택되면, 슬리브 니플은 주 파이프 레일이 용이하게 제조되는 별도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도록 슬리브 니플 전체가 주 파이프 레일에 접합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암나사식 슬리브 니플(4-1) 또는 수나사식 슬리브 니플(4-2)은 그 기저 단부와 주 파이프 레일(1)의 외주 사이의 접합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강도가 강화되도록 그 기저 단부 구조가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접합을 위해 용접 방법이 채택되면, 열 영향의 문제가 한층 더 고려될 수 있다. 고온 영향을 보다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용접시에 용융되어 없어지는 폭이 좁은 용접용 플랜지(4a)가 슬리브 니플(4-1 또는 4-2)의 기저 단부에 형성되는 구조로 도 4a에 예시되고, 폭이 넓은 용접용 플랜지(4b)가 슬리브 니플(4-1 또는 4-2)의 기저 단부에 형성되는 구조로 도 4b에 예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접용 플랜지(4a 또는 4b)를 슬리브 니플(4-1 또는 4-2)의 기저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압 피로의 시작 부분(α)으로부터 또는 수압면의 밀봉선 위치(β)로부터 용접 부분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기 때문에, 용접열의 영향이 용접용 플랜지가 없는 슬리브 니플에서보다 더욱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접합을 위해 납땜 방법이 채택되면, 그 작업은 폭이 좁은 납땜 플랜지부(4a) 또는 폭이 넓은 납땜 플랜지부(4b)에 의해 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용접 강도 역시 강화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암나사식 원통형 슬리브 니플(4-1a)의 기저 단부의 구조는 그 기저 단부가 주 파이프 레일(1)에 탑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에는 또한, 도 4에 도시된 플랜지가 형성된 슬리브 니플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용접열 영향을 방지하여, 납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납땜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원통형 슬리브 니플(4, 4-1a)이 수나사식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는 외형이 원형인 슬리브 니플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암나사식 슬리브 니플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형상이 원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장방형 형상을 갖는 슬리브 니플(4-1b)로 대체하여도 된다. 이러한 장방형 슬리브 니플(4-1b)에 의해 원형 슬리브 니플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용이하게 성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에서, 분기 접속체의 접속 이음구는 원통형 슬리브 니플로 대체되며, 이러한 슬리브 니플은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한 접속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주 파이프 레일의 외주의 일부분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결과, 분기 접속체는, 분기 접속체에 미리 조립된 수형 너트를 슬리브 니플 내부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주 파이프 레일에 접속된다. 또 한편으로, 접속 부분은 크기 및 중량이 감소되고 컴팩트해질 수 있으며, 또 슬리브 니플의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음으로써, 접속 부분의 이완에 의해 야기되는 누출, 먼지의 침입이 장기간 동안 방지될 수 있어, 안정되고 용이한 접속이 보장된다. 따라서,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의 매우 유용한 접속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0)

  1.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로서,
    축선을 중심으로 형성된 내주면과 외주면을 갖는 둘레벽과,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둘레벽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주 파이프 레일로서, 상기 내주면의 내부에는 도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각각은 둘레면을 가지며, 상기 둘레면의 일부분에는 상기 주 파이프 레일의 상기 둘레벽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외측을 향해 벌어지게 형성된 수압면이 마련된 그러한 주 파이프 레일과;
    상기 주 파이프 레일의 도관과 연통하는 도관과, 단부와, 확장된 접속 헤드를 구비하는 분기 접속체로서, 상기 접속 헤드에는 상기 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견부(shoulder)가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주 파이프 레일의 수압면에 접촉하도록 테이퍼진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는 그러한 분기 접속체와;
    상기 분기 접속체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접속 헤드의 견부를 압압하는 부분을 구비하는 너트와;
    180°이하의 상기 주 파이프 레일의 호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수압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수압면을 둘러싸는 상기 주 파이프 레일의 상기 외주면 부분과 면 대(對) 면으로 맞물려 배치되는 기저 단부면을 구비하는 슬리브 니플을 포함하며,
    상기 기저 단부면에 있는 상기 슬리브 니플의 외측 부분은 상기 주 파이프 레일의 상기 외주면과 접속되고, 상기 슬리브 니플에는 상기 수압면과 정렬되도록 관통 연장되는 구멍이 마련되며, 또 상기 슬리브 니플에는 상기 구멍과 동심인 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나사와 상기 슬리브 니플의 나사면을 조임으로써 상기 분기 접속체의 상기 가압면이 상기 주 파이프 레일의 수압면과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수형 너트이며, 상기 슬리브 니플의 나사면은 상기 구멍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캡 너트이며, 상기 슬리브 니플의 나사면은 수나사의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헤드의 견부를 압압하는 부분은 슬리브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니플의 기저 단부면과, 상기 주 파이프 레일의 외주는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니플은 그 기저 단부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접속용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니플을 상기 주 파이프 레일에 견고하게 접합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니플의 최외측부에는 상기 기저 단부면과 상기 주 파이프 레일에 인접하여 접합되는 용접 덧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니플을 상기 주 파이프 레일에 견고하게 접합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니플의 최외측부에는 상기 기저 단부면과 상기 주 파이프 레일에 인접한 땜납 필렛(solder fillet)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파이프 레일의 외경은 대략 20 mm이고, 벽 두께는 대략 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니플의 구멍 내경은 상기 접속 헤드의 외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접합 작업 중에 발생되는 열로 인한 상기 주 파이프 레일의 상기 수압면에 대한 열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니플과 상기 주 파이프 레일 사이에서의 상기 접합 부분이 상기 수압면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지게 되도록 상기 슬리브 니플의 기저 단부면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KR1019970063316A 1996-11-30 1997-11-27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KR100254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4549 1996-11-30
JP33454996 1996-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24A KR19980042824A (ko) 1998-08-17
KR100254017B1 true KR100254017B1 (ko) 2000-04-15

Family

ID=1827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316A KR100254017B1 (ko) 1996-11-30 1997-11-27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40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24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2964B2 (ja) コモンレールにおける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KR920006406B1 (ko) 고압연료 매니폴드의 분기관 연결구조물
US4832376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branch pipe in high-pressure fuel manifold
US4893601A (en) Manifold for conveying a high-pressure fuel
JP2915099B2 (ja) 高圧燃料多岐管における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JP4518459B2 (ja) 燃料高圧アキュムレータ
US4953896A (en) Structure for connecting branch pipe in high-pressure fuel manifold
US5398981A (en) Self-centering, self-seating, double-sealing, intereference fit tube joint
GB2319824A (en) Joint structure for a branch connector with a common rail
JP2000320426A (ja) ディーゼル機関用高圧燃料噴射管
KR100254017B1 (ko) 공통 레일의 분기 접속체 접속 구조
JP2001082663A (ja) コモンレール用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JP3768043B2 (ja) コモンレール用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US5123678A (en) Junction and sealing device having a metallic lip joint
JPH10213045A (ja) コモンレールにおける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JPH09329287A (ja) コモンレールにおける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JP4055950B2 (ja) コモンレールの分岐継手構造
CN220396537U (zh) 一种侧阀及其阀壳结构
JP2599652B2 (ja) 高圧燃料多岐管における分岐枝管の接続構造
JP3748943B2 (ja) コモンレールにおける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JP3877185B2 (ja) コモンレールにおける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JP4003891B2 (ja) コモンレールにおける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JPH0511430Y2 (ko)
JPH10159676A (ja) コモンレール
KR20026142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