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377B1 -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 - Google Patents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377B1
KR100250377B1 KR1019940701476A KR19940701476A KR100250377B1 KR 100250377 B1 KR100250377 B1 KR 100250377B1 KR 1019940701476 A KR1019940701476 A KR 1019940701476A KR 19940701476 A KR19940701476 A KR 19940701476A KR 100250377 B1 KR100250377 B1 KR 100250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mi
panel
rigid containe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뮤레이 멜로즈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마일즈 이안 호워드-리안
코2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일즈 이안 호워드-리안, 코2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일즈 이안 호워드-리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Abstract

프러스토코니컬 모양을 형성하는 다수의 다이아몬드형 패널(112)로 구성되는 접힘부분(7)을 갖는 반강성 용기(1)가 제1도에 나타나 있다. 패널(112)은 횡 및 종방향에서 상호연결 프러스토코니컬 기재(111)에 대해 아치형으로 되어 있어, 패널(112)이 내부 용기압력으로 부터의 팽창에 저항하는 동안 패널(112)은 횡으로 팽창할 수 있고, 종방향의 찌부러뜨리는 힘하에서 접힘부분의 접힘을 가능케 하고 찌부러진 상태로 부터의 팽창에 저항된다. 다른 모양의 패널(112)이 또한 기술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용기, 특히, 반경질(半硬質)의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탄산가스 포화 액체 등의 저장을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반경질'' 용기란 용어는, 비록 그 용기가 ''경질'' 용기와 구별되도록 약간의 유연성을 가질지라도, ''유연성'' 용기의 경우와 같이 내용물에 의해 변형되거나 그 내용물의 형상을 취하지 않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재료로 된 용기를 말한다. ''반경질''이란 용어는,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이러한 의미로 사용된다.
[발명의 배경]
탄산음료 등과 같은 탄산가스 포화 액체는, 그 액체를 탄산가스 포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또는 적어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가스 등이 액체로부터 빠져나가는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밀(氣密) 용기내에 압력하에 저장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일단 용기가 열리면, 가스가 액체로부터 방출되는 경향이 있다. 가스방출과정은 용기를 재밀봉함으로써 다소 늦추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재밀봉후에는, 전형적으로, 가스가 방출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확장된 헤드 스페이스가 있게 된다.
용기내의 음료 또는 다른 액체가 감소함에 따라 헤드 스페이스가 감소될 수 있다면, 가스가 액체로부터 방출되거나 상실되는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현재까지 많은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가 제안되었다. 이들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중 몇몇은 벨로즈(bellows)형으로 되어 있는데, 그러한 용기는 많은 단점을 가진다.
첫째로, 이들 용기는 압력용기로서 기능하지 않아, 청량음료를 담는데 사용될 수 없다. 그러한 용기에 청량음료를 채운 경우, 액체로부터의 내압에 의해, 뚜껑을 닫은 후에 용기가 과팽창하게 된다. 그 용기는 부풀어진 상태로 초과신장하여, 큰 헤드 스페이스가 발생함으로써, 탄산가스 포화의 상실을 초래한다. 그러한 상실은 용기의 가벼운 동요에서도 일어나고, 그러한 용기는, 보틀링(bottling)공장에서 출하된 청량음료 용기에서 예상되는 가혹한 운송 및 취급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될 수 없다.
둘째로, 벨로즈형 용기가 이와 같이 팽창하고 찌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용기를 부분적으로 찌부러뜨리고 뚜껑을 다시 씌운 후에, 용기를 떨어뜨리거나 어떤 방식으로 흔드는 경우, 액체로부터의 압력으로 헤드 스페이스가 형성됨에 따라 용기가 재팽창하고, 이어서 탄산가스 포화가 상실되게 된다. 이것은 의도된 목적을 오히려 저해한다.
몇몇 벨로즈형 용기들이 개선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 용기는 전술한 문제들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또한, 비교적 미세한 공차로 만들어져야 하고, 사용이 비교적 불편하다.
미국 특허 제4,790,361호(존스 등)는, 용기가 채워진 후, 찌부러뜨리는 것이 요구되기 전 과팽창의 문제를 극복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것은, 용기를 제 위치에 보유시키기 위한 외부 클램핑장치 없이는 벨로즈형 용기에서 결코 달성될 수 없다. 그러한 장치는 용기에 결합되어야 하여,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이 용기는 '가득참을 넘어선'정도의 팽창에는 부분적으로 저항할 수 있지만, 흔들어진 청량음료로부터 발생되는 매우 높은 압력에는 여전히 굴복한다.
그러한 팽창이 일어난 때, 상기 미국 특허의 용기의 의도된 형상 역시 신장되어, 그 용기의 재료인 플라스틱에 대한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을 초래한다. 또한, 이 용기는 현재 채택되는 플라스틱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그러한 용기의 큰 표면적 때문에, 재료가격이 증가된다. 이 용기는 또한, 찌부러진 상태로부터 재팽창되기 쉽다.
상기 미국 특허의 용기는 다수의 융기부와 홈으로 형성된 주름을 가지고 있고, 각 융기부는 4변형으로 된 평면 영역들로 이루어지고, 찌부러짐이 일어날 때 중심이 될 수 있는 힌지(hinge)로서 작용한다.
미국 특허 제4,492,313호(토우자니)의 용기 역시, 초기에는 압력용기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용기 또한, 청량음료를 담는데 사용될 수 없다. 이 미국 특허는, 부분적으로 찌부러진 상태로부터 재팽창하는 문제를 극복하는데 약간 진전했다. 그러나, 이 미국 특허가 이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이 용기는 약간 '구획적인' 방식으로 찌부러지고, 남겨지는 헤드 스페이스의 부피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갑작스런 변동''으로 내용물을 방출한다. 찌부러짐의 이러한 구획적인 방식은 또한, 내용물의 일부가 튀어나오는 것을 야기한다. 또한, 조작자는, 뚜껑을 한 후 용기를 부주의하여 과하게 압축할 수 있고, 그 결과, 다음에 뚜껑을 연 때 내용물이 넘쳐 흐르게 된다.
영국 특허명세서 제781,103호(인터내쇼날 페이턴츠 트러스트)에서는, 치약과 같은 점성물질을 위한 용기가 그의 측벽을 따라 형성된 축방향 주름을 가지고 있다. 벽이 접힘에 따라, 베이스에 대한 압력으로 그 베이스가 벽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점성물질을 분배한다.
미국 특허 제4,865,211호(홀링스워스), 네덜란드 특허 제294,186호(메탈 박스), 미국 특허 제4,456,134호(쿠퍼), 프랑스 특허 제2,294,297호(노르모스) 및 프랑스 특허 제623,181호(리스)에, 콘서티나(concertina) 또는 다른 접힘벽형 구조를 사용하는 다른 다양한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용기는 청량음료용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미국 특허 제4,865,211호 및 영국 특허명세서 제781,103호의 용기들은, 이들 각각이 이용하는 주름 및 단(tuck) 때문에, 꽉찼을 때 용기를 과팽창시키는 내부압력을 더욱 쉽게 받으므로, 특히 적절하지 않다.
또한, 이들 용기는 특히 그들이 유연성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찌부러진 상태로부터 쉽게 재팽창한다. 영국 특허명세서 제781,103호의 용기가 특히 재팽창을 받기 쉽다.
이들 용기 각각은 미국 특허 제4,865,211호의 제8도에 가장 잘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원형 또는 고리형으로 접혀 찌부러진다. 그 자체로 접혀지거나 또는 찌부러지지 않는 원형 벽에 의지하여 접혀지는 벽을 가지는 용기가, 네덜란드 특허 제294,186호 및 영국 특허명세서 제781,103호로부터 구체적으로 참조될 수 있다. 이들 용기의 벽은 폴리텐(polythene)과 같은 유연성 재료로 만들어 진다. 영국 특허명세서 제781,103호의 경우, 내용물이 유체가 아니고 약간 점성이다. 이것은, 용기안에서의 그 물질의 이동이 저항을 받기 때문에 찌부러뜨리는 힘하에서 용기벽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이것은, 찌부러뜨리는 힘하에서 유연성 벽이 비틀림에 저항하는 것을 돕는다.
다른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는, 이용가능한 헤드 스페이스를 감소시키도록 찌부러지는 비교적 유연성의 백(bag)부분을 포함한다. 박스내 백 구조의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는 '거품이 일지 않는' 와인과 같은 액체를 수용할 수 있으나, '거품이 이는' 와인과 같은 압력하의 음료는 수용할 수 없다. 이것은, 안에 압력이 있는 경우 백이 찌부러진 후 재팽창하는 성질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이런 유형의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에 대한 개선은, 찌부러짐을 제어하고 찌부러진 용기를 찌부러진 상태에 유지하는 외부 용기, 쉘(shell) 등과 같은 별개의 제어수단을 요하는데 집중되어 왔다. 이러한 외부 제어장치는 백을 항상 동반해야 하기 때문에 용기에 상당한 비용을 부가시킨다. 그러한 용기의 예가 상기 언급된 쿠퍼의 미국 특허 제4,456,134호 및 노르모스의 프랑스 특허 제2,294,297호에 기재되어 있다. PET 및 다른 플라스틱 용기의 베이스에 관해서는, 가능한 설계에 대하여 여러 가지가 제안되었으며, 현재 가장 대중적인 하나가 뉴질랜드 특허 제227,274호(콘티넨탈 페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의 ''페탈로이드(petaloid)'' 베이스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형태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극복하고 적어도 대중에게 유용한 선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다수의 패널수단을 갖는 접힘부분이 용기 측벽에 제공되어 있고, 각각의 패널수단은 적어도 용기의 종축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활모양(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이고, 상기 패널수단들이 함께 작용하여 찌부러진 상태로부터 상기 접힘부분이 팽창하는 것에 저항하고, 종방향의 찌부러뜨리는 힘하에 상기 접힘부분의 점진적인 접힘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상기 종방향의 찌부러뜨리는 힘에 대한 강성(剛性)을 제공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 부피를 감소시키는데 있어 상기 접힘부분이 용기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접히도록 배치된 반경질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은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개략 측면도.
제2도는 부분적으로 찌부러진 상태의 제1도의 용기의 개략 단면도.
제3도는 완전히 찌부러진 상태의 제1도의 용기의 개략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X - X선을 따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접힘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개략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개략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개략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패널의 배면 사시도.
제10도는 제8도 및 제9도의 패널의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제어부분의 일 예의 개략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J - J선에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I - I선에 따른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개략 측면도.
제15a도, 제15b도, 및 제15c도는 각각 정상 상태, 부분적으로 찌부러진 상태 및 완전히 찌부러진 상태의 본 발명의 추가적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개략 측면도.
제17도 및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베이스의 가능한 실시형태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제19(a)도 및 제19(b)도는 본 발명의 따른 실시형태를 위한 다른 패널 배열들을 보여주는 도면.
제20(a), (b), (c)도는 원통형 용기를 안으로 접거나 뒤집는 효과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
도면들에 나타낸 실시형태 및 이들 도면과 관련된 하기 설명은 오직 예로서 제공된 것이고,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제1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경질 용기(1)가 도시되어 있다. 이 용기(1)는 실질적으로 기다란 청량음료 병이다. 이 용기의 일 단부에 개구(2)를 가지고 있고, 나삿니가 있는 뚜껑(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한 재밀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나삿니(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1)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경질의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어떤 적절한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용기(1)의 측벽(4)에는 접힘부분(5)이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힘부분이 점선 A와 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1)의 종방향 및 내측으로 향한(본 실시예에서는, 종축선(8)을 따라 화살표 9의 방향으로 향한) 찌부러뜨리는 힘에 응하여, 용기(1)는 측벽(4)의 접힘부분(5)에서 점진적으로 안으로 접혀, 외부로 개방된 오목부(10)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용기(1)의 내부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접힘작용이 계속됨에 따라, 접힘부분(5)은 용기(1) 아래로 상대적으로 내려가, 수용부분(12)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 수용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는 거스(girth)부분(13)과 베이스(14)에 의해 제공된다.
제1도를 다시 참조하여, 접힘작용을 더 상세히 고찰하여 보면, 이 실시예에서, 접힘부분(5)은 접힘이 개시되는 개시부분(6)과 접힘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분(7)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개시부분(6)은 강한 지역과 약한 지역이 번갈아 있도록 형성되고, 인접한 제어부분(7) 및 목부분(11)보다는 더 쉽게 화살표 9의 방향으로의 힘에 응하여 상대적으로 찌부러질 수 있다. 그리하여, 찌부러뜨리는 힘에 응하여, 개시부분(6)의 상대적으로 제어된 이동이 일어나, 전술한 접힘작용을 시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개시부분(6)의 번갈아 있는 강한 지역과 약한 지역은 측벽의 횡으로 배치된 2개의 인접한 환형 세그먼트들에 의해 제공된다. 약한 지역이 인접한 환형 세그먼트들 사이의 간극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약한 지역은, 연마 등에 의해 재료의 두께를 감소시킨 것이 아니라, 개시부분(6)내에서 측벽을 이루는 재료의 각도를 약간 변경시킨 것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부분(7)은, 다이아몬드 형상을 이루도록 4개의 변을 각각 가진 다수의 기다란 다각형 패널(112)을 가지고 있다. 그 패널(112)들은 그들의 주축이 용기의 종축선(8)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각각 배치되고, 측벽(4)에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의 형태를 부여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의 형태는, 측벽(5)의 접힘부분(5)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분(12)안에 위치하도록 접히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112와 같은 패널수단을 이용한다면, 원통형 및 다각형과 같은 다른 형태도 접힘부분(5)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형태는, 접히는데 있어 접힘부분(5)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에 영향을 주고, 접힘부 형성의 용이함을 변경시킨다. 특히,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접힘부가 생성되어 용기내로 꺾여져 들어감에 따라 형성되는 오목부(10)의 바깥 둘레에 형성된 립(lip)(100)을 제외하고, 접힘부분(5)의 접혀진 부분의 직경은 접혀지려고 하는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접혀진 부분이 접힌 후 수용부분(12)안에 위치할 여지가 있게 된다.
제20도를 참조하여 이 점을 더 설명한다. 용기의 측벽(500)이 절두원추형이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경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용기를 접는 것에 의해, 직경 G(제20도(a))보다 작은 직경 H(제20도(b))를 가지고 상단벽(499)으로부터 형성되는 거꾸로 된 링이 형성된다. 이것은 반전에 저항하는 축방향 응력을 초래한다. 원래의 직경(G)을 유지하면서 측벽(500)이 안으로 접혀질 수 있는 여지가 원통안에는 없다. 접힘부쪽 대신에,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측벽 아래로의 힘의 상응하는 전달이 있게 되고, 이것에 의해, 화살표 P의 방향으로의 찌부러뜨리는 힘하에 원통형 측벽(500)이, 안으로 접히는 대신에, 제20도(b)에서 50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뒤틀리게 된다. 실제로, 원통이 안으로 접히게 하는 유일한 방법은, 외부 프레임 또는 금형안에 원통을 보유시키고, 그 원통속으로 밀어넣는 플런징(plunging)장치에 의해 원통을 강제적으로 안으로 반전시키는 것이다. 안으로 반전된 부분은 감소된 직경을 취하는 경향 때문에 상당히 뒤틀리게 된다(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소정 길이의 원주가 어떤 지점에서 변형되어야 한다).
또 다르게는, 예를 들어 뒤집은 경우(제20도(c) 참조), 직경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49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집은 부분이 파열되거나 신장되어야 하고,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그러한 동작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외부장치가 이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부장치의 도움없이 종방향으로 향한 힘으로 찌부러지기만 하는 용기를 얻기 위해서는, 찌부러지는 부분은 본 발명의 패널들이 없을 때, 모양이 절두원추형이거나, 재료가 약간 탄성적이고, 새로운 위치에서 원래의 칫수를 유지할 수 없이 팽창 또는 수축할 수 있어야 한다.
제1도의 개시부분(6)과 같은 개시부분이 없는 경우는, 절두원추형 부분 조차도 조절적인 반전에 의해, 특히, 가파른 자세와 적당한 측벽길이중 하나로 찌부러지는 것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측벽은 상단 부하의 힘을 견딜 수 없고, 용기는 간단히 변형되어 아무렇게나 완전히 찌부러진다. 가파른 벽의 어느 지점에서 반전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힘은 벽을 변형시키고 뒤틀리게 하는데 요구되는 것보다 매우 더 크다. 일단 벽의 부분이 뒤틀리기 시작하면, 용기의 나머지 부분은 추가의 하향 압력에 응하여 이러한 뒤틀림 패턴을 계속한다.
다시 제1도~제3도를 참조하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찌부러뜨리는 힘을 가하는 조작자는 실제로는 찌부러뜨리는 힘을 대체로 화살표 9의 방향으로만 향하게 한다.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편차가 있게 되고, 찌부러뜨리는 힘에 있어서의 편차는, 상쇄되지 않거나 다른 방식으로 감소되지 않는다면, 특히 너무 빠르게 찌부러지는 경우 접힘부분(5)의 불규칙한 접힘을 야기한다. 불규칙한 접힘은, 찌부러뜨리는 힘에 응하여 일어나는 것이 원해지는 점진적 접힘작용보다는 측벽(4)의 재밍(jamming) 및 뒤틀림을 야기한다.
접힘부분(5)의 패널(112)은 예정되고 비교적 규칙적인 방식으로 용기의 접힘이 일어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어부분(7)의 패널(112)은 규칙적인 접힘을 돕고, 측벽이 찌부러뜨리는 힘에 응하여 재밍하고 뒤틀리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이것이 일어나는 방식이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분(7)의 패널(112)이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활모양(arcuate)으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활모양의 형상은 제1도의 X-X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제4도에서 볼 수 있다. 제4도에 패널(112)에 대하여 나타내어진 것과 같은 활모양 형상을 갖는 패널을 제공함으로써, 접히는 동안 패널(112)에 의해 발휘되는 제어작용이 향상된다. ''활모양''이란 용어는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용기 벽의 주(主) 원주면으로부터 불룩하게 튀어나온 용기 벽의 윤곽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된다.
제4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패널(112)이 접혀진다. 패널(112)은,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4)의 비교적 좁은 비활모양 부분들로서 제공된 배리어(barrier) 수단(90, 101)에 의해 인접 패널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제1도의 절두원추형 망상(網狀)조직의 기재(111)를 형성한다. 배리어 수단(90)과 배리어 수단(101) 사이에 형성된 현(弦)(23)이 점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용기가 찌부러지고 측벽(4)이 점진적으로 안으로 접힘에 따라, 패널(112)은 그의 활모양 형상을 잃도록 (곧바르게 펴져) 변형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모양은 현모양이다. 즉, 현(23)의 모양과 실질적으로 비슷하다.
패널(112)의 호(弧)의 길이(패널(112)의 활모양 길이)는 현(23)의 길이보다 크기 때문에, 접힘에 의해, 접힘작용중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바깥 둘레가 약간 확장된다. 패널(112)의 각 측부의 배리어 수단(90)과 배리어 수단(101) 사이의 현길이는 패널(112)의 활모양 길이와 같게 최대로 증가한다. 그후, 접힘이 계속됨에 따라, 접혀진 패널(112)의 일부분은 직선화 및 접힘전에 택했던 실질적으로 활모양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바깥 둘레의 확장을 제5도에서 볼 수 있다. 제5도는, 립(100)에서 측벽(4)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의 바깥 둘레가, 접힘부(26)가 측벽 아래로 진행함에 따라 용기의 외면(선(24)으로 나타냄)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그의 정상위치로부터 바깥으로 구부러지는 방식을 보여준다.
바깥 둘레가 약간 확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절두원추부가 비교적 쉽게 반전되게 된다. 힘이 반경방향으로 전달되어 측벽의 바깥 둘레를 증가시키고, 측벽 아래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측벽의 뒤틀림을 야기할 수 있다. 측벽의 바깥 둘레의 이러한 확장은, 절두원추형 측벽의 부분들이 반전되어, 접히려는 측벽 안쪽에 위치되게 하는 여지를 제공한다. 그러한 패널(112)을 갖는 절두원추형 부분이 이러한 적응 특징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오목부(10)의 립(100)에 의해 만들어지는 파형에 대한 저항을 크게 줄인다.
또한, 용기의 측벽(4)을 인접한 패널(112)들로 분할함으로써, 측벽(4)이 소정의 현길이의 부분들로 분할되어 접힌다. 따라서, 접힘부의 바깥 둘레는, 접힘작용중에 형성된 현들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것과 같이(제4도 참조), 다각형 모양을 형성한다. 형성된 다각형은 이용된 패널의 수 및 그에 포함된 호의 양에 따라 가변적인 수의 측변을 갖는다. 따라서, 접힘부분의 바깥 둘레(제2도에서 100)는 전술한 것과 같은 선행기술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원형이 아니다. 이러한 다각형 형성은, 접혀진 부분들이 서로의 쪽으로 향하는 것을 돕고, 그 부분들이 함께 오그라져, 래칭(latching) 효과가 일어나게 한다. 그러한 효과는 현을 넘어 다른 측부로 굽어지는 활모양 패널의 형성에 의해 더욱 향상된다. 이 래칭 효과는 접혀진 부분이 높은 내부 압력에서도 접혀지지 않은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각형 구조의 모서리들은 접혀지지 않은 벽 부분에 비교적 가깝다. 활모양 패널(112)의 경우에, 접히는 동안의 현길이는, 접힘전의 호의 측면들 사이에서 측정된 현의 길이와 패널(112)의 활모양 길이 사이의 범위이다(제4도 참조).
접혀지는 측벽 부분들의 현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접힘중에 일어나는 재밍 및 뒤틀림의 경향이 감소된다. 패널(112)은 용기 아래로 내려감에 따라 립(접힘부)(100)에 평평화 효과를 발휘하고, 이것은 조작자에 의해 가해지는 찌부러뜨림의 방향에 있어서의 어떤 잘못된 편차를 교정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나타내어진 다이아몬드형의 활모양 패널(112)은 제어부분(7)의 접힘작용을 돕고 제어한다.
패널(112)의 다이아몬드형 호들 사이에서 연장하여 상호연결 기재(111)를 형성하는 배리어 수단(90, 101)은 쌍축방향 압력하에 있을 때 어떤 확장에도 저항하는 강도를 제어부분(7)에 제공한다. 용기가 탄산음료 등의 저장을 위해 사용된 때, 과거에 용기에 대하여 제안된 바와 같은, 제어부분상의 단순한 기다란 패널은 용기벽을 유연하게 하여, 내용물로부터의 압력하에 있을 때 용기 벽이 팽창하게 한다. 이것은 헤드 스페이스를 형성하여 탄산가스 포화의 상실을 초래한다.
다이아몬드형 패널(112) 사이의 배리어 수단(90, 101)은, 뚜껑이 설치되고 내부압력이 형성될 때 양 방향으로 팽팽하게 된다. 배리어 수단(90, 101)은 순수하게 절두원추형의 베이스 또는 기재(111)상에 놓인다. 패널들 사이의 상호연결 기재(111)의 형상, 크기 및/또는 깊이는 용기의 원하는 특성에 적합하도록 요구되는 대로 변경될 수 있다. 부여되는 힘은 다이아몬드형 패널(112)상에서 양 방향으로의 이동을 일으키도록 시도한다. 각 방향으로의 힘이 같기 때문에, 다이아몬드 형상이 변할 수 없다. 각 패널(112)이 일정한 크기이기 때문에, 제어부분(7)은 팽창할 수 없다.
그러나, 일단 뚜껑이 제거되면, 어느 방향으로도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뚜껑이 열려 있는 동안에, 조작자는 제1도에서 화살표 9로 나타낸 한 방향(용기를 찌부러지게 하는 아래방향)으로 압력을 선택적으로 가할 수 있다. 힘이 한 방향으로만 가해지기 때문에, 패널(112)의 다이아몬드 형상은 수직방향으로 이완하도록 힘을 받고 활모양의 패널(112)이 여분의 재료를 부여함으로써 바깥 둘레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게 한다. 그래서, 립(100)의 바깥둘레 확장이 달성되고, 전술한 방식으로 찌부러짐을 제어한다.
패널(112)은 또한, 압력하의 액체를 담는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로서 사용되는 용기(1)의 행동에 또 다른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제어부분의 접혀진 부분은 그의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게 더욱 방지된다. 다이아몬드형 패널(112)들의 접혀진 호들은 반전된 위치에서 다시 재팽창하고, 찌부러진 상태로부터 용기를 팽창시키도록 힘이 가해진 때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용기를 떨어뜨린 때 내용물내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반전된 부분은 꺾어 젖혀질 수 없고, 접혀져 있는 호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하여, 용기가 부분적으로 찌부러진 상태에서 조차도 압력용기로서 그의 본래 모습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는, 다양한 수의 변을 가지는 다각형이 접힘부분에 이용될 수 있다. 비록 다이아몬드 망상조직보다 뚜렷한 잇점은 없어도, 그 다각형은 혼합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변의 수가 더 많거나 적은 다각형이 호를 이루는 다른 구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기하학적 형상도 이용될 수 있다.
패널에 부여되는 호의 크기는, 찌부러짐의 용이함에 영향을 주는 현 형성에 요구되는 제어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횡방향, 즉, 테 방향의 호가 필수요건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종방향의 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제19(a)도를 참조하면, 한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접힘부분(600)은, 패널들이 그들의 중심에서 뾰족하게 되도록 호를 이룬 다수의 삼각형 패널(601)로 형성된다. 제19(b)도에서, 다른 실시형태의 접힘부분(602)은, 중심에서 뾰족하게 되도록 호를 이룬 다수의 원형 패널(603)을 가진다.
다시, 제1도, 제2도 및 제3도로 돌아가서, 베이스(14)는 공동(空洞)(28)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용기(1)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찌부러지고 측벽(4)의 립(100)이 다소 최대의 크기일 때, 공동(28)이 목부분(11)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이도록, 공동(28)이 접힘부분(5)에 인접한 목부분(11)의 부분들과 관련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3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목부분(11)의 테두리(29)는, 평면상에서 공동(28)의 테두리(30)에 의해 형성된 면적과 적어도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그 보다 더 큰 면적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은 접힌 위치에서, 테두리(29)의 부분은, 용기를 뒤집어 내용물을 비우는 중에 공동(28)내의 액체가 측벽(4)의 접힌부분내로 보다는 목부분(11)으로 그리고 개구(2)쪽으로 흐르는 것을 돕도록 테두리(30)의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음, 제6도를 보면, 접힘부분의 다른 배열을 볼 수 있다. 제6도에서, 접힘부분(15)은 개시부분(16)과 제어부분(17)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제어부분(17)은 육각형 패널(22)를 포함한다.
개시부분(16)도, 육각형 패널(22)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개시부(16)을 구성하는 패널(22)은 요구되는 경우, 제어부분(17)을 구성하는 패널보다 크기가 작고 수가 더 많을 수 있고, 제어부분(17)의 패널의 위치에 대하여 치우쳐 있을 수 있다.
비탄산 음료의 경우, 특히 열을 가지고 채우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채운 후 약간의 수축을 허용하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부호 599(제1도에서는 111)로 전체적으로 나타낸 패널 연결 배리어 망상조직을 변경함으로써, 압력을 수용하는 제어부분의 능력(예를 들면, 수축능력 대신으로 비탄산 음료에서는 필요치 않은)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의 일 예는, 배리어 망상조직으로부터 횡단 연결부분(598)을 제거하여 각각의 육각형 패널(22)로부터의 호가 종방향으로 연통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모든 구조들이 위에서 볼 때 다각형 형상으로 접힌다.
패널(22) 사이의 횡단 연결 부분 또는 다른 연결 부분들의 이러한 제거 또는 변경은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중 어느 하나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접힘을 개시하고 제어하는 다른 적당한 구조가 접힘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한가지 다른 실시형태에서, 패널들이 제공되는 경우, 단일 패널이 용기의 접힘부분 전체를 실질적으로 횡단하도록 제어부분과 개시부분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이런 실시형태의 예가 제7도에 나타내어져 있다.
제7도를 보면, 용기(200)는 목부분(201), 선 G와 선 H 사이에 형성된 접힘부분(202), 및 수용부분(203)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목부분(201)과 접힘부분(202)의 교차점에 바로 인접한 지역에, 용기(200)의 취급을 돕도록 오목부(204)가 제공되어 있다.
접힘부분(202)에는 개시부분(205)과 제어부분(206)이 제공되어 있고, 수용부분(203)은 거스(girth)부분(207)과 베이스(208)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부분(202)에는, 다수의 다이아몬드형 패널(209)이 제공되어 있고, 그 패널(209)은 적어도 횡방향으로 활모양이다. 각 패널은 용기(202)의 종축선과 정렬되어 있고, 접힘부분(202)에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의 형상을 부여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목부분(201)과 수용부분(203)의 패널(199)은 다른 기능을 가진다. 이들 패널(199)은 접힘을 돕지 않고, 대신에, 목부분(201)과 수용부분(203)에 강도를 제공하여 그 부분들이 축방향으로 향한 접는 힘하에서 비틀리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형되는 것에 저항하는 것을 돕는다. 패널(209)에 제공된 호와 비교하여, 목부분(201)과 수용부분(203)에는 비교적 미소한 호만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들에서는, 오목부(204) 주변에 작은 활모양 패널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패널은 매우 높은 압력상태하에 있을 때 오목부가 재료내의 플라스틱 크리프(creep)에 저항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그것은, 이 지역이 대개 제조단계에서의 2축 연신의 성질에 기인하여 용기 측벽의 나머지 만큼 강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오목부(204)의 강도를 돕기 위해 다른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는데, 그 예를 들면, 오목부(204) 주변에 배치되는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진 강한 외부 유지 링을 부가하는 것이다.
음료용기의 개선된 베이스부분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2축 연신을 이용하는 병 제조중에, 중합체 분자 배향이 병의 꼭대기와 바닥에서는 적어, 이들 지역을 더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베이스의 일반적인 둥근 디자인은 (그의 양호한 압력 수용 능력에 기인하여) 재료의 요구를 최소화한다. 그러나, 이러한 둥근 디자인에서는, 병이 곧바로 세워질 수 없어, 평평한 바닥을 가진 베이스 '컵'이 요구된다. 이것은 PET 또는 보통 고밀도 폴리프로필렌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특히 미국에서, 별도의 컵이 필요없는 베이스 디자인에 많은 연구가 행해져왔고, 컨티넨탈 비버리지 컨테이너스 인코포레이티드는 병이 설 수 있게 하는 발을 형성하는 4개 또는 5개의 돌기를 갖는 베이스를 제안하였다. 이 디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통 ''페탈로이드(petaloid)'' 베이스라 불리는데, 이것은, 많은 재료가 요구되고 블로우 성형기가 높은 블로우 성형 압력과 금형 클램핑 압력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단점을 가진다.
다른 단점은, 베이스 주변에 분포된 상이한 재료두께의 많은 지역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들 여러 두께 때문에 매우 복잡한 응력 패턴이 발생된다.
또 다른 단점은, 신장되지 않은 두꺼운 중앙지역이 압력하에 균열의 주된 부위가 되고, 이 지역이 바닥 파괴의 가장 일반적인 부위라는 점이다. 이것은, 강력한 압력이 표면을 바깥쪽으로 밀도록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런 종류의 베이스 디자인의 다른 결점은, 냉장장치에서 가장 흔한 것과 같이 용기가 그릴과 같은 표면위에 안정성 있게 곧바르게 설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소매상인과 소비자 모두에 불만이 되는 사항이다.
이들 문제중 일부를 극복하거나 또는 적어도 적절한 선택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이들 실시형태의 목적이 있다.
제7도를 다시 참조하면, 예시적인 베이스(208)는, 제1도, 제2도 및 제3도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오목부(211)를 제공하여, 용기의 잔여 내용물을 수집하여 개구(210)로 전달하는 것을 돕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히 용기가 PET 등으로 형성된 경우, 베이스(208)가 전형적인 탄산음료의 내부압력에 견디는 것을 돕기 위해, 비교적 깊은 펀트(punt), 즉, 오목부(211)가 제공된다. '펀트'라는 용어는 특히 삼페인 병의 바닥에 있는 공동(空洞)을 묘사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예시적인 베이스(208)는 발(페탈로이드 베이스를 가진 경우와 같이)이 아니라, 병이 놓이는 비대한 원형 링을 제공함으로써, 이전의 제안에 대한 개선을 제공한다. 이러한 완전 접촉 링은, 냉장장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릴과 같은 불완전한 면에 놓일 때 더 큰 안정성을 제공한다.
제8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면, 제7도의 것과 같은 다이아몬드형 패널(209)의 예가 더 자세히 나타내어져 있다. 한쪽 끝으로 향하여 테이퍼진 복합 패널(300)을 형성하도록 패널(301, 302, 303)이 제공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제9도와 제10도의 단면도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패널(301, 302, 30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접힘을 제어하도록 횡방향 및 종방향 모두에서 활모양이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서, 제어부분(304)의 다이아몬드형 패널(305)은 활모양이고, 접는 작용에 요구되는 절두원추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다음, 제14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용기가 부호 478로 전체적으로 지시되어 나타내어져 있다. 이 용기는 앞의 실시형태의 다이아몬드형 패널을 다수의 육각형 패널(475)로 대체하여 접힘부분(472)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개시부분(476)은 다수의 동심의 약한 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이 약한 선들은 목부분(477)에 이르기까지 각도가 변화하여 있다. 베이스(474)는 목부분(477)의 테두리의 것과 같거나 그 보다 작은 내부직경을 제공한다. 육각형 패널(475)은 용기(478)의 종축선의 방향으로 정열되어 있다. 각 패널(475)은, 찌부러뜨리는 힘에 의해 축방향으로 찌부러지게 하지만 내부압력에 기인한 원주방향으로의 팽창에 저항하도록 적어도 횡방향으로 활모양이다.
제15(a)도 내지 제15(c)도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용기가 부호 492로 전체적으로 지시되어 있다. 이 용기는, 다이아몬드형 패널(420)의 망상조직에 의해 형성된 아래로 향한 절두원추형 접힘부분(488)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래로 향하여 상방에 위치되는 이러한 접힘부분(488)의 배치는 용기가 찌부러짐에 따라 용기가 더 완전히 비워지게 해 준다. '직립' 구조에서 일반적인 것과 같이, 찌부러지는 벽 내부에는 공기가 전혀 포획될 수 없다.
활모양 패널(420)의 이러한 망상조직은 팽창력에 저항하고, 접힘부분(488)을 제 위치에 유지한다. 물론, 이들 패널(420)의 치수는 다를 수 있다. 어떤 용기에서는 패널들이 다른 용기보다 더 넓을 수 있고, 하나의 용기에서 패널들이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뚜껑을 벗긴 때, 패널들의 망상조직은 음료로부터의 힘을 더 이상 받지 않는다. 그러한 힘은 보통, 망상조직의 각 패널(420)의 수직 및 수평 방향 모두로의 이동을 유발하려고 시도한다. 뚜껑이 씌어져 있을 때는 각 방향으로의 힘이 같기 때문에, 다이아몬드형 패널(420)로 이루어진 망상조직의 접힘부분(488)은 움직일 수 없다. 그러나, 일단 뚜껑이 벗겨지면, 어느 방향으로도 힘이 존재하지 않는다. 뚜껑이 벗겨져 있는 동안, 조작자는 용기를 찌부러뜨리기 위해 선택적으로 한 방향(제15b도에서는 하방)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힘이 한 방향으로만 향하기 때문에, 망상조직의 접힘부분(488)의 다이아몬드형 패널(420)은, 수직방향으로 이완하고 활모양 패널(420)이 여분의 재료를 부여하여 접힘부(487)에 영향을 끼치기 시작하게 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그리하여, 접힘부(487)가 베이스(490)위로 이동함에 따라 그 접힘부의 바깥둘레 확장이 달성되고, 전술한 방식으로 용기의 찌부러짐이 제어된다.
이 실시형태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들은 하나 이상의 접힘제어부분을 이용할 수 있다.
제16도를 참조하면, 이 실시형태의 용기(800)는 제15도에서 처럼 하방이 아니라 상방으로 테이퍼진 절두원추형 형상을 이루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활모양 패널(801)을 가지는 접힘부분(80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기의 베이스 형태로 돌아가보면, 또 다른 개선점은 베이스 전체에 걸쳐 재료가 더욱 균일하게 분포된 점이다. 제17도에서 베이스(483)의 안쪽면(480)은 펀트(punt)(479) 주위의 비교적 신장되지 않은 재료로 된 중앙 기둥(481)의 끝에서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비신장 재료를 그러한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그 재료가 압력하에 자기지지(self supporting) 성질을 가져, 균열로부터 더욱 보호된다. 압력하의 자기지지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안쪽으로 볼록한 돔(dome)을 이용하고 얇은 재료로 만들어진 샴페인 병 형태의 펀트 베이스의 일반적인 결점과 같이, 용기의 바닥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서, 베이스는, 제17도의 본 발명의 예와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접는 힘에 저항하도록 배열된 활모양 패널들을 가지고 있다. 이 부분에 활모양 패널을 부가함으로써, 압력지탱 수준이 증가된다. 한 방향으로 재료가 접히는 것을 활모양 패널이 도울 수 있는 것처럼, 만일 패널의 방향이 바뀌면, 그 패널은 접히는 경향을 억제할 수 있다. 제17도에서 중앙 기둥(481) 근처에 그 패널을 이용함으로써, 베이스가 하방으로 힘을 받고 압력하에 접히는 성질이 상당히 감소된다.
제18도는, 압력한계를 증가시키기 위해 펀트(484)의 중공 기둥(485) 주위에 활모양 패널(486)을 이용하는 다른 예시적인 베이스(483)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패널 배열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들은 안쪽으로 접히는 것 대신에, 밖으로 뒤집는 작용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뒤집음 개시부분과 뒤집음 제어부분을 가진 접힘부분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실시형태에서 다이아몬드형의 활모양 패널 또는 다른 형태의 패널은 바깥쪽이 아니라 안쪽으로 향한다.
여러가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각기 다른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각기 다른 부분을 가지며 찌부러짐이 한끝을 안쪽으로 미는 것에 의한 것이 아니라 중간 부분을 접는 것을 통해 달성되는 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하여, 본 발명에 의해, 용기를 찌부러뜨리기 위해 용기 측벽의 점진적인 접힘의 제어가 보조되는 개량된 용기가 제공되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베이스가 더 높은 압력을 지탱하고 용기에 증가된 안정성을 부여하도록 설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구성요소에 공지의 균등물이 적용되는 경우, 그러한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이 있을 수 있는 그의 실시 형태들에 의거하여 예로서 설명되었으나, 그에 대한 변경 또는 개량이 특허청구범위에 한정되어 있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5)

  1. 내용물에 의해 변형되거나 내용물의 형상을 취하지 않고 약간의 유연성을 가지는 반경질 용기(1)로서, 측벽(4)에 중간의 접힘부분(5)을 가지고, 목부분(11)으로부터 베이스부분(14)까지 연장하는 종축선(8)을 가지는 반경질 용기 (1)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분(5)이 다수의 패널수단(112)을 가지고 반경질이며, 각각의 상기 패널수단(112)은 종방향으로 향한 찌부러뜨리는 힘에 대한 강성(剛性)을 제공하도록 상기 용기(1)의 종축선(8)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측벽(4)의 주(主) 원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튀어나온 윤곽을 가지고 있고, 상기 패널수단(112)이, 횡방향으로 향한 힘에 대해서 유연성이 있고, 상기 패널수단(112)은, 종방향으로 향한 찌부러뜨리는 힘하에 상기 접힘부분(5)이 찌부러진 상태로 상기 용기(1)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접힐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하여 상기 측벽(4)에 배치되며, 상기 찌부러진 상태에서는, 찌부러진 상태로부터 상기 접힘부분(5)이 팽창하는 것에 저항하도록 상기 패널수단(112)이 함께 작용하면서 상기 목부분과 상기 베이스부분이 상기 용기(1)의 내부 부피를 감소시키는데 있어 서로 함께 가까이 위치되고, 상기 접힘부분(5)은, 접힘이 시작하는 개시부분(6)과 접힘을 제어하는 제어부분(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분(5)이 대체로 절두원추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수단(112)이 용기의 종축선(8)의 방향으로도 상기 측벽(4)의 주 원주면로부터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패널수단(112)이, 용기의 종축선(8)에 대체로 평행하게 정렬된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패널수단(112)이, 주축이 용기의 종축선(8)에 대체로 평행한 상태로 정렬된 다이아몬드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분(5)이, 상기 용기의 목부분(11)과 베이스부분(14) 모두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두원추형 형상은, 상기 찌부러뜨리는 힘하에 상기 목부분(11)이 상기 용기의 상기 베이스부분(14)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기 목부분(11)쪽으로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분(11)의 테두리(29)의 내부직경은, 상기 찌부러 뜨려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분(14)의 잔류 내용물이 상기 목부분(11)으로 흐르게 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분(14)의 테두리(30)의 내부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두원추형 형상은, 상기 용기를 찌부러뜨리는 데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분(490)이 상기 용기의 상기 목부분쪽으로 상기 접힘부분(488)의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용기의 베이스부분(490)쪽으로 내측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부분(6)에는 상기 접힘부분(5)에 있는 다른 영역들보다 상기 횡방향에 대하여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제1지역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부분(6)에 상기 패널수단(112)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몬드형 형상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한쌍의 삼각형 패널(60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수단이 원형의 패널(6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중앙의 깊은 오목부(211; 484)와, 용기에 대한 안정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그 오목부 주위의 원형부분을 가지는 베이스(208; 4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의 깊은 오목부(484)가, 상기 용기안에 발생된 내부압력에 응하여 상기 베이스의 재료가 접히는 것을 억제하도록 그 오목부 주위에 다수의 활모양 패널(4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질 용기.
KR1019940701476A 1991-11-01 1992-10-28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 KR100250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240448 1991-11-01
NZ240448A NZ240448A (en) 1991-11-01 1991-11-01 Semi-rigid collapsible container; side wall has folding portion having plurality of panels
PCT/GB1992/001977 WO1993009031A1 (en) 1991-11-01 1992-10-28 Collapsibl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0377B1 true KR100250377B1 (ko) 2000-04-01

Family

ID=1992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476A KR100250377B1 (ko) 1991-11-01 1992-10-28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

Country Status (31)

Country Link
EP (1) EP0609348B1 (ko)
JP (1) JP2688543B2 (ko)
KR (1) KR100250377B1 (ko)
CN (1) CN1035424C (ko)
AT (1) ATE147036T1 (ko)
AU (1) AU668111B2 (ko)
BG (1) BG61804B1 (ko)
BR (1) BR9206695A (ko)
CA (1) CA2122457C (ko)
CZ (1) CZ282612B6 (ko)
DE (1) DE69216421T2 (ko)
DK (1) DK0609348T3 (ko)
ES (1) ES2099286T3 (ko)
FI (1) FI110382B (ko)
GE (1) GEP20002323B (ko)
GR (1) GR3023012T3 (ko)
HK (1) HK1005176A1 (ko)
HU (1) HU215066B (ko)
IN (1) IN177589B (ko)
MX (1) MX9206286A (ko)
NO (1) NO303055B1 (ko)
NZ (1) NZ240448A (ko)
OA (1) OA09937A (ko)
PL (1) PL170904B1 (ko)
RO (1) RO111051B1 (ko)
RU (1) RU2118602C1 (ko)
SG (1) SG43011A1 (ko)
SK (1) SK280347B6 (ko)
UY (1) UY23824A1 (ko)
WO (1) WO1993009031A1 (ko)
ZA (1) ZA92834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92B1 (ko) * 2008-07-22 2010-09-15 김형일 자바라 용기
KR101298947B1 (ko) * 2010-09-24 2013-08-22 오희원 넘침방지용 가압버튼을 갖는 막걸리용 플라스틱병
KR102064474B1 (ko) * 2017-10-18 2020-01-09 유재경 분말형 식품이 저장되는 접철식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21694A (en) 2002-09-30 2005-05-27 Co2 Pac Ltd Container structure for removal of vacuum pressure
US7543713B2 (en) 2001-04-19 2009-06-09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ulti-functional base for a plastic, wide-mouth, blow-molded container
US8584879B2 (en) 2000-08-31 2013-11-19 Co2Pac Limited Plastic container having a deep-set invertible base and related methods
US8127955B2 (en) 2000-08-31 2012-03-06 John Denner Container structure for removal of vacuum pressure
TWI228476B (en) * 2000-08-31 2005-03-01 Co2 Pac Ltd Semi-rigid collapsible container
US10246238B2 (en) 2000-08-31 2019-04-02 Co2Pac Limited Plastic container having a deep-set invertible base and related methods
US10435223B2 (en) 2000-08-31 2019-10-08 Co2Pac Limited Method of handling a plastic container having a moveable base
US7900425B2 (en) 2005-10-14 2011-03-08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ethod for handling a hot-filled container having a moveable portion to reduce a portion of a vacuum created therein
US8381940B2 (en) 2002-09-30 2013-02-26 Co2 Pac Limited Pressure reinforced plastic container having a moveable pressure panel and related method of processing a plastic container
EP1184287A1 (en) * 2000-09-02 2002-03-06 Gohsho Company, Ltd. Collapsible, synthetic resin container
HUP0303845A2 (hu) 2001-04-19 2004-03-29 Graham Packaging Company, L.P. Többcélú fenékrész műanyag tartályokhoz, valamint ilyen fenékrésszel ellátott tartály
JP2002370721A (ja) * 2001-06-13 2002-12-24 Toyo Seikan Kaisha Ltd 合成樹脂製ボトル
US9969517B2 (en) 2002-09-30 2018-05-15 Co2Pac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plastic containers having a deep-set invertible base
US7059487B2 (en) 2003-04-29 2006-06-1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Collapsible semi-rigid container
EA005329B1 (ru) * 2003-05-03 2005-02-24 Эркин Дильшодович Хамдамов Тара (варианты)
NZ545528A (en) 2003-07-30 2008-11-28 Graham Packaging Co Container handling system for plastic containers with projections extending from the bottom, filled with hot liquids
WO2005087628A1 (en) 2004-03-11 2005-09-22 Philip Sheets A process and a device for conveying odd-shaped containers
US10611544B2 (en) 2004-07-30 2020-04-07 Co2Pac Limited Method of handling a plastic container having a moveable base
US8075833B2 (en) 2005-04-15 2011-12-13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low molded containers
US8017065B2 (en) 2006-04-07 2011-09-13 Graham Packaging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ainer having a grip region
US7799264B2 (en) 2006-03-15 2010-09-21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ntainer and method for blowmolding a base in a partial vacuum pressure reduction setup
US8747727B2 (en) 2006-04-07 2014-06-10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ethod of forming container
US9707711B2 (en) 2006-04-07 2017-07-18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ntainer having outwardly blown, invertible deep-set grips
US11897656B2 (en) 2007-02-09 2024-02-13 Co2Pac Limited Plastic container having a movable base
US11731823B2 (en) 2007-02-09 2023-08-22 Co2Pac Limited Method of handling a plastic container having a moveable base
JP5111968B2 (ja) * 2007-07-31 2013-01-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JP5172427B2 (ja) * 2008-03-31 2013-03-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耐圧性ボトル
US8627944B2 (en) 2008-07-23 2014-01-14 Graham Packaging Company L.P.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JP5579376B2 (ja) * 2008-08-01 2014-08-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
US8505758B2 (en) 2008-08-12 2013-08-13 Yoshino Kogyosho Co., Ltd. Bottle
US8636944B2 (en) 2008-12-08 2014-01-28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ethod of making plastic container having a deep-inset base
US7926243B2 (en) 2009-01-06 2011-04-19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containers
EP2669213A1 (en) 2009-07-09 2013-12-04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Liner-based storage system
JP5408501B2 (ja) * 2010-08-31 2014-02-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US8962114B2 (en) 2010-10-30 2015-02-24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mpression molded preform for forming invertible base hot-fill container,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9133006B2 (en) 2010-10-31 2015-09-15 Graham Packaging Company, L.P.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oling hot-filled containers
EP2643094A4 (en) 2010-11-23 2017-05-24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Liner-based dispenser
FR2969987B1 (fr) * 2010-12-29 2013-02-01 Sidel Participations Recipient a fond a assise interne ondulee
CN103648920B (zh) 2011-03-01 2016-10-05 高级技术材料公司 嵌套的吹塑内衬和外包装及其制造方法
US9994378B2 (en) 2011-08-15 2018-06-12 Graham Packaging Company, L.P. Plastic containers, base configurations for plastic containers, and systems, methods, and base molds thereof
US9150320B2 (en) 2011-08-15 2015-10-06 Graham Packaging Company, L.P. Plastic containers having base configurations with up-stand walls having a plurality of rings, and systems, methods, and base molds thereof
US8919587B2 (en) 2011-10-03 2014-12-30 Graham Packaging Company, L.P. Plastic container with angular vacuum panel and method of same
JP6055675B2 (ja) * 2012-12-27 2016-12-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US9022776B2 (en) 2013-03-15 2015-05-05 Graham Packaging Company, L.P. Deep grip mechanism within blow mold hanger and related methods and bottles
US9254937B2 (en) 2013-03-15 2016-02-09 Graham Packaging Company, L.P. Deep grip mechanism for blow mold and related methods and bottles
JP6537770B2 (ja) * 2013-11-22 2019-07-03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プラスチックボトル
US10040602B1 (en) 2014-09-22 2018-08-07 Walter R. Talgo Expandable container
US10589878B2 (en) * 2016-12-12 2020-03-17 The Boeing Company Additively manufactured reinforced structure
JP6953751B2 (ja) * 2017-03-15 2021-10-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及び充填体
US11465797B2 (en) * 2019-01-17 2022-10-11 Stojo Products Inc. Collapsible travel bottle
IL265049B (en) * 2019-02-25 2020-04-30 Harduff Hagai Collapsible bottle and filling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81103A (en) * 1955-02-11 1957-08-14 Internat Patents Trust Ltd Improvements in dispensing containers
GB791103A (en) * 1955-06-13 1958-02-26 Adolf Ditt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rinders for coffee, spice and the like material
JPS58134855A (ja) * 1982-01-29 1983-08-1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リザ−ブ用液体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865211A (en) * 1988-03-04 1989-09-12 Hollingsworth Elmont E Collapsible article
AU659617B2 (en) * 1990-08-31 1995-05-25 Edward S. Robbins Iii Collapsible container and related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92B1 (ko) * 2008-07-22 2010-09-15 김형일 자바라 용기
KR101298947B1 (ko) * 2010-09-24 2013-08-22 오희원 넘침방지용 가압버튼을 갖는 막걸리용 플라스틱병
KR102064474B1 (ko) * 2017-10-18 2020-01-09 유재경 분말형 식품이 저장되는 접철식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T69002A (en) 1995-08-28
CZ282612B6 (cs) 1997-08-13
FI110382B (fi) 2003-01-15
DE69216421T2 (de) 1997-08-07
AU668111B2 (en) 1996-04-26
HU215066B (hu) 1998-09-28
MX9206286A (es) 1993-08-01
DK0609348T3 (da) 1997-06-23
CZ105694A3 (en) 1994-10-19
RO111051B1 (ro) 1996-06-28
BR9206695A (pt) 1995-10-24
BG98742A (bg) 1995-07-28
SK280347B6 (sk) 1999-12-10
UY23824A1 (es) 1994-09-06
NO303055B1 (no) 1998-05-25
WO1993009031A1 (en) 1993-05-13
OA09937A (en) 1994-11-15
PL170904B1 (pl) 1997-02-28
ES2099286T3 (es) 1997-05-16
CA2122457C (en) 2001-02-27
SK49494A3 (en) 1996-06-05
ATE147036T1 (de) 1997-01-15
AU2797392A (en) 1993-06-07
JP2688543B2 (ja) 1997-12-10
FI941994A0 (fi) 1994-04-29
NO941584L (ko) 1994-06-23
CN1072643A (zh) 1993-06-02
BG61804B1 (bg) 1998-06-30
FI941994A (fi) 1994-06-23
ZA928343B (en) 1993-05-11
JPH07500305A (ja) 1995-01-12
EP0609348B1 (en) 1997-01-02
CA2122457A1 (en) 1993-05-13
DE69216421D1 (de) 1997-02-13
HU9401252D0 (en) 1994-08-29
RU94027270A (ru) 1997-03-10
EP0609348A1 (en) 1994-08-10
GR3023012T3 (en) 1997-07-30
SG43011A1 (en) 1997-10-17
NZ240448A (en) 1995-06-27
CN1035424C (zh) 1997-07-16
GEP20002323B (en) 2000-12-25
NO941584D0 (ko) 1994-04-29
RU2118602C1 (ru) 1998-09-10
IN177589B (ko) 1997-02-08
HK1005176A1 (en) 199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0377B1 (ko) 찌부러질 수 있는 용기
US5642826A (en) Collapsible container
US8127955B2 (en) Container structure for removal of vacuum pressure
US9624018B2 (en) Container structure for removal of vacuum pressure
US8584879B2 (en) Plastic container having a deep-set invertible base and related methods
US7021479B2 (en) Plastic container with sidewall vacuum panels
US20140069937A1 (en) Plastic container having a deep-set invertible base and related methods
CA2153368A1 (en) One piece plastic container for carbonated beverages
US20190291935A1 (en) Plastic container having a deep-set invertible base and related methods
IL105538A (en) Folding container
KR200232993Y1 (ko) 페트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