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060B1 -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 Google Patents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060B1
KR100253060B1 KR1019970053634A KR19970053634A KR100253060B1 KR 100253060 B1 KR100253060 B1 KR 100253060B1 KR 1019970053634 A KR1019970053634 A KR 1019970053634A KR 19970053634 A KR19970053634 A KR 19970053634A KR 100253060 B1 KR100253060 B1 KR 100253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thode ray
ray tube
magnetic shield
color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968A (ko
Inventor
마에하라무쯔미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1998003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부와, 넥부 및 이 패널부와 이 넥부를 연결하고 또한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퍼넬부를 구비한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내부자기시일드는, 퍼넬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자기시일드는, 전자총에 인접한 한쪽단부에 소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1개구와, 새도우마스크에 인접한 다른쪽단부에 대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2개구와, 제1, 제2개구의 대응코너사이에 형성된 접은선을 가진 대략 사각형의 피라밋형 프레임구조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내부자기시일드의 측면은 제1개구에 인접한 부분에서 각각 대략 V자형상의 노치로 형성되고, 또한 내부자기시일드의 접은선의 각각은, 제2개구에 인접한 접은선의 가상평균단부가 제2개구의 사이드방향으로 제2개구의 대응코너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시프트된 점에서 상기 제2개구에 평행한 투사면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또한 세그먼트는, 제2개구에 인접한 접은선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1개구의 대응코너와 가상평균단부사이를 연결하는 선위의 소정의 점을 제2개구의 대응코너에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이에 의해 내부자기시일드의 측면의 면적비율을 조정하고, 따라서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깊이가 작게형성되는 경우에도, 전자빔경로를 적절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내부자기시일드의 전체차폐효과가 열화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본 발명은 내부자계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빔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시간부터 전자빔이 새도우마스크를 개재하여 형광층을 충돌하는 시간까지 지자기등의 외부자계에 의해 전자빔이 영향을 받지 않게 구성되어 높은 색순도의 표시화상을 제공하는 내부자계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음극선관은, 앞쪽에 위치하고 또한 큰 직경의 전면판을 가지는 패널부와, 뒤쪽에 위치하는 작은 직경의 넥부 및 상기 패널부와 상기 넥부를 연결하는 대략 퍼넬형상의 퍼넬부로 이루어진 진공유리엔빌로우프(벌브)를 가진다. 패널부에는, 전면판의 내면위에 피복에 의해 형광층이 형성되고, 또한 다수의 전자빔구멍을 가지는 새도우마스가 형광층에 대향하여 놓여있다. 넥부는 3개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이 내장되어 있다. 퍼넬부에는, 대략 4각형의 피라밋형 프레임구조로 이루어진 내부자기시일드는 컬러음극선관의 안쪽에 배치되고, 한편 편향코일은 이 컬러음극선관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내부자기시일드는,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3개의 전자빔이 지자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내부자기시일드는 지자기를 차폐하는 충분한 효과를 가지지 않는 경우, 3개의 전자빔은 지자기의 영향을 받아 본래의 전자빔통로로부터 다소 벗어나도록 되고, 그 결과 컬러음극선관의 표시화상은 컬러순도(color purity)가 열화되고 또한 컬러얼룩짐을 발생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알려진 컬러음극선관에 사용된 종래의 내부자기시일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상면도이고, 도 5c는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려진 내부자속시일드는, 두 개의 장측벽(41A)(41B)과 두 개의 단측벽(42A),(42B)로 이루어진 대략 4변형의 피라밋형 프레임부재(40)로 구성된다. 내부자기시일드는, 전자총에 인접한 한쪽 단부에 형성된 소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1개구(43)와, 새도우마스크에 인접한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대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2개구(44)를 가진다. 두 개의 장측벽(41A)(41B)는 각각 최대깊이 C'를 가지는 대략 V자형상의 노치(43A),(43B)를 가진 제1개구(43)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다.
프레임부재(40)가 퍼넬부내에 배치된 경우, 제2개구(44)의 에지부(45)는 새도우마스크의 주변부와 함께 패널부의 측벽에 장착된 지지프레임에 조립된다. 이 경우에, 소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1개구(43)는 전자총과 대면하고, 대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2개구(44)는 새도우마스크에 대면하고, 따라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3개의 전자빔이 프레임부재(40)의 안쪽을 통과하고 마스크의 전자빔구멍중 한 구멍을 통과하여 형광층을 출돌하도록 한다.
한편, 2개의 장측벽(41A),(41B)에 형성된 대략 V자형상의 노치(43A),(43B)는 프레임부재(40)의 안쪽을 통과하는 전자빔의 통로를 규제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대략 V자형상의 노치(43A),(43B)의 최대깊이 C'를 선택함으로써, 2개의 장측벽(41A),(41B)과 2개의 단측벽(42A),(42B)위에 수렴되는 지자기의 양을 제어한다. 또한, 대략 V자형상의 노치(43A),(43B)는 2개의 장측벽(41A),(41B)에 형성되는 대신에 2개의 단측벽(42A),(42B)에 형성되어도 되고,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기시일드에서는, 전자빔통로이 적절한 규제를 위해 대략 V자형상의 노치(43A),(43B)의 최대깊이 C'가 증가되는 경우, 전자빔통로가 규제될 수 있어도, 두 개의 장측벽(41A),(41B) 또는 2개의 단측벽(42A),(42B)의 유효면 적은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고, 그 결과 내부자기시일드의 전체차폐효과가 열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차폐효과가 열화되지 않도록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깊이가 작게 되는 경우에도 전자빔통로를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는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패널부의 전면판의 내면위에 형성된 형광층과, 형광층에 대향하여 배치된 새도우마스크와, 넥부에 내장된 전자총과, 전자총에 인접한 한쪽단부에 소직경의 대략 직4각형의 제1개구와 새도우마스크에 인접한 다른쪽단부에 대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2개구와 제1, 제2개구의 대응코너사이에 형성된 주름선을 가지는 대략 사변형의 피라밋형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퍼넬부에 배치된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내부자기시일드의 접은선의 각각은, 제2개구에 인접한 접은선의 가상평균단부(virtual mean end)가 제2개구의 측방향으로 제2개구의 대응코너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된 점에서 제2개구에 평행한 투사평면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또한 세그먼트는, 제2개구에 인접한 접은선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개구의 대응코너에 대한 제1개구의 대응코너와 가상평균단부사이를 연결하는 선위에 소정의 점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이에 의해 내부자기시일드의 측면의 면적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음극선관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직사각형의 제2개구에 인접한 접은선의 가상평균단부는, 형광층이 다수의 형광도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장측의 방향으로 코너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된 점에서 투사평면위에 위치한다.
또한, 대략 직사각형의 제2개구에 인접한 접은선의 가상평균단부는, 형광층이 다수의 형광스트라이프로 이루어지는 경우, 단측의 방향으로 코너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된 점에서 투사평면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단부에 인접한 접은선의 가상평균단부는, 두 개의 단측벽의 유효면적에 대한 두 개의 장측벽의 유효면적의 비율은, 두 개의 장측벽 또는 두 개의 단측벽에 형성된 대략 V자형상노치의 최대깊이를 조정하는 공지된 수단 대신에 소정의 길이를 선택함으로써 조정되고, 따라서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 깊이가 작게되도록 선택된 경우에도, 전자빔통로를 적절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전체차폐효과가 열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 2개구에 인접한 접은선의 가상평균단부는, 내부자기시일드가 자기시일드의 개구에 평행한 평면위에 투사될때에, 투사평면위에서 제 2개구의 측면위에 위치한 점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2a도는 제1도의 컬러음극선관에 사용되는 내부자기시일드로서, 긴측벽에 대략 V자형상의 노치가 형성된 내부자기시일드의 제1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2b도는 내부자기시일드의 개구에 평행한 평면위에 투사된 제2a도의 상면도.
제2c도는 제2a도의 측면도.
제3도는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깊이와 전자빔통로의 변위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
제4a도, 제4b, 제4c도는 각각 도 2a, 도 2b, 도 2c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단측벽에 대략 V자형상의 노치가 형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상면도, 측면도.
제5a, 제5b, 제5c도는 공지된 컬러음극선관에 사용되는 내부자기시일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부 2 : 넥부
3 : 퍼넬부 4 : 형광층
5 : 새도우마스크 6 : 지지프레임
7 : 내부자기시일드 8 : 편향요크
9 : 순수자석 10 : 중앙빔정적수렴조정자석
11 : 사이드빔정적수렴조정자석 12 : 전자총
13 : 전자빔 14 : 프레임구조
15A,15B : 장측벽(long side wall) 16A,16B,18A,18B : 좁은 크기조정측벽
17A,17B : 단측벽(small side wall) 19A,19B,19C,19D : 접은선
20 : 제1개구 201,202,203,204,211,213,214: 코너
20A,20B : 노치 21 : 제2개구
2111, 2121, 2131,2141: 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1)은 패널부이고; (2)는 넥부이고; (3)은 퍼넬부이고; (4)는 형광층이고; (5)는 새도우마스크이고; (6)은 지지프레임이고; (7)은 내부자기시일드이고; (8)은 편향요크이고; (9)는 순수자석이고; (10)은 중앙빔정적수렴조정자석이고; (11)은 사이드빔정적수렴조정자석이고; (12)는 전자총이고; (13)은 전자빔이다.
컬러음극선관을 구성하는 진공유리엔빌로우프(벌브)는, 전면판의 내부면위에 형성된 형관층(4)을 가지고 전면에 위치한 패널부(1)와, 전자총(12)을 내장하고 뒷면에 위치한 길고 홀쭉한 넥부(2)와, 패널부(1)와 넥부(2)를 연결하는 대략 퍼넬형상의 퍼넬부(3)로 구성된다. 새도우마스크(5)가 형광층(4)에 대면한 상태로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패널부(1)의 측벽위에 장착된 지지프레임(6)에 새도우마스크(5)의 주변가장자리가 부착된다. 패널부(1)로부터 퍼넬부(3)까지 연장되도록 대략 사변형의 피라밋형상의 내부자기시일드(7)가 진공엔빌로우프의 안쪽에 배치되게 지지프레임(6)에 내부자기시일드(7)의 에지부가 장착된다. 퍼넬부(3)와 넥부(2)의 연결부에 위치하도록 진공엔빌로우프의 바깥쪽에 편향요크(8)가 부착된다. 순수자석(9), 중앙빔정적수렴조정자석(10), 사이드빔정적수렴조정자석(11)은 모두 나란한 관계로 넥부(2)의 주위에 위치한다. 전자총(12)으로부터 방출된 3개의 전자빔(도 1에는 3개의 전자빔중 한 개만 도시되어 있음)은 편향요크(8)에 의해 생성된 자계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편향된 다음에, 새도우마스크(5)에 형성된 다수의 전자빔 구멍중 한 구멍을 통하여 형광층위에서 컬러화소중 대응하는 컬러화소에 도달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컬러음극선관의 동작, 즉, 표시동작은, 알려진 컬러음극선관의 표시동작과 전적으로 동일하고, 따라서 컬러음극선관의 화상표시동작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컬러음극선관에 사용된 내부자기시일드(7)의 제 1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상면도이고, 도 2c는 측면도이다. 도 2b는 자기시일드의 개구에 평행한 평면위에 투사한 도면과 동등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부자기시일드(7)는, 2개의 장측벽(15A),(15B)과, 이 2개의 장측벽(15A),(15B)의 하부에 각각 연결된 좁은 크기조정측벽(16A),(16B)과 2개의 단측벽(17A),(17B)과, 이 2개의 단측벽(17A),(17B)의 하부에 각각 연결된 좁은 크기조정측벽(18A),(18B)과, 측벽(15A)과 측벽(17A)사이에 형성된 접은선(19A)과, 측벽(17A)과 측벽(15B)사이에 형성된 접은선(19B)과, 측벽(15B)과 측벽(17B)사이에 형성된 접은선(19C) 및 측벽(17B)과 측벽(15A)사이에 형성된 접은선(19D)으로 구성된 대략 사변형의 피라밋형 프레임구조(14)로 이루어진다. 프레임구조(14)는, 전자총(12)에 인접한 한쪽단부에 있는 소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 1개구(20)와 새도우마스크(5)에 인접한 다른쪽 단부에 있는 대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 2개구(21)를 가진다. 두 개의 장측벽(15A),(15B)은, 각각 최대깊이C를 가지는 대략 V형상의 노치(20A),(20B)를 가진 제 1개구(20)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개구(20)에 인접한 한쪽단부가 제 1개구(20)의 제 1코너(201)와 일치하고, 또한 제 2개구(21)에 인접한 다른쪽 가상평균단부가 제 2개구(21)의 제 1코너(211)와 일치하지 않지만 장측의 방향으로 제 1코너(211)로부터 소정의 길이△ℓ만큼 이동한 점(2111)에서 제 2개구(21)와 평행한 투사평면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접은선(19A)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1개구(20)에 인접한 한쪽단부가 제 1개구(20)의 제 2코너(202)와 일치하고, 또한 제 2개구(21)에 인접한 다른쪽 가상평균단부가 제 2개구(21)의 제 2코너(212)와 일치하지 않지만 장측의 방향으로 제 2코너(212)로부터 소정의 길이 △ℓ만큼 이동된 점(2121)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접은선(19B)이 형성된다. 제 1개구(20)에 인접한 한쪽단부가 제 1개구(20)의 제 3코너(203)와 일치하고, 또한 제 2개구(21)에 인접한 다른쪽 가상평균단부가 제 2개구(21)의 제 3코너(213)와 일치하지 않지만, 장측의 방향으로, 제 3코너(213)로부터 소정의 길이 △ℓ만큼 이동된 점(2131)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접은선(19C)이 형성된다. 제 1개구(20)에 인접한 한쪽단부가 제 1개구(20)의 제 4코너(204)와 일치하고, 또한 제 2개구(21)에 인접한 다른쪽 가상평균단부가 제 2개구(21)의 제 4코너(214)와 일치하지 않지만 장측의 방향의 제 4코너(214)로부터 소정의 길이△ℓ만큼 이동된 점(2141)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접은선(19D)이 형성된다.
크기조정측벽(16A),(16B)와 (18A),(18B)는, 가상평균단부가 제 2개구(21)의 코너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 2개구(21)에 인접한 접은선(19A), (19B), (19C), (19D)의 가상평균단부가 각각 이들의 물리적인 평균단부(physical mean ends)와 대략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보조부재이다. 이 경우에는, 접은선 (19A),(19B),(19C),(19D)의 물리적인 평균단부가 각각 제 2개구(21)의 대응코너와 일치하도록 접은선(19A),(19B),(19C),(19D)이 3차원으로 제 2개구(21)에 근접한 각각의 점에서 외부방향으로 구부려서 크기조정측벽(16A),(16B)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접은선(19A),(19B),(19C),(19D)가 제 2개구(21)에 근접한 이들의 각각의 점에서 외부방향으로 구부리는 사실과 마찬가지로, 접은선(19A),(19B),(19C),(19D)의 물리적인 평균단부가 각각 제 2개구(21)의 대응코너(211),(212),(213),(214)와 일치하도록, 2개의 단측벽(17A),(17B)의 표면이 동일한 방식으로 외부방향으로 구부려서 크기조정측벽(18A),(18B)이 형성되도록 한다.
프레임구조(14)가 퍼넬부(3)의 안쪽에 배치되는 경우, 제 2개구(21)의 에지부는 알려진 프레임구조(40)와 마찬가지로 새도우마스크(5)의 주변부와 함께 패널부(1)의 측벽위에 장착된 지지프레임(6)에 조립된다(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 이 경우에는 소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 1개구(20)는 전자총(12)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또한 대략 직사각형의 제 2개구(21)는 새도우마스크(5)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전자총(12)으로부터 방출된 3개의 전자빔(13)은, 프레임구조(14)의 안쪽을 통과하고 새도우마스크(5)의 전자빔통과구멍(도시되지 않음)중 한 개의 구멍을 통하여 형광층(4)에 충돌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전면판위에 요구된 화상을 표시한다.
두 개의 장측벽(15A),(15B)에 형성된 대략 V자형상의 노치(20A),(20B)는, 알려진 대략 V형상의 노치(43A),(43B)와 마찬가지로 프레임구조(14)의 안쪽을 통과하는 전자빔의 통로를 규제하기 위해 형성된다(도 15a 내지 도 5c를 참조). 대략 V자형상의 노치(20A),(20B)의 최대깊이C는 알려진 대략 V자형상노치(43A),(43B)의 최대깊이C'보다 작도록 선택된다.
상기 구조를 가지는 내부자기시일드에 의하면, 접은선 (19A),(19B),(19C),(19D)을 형성할때에, 제 1개구(20)에 인접한 단부가 제 1개구(20)의 대응코너(201)~(204)와 각각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한편 제 2개구(21)에 근접한 가상평균단부는, 각각 장측의 방향으로 제 2개구(21)의 대응코너(211)~(214)로부터 소정의 길이 △ℓ만큼 이동한 점(2111),(2121),(2131),(2141)에서 투과된 평면위에 위치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2b와 도 5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려진 내부자기시일드(도 5a내지 도 5c를 참조)에 비해서, 지자기가 통과하는 2개의 장측벽(15A),(15B)의 유효면적은 감소되고 또한 2개의 단측벽(17A),(17B)의 유효면적은 증가한다. 이 경우에는, 소정의 길이 △ℓ즉, 제 2개구(21)에 인접한 접은선(19A),(19B),(19C),(17D)의 가상평균단부가 위치하는 점(2111),(2121),(2131),(2141)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2개의 단측벽(17A),(17B)의 유효면적에 대한 2개의 장측벽(15A),(15B)의 유효면적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략 V자형상의 노치(20A),(20B)의 최대깊이C를 조정함이 없이 내부자기시일드의 안쪽을 통과하는 3개의 전자빔통로를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상평균 단부가 장측의 방향으로 코너(211)~(214)로부터 이동되는 소정의 길이△ℓ이 18.7mm인 경우, 대략 V자형상노치(20A),(20B)의 최대깊이C는 44.7mm이다. 그러나, 이들의 수치는 일예에 불과하고 본 실시예의 구조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깊이와 지자기에 기인한 전자빔통로의 범위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이고, 이 특성은 컬러음극선관의 중심축이 남북방향으로 놓이도록 컬러음극선관을 위치할때에 얻는다.
도 3에서, 실선은 본 실시예의 컬러음극선관에 의해 얻은 특성을 나타내고, 점선은 알려진 컬러음극선관에 의해 얻은 특성을 나타낸다. 양쪽의 실선과 점선에 대해서는, 곡선 1은 수직축방향(수직방향, 즉, 단축방향)에서의 컬러음극선관의 특성을 나타내고, 곡선 2는 수평축방향(수평방향, 즉, 장축방향)에서의 컬러음극선관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3의 특성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알려진 컬러음극선관에서는, 수직축과 수평축방향으로의 전자빔의 변위는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깊이C'가 어느정도 증가하지 않으면 거의 동등하게 될 수 없고, 한편 본 실시예의 컬러음극선관에서는, 수직축과 수평축방향으로의 전자빔의 변위는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깊이C를 그다지 증가함이 없이 거의 동등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컬러음극선관은,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깊이C가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차폐효과가 한층더 양호한 것이 입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은선(19A),(19B),(19C),(19D)의 가상평균단부가 각각 장측의 방향으로 제 2개구(21)의 대응코너(211)내지 코너(214)로부터 소정의 길이△ℓ만큼 이동된 점(2111),(2121),(2131),(2141)에 위치하도록 선택되고 또한 대략 V자형상의 노치(20A),(20B)가 각각 2개의 장측벽(15A),(15B)에 형성되는 경우를 취하여 내부자기시일드를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내부자기시일드는 상기 구조를 가지는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접은선(19A),(19B),(19C),(19D)의 가상평균단부가 각각 단측의 방향으로 제 2개구(21)의 대응코너(211)~(214)로부터 소정의 길이△ℓ'만큼 이동한 점(2112),(2122),(2132),(2142)에 위치하도록 선택되고, 또한 대략 V자형상의 노치(20A),(20B)는 각각 2개의 단측벽(17A),(17B)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접은선(19A),(19B),(19C),(19D)의 가상평균단부가 제 2개구(21)에 평행한 투사평면위에 위치하는 점(2112),(2122),(2132),(2142)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2개의 단측벽(17A),(17B)의 유효면적에 대한 2개의 장측벽(15A),(15B)의 유효면적의 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깊이를 조정함이 없이 내부자기시일드의 안쪽을 통과하는 3개의 전자빔을 적절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실시예는 형광층(4)이 형광도트로 형성된 형태의 컬러음극선관에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한편 제 2실시예는 형광층(4)이 형광스트라이프로 형성된 형태의 컬러음극선관에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두 개의 단측벽(17A),(17B)의 유효면적에 대한 두 개의 장측벽의 유효면적의 비율을 조정하기 위하여 제 2개구(21)에 인접한 접은선(19A)내지 접은선(19D)의 가상평균단부는,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깊이C를 조정함이 없이 측면의 방향으로 대응하는 코어(211)내지 (214)로부터 소정의 길이 △ℓ(△ℓ')만큼 이동된 점(2111)내지 점(2141)(점(2112)내지 점(2142))에 위치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전체의 차폐효과를 열화시킴이 없이 전자빔을 적절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부자기시일드는 측면에 V자형상의 노치로 형성된 것에 대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노치가 없는 시이드에서도,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조정된 지자기에 기인한 전자빔의 변위방향은 본 발명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개구에 인접한 접은선의 가상평균단부는, 두 개의 단측벽의 유효면적에 대한 두 개의 장측벽의 유효면적의 비율이 두 개의 장측벽이나 두 개의 단측벽에 형성된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깊이를 조정하는 공지의 방법대신에 소정의 길이를 선택함으로써 조정되는 목적을 위하여, 측면의 방향으로 코너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된 점에 제 2개구에 평행한 투사면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대략 V자형상의 노치의 최대깊이가 작게되어도, 전자빔통로를 적절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전체의 차폐효과가 열화되지 않는다.

Claims (6)

  1. 컬러음극선관은, 패널부와, 넥부 및 이 패널부와 넥부를 연결하고 또한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퍼넬부를 구비하고, 상기 컬러음극선관은, 적어도, 상기 패널부의 전면판의 내부면위에 형성된 형광층과, 상기 넥부에 내장된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 인접한 한쪽단부에 소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1개구와 상기 새도우마스크에 인접한 다른쪽단부에 대직경의 대략 직사각형의 제2개구와 상기 제1, 제2개구의 대응코너사이에 형성된 접은선을 가지는 대략 사각형의 피라밋형 프레임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퍼넬부에 배치된 내부자기시일드를 구비한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내부자기시일드의 접은선의 각각은, 상기 제2개구에 인접한 상기 접은선의 가상평균단부(virtual mean end)가 상기 제2개구의 사이드방향으로 상기 제2개구의 대응코너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된 점에서 제2개구에 평행한 투사평면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세그먼트는, 제2개구에 인접한 접은선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가상평균단부와 제1개구의 대응코너사이를 연결하는 선위의 소정의 점을 상기 제2개구의 대응코너에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이에 의해 내부자기시일드의 측면의 면적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에 인접한 접은선의 가상평균단부는, 상기 형광층이 다수의 형광도트로 이루어질 경우, 장측의 방향으로 코너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된 점에서의 투사평면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에 인접한 접은선의 가상평균단부는, 상기 형광층이 다수의 형광스트라이프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단측의 방향으로 코너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된 점에서의 투사평면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음극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내부자기시일드의 측면은, 상기 시일드의 안쪽을 통과하는 전자빔통로를 규제하도록 상기 제1개구에 인접한 부분에 대략 V자형상의 노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음극선관.
  5.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내부자기시일드의 측면은, 상기 시일드의 안쪽을 통과하는 전자빔통로를 규제하도록 상기 제1개구에 인접한 부분에 대략 V자형상의 노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음극선관.
  6. 제3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내부자기시일드의 측면은, 상기 시일드의 안쪽을 통과하는 전자빔통로를 규제하도록 상기 제1개구에 인접한 부분에 대략 V자형상의 노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음극선관.
KR1019970053634A 1996-10-18 1997-10-18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KR100253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76244 1996-10-18
JP8276244A JPH10125248A (ja) 1996-10-18 1996-10-18 内部磁気シールドを有するカラー陰極線管
JP1996-276244 1996-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968A KR19980032968A (ko) 1998-07-25
KR100253060B1 true KR100253060B1 (ko) 2000-04-15

Family

ID=1756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634A KR100253060B1 (ko) 1996-10-18 1997-10-18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6020678A (ko)
JP (1) JPH10125248A (ko)
KR (1) KR100253060B1 (ko)
MY (1) MY1152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5248A (ja) * 1996-10-18 1998-05-15 Hitachi Ltd 内部磁気シールドを有するカラー陰極線管
TW402731B (en) * 1997-09-12 2000-08-21 Hitachi Ltd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internal magnetic shield
TW497115B (en) * 1998-04-28 2002-08-01 Hitachi Ltd Cathode ray tube
KR100307449B1 (ko) * 1999-01-13 2001-12-28 김순택 음극선관용 기능성 필름
JP2001185043A (ja) * 1999-12-28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陰極線管
US6720723B2 (en) * 2000-03-16 2004-04-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thode ray tube for achieving small electron beam landing deviation
US6680829B2 (en) * 2000-09-13 2004-01-20 Seagate Technology Llc MR structures for high areal density reader by using side shields
KR100350621B1 (ko) * 2000-12-15 2002-08-30 엘지전자주식회사 개선된 인너쉴드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6635B2 (ja) * 1989-02-20 1998-05-06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
JP3153915B2 (ja) 1991-08-07 2001-04-09 ソニー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BE1007683A3 (nl) 1993-10-29 1995-09-12 Philips Electronics Nv Kleurenbeeldbuis met uitwendige magnetische afscherming.
JP3480977B2 (ja) 1993-12-24 2003-12-22 ソニー株式会社 内部磁気シールド及びそれを用いた陰極線管
JPH08287838A (ja) 1995-04-07 1996-11-01 Sony Corp 陰極線管
JPH10125248A (ja) * 1996-10-18 1998-05-15 Hitachi Ltd 内部磁気シールドを有するカラー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968A (ko) 1998-07-25
MY115252A (en) 2003-04-30
US6339282B2 (en) 2002-01-15
JPH10125248A (ja) 1998-05-15
US6020678A (en) 2000-02-01
US20010000645A1 (en) 2001-05-03
US6177758B1 (en) 2001-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3060B1 (ko)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JP2892046B2 (ja) カラー受像管
US6124668A (en) Color cathode ray tube
US4274031A (en) Color tube having shield correcting for terrestrial magnetism
JP3153597B2 (ja) カラー受像管
JP3463962B2 (ja) カラー受像管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US622925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internal magnetic shield
US4983995A (en) Exposure device for forming phosphor deposited screen in in-line cathode ray tube
US5763996A (en) Cathode ray tube
US6987350B2 (en) Inner shield and cathode ray tube including the same
KR100339365B1 (ko) 음극선관의 텐션 새도우마스크의 조립체 구조
JP2743829B2 (ja) カラー陰極線管
JP4022378B2 (ja) 陰極線管
JP3978220B2 (ja) 陰極線管
JPH0515713Y2 (ko)
KR100846582B1 (ko) 음극선관용 이너쉴드
JPH11149883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00010590U (ko) 음극선관
JPH03187131A (ja) カラー受像管
JPH11273582A (ja) カラー受像管
JPH11167877A (ja) 陰極線管
JP2000311620A (ja) 内部磁気シールドおよびカラー陰極線管
JPH04315737A (ja) カラー受像管
JPH07105863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