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178B1 - 푸시 타입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푸시 타입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178B1
KR100250178B1 KR1019960065228A KR19960065228A KR100250178B1 KR 100250178 B1 KR100250178 B1 KR 100250178B1 KR 1019960065228 A KR1019960065228 A KR 1019960065228A KR 19960065228 A KR19960065228 A KR 19960065228A KR 100250178 B1 KR100250178 B1 KR 10025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ston
cylinder
nozzle hea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138A (ko
Inventor
데쓰야 다다
Original Assignee
다다 데츠야
캐니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다 데츠야, 캐니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다 데츠야
Publication of KR97004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05B11/106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in a retracted position, e.g. in an end-of-dispensing-strok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4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having inlet or outlet valves not being actuated by pressure or having no inlet or outle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7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with means for sucking bac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the nozzle after a dispensing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목적]
간단한 구성하에서, 노즐 선단 부근에서의 액체의 잔류를 확실하게 방지한다.
[구성]
1차 밸브(32)는 피스톤(16)내로 뻗어있는 로드(32a)를 갖는 로드형상으로 성형되고, 2차 밸브(34)는, 마찰력에서 1차 밸브(32)와 연동 가능하게, 피스톤(16)내에서 1차 밸브(32)의 주위에 설치, 유지되어 있다.
스토퍼(42)가, 2차 밸브(34)를 킥하여 1차 밸브(32)와 연동을 해제하여 2차 밸브(34)를 피스톤(16)과 함께 하강시키도록, 2차 밸브(34)의 상방에서, 피스톤 (16)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 헤드(12)의 상승시, 피스톤(16)의 상승보다 늦게 2차 밸브(34)가 폐쇄됨과 동시에, 2차 밸브(34)의 폐쇄 전에서의 1차 밸브(32)의 개방을 방해함으로써, 노즐(12a), 피스톤(16)내의 잔류액을 실린더(14)에 백 석션시키고 있다.

Description

푸시 타입 디스펜서
본 발명은, 노즐 헤드에 연동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용기 내의 액체를 실린더 내로 빨아 올려, 가압하여 노즐 헤드의 노즐로부터 유출시키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샴푸, 린스 등과 같은 점성이 비교적 높은 액체가 수용된 용기에 장착되는 디스펜서로서, 예를 들면, 노즐 헤드의 누름에 연동한 실린더 내에서의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용기 내의 액체를 실린더 내로 빨아 올려, 가압하여 노즐 헤드의 부리형상의 노즐로부터 유출시키는 구성의, 이른바 푸시 타입 디스펜서가 널리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3,062,416호).
이 종류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에 있어서는, 용기로부터 실린더에 유입되는 액체의 유입로가 흡입튜브에 형성됨과 동시에, 실린더로부터 유출되는 액체의 유출로가 피스톤, 노즐(노즐 헤드)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차 밸브가 유입로 내에 설치되어서 용기, 실린더 사이에서의 액체의 흐름을 제어함과 동시에, 2차 밸브가 유출로내에 설치되어서 실린더, 노즐 사이의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고 있다.
노즐 헤드는 피스톤의 상단에 고정되어서, 피스톤과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헤드를 피스톤과 일체적으로 밀어올려, 상승(돌출)시키는 리턴 스프링이, 예를 들면, 실린더에 내장되고, 리턴 스프링의 편향력에 의해서, 노즐 헤드, 피스톤은 그의 상방위치(상승 위치, 초기위치)에 유지된다.
리턴 스프링의 편향력에 저항해서 그의 상방위치(초기위치)로부터 노즐 헤드를 하방으로 밀어넣고나서, 노즐 헤드, 결국은 피스톤이 상방위치로 복귀하면, 실린더 내가 부압화되고, 용기 내의 액체가 1차 밸브를 거쳐 실린더 내로 빨아 올려진다. 그리고나서, 리턴 스프링의 편향력에 저항해서 노즐 헤드를 상방위치로부터 밀어넣으면, 노즐 헤드에 연동한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 실린더 내의 액체가 가압되고, 가압액은 2차 밸브를 거쳐 유출로를 흘러, 노즐 헤드의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미국특허 제 3,062,416호에 개시한 바와 같이, 이런 종류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에 있어서는, 실린더 내에서 가압된 액체를 노즐 헤드의 노즐로 유도하는 유출로는, 피스톤의 내부, 노즐(노즐 헤드)의 내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샴푸, 린스 등과 같은 점성이 비교적 높은 액체는,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 실린더 내에서 가압되어도, 그 전부가, 피스톤의 1왕복(1 행정)하에서 노즐로부터 유출되는 것이 아니라, 피스톤의 상승위치에서의 유출로의 용적에 거의 상당하는 양만, 유출로에 남겨진다. 그리고, 노즐, 피스톤의 유출로에 남겨진 액체(잔류액)는, 다음번의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 2차 밸브를 거쳐서 실린더로부터 유출된 액체(가압액)에 압출되어,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유출된다.
공지의 디스펜서에 있어서는, 노즐 헤드누름에 연동한 피스톤의 하강에 의한 가압하에서 실린더 내의 액체가 2차 밸브를 거쳐 유출로로 유출된 후, 2차 밸브가 자중 또는 밸브 스프링의 편향력하에서 폐쇄된다. 그리고, 누름위치로부터의 피스톤의 상승에 의한 실린더 내에서의 부압의 발생에 의해, 1차 밸브가 개방되어, 용기 내의 액체가 실린더 내로 빨아 올려진다. 즉, 실린더로부터 액체가 유출된 후, 2차 밸브가 곧바로 폐쇄되므로, 유출로의 액체는 실린더 내로 복귀되는 일 없이 유출로에 남는다.
밸브 스프링이 없는 부유가능한 2차 밸브에 있어서는, 2차 밸브의 자중과 액체의 점성, 비중과의 관계에서, 액체의 통과 후에도 잠시동안, 2차 밸브는 개방되고 늦게 폐쇄된다. 그리고, 이 2차 밸브의 개방 중에는, 실린더 내에서의 부압은 유출로에 남는 액체(잔류액)를 실린더로 복귀시키도록 작용하고, 이른바 백석션(back suction)이 발생한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7-96956호 공보). 그러나, 백석션의 발생은, 2차 밸브의 자중과 액체의 점성, 비중에 영향을 주고, 백석션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는 없다.
통상, 푸시 타입 디스펜서에 있어서는, 노즐의 선단은 항상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백석션이 발생하지 않으면, 잔류액의 선단은 노즐 선단 부근까지 뻗어 있으므로, 노즐내의 잔류액이 노즐 선단으로부터 적하하는, 이른바 액흐름이 생길 우려가 있다. 특히, 노즐의 선단을 하방으로 경사시킨 구성에서는, 액흐름이 생기기 쉽다.
또, 잔류액의 선단은 노즐 선단 부근까지 뻗어서 공기와 직접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건조, 고화되기 쉽고, 잔류액의 고화에 의해 노즐의 선단이 막혀, 노즐 선단으로부터의 액체의 원활한 유출을 방해하여, 디스펜서의 사용을 곤란하게 할 우려가 있다.
실린더로부터 피스톤 내에 속이 비지 않은 봉체를 연장하고, 피스톤이 하강했을 때 보다, 상승했을 때의 피스톤 내에 차지하는 봉체의 용적이 적은 것을 이용하여, 피스톤의 상승시에 피스톤 내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구성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실공평 7-6110호 공보). 이 구성에서는, 피스톤의 상승시에 피스톤 내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유출로의 잔류액을 실린더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봉체가 필요하게 되어, 부품갯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봉체를 실린더 내에 고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하에서 백석션을 확실하게 발생시키고, 노즐 선단 부근에서의 액체의 잔류를 방지하여 액체의 원활한 유출을 확보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도는 노즐 헤드가 상승위치(초기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푸시 타입 디스펜서의 개략 종단면도.
제2도는 실린더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노즐 헤드가 하강위치에 있는, 실시예 1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의 개략 종단면도.
제4도는 노즐 헤드가 최하강위치에 고정된, 실시예 1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의 개략 종단면도.
제5도는 노즐 헤드가 최하강위치에 고정된, 실시예 1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의 변형예의 개략 종단면도.
제6도는 노즐 헤드가 최하강위치에 고정된, 실시예 1의 푸시타입 디스펜서의 다른 변형예의 개략 종단면도.
제7도는 노즐 헤드가 상승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의 개략 종단면도.
제8도는 노즐 헤드가 하강위치에 있는, 실시예 2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의 개략 종단면도.
제9도는 노즐 헤드가 최하강위치에 고정된, 실시예 2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의 개략 종단면도.
제10(a)도는, 노즐 헤드가 초기위치(상승위치)에 고정된, 실시예 2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의 변형예의 일부 파단 정면도, 제10(b)도는 이 변형예에서의 사용된 고정부의 사시도.
제11(a)도는, 노즐 헤드가 초기위치(상승위치)에 고정된, 실시예 2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의 다른 변형예의 일부 파단 정면도, 제11(b)도는 이 다른 변형예에서 사용된 채플릿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푸시 타입 디스펜서 12 : 노즐 헤드
12a : 노즐 14 : 실린더
14a : 실린더의 로드부 14b : 밸브 베이스
16 : 피스톤 17 : 유출로
18 : 보틀 캡 19 : 흡입튜브
20 : 용기 20a : 용기 개구부
21 : 유입로 32, 132 : 1차 밸브
34, 134 : 2차 밸브 36 : 1차 밸브용 밸브 시트
38 : 2차 밸브용 밸브 시트 40 : 1차 밸브용 고정부
42 : 2차 밸브용 고정부 44 : 노즐 헤드 외면의 수나사
46 : 실린더 내면의 암나사 48, 148 : 1차 밸브용 밸브홀더
50, 150 : 밸브홀더의 슬릿 52, 152 : 1차 밸브의 대경부
54 : 실린더 상단의 슬릿 55 : 밸브의 밸브 스프링
58 : 피스톤 하단의 밸브홀더 60 : 밸브홀더의 슬릿
종래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는, 실린더로부터 액체가 유출된 후의 2차 밸브의 폐쇄시기가 2차 밸브의 자중과 액체의 점성, 비중이라는 불확정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아, 2차 밸브의 폐쇄시기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피스톤의 상승에 대하여 2차 밸브의 폐쇄를 강제적으로 지연시켜, 피스톤이 상승을 개시해도, 2차 밸브는, 잠시동안 열려있게 된다. 그리고, 2차 밸브의 개방중에는, 1차 밸브는 폐쇄되고, 2차 밸브의 폐쇄후에 1차 밸브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의 상승에 대하여 2차 밸브가 늦게 폐쇄되고, 2차 밸브의 폐쇄에 대하여, 1차 밸브가 늦게 열리는 구성에 있어서는, 피스톤의 상승에 의해서 실린더 내에 발생한 부압은, 1차 밸브의 개방 전에는, 2차 밸브를 거쳐서 유출로의 잔류액을 실린더 내로 복귀되도록 기능한다. 즉, 백석션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1차 밸브는 피스톤 내로 뻗어있는 로드형상으로 성형되고, 2차 밸브는 1차 밸브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시일편을 내면에 구비하고, 슬라이딩 접촉에 의한 마찰력하에서 1차 밸브와 연동가능하게, 피스톤 내에서 1차 밸브의 주위에 설치, 유지되어 있다. 또, 고정부가, 2차 밸브를 킥하고, 1차 밸브와의 연동을 해제하여 2차 밸브를 피스톤과 함께 하강가능하게, 2차 밸브의 상방에서 피스톤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노즐 헤드의 누름위치, 즉, 피스톤의 하강위치에서는, 2차 밸브는 밸브 시드로부터 이반된 상태로 1차 밸브에 유지되고, 한편, 1차 밸브는 가압액에 의해 밸브 시트에 눌려진다. 즉, 피스톤의 하강위치에서는, 2차 밸브는 개방되고, 1차 밸브는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헤드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여 피스톤이 노즐 헤드와 함께 상승해도, 대응하는 밸브 시트가 2차 밸브에 맞닿을 때까지, 2차 밸브느 개방된 상태로 되고, 밸브 시트가 2차 밸브에 맞닿아서 2차 밸브가 폐쇄된 후, 1차 밸브가 개방되어, 액체가 실린더에 유입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푸시 타입 디스펜서(10)는, 노즐 헤드(12)와, 실린더(14)와, 실린더 내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6)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노즐 헤드(12)는 부리형상의 노즐(12a)을 일체적으로 갖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10)는, 회전가능한 보틀 캡(18)의 나사 결합에 의해 용기(20)의 개구부(20a)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실린더(14)의 내부에서의 피스톤(16)의 왕복운동에 기인하는, 용기 내의 액체의 실린더로의 빨아 올림 및, 실린더 내에서의 가압에 의해, 액체(가압액)를 노즐 헤드의 노즐(12a)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10)가 장착되는 용기(20)로서, 샴푸, 린스, 핸드 소프등으로 대표되는 점성이 비교적 높은 액체로 이루어진 두발용 비누, 화장품류를 내용물로 하는 용기 및, 마요네즈, 케찹 및 소스 등의 점성이 있는 식품을 내용물로 하는 용기를 일반적으로 예시할 수 있다. 용기(20)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성형된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14)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스커트형 시일편(16a)을 하단 외면에 일체로 갖는 피스톤(16)이, 실린더 내를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커트형 시일편(16a)은 위아래로 뻗어있는 한 쌍의 시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헤드(12)가 피스톤의 상단에 고정됨으로써, 피스톤, 노즐 헤드는 일체적으로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린더(14)로부터의 액체의 유출로(17)가, 피스톤(16)의 내부, 노즐헤드(12 : 노즐(12a))의 내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4)는, 상하단의 개구된 대략 원통형의 본체(14a)와, 본체의 하단에 고정된 바닥이 있는 밸브 베이스(14b)로 분할되어 성형되어 있다. 제1도,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베이스(14a)는 그 하단에 외방 플랜지(15)를 가지며, 이 외방 플랜지는 밸브 베이스를 실린더 본체(14a)의 하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독립의 부품갯수를 삭감하여, 구성을 간소화하기 위해, 흡입튜브(19)가 밸브 베이스(14b)의 하단에 일체 성형되고, 흡입튜브의 내부가, 용기(20)로부터 실린더(14)로의 액체의 유입로(21)로 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리턴 스프링(22)이, 피스톤(16), 밸브 베이스(14b)의 대향하는 계단부(스프링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턴 스프링(22)의 편향력에 의해, 피스톤의 스커트형 시일편(16a)이 실린더(14)상단의 결합편(14a′)에 결합될 때까지, 피스톤, 노즐 헤드(12)는 밀어올려지고, 이 결합위치가 노즐 헤드의 상승위치(돌출위치, 초기위치)가 된다. 또한, 이 리턴 스프링(22)을 제외하는 노즐 헤드(12), 실린더(14), 피스톤(16)등의 디스펜서(10)의 구성 부품은, 리사이클을 고려하여, 모두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리턴 스프링(22)의 편향력에 저항하여 노즐 헤드(12)를 누르면, 노즐 헤드 누름에 의해 연동하여, 피스톤(16)은 실린더(14)의 내부를 하강한다(제3도 참조). 누르고 나서 노즐 헤드(12)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피스톤(16)은, 리턴 스프링(22)의 편향력에 의해, 노즐 헤드(12)와 함께 제1도에 나타내는 그 상승위치로 복귀되어 대기한다. 즉, 제1도의 상승위치와, 제3도의 누름위치(하강위치)의 사이를 왕복운동하여, 피스톤은 이른바 펌핑 액션을 한다.
보틀 캡(18)은, 용기 개구부(20a)와의 사이에, 패킹(packing : 28), 실린더(14)의 플랜지(14a″)를 끼워두면서, 용기 개구부에 나사결합되고, 그에 의해, 디스펜서(10)가 용기(20)에 액체밀봉상태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용기(20)로부터 실린더(14)로의 액체의 유입(빨아 올림)에 수반하는 용기 내의 부압화를 방지하기 위한 환기구멍(부압 방지구멍 : 30)이, 실린더(14)의 측벽에 뚫려 있다. 환기구멍(부압 방지구멍 : 30)은, 1개 또는 2개 설치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디스펜서(10)에 있어서는, 유입로(21)에서의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1차 밸브(32) 및 유출로(17)에서의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2차 밸브(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밸브 베이스(14b)의 베이스부 개구를 테이퍼 형상으로 하고 그 테이퍼면으로부터 밸브 시트(36)가 형성되어, 1차 밸브(32)가 밸브 시트 상에서 밸브 베이스(14b), 즉, 실린더(14)에 내장되어 있다. 또, 피스톤(16)의 하단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고 그 테이퍼면으로부터 밸브 시트(38)가 형성되어, 2차 밸브(34)가 밸브 시트 상에서 피스톤에 내장되어 있다.
제1도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차 밸브(32)가, 피스톤(16)의 하단으로부터 피스톤의 내부에 삽입통과가능한 길이의 로드(32a)를 일체적으로 갖는 로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2차 밸브(34)는, 시일편(34a)을 그 내면에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시일편을 1차 밸브(32)의 로드(32a)의 외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키고, 슬라이딩 접촉에 의한 마찰력하에서 1차 밸브와 함께 일체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즉, 연동가능하게, 2차 밸브는 1차 밸브의 주위에 설치, 유지되어 있다. 물론, 로드(32a)로의 시일편(34a)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2차 밸브, 로드 간의 액체밀봉상태가 확보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시일편(34a)은 링형상이 되고, 상하로 이반하여 2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시일편(34a)은, 1차 밸브(32), 2차 밸브(34)의 일체적인 승강을 확보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충분하고, 시일편을 피스톤 하단의 시일편(16a)과 같은 스커트형으로 해도 좋으며, 그 수도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1차 밸브(32), 2차 밸브(34)는, 등각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뻗어나온 복수의 판형 가이드편(32b, 34b)을 각각 일체로 갖고 성형되고, 이 가이드편에 의해서 밸브 시트(36, 38)에 대한 쓰러짐이 방지되고 있다. 또, 고정부(40)가 밸브 시트(36)의 상방에서 밸브 베이스(14b)의 내면에, 고정부(42)가 밸브 시트(38)의 상방에서 피스톤(16)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방으로의 1차 밸브(32), 2차 밸브(34)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1차 밸브의 이탈 방지용 고정부(40)는, 리턴 스프링(22)의 스프링 시트를 겸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16)이 하강할 때, 2차 밸브의 이탈방지용 고정부(42)는 2차 밸브(34)를 킥하여, 1차 밸브(32)와의 일체적인 하강을 해제하여 2차 밸브를 피스톤과 함께 하강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시일편(34a)을 1차 밸브(32)에 슬라이딩 접촉시켜, 2차 밸브(34)가 1차 밸브(32)의 로드(32a)의 둘레에 설치, 유지되어있다. 결국, 제1도의 피스톤(16)의 상승위치(초기위치)에서 리턴 스프링(22)의 편향력에 저항해서 노즐 헤드(12)를 누르면, 피스톤 내면의 고정부(42)가 2차 밸브의 가이드편(34b)에 맞닿아서 킥할 때까지, 피스톤(16)은 2차 밸브를 수반하지 않고 단독으로 하강한다.
그러나, 고정부(42)가 2차 밸브의 가이드편(34b)에 맞닿아 킥하면, 2차 밸브(34)는 1차 밸브(32)와의 연동으로부터 개방되어 1차 밸브와 관계없이 하강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16)은, 2차 밸브(34)를 1차 밸브(32)의 로드(32a)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2차 밸브를 수반하여 하강하고, 제3도에 나타내는 누름위치(하강위치)에 이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2차 밸브(34)는 피스톤(16)보다 늦게 하강을 개시하고, 노즐 헤드(12)의 누름 개시 직후에 있어서는, 피스톤은 2차 밸브를 수반하는 일 없이 단독으로 하강한다.
또, 제3도에 나타내는 누름위치로 피스톤(16)을 하강시킨 후, 노즐 헤드(12)에서 누름력을 제거하면, 리턴 스프링(22)의 편향력에 의해서, 노즐 헤드는 피스톤(16)과 함께 상승한다. 여기에서, 피스톤 하단의 밸브 시트(38)가 2차 밸브(34)의 하단에 맞닿을 때까지, 피스톤(16)은 2차 밸브(34)를 수반하는 일 없이 단독으로 상승하고, 밸브 시트가 2차 밸브에 맞닿으면, 피스톤은 2차 밸브를 수반하여 상승한다. 즉, 2차 밸브(34)는 피스톤(16)의 상승 개시와 함게 폐쇄되지 않고, 밸브 시트(38)가 2차 밸브(34)에 맞닿을 때까지, 2차 밸브는 열린 상태로, 피스톤의 상승 개시보다 늦게 폐쇄된다.
공지의 펌프 디스펜서에 있어서는, 피스톤의 누름(하강), 상승은, 모두 2차 밸브의 폐쇄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2차 밸브의 개방은, 종래와 동일하게, 피스톤의 하강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일어난다. 그러나, 2차 밸브의 폐쇄는, 피스톤의 상승 개시보다 늦게 일어나고 있다.
즉, 제1도에 나타내는 상승위치(초기위치)로부터 노즐 헤드(12), 피스톤(16)을 누르면, 실린더(14)내에서의 액체의 가압에 의해서, 곧바로 1차 밸브(32)는 밸브 시트(36)에 밀착, 폐쇄된다. 여기서, 피스톤(16)이 하강해도, 2차 밸브(34)는 1차 밸브(32)에 유지되어 그 위치에 머무르고, 하강하지 않으므로, 2차 밸브는 피스톤의 하강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개방된다.
피스톤 내면의 고정부(42)가 2차 밸브(34)의 가이드편(34b)을 킥하면, 피스톤(16)은, 2차 밸브의 시일편을 1차 밸브(32)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2차 밸브를 수반하여 하강해서 실린더 내의 액체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2차 밸브(34)를 개방하여, 피스톤(16)이 하강하므로, 가압액은 2차 밸브를 거쳐 유출로(17)로 유출되고, 전회의 행정에 있어서 유출로(17)에 잔류하는 액체를 노즐(12a)로부터 압출함과 동시에, 금회의 행정에 있어서의 가압액의 일부도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유출되고, 나머지 가압액은 유출로를 충만시켜 잔류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16)이 상승을 개시하고나서 밸브 시트(38)가 2차 밸브(34)에 맞닿을 때까지, 피스톤이 선행하여 상승하고, 피스톤의 선행 상승시간만큼, 2차 밸브의 폐쇄가 지연된다. 그 때문에, 그 지연 시간에 상당하는 시간에 있어서, 피스톤 내에서의 잔류액은, 피스톤(16)의 상승에 의해 실린더(14)에 발생한 부압에 의해, 2차 밸브(34)를 거쳐 실린더로 복귀된다.
지연 시간이 경과하여, 밸브 시트(38)가 2차 밸브(34)에 맞닿으면, 2차 밸브가 폐쇄된다. 그리고, 폐쇄된 2차 밸브(34)를 수반하여 피스톤(16)이 상승하면, 실린더(24)내에 발생한 부압에 의해서, 1차 밸브(32)가 밸브 시트(36)로부터 이반하여 개방되고, 용기(20)내의 액체가 흡입튜브(19), 1차 밸브(32)를 거쳐 실린더(14)의 내부로 빨아 올려진다(제1도 참조).
즉, 본 발명에서는, 노즐 헤드(12), 피스톤(16)의 상승 개시시에 있어서는, 용기(20)로부터의 액체의 빨아 올림에 선행해서, 유출로(17)내의 잔류액의 역류(백석션)에 의해서, 잔류액 선단이 노즐(12a)의 선단으로부터 후퇴하므로, 잔류액 선단이 대기에 직접 닿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액체(잔류액)의 건조, 고화를 막고, 액체가 원활하게 유출할 수 있다.
또, 잔류액 선단이 노즐(12a)의 선단 부근에 없으므로, 노즐로부터의 액체의 누출, 이른바 액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12a)의 베이스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상방으로 경사지고, 중앙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서 하방으로 경사진 대략 산형상으로 노즐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 정상부(중앙부)의 후방(오른쪽)까지 잔류액의 선단을 후퇴시킴으로써, 액흐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 상승 개시시에서의 2차 밸브(34)의 폐쇄가 강제적으로 지연되어 있으므로, 2차 밸브의 자중이나 액체의 점성, 비중과 같은 요인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백석션이 확실하게 발생한다.
또한, 1차 밸브(32)를 로드 형상으로 하고, 1차 밸브의 둘레에 2차 밸브(34)를 설치하여 2차 밸브가 마찰력하에서 1차 밸브에 유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노즐 헤드(12)의 상승보다 늦게 2차 밸브(34)가 폐쇄됨과 동시에, 2차 밸브의 폐쇄보다 늦게 1차 밸브가 개방되는 동작 타이밍을, 간단한 구성으로 얻을 수 있다.
제1도에 나타내는 노즐 헤드(12)의 상승시, 제3도에 나타내는 그 누름시의 어느 상황에 있어서도, 1차 밸브(32)의 로드(32a)의 선단은 피스톤(16)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제1도, 제3도를 비교하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도의 노즐 헤드(12)의 상승시에는, 제3도의 그 누름시와 비교하여, 피스톤 내에서의 1차 밸브(32)의 점유 용적이 감소되고 있다.
1차 밸브(32)의 상반부가 피스톤(16)내에 위치하는 이 구성에서는, 노즐 헤드(12)의 상승시, 피스톤(16)내에서의 1차 밸브(32)의 점유 용적이 감소하므로, 부압이 피스톤 내에 발생하고, 이 부압에 의해서, 노즐(12a)의 잔류액이 피스톤(16)으로 복귀된다. 즉, 2차 밸브(34)의 폐쇄의 지연에 의한 백석션에 추가하여, 피스톤 내에서의 1차 밸브(32)의 점유 용적의 감소에 의해서도 백석션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로드 형상의 1차 밸브(32)의 상반부를 피스톤(16)의 내부로 뻗어 있으므로, 피스톤 내의 부압발생용의 독립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실린더(14)내의 부압에 의해, 1차 밸브(32)는 밸브 시트(36)에 압압, 고정되고, 고정을 위해 특별한 구성을 필요로하지 않아, 구성이 복잡하지 않게 된다.
이런 종류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10)에 있어서는, 수나사(44)가, 피스톤(16)과 일체의 노즐 헤드(12)의 외면에, 대응하는 암나사(46)가 실린더(14)의 상단 내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내는 실린더(14)로의 액체의 빨아 올림, 가압을 위한 피스톤(16)의 누름위치보다 노즐 헤드(12)를 더욱 눌러, 노즐 헤드의 수나사(44)를 실린더의 암나사(46)에 맞닿게하고 나서 노즐 헤드를 회전시키면, 수나사, 암나사가 나사결합되어,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헤드는 그 최하강위치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디스펜서(10) 자체의 높이, 즉, 디스펜서(10), 용기(20)의 조합의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져, 수송, 전시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디스펜서(10)에 있어서는, 최하강위치(고정위치)에서의 노즐 헤드(12)의 고정 상태에서 1차 밸브(32)의 상단을 눌러서 1차 밸브를 폐쇄위치로 유지하는 밸브홀더(48)가, 노즐 헤드의 정상부에 일체로 늘어뜨려 설치되어있다. 밸브홀더(48)는, 하단의 개구된 복수의 축선방향의 슬릿(50)을 등각적으로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반경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 슬릿이 부착된 하단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짐으로써, 밸브홀더(48)는 1차 밸브(32)의 상단을 탄성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제4도에 나타내는 최하강위치에서 노즐 헤드(12)가 고정되면, 노즐 헤드의 밸브홀더(48)에 의해서, 1차 밸브(32)는 폐쇄위치에 강제적으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디스펜서(10)의 반송, 전시시의, 1차 밸브(32)의 예기치 않은 개방이 방지되고, 액체의 유출(액체이 누출)이 저지된다.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밸브홀더(48)는, 그 말단의 반경 방향 외방의 벌어짐에 의해, 1차 밸브(32)의 유지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높이방향(축선방향)에서 1차 밸브(32)등의 구성 부재에 성형오차, 조립오차가 생겨도, 밸브홀더(48)의 벌어짐에 의한 1차 밸브의 유지위치의 변동하에서, 그 성형오차, 조립오차를 흡수할 수 있고, 1차 밸브를 폐쇄위치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슬릿(50)을 등각적으로 복수개 형성하는 구성으로하여 구체화되어 있지만, 밸브홀더(48)를 반경 방향 외향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을 가지면 된다. 그 때문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밸브홀더(48)에 하나의 슬릿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노즐 헤드(12)가 최하강위치로 눌려졌을 때, 밸브홀더(48)는 1차 밸브(32)를 밸브 시트(36)에 밀착, 폐쇄하면 되고, 노즐 헤드의 정상부로부터 늘어뜨려 설치한 도시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16)의 하단에, 밸브홀더를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로드 형상의 1차 밸브(32)는 그 중간부에 대경부(52)를 가지며, 피스톤(16)하단의 밸브홀더(148)는, 하단의 개구된 축선방향의 슬릿(150)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노즐 헤드(12)를 최하강 위치로 눌렀을 때, 밸브홀더(148)는 1차 밸브(32)를 폐쇄위치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디스펜서(10)의 반송, 전시시의 예기치 않은 액체의 누출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물론, 밸브홀더(148)가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높이방향에서의 1차 밸브(32)등의 구성부재의 성형오차, 조립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밸브홀더의 슬릿(150)은 적어도 1개 있으면 충분하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피스톤 하단의 밸브홀더(148)가 피스톤(16)의 하단에서 피스톤내로 유입되는 액체의 흐름의 장애가 되지 않도록 유로로서 기능하는 충분한 폭을 갖는 복수의 슬릿(150)을 등각적으로 형성하면 좋다.
1차 밸브(32)의 대경부(52)의 형상은, 제5도에 나타내는 국부적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형상의 1차 밸브(32)의 하반부 전체를 대경부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1차 밸브(32)의 하반부를 대경부(152)로 하면, 1차 밸브(32)의 성형을 위한 금형이 구성적으로 간소화되어 가격이 저렴해 진다.
또, 제1도, 제2도에 타나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펜서(10)에 있어서는, 암나사(46)가 부착된 실린더(14)의 상단에, 말단의 개구된 복수의 축선방향의 슬릿(54)이 등각적으로 성형되어있다.
이 구성에서는, 암나사(46)가 부착된 실린더(14)의 상단이, 탄성변형하에서 반경방향 외방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실린더(14)의 사출성형에 있어서, 실린더에 암나사를 성형하기 위한 나사 코어를, 회전시키는 일없이 뽑아서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 성형용 금형이 구성적으로 간소화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해짐과 동시에, 실린더의 성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슬릿(54)을 형성하여 실린더(14)의 상단을 탄성변형가능한 구성에서는, 수나사(44), 암나사(46)가 나사결합되어 있어도, 노즐 헤드(12)를 강제적으로 끌어올리면, 실린더의 상단이 반경방향 외방으로 벌어져 수나사, 암나사 사이의 나사결합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펜서(10)에 있어서는, 실린더 캡(56)이, 용기(20)로의 디스펜서의 조립 전에, 실린더(14)의 상단에 걸려, 반경방향 외방으로의 실린더 상단이 벌어짐을 방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수나사(44), 암나사(46)의 나사결합은 해제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대응하는 훅(hook)을 실린더 캡(56), 실린더(14)에 형성하고, 이들 결합에 의해서, 실린더 캡이 실린더에 걸려 있다. 그러나, 걸림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 예를 들면, 걸림요 홈, 걸림용 돌기의 조합으로 해도 좋다.
제1도∼제6도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2차 밸브(34)를 1차 밸브(32)의 둘레에 설치하고, 마찰력하에서 1차 밸브, 2차 밸브를 연동가능하게 하여, 노즐 헤드(12)의 상승 개시시에 있어서의 2차 밸브의 폐쇄로부터 1차 밸브의 개방까지의 시간적 지연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2차 밸브(34)를 1차 밸브(32)의 둘레에 설치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7도∼제9도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110)와 같이, 1차 밸브(132), 2차 밸브(134)의 대향단을 맞닿게 하고, 1차 밸브에 의해, 2차 밸브를 킥하여 밀어올리고, 1차 밸브, 2차 밸브를 연동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디스펜서(110)에 있어서도, 제1도∼제6도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1차 밸브(132)는 로드(132a)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성형되고, 유입로(21)의 액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실린더(1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2차 밸브(134)는 유출로(17)의 액체의 흐름을 제어할수 있도록 피스톤(1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7도∼제9도에 나타내는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2차 밸브(134)가, 밸브 스프링(55)의 편향력하에서 밸브 시트(38)에 밀착가능, 즉 폐쇄가능하게 되어 있다. 밸브 스프링(55)으로서, 예를 들면 2차 밸브(134)와 일체로 플라스틱 성형되어서, 2차 밸브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있는 파도형상의 압축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고, 압축스프링의 상단은 평판형의 고정부가 되어, 노즐헤드(12)의 정상부에 맞닿아 있다.
한편, 1차 밸브(132)의 로드(132a)는, 피스톤(16)내에 삽입통과가능한 직경과,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헤드(12)의 누름위치, 즉 피스톤(16)의 하강위치에서 2차 밸브(134)의 하단에 맞닿아서, 2차 밸브를 밀어올리고, 개방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1차 밸브(132), 2차 밸브(134)는, 방사방향으로 뻗어 나온 판형 가이드편(132b, 134b)을 모두 일체로 갖고 성형된다. 그리고, 가이드편(132b)의 상방에서 밸브 베이스(14b)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부(40)에 의해서, 상방으로의 1차 밸브(132)의 이탈이 방지되고 있다. 그러나, 2차 밸브(134)는 밸브 스프링(55)에 의해서 밸브 시트 방향의 편향력을 받고 있으므로, 2차 밸브의 이탈방지용 고정부는 생략할 수 있다.
이 푸시 타입 디스펜서(110)에서는,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12)의 누름위치, 즉, 피스톤(16)의 하강위치에서는, 1차 밸브(132)의 상단이 2차 밸브(134)의 하단을 킥하여, 2차 밸브는 개방된다.
노즐(12)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고, 리턴스프링(22)의 편향력에 의해 피스톤(16)이 상승하면, 먼저, 밸브 시트(38)가 2차 밸브(134)에 맞닿을 때까지, 피스톤은, 2차 밸브를 수반하지 않고, 단독으로 상승한다. 그 후, 밸브 시트(38)가 2차 밸브(134)에 맞닿으면, 2차 밸브는 폐쇄되고, 피스톤은 2차 밸브를 수반하여 상승한다.
이 피스톤(16)의 단독 상승시에는, 1차 밸브(132)가 2차 밸브의 밸브 스프링(55)의 편향력에 의해 밸브 시트(36)로 눌러지므로, 1차 밸브의 개방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2차 밸브(134)가 피스톤(16)과 함께 상승하면, 2차 밸브는 1차 밸브(132)로부터 이반되고, 2차 밸브의 밸브스프링(55)으로부터 1차 밸브(132)로의 편향력의 부여가 해제된다. 그리고, 피스톤(16)이 2차 밸브(134)를 수반하여 더욱 상승하면, 실린더 내의 부압에 의해, 1차 밸브(132)는 밸브 시트(36)로부터 이반되어 개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푸시 타입 디스펜서(110)에 있어서도, 피스톤(16) 단독 상승후에 2차 밸브(134)가 폐쇄되고, 2차 밸브의 폐쇄 후에 피스톤에 연동하여 2차 밸브가 상승하지 않으면, 1차 밸브(132)는 개방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1차 밸브(132)는, 2차 밸브의 폐쇄보다 늦게 개방된다.
그 때문에, 이 구성에 있어서도, 노즐 헤드(12)의 상승 개시로부터 지연된 2차 밸브(134)의 폐쇄 및, 2차 밸브의 폐쇄로부터 더욱 지연된 1차 밸브(132)이 개방하에서, 유출로(17)로부터 실린더(14)로의 액체의 역류(백석션)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노즐(12a)선단에서의 액체의 고화가 방지되고, 노즐로부터의 액체의 원활한 흐름이 확보된다.
또, 노즐 헤드(12)의 상승 개시시에 2차 밸브(134)의 폐쇄에 선행하여 피스톤(16)을 상승시키고, 2차 밸브의 폐쇄후에 1차 밸브(132)를 개방시키는 동작타이밍을 간단한 구성하에서 얻을 수 있다.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예를 들면, 수나사(44), 암나사(46)의 나사 결합의 상태에서 노즐 헤드(12)를 최하강 위치에서 고정하면, 밸브스프링(55)의 편향력이 2차 밸브(134)를 거쳐서 1차 밸브(132)에 전달되어 1차 밸브를 밸브 시트(36)에 밀착하여 폐쇄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최하강 위치에 노즐 헤드(12)를 고정함으로써, 수송, 전시에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1차 밸브(132)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반송, 전시시의 액체의 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수송, 전시의 공간을 별로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노즐 헤드(12)를 초기 위치(상승위치)에서 고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노치가 형성된 원통형 고정부(62 : 제10(b)도 참조)를 제10(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헤드(12), 실린더 고정부(56)의 사이에서 노즐 헤드 하반부에 끼워맞춰지면, 노즐 헤드의 하강이 저지되어 노즐 헤드는 초기위치에 고정되고, 반송, 전시시의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본 구성에서는, 노즐 헤드의 수나사(44), 실린더의 암나사(46)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 실린더 고정부(56)의 대신에 채플릿(64)을 실린더 상단에 고정하고, 이 채플릿에 의해서, 노즐 헤드(12)의 하강을 규제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플릿(64)은 한 쌍의 돌기(65)를 내면에 구비하고(제11(b)도 참조), 돌기의 삽입통과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홈(66)이, 제11(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16)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66)은 수직부의 하단에 수평부를 갖는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돌기(65)가 가이드홈(66)의 수직부에 위치하면, 노즐 헤드(12)는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다. 그러나, 노즐 헤드(12)의 상승위치(초기위치)에서 노즐 헤드를 회전하여, 돌기(65)를 가이드홈(66)의 수평부로 유도하면, 노즐 헤드는 하강불능이 되어 고정된다. 즉, 노즐 헤드(12)는 초기위치에 고정되고, 반송, 전시시의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와는 반대로 수직부의 상단에 수평부를 갖는 역 L자형으로 가이드홈(66)을 형성하면, 돌기(65)가 수직부의 상단에 맞닿을 때까지 노즐 헤드(12)를 하강시키고나서 노즐 헤드를 회전시켜 돌기를 수평부로 유도함으로써, 제1도∼제6도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게, 노즐 헤드가 하강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푸시 타입 디스펜서에 의하면, 2차 밸브의 자중이나 액체의 점성, 비중에 영향을 받지 않고, 노즐 헤드의 상승 개시로부터 지연되게 2차 밸브가 폐쇄되고, 2차 밸브의 폐쇄로부터 더욱 지연되게 1차 밸브가 개방되고 있다. 그 때문에, 노즐 헤드의 상승에 의해서 실린더 내의 발생한 부압에 의해, 유출로 내의 잔류액이 실린더로 역류한다. 즉, 용기로부터 실린더로의 액체의 빨아 올림에 선행해서, 백석션에 의해, 유출로의 잔류액이, 액체의 점성, 비중이라는 액체 자체의 특성과 관계없이, 실린더로 확실하게 복귀된다.
따라서, 잔류액 선단은 노즐의 선단 부근으로부터 후퇴하고, 노즐 선단에서의 잔류액, 공기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고, 공기와의 직접 접촉에 기인하는 액체의 건조, 고화가 방지되어, 액체의 원활한 유출이 확보된다.
또, 노즐로부터의 액흐름이 방지된다. 특히, 중앙부를 높게한 대략 산형상으로 노즐을 형성한 구성에 있어서는, 노즐의 중앙부로부터 후방에 잔류액의 선단을 후퇴시킬 수 있게되어, 액흐름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1차 밸브를 로드형상으로 하고, 로드 형상의 1차 밸브의 둘레에 2차 밸브를 설치하여 개방위치에 2차 밸브를 유지가능하고 있으므로, 노즐 헤드의 상승개시시의 2차 밸브의 폐쇄에 선행한 피스톤의 상승을 확보하고, 2차 밸브의 폐쇄 후에 1차 밸브를 개방하는 동작타이밍을, 간단한 구성하에서 얻을 수 있다.
2차 밸브의 내면에 형성된 시일편을 1차 밸브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 구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으며, 1차 밸브, 2차 밸브가 연동가능하게 된다.
2차 밸브를 밸브스프링의 편향력으로 밸브 시트에 밀착하고, 피스톤이 하강할 때, 1차 밸브로 2차 밸브를 킥하여, 밸브 시트로부터 이반시켜 2차 밸브를 개방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동일한 동작타이밍을, 간단한 구성하에서 얻을 수 있다.
대응하는 수나사, 암나사 나사 결합의 상태에서 노즐 헤드를 누름위치에서 고정하고, 밸브홀더로 1차 밸브를 밸브 시트에 밀착, 폐쇄시키면, 디스펜서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반송, 전시에 필요한 공간이 작아짐과 동시에, 반송, 전시시의 액체의 유출을 저지할 수 있다. 밸브홀더는, 노즐 헤드의 정상부나 피스톤의 하단에 설치된다.
밸브홀더에 축선 방향의 슬릿을 형성하여 밸브홀더를 탄성변형가능하게 하면, 밸브홀더에 의한 1차 밸브의 유지위치가 조정되고, 높이 방향에서의 구성부재의 성형오차, 조립오차가 흡수되므로, 1차 밸브를 폐쇄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암나사가 형성된 실린더의 상단에, 말단의 개구된 복수의 축선방향의 슬릿을 등각적으로 형성하여 실린더의 상단을 탄성변형가능하게 하면, 암나사의 성형용의 코어를, 회전시키는 일 없이 뽑아서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의 성형이 용이하게 되면, 실린더 성형을 위한 금형을 구성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Claims (13)

  1. 실린더와 액체가 수납된 용기의 개구부에 실린더를 장착하는 홀드 캡과, 실린더의 하단에 설치되어, 실린더로의 액체의 유입로를 그 내부에 규정하는 흡입튜브와, 실린더 내에 설치되고, 흡입튜브를 거쳐서 용기로부터 실린더로 유입되는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1차 밸브와,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실린더 내를 왕복운동하여 용기내의 액체를 1차 밸브를 거쳐서 실린더 내로 빨아 올려 가압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상방으로 편향하는 리턴 스프링과, 부리형상의 노즐을 일체적으로 갖고 성형되고, 피스톤의 상단에 고정되어 피스톤과 일체적으로 리턴 스프링의 편향력에 저항해서 눌려지는 노즐 헤드와, 실린더로부터, 피스톤, 노즐의 내부에 규정된 유출로로 유출되는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2차 밸브를 구비하고, 1차 밸브는 피스톤 내에 뻗은 로드를 일체적으로 갖고 성형되고, 2차 밸브는 1차 밸브와 연동가능하게 피스톤 내에 설치되고, 2차 밸브를 킥하여, 1차 밸브와의 연동을 해제하여 2차 밸브를 피스톤과 함께 하강시키는 고정부가 2차 밸브의 상방에서, 피스톤에 설치되고, 리턴 스프링의 편향력에 의해서 노즐 헤드가 피스톤을 따라서 상승할 때, 피스톤의 상승보다 늦게 2차 밸브가 폐쇄됨과 동시에, 2차 밸브의 폐쇄 전에서의 1차 밸브의 개방을 방해함으로써, 유출로 내의 잔류액을 실린더 내로 백석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2. 액체가 수납된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노즐 헤드의 누름에 연동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흡입튜브, 1차 밸브를 거쳐서 용기내의 액체를 실린더로 빨아 올려, 가압해서 2차 밸브를 거쳐서 노즐 헤드의 노즐로부터 유출시키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에 있어서, 1차 밸브는 피스톤 내로 뻗은 로드 형상으로 성형되고, 2차 밸브는 1차 밸브와 연동가능하게 피스톤 내에 설치되고, 고정부가 2차 밸브를 킥하여, 1차 밸브와의 연동을 해제하여 2차 밸브를 피스톤과 함께 하강가능하게, 2차 밸브의 상방에서, 피스톤에 설치되고, 노즐 헤드의 상승시, 피스톤의 상승보다 늦게 2차 밸브가 폐쇄됨과 동시에, 2차 밸브의 폐쇄 전에서의 1차 밸브의 개방을 방해함으로써, 노즐, 피스톤 내의 잔류액을 실린더로 백석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2차 밸브는 1차 밸브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시일편을 내면에 구비하고, 슬라이딩 접촉에 의한 마찰력하에서, 1차 밸브와 일체적으로 승강가능하게 1차 밸브의 둘레에 설치,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실린더의 상단내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이 암나사에 맛물리는 수나사를 노즐 헤드의 내면에 형성하여, 암나사, 수나사의 맛물림에 의해서 노즐 헤드의 최하강위치에서 노즐 헤드를 실린더에 고정가능하고, 노즐 헤드의 최하강위치에서 1차 밸브를 밸브홀더에 의해서 밸브 시트로 눌러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밸브홀더는, 노즐 헤드의 정상부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뻗어 나오고, 그 하단에 축선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고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6. 제4항에 있어서, 1차 밸브는 그 중간부에 대경부를 가지며, 밸브홀더는, 노즐 헤드의 최하강위치에서 1차 밸브의 대경부에 맞닿아서 1차 밸브를 밸브 시트로 누를 수 있도록, 피스톤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나오고, 그 하단에 축선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가져서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7. 제4항에 있어서, 1차 밸브의 하반부는 하단의 개구된 중공의 대경부가 되고, 밸브홀더는, 노즐 헤드의 최하강위치에서 1차 밸브의 대경부에 맞닿아서 1차 밸브를 밸브 시트로 누를 수 있도록, 피스톤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나오고, 그 하단에 축선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가져서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8. 액체가 수납된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노즐 헤드의 누름에 연동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흡입튜브, 1차 밸브를 거쳐서 용기 내의 액체를 실린더로 빨아 올려, 가압해서 2차 밸브를 거쳐서 노즐 헤드의 노즐로부터 유출시키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에 있어서, 피스톤 내의 2차 밸브를 그 밸브 시트에 편향하는 밸브 스프링이, 실린더로부터의 액체의 유출로 내에 설치되고, 노즐 헤드를 눌러서 피스톤을 하강시킬 때, 피스톤과 하강하는 2차 밸브를 킥하여 스프링의 편향력에 저항하여 2차 밸브를 밸브 시트로부터 이반시키는 로드를 갖고, 1차 밸브는 형성되고, 2차밸브의 밸브 스프링의 편향력이 로드에 전달되어 1차 밸브를 밸브 시트로 눌러서 폐쇄하고, 피스톤의 상승시, 대응하는 밸브 시트가 맞닿을 때까지 1차 밸브의 로드의 킥 상태에서, 2차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피스톤의 상승 개시보다 늦게 2차 밸브가 폐쇄됨과 동시에, 2차 밸브의 폐쇄 전에서의 1차 밸브의 개방을 방해하여, 노즐, 피스톤 내의 잔류액을 실린더로 백석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9. 제8항에 있어서, 밸브 스프링은 플라스틱으로 2차 밸브와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실린더의 상단 내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이 암나사에 맞물리는 수나사를 노즐 헤드의 내면에 형성하고, 암나사, 수나사의 맞물림에 의해서 노즐 헤드의 최하강 위치에서 노즐 헤드를 실린더에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10. 실린더와, 액체가 수납된 용기의 개구부에 실린더를 장착하는 보틀 캡과, 실린더의 하단에 설치되고, 실린더로의 액체의 유입로를 그 내부에 규정하는 흡입튜브와, 실린더 내에 설치되고, 흡입튜브를 거쳐서 용기로부터 실린더로 유입되는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1차 밸브와,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실린더 내를 왕복운동하여 용기 내의 액체를 1차 밸브를 거쳐서 실린더 내로 빨아 올려 가압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상방으로 편향하는 리턴 스프링과, 부리형상의 노즐을 일체적으로 가지며 성형되고, 피스톤의 상단에 고정되어 피스톤과 일체적으로 리턴 스프링의 편향력에 저항해서 눌려지는 노즐 헤드와, 실린더로부터, 피스톤, 노즐 캡의 내부에 규정된 유출로로 유출되는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2차 밸브와, 유출로에 설치되어 2차 밸브를 그 밸브 시트로 편향하는 밸프 스프링을 구비하고, 리턴 스프링의 편향력에 저항해서 노즐 헤드를 눌러 피스톤을 하강시킬 때, 2차 밸브를 킥하고, 밸브 스프링의 편향력에 저항해서 밸브 시트로부터 2차 밸브를 이반시키는 로드를 갖고, 1차 밸브는 형성되고, 2차 밸브의 밸브 스프링의 편향력이 로드에 전달되어 1차 밸브를 밸브 시트로 눌러서 폐쇄하고, 노즐 헤드의 상승시, 피스톤의 상승보다 늦게 2차 밸브가 폐쇄됨과 동시에, 2차 밸브의 폐쇄 전에서의 1차 밸브의 개방을 방해함으로써, 노즐 헤드, 피스톤내의 잔류액을 실린더로 백석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11. 제4항에 있어서, 말단의 개구된 복수의 축 방향의 슬릿이 실린더의 상단에 등각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의 상단을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고, 스톱 캡이 실린더의 상단에 걸려, 실린더 상단의 반경 방향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12. 제2항에 있어서, 노즐 헤드의 노즐은, 베이스부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상방으로 경사지고, 중앙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서 하방으로 경사진 대략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13. 제8항에 있어서, 노즐 헤드의 노즐은, 베이스부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상방으로 경사지고, 중앙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서 하방으로 경사진 대략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타입 디스펜서.
KR1019960065228A 1995-12-15 1996-12-13 푸시 타입 디스펜서 KR100250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711895 1995-12-15
JP95-347118 1995-12-15
JP96-67430 1996-02-29
JP6743096 1996-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138A KR970042138A (ko) 1997-07-24
KR100250178B1 true KR100250178B1 (ko) 2000-04-01

Family

ID=2640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228A KR100250178B1 (ko) 1995-12-15 1996-12-13 푸시 타입 디스펜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06721A (ko)
EP (1) EP0779106B1 (ko)
KR (1) KR100250178B1 (ko)
CN (1) CN1067958C (ko)
DE (1) DE6962609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14128Y (zh) * 1997-12-25 1999-04-14 丁要武 乳液泵防进水机构
FR2781463B1 (fr) 1998-07-24 2000-09-15 Oreal Pompe a reprise d'air
FR2781464B1 (fr) * 1998-07-24 2000-09-15 Oreal Pompe a clapet de refoulement comportant une bille
GB9820962D0 (en) 1998-09-25 1998-11-18 English Glass Company The Limi Dispenser pumps
US7014068B1 (en) 1999-08-23 2006-03-21 Ben Z. Cohen Microdispensing pump
AU7067900A (en) * 1999-08-23 2001-03-19 Ben Z. Cohen Microdispensing pump
DE19942792A1 (de) 1999-09-08 2001-03-15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US6269981B1 (en) 1999-12-20 2001-08-07 Reagan Nielsen Oil dispensing apparatus
ID29685A (id) * 2000-03-15 2001-09-20 Saint Gobain Calmar Sa Dispenser pompa fluida yang mempunyai ciri penarikan produk
CZ298952B6 (cs) * 2000-03-15 2008-03-19 Saint-Gobain Calmar, S. A. Cerpací dávkovac
US6419125B1 (en) * 2001-01-05 2002-07-16 Darin Co., Ltd. Dispenser
US6966459B1 (en) * 2003-04-07 2005-11-22 Living Fountain Plastic Industrial Co., Ltd. Water infiltration-proof structure
US20050061833A1 (en) * 2003-08-28 2005-03-24 Boettner Eric Michael Manual pump with integrated components
FR2860502B1 (fr) * 2003-10-07 2007-09-14 Valois Sas Valve doseuse et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comportant une telle valve
US7431182B2 (en) * 2004-11-20 2008-10-07 Ciavarella Nick E Dispenser with suction chamber
FR2899136B1 (fr) * 2006-03-29 2008-07-04 Airlessystems Soc Par Action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20080245822A1 (en) * 2007-04-06 2008-10-09 Timothy James Kennedy Bottle Capping Systems
KR100768567B1 (ko) * 2007-07-05 2007-10-19 주식회사 빅솔 에이엔씨 수성 접착제 분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성 접착제분사장치
FR2930526B1 (fr) * 2008-04-25 2010-05-21 Valois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8113389B2 (en) * 2008-12-08 2012-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 drip fluid dispenser
IT1393228B1 (it) * 2009-03-02 2012-04-11 Taplast Srl Unita' per l'erogazione di fluidi o miscele e relativo dispositivo di erogazione.
CA2698915C (en) * 2010-04-01 2017-06-27 Gotohti.Com Inc. Stationary stem pump
CN102069051B (zh) * 2010-12-28 2014-11-05 杭建平 一种乳液泵
GB2491576A (en) * 2011-06-03 2012-12-12 Ya-Tsan Wang A push-type dispenser nozzle with the spring located outside the fluid path
JP5822262B2 (ja) * 2011-06-30 2015-11-24 住友林業株式会社 梁勝ち接合部における柱梁接合構造
CA2862506C (en) 2012-02-08 2020-04-28 Simplehuman, Llc Liquid dispensing units
FR2989598B1 (fr) * 2012-04-24 2016-01-01 Lablabo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e produits fluides a pompe manuelle.
US8672190B1 (en) * 2012-09-25 2014-03-18 Ya-Tsan Wang Lotion spray head assembly
FR3015443B1 (fr) * 2013-12-23 2016-07-01 Lablabo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e produits fluides, liquides ou pateux
US9561518B1 (en) * 2014-03-08 2017-02-07 Dronk, LLC Liquid pump dispenser
USD717666S1 (en) 2014-03-14 2014-11-18 The Clorox Company Fluid dispenser
US10010897B2 (en) * 2015-07-20 2018-07-03 Silgan Dispensing Systems Corporation Pump dispenser with locking feature
US10107284B2 (en) * 2016-12-21 2018-10-23 Shanp-Yih Precision Industrial Co., Ltd. Check valve for pump
CN107651435A (zh) * 2017-09-29 2018-02-02 苏州托克斯冲压设备有限公司 挡料止回装置
CN110979966A (zh) * 2019-11-27 2020-04-10 中山市联昌喷雾泵有限公司 一种带回吸结构的乳液泵
CN111099145A (zh) * 2019-11-27 2020-05-05 中山市联昌喷雾泵有限公司 一种回吸乳液泵
CA3147987A1 (en) * 2021-02-05 2022-08-05 Simplehuman, Llc Push-pump for dispensing soap or other liquids
US11759060B2 (en) 2021-02-08 2023-09-19 Simplehuman, Llc Portable consumer liquid pum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8347A (en) * 1963-10-24 1966-01-11 Calmar Inc Pump
US5192006A (en) * 1991-05-01 1993-03-09 Risdon Corporation Low profile pump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2416A (en) * 1958-12-01 1962-11-06 Drackett Co Liquid dispenser
US3128018A (en) * 1961-07-07 1964-04-07 Drackett Co Fluid dispensing pump with sealing means
US3248022A (en) * 1963-06-21 1966-04-26 Valve Corp Of America Atomizer pump
US3228571A (en) * 1964-06-12 1966-01-11 Valve Corp Of America Discharge valve construction for dispenser pump
US3362344A (en) * 1966-03-01 1968-01-09 Calmar Inc Liquid dispenser
US3359917A (en) * 1966-03-01 1967-12-26 Calmar Inc Liquid dispenser
AU471702B2 (en) * 1973-06-26 1976-04-29 Precision Valve Australia Pty. Limited Pump
US4524888A (en) * 1981-07-30 1985-06-25 Canyon Corporation Dispenser
JPH076110Y2 (ja) 1988-06-03 1995-02-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吐出容器
US4991747A (en) * 1988-10-11 1991-02-12 Risdon Corporation Sealing pump
US4930670A (en) * 1989-03-17 1990-06-05 Smiley Chien Pumping mechanism for dispensing lotion in bottle/container
FR2651837B1 (fr) * 1989-09-08 1993-04-23 Aerosol Inventions Dev Pompe manuelle pre-orientable sur le goulot d'un recipient.
JP2697609B2 (ja) 1993-06-10 1998-01-14 東洋製罐株式会社 ポンプ
JP3487515B2 (ja) * 1993-06-15 2004-0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分散処理システムおよび分散処理方法
US5687878A (en) * 1994-04-15 1997-11-18 Owens-Brockway Plastic Products Inc. Flexible tube with pump dispenser and method of making
US5673824A (en) * 1995-05-31 1997-10-07 Taplast Srl Plastic dosing pump for dispensing liquids from contain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8347A (en) * 1963-10-24 1966-01-11 Calmar Inc Pump
US5192006A (en) * 1991-05-01 1993-03-09 Risdon Corporation Low profile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6092T2 (de) 2003-10-30
DE69626092D1 (de) 2003-03-13
CN1158316A (zh) 1997-09-03
CN1067958C (zh) 2001-07-04
EP0779106A2 (en) 1997-06-18
EP0779106B1 (en) 2003-02-05
US5806721A (en) 1998-09-15
EP0779106A3 (en) 1998-09-09
KR970042138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0178B1 (ko) 푸시 타입 디스펜서
US5924604A (en) Liquid jetting pump with passageways for dispensing liquids
US5549223A (en) Pump with back suction phase
JP3059400B2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
JP3100911B2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
JP5334111B2 (ja) 押下げヘッド及び吐出ポンプ
JP2577562Y2 (ja) ディスペンサー
US5553757A (en) Cream dispenser head
JP2857069B2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
CN217075451U (zh) 一种防水乳液泵
JP3647569B2 (ja) 蓄圧式液体噴出器
JPH0912050A (ja) 液体注出ポンプ
JP2023020319A (ja) 液体射出用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3711393B2 (ja) 注出容器
AU738185B2 (en) Liquid jet pump
JPH0440753Y2 (ko)
JP2605715Y2 (ja) ポンプ付き吐出容器
JP2509173Y2 (ja) 手動式液体噴出器
CA1147303A (en) Universal sequential pump dispensing system
JPH11333337A (ja) 注出容器
JP2000191013A (ja) 液体噴出ポンプ
JP2003165561A (ja) 縦形ポンプ式液体噴出容器
JPH10218216A (ja) 係止部材付き液体注出ポンプ
JP2010274981A (ja) ポンプ付きチュー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