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369B1 -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369B1
KR100247369B1 KR1019910005756A KR910005756A KR100247369B1 KR 100247369 B1 KR100247369 B1 KR 100247369B1 KR 1019910005756 A KR1019910005756 A KR 1019910005756A KR 910005756 A KR910005756 A KR 910005756A KR 100247369 B1 KR100247369 B1 KR 100247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sette
positioning
positioning pin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029A (ko
Inventor
야마시따게이따로
후지이히로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1001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adapted for use with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or configurations; adaptor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의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위치 결정핀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할 수 있는 신규의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이한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 결정 구멍과 대응하지 않은 위치에는 해당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케이스의 바닥 벽의 위치 아래로 후퇴 가능한 위치 결정 핀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 핀이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케이스의 바닥 벽의 위치 아래로 후퇴하므로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 위치 결정 핀이 방해되는 일은 없고, 이에 의해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기록 재생 장치
제 1 도 내지 제 13 도는 본 발명 기록 재생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도는 기록 재생 장치의 카세트 장착부의 개요를 나타낸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II-II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와 동일한 부위를 제 2 도와 다른 상태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 평면도.
제 5 도는 VHS형 테이프 카세트의 개략을 나타낸 평면도.
제 6 도 내지 제 11 도는 신형 테이프 카세트를 나타낸 것이며 제 6 도는 제 5 도와 대응시킨 상태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
제 7a 도, 제 7b 도, 제 7c 도는 앞쪽 뚜껑 및 뒤쪽 뚜껑의 뚜껑 닫힘 위치에서 뚜껑 열림 위치로의 이동을 A에서 C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의 확대 수직 단면도.
제 8 도는 뚜껑 닫힘 상태의 사시도.
제 9 도는 뚜껑 열림 상태의 사시도.
제 10 도는 제 7a 도의 X-X선을 따른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
제 11 도는 일부를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도.
제 12 도는 뒤쪽 뚜껑의 양단부와 앞쪽 뚜껑의 지지부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
제 13 도는 2개의 테이프 카세트를 포개서 나타낸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테이프 카세트 2 : 카세트 케이스
9, 10 : 위치 결정 구멍 15 : 테이프 카세트
16 : 카세트 케이스 25,26 : 위치 결정 구멍
55 : 기록 재생 장치 66 : 위치 결정 핀
67,68,69 : 후퇴 가능 위치 결정 핀
본 발명은 신규의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위치 결정 핀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할 수 있는 신규의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는 상이한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 결정 구멍에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케이스(카세트 하우징)의 바닥 벽의 위치 아래로 후퇴 가능 위치 결정 핀을 설치함으로써, 위치 결정 핀과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대응하지 않는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면, 위치 결정 핀이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케이스의 바닥 벽의 위치 아래로 후퇴하므로,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 위치 결정 핀이 방해되는 일이 없고, 이에 의해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 기술]
예컨대, VHS 형 테이프 카세트 및 VHS-C 형 테이프 카세트와 같이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록 재생 장치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기 VHS 형 테이프 카세트와 VHS-C 형 테이프 카세트라고 하는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할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이라고 함)는 기본적인 외형 구조가 VHS 형 테이프 카세트와 동일한 카세트 어댑터를 사용하여, 카세트 어댑터에 VHS-C 형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해서 이 카세트 어댑터를 VTR에 장착하도록 한 것이며, 위치 결정 핀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다른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를, 카세트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장착할 수 있는 VTR은 아직 존재하고 있지 않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이한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 결정 구멍과 대응되지 않은 위치에는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케이스의 바닥 벽의 위치 아래로 후퇴 가능 위치 결정 핀이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 중 하나의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할 때와 다른 하나의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할 때, 대응하는 위치에 카세트 케이스의 위치 결정 구멍이 없으면 위치 결정 핀이 상기 카세트 케이스의 바닥 벽의 위치 아래로 후퇴하며, 이에 의해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제 1 도 내지 제 13 도)]
이하,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의 상세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a. 테이프 카세트(제 5 도 내지 제 13 도)
먼저,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 설명한다.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중 하나는 이미 알려진 VHS 형 테이프 카세트이고, 다른 하나는 이 테이프와 외형이 유사한 새로운 형태의 테이프 카세트이다.
(a-1. VHS형 테이프 카세트)[제 5 도, 제 13 도]
도면에서, 1은 VHS 형 테이프 카세트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며, 본 발명과 관련된 요점에 대해서만 도시 및 설명한다.
2는 카세트 케이스의 외형을 나타내며, 이 카세트 케이스(2) 내에는 2개의 테이프 릴(3,3')이 회전 자유롭게 수납되어 있고, 이들 테이프 릴(3,3')에는 자기 테이프(4)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고 또한 감겨져 있다. 그리고, 자기 테이프(4)는 그 일부가 카세트 케이스(2)의 앞면(5)의 양단 근접 위치에 형성된 테이프 출구로부터 카세트 케이스(2)의 밖으로 도출되며,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카세트 케이스(2)의 앞면(5)을 따라 위치되게 된다.
상기 카세트 케이스(2)의 앞면부에는 앞면과 아랫면이 개구된 3개의 오목부(6,7,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6,7)는 테이프 카세트(1)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된 때 자기 테이프(4)를 카세트 케이스(2)로부터 인출하여 소정의 테이프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로딩 테이프 안내 수단이나 인출 안내 수단이 삽입되는 오목부이고, 또한, 상기 오목부(8)는 테이프 카세트(1)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된 때 캡스턴이 삽입되는 오목부이다.
9는 카세트 케이스(2)의 바닥 벽에서 캡스턴 삽입용 오목부(8)의 약간 우측 위치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10은 카세트 케이스(2)의 바닥 벽에서 로딩 테이프 안내 삽입용 오목부(6,7)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으로, 좌우 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11은 상기 자기 테이프(4)가 끝 부분까지 감진 것을 검출하기 위한 테이프 끝 센서의 발광부의 삽입되는 구멍이고, 12는 테이프 릴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로크 해제 핀이 삽입되는 로크 해제 핀 삽입 구멍미여, 13ㄴ은 도시되지 않은 앞쪽 뚜껑을 뚜껑 열림 위치까지 회전시키는 뚜껑 개방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뚜껑 개방용 오목부이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1)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되면, 위치 결정 구멍(9,10)에 후술되는 위치 결정 핀이 삽입되고, 또한, 카세트 케이스(2)의 바닥 벽의 부분(14,14)이 기록 재생 장치에 설치된 지지 핀의 상단 상에 지지되며, 이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1)가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 위치 결정 된다.
(a-2. 신형 테이프 카세트)[제 6 도 내지 제 13 도]
15는 신형의 테이프 카세트로서, 상기 VHS 형 테이프 카세트(1)와 유사한 외형을 가지고 있고, 가로 폭이 VHS 형 테이프 카세트(1)와 동일하며, 전후 폭이 VHS 형 테이프 카세트(1) 보다 약간 넓으며, 또한, 자기 테이프의 앞면을 덮는 앞쪽 뚜껑 이외에 자기 테이프를 뒤에서 덮는 뒤쪽 뚜껑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VHS 형 테이프 카세트(1)와 다르다.
또한, 비사용시에 자기 테이프 중 카세트 케이스 외부로 도출되는 부분을 앞쪽 뚜껑과 뒤쪽 뚜껑으로 덮은 것은 예컨대 고밀도 기록으로 한 경우에 먼지의 부착을 피하기 위함이다.
16은 카세트 케이스이고, 합성 수지로 형성된 장방형의 얕은 접시 형상을 한 상부 하프 케이스(upper half case)(17)와 하부 하프 케이스(18)가 상하로 함께 나사로 고정되어, 평면 형상으로 장방형을 한 얇은 상자 형상의 카세트 케이스(19)이다.
상기 카세트 케이스(16) 내에는 1쌍의 테이프 릴(19, 20)이 회전 자유롭게 수납되어 있고, 자기 테이프(21)가 상기 2개의 테이프 릴(19, 20)에 감겨 있다.
22, 22'는 카세트 케이스(16)의 앞면(16a)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테이프 출구이며, 한쪽 테이프 릴(19, 20)로부터의 자기 테이프(21)가 한쪽 테이프 출구(22)로 부터 카세트 케이스(16)의 외부로 나와서, 카세트 케이스(16)의 앞면(16a)중 테이프 출구(22,22') 사이의 부분(이하, 「테이프 인출 영역」이라고 함)을 따라 놓여 다른 쪽의 테이프 출구(22')로부터 카세트 케이스(16)의 내부로 들어가서 다른 쪽의 테이프 릴(20)에 도달되어 있다.
23은 다른 쪽의 테이프 출구(22')의 옆에 형성된 뚜껑 개방용 오목부이고, 앞면 및 상하로 개구되어 상하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뻗어 있다.
24는 카세트 케이스(16)의 앞면부 중 상기 테이프 인출 영역에 형성된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이고, 앞면 및 아랫면, 그리고 윗면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윗면의 개구면의 깊이는 아랫면의 개구면의 깊이에 비해 얕으며, 또한 윗면의 개구면의 안쪽 에지는 좌우 방향으로 곧바로 뻗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카세트(15)를 상기 VHS 형 테이프 카세트(1)에 중첩시킬 때(제 13 도 참조), 테이프 카세트(15)의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24)는 VHS 형 테이프 카세트(1)의 각각의 오목부(6, 7, 8)를 포함하고 있는 영역을 커버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25, 26은 원형의 위치 결정 구멍이고, 카세트 케이스(16)의 바닥 벽중 후단부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구멍(25)은 원형을 하고 있고, 위치 결정 구멍(26)은 가로로 긴 타원형을 하고 있다.
27은 상기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24)의 안쪽면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발광부용 오목부이고, 테이프 끝을 검출하기 위한 테이프 끝 센서의 발광부가 삽입되는 곳이다.
또한, 28은 뒷부분 근처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형성된 로크 해제 핀 삽입구멍이다.
29는 카세트 케이스(16)의 앞면(16a)의 전체 영역을 덮는 앞쪽 뚜껑이고,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앞쪽 뚜껑(29)은 앞면부(30)와 이 앞면부(30)의 상부 에지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윗면부(31)와 앞면부(30)의 좌우 양측 에지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측면부(32, 32')가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측면부(32, 32')의 내측면의 후방 근처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지점핀(33, 33')이 돌출되어 있고, 이 지점 핀(33,33')이 카세트 케이스(16)의 측면부의 앞단 부근에 형성된 지지 구멍(34, 34')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에 의해 앞쪽 뚜껑(29)은,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부(30)가 카세트 케이스(16)의 앞면(16a)을 덮은 뚜껑 닫힘 위치와,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16a)의 윗쪽에 위치하여 상기 앞면(16a)을 개방시키는 뚜껑 열림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카세트 케이스(16)에 지지된다.
35는 앞쪽 뚜껑(29)에 뚜껑 닫힘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토션(torsion) 스프링이고, 코일부(35a)와 이 코일부(35a)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2개의 아암(35b, 35c)을 가지고 있고, 코일부(35a)가 앞쪽 뚜껑(29)의 우측의 측면부(32; 테이프 카세트(1)를 뒤쪽으로부터 본 경우의 우측을 우측으로 함)의 지점 핀(33)중 카세트 케이스(16)의 외부에 위치한 부분에 설치됨과 더불어, 한쪽 아암(35b)의 선단부가 상기 측면부(32)의 안쪽면 중 지점 핀(33)보다 앞면부(30)측으로 근접 위치에 돌출된 스프링 맞닿음 돌출부(36)에 위쪽으로부터 탄성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앞쪽 뚜껑(29)에 좌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 즉 뚜껑 닫힘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진다.
또한, 카세트 케이스(16)의 바닥판부(38)의 앞단 중 좌우 양단부(38a, 38b)는 앞면(16a)으로부터 약간 앞쪽으로 돌출되고, 또한, 앞쪽 뚜껑(29)의 앞면부(30)의 하부측 에지의 좌우 양단부에 얕은 절단부(39a, 39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절단부(39a, 39b)의 상부측 에지가 상기 돌출부(38a, 38b)에 윗쪽으로부터 맞닿게 되므로 앞쪽 뚜껑(29)이 그 이상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며, 그리고, 이 저지된 위치가 뚜껑 닫힘 위치이다.
그리고, 앞쪽 뚜껑(29)이 뚜껑 닫힘 위치에 온 상태(이하, 「뚜껑 닫힘 상태」라고 함)에서는, 카세트 케이스(16)의 앞면(16a)의 전체 영역의 앞쪽 뚜껑(29)의 앞면부(30)에 의해 덮임과 함께,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24)의 윗면 개구가 앞쪽뚜껑(29)의 윗면부(31)에 의해 덮이며, 따라서, 카세트 케이스(16)의 앞면(16a)의 테이프 인출 영역을 따라 뻗어 있는 자기 테이프(21)의 일부분의 앞쪽 뚜껑(29)에 의해 덮힌다.
40, 40은 후술되는 뒤쪽 뚜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이고, 이들 지지편(40, 40)은 앞쪽 뚜껑(29)의 윗면부(31)의 아랫면으로부터 수직 설치되며, 그 하단은 앞쪽 뚜껑(29)의 상하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높은 위치까지 뻗어 있고,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24)의 좌우 두 안쪽면, 즉,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24)와 테이프 출구(22,22') 사이에 위치한 벽(41, 41)의 서로 대향하는 안쪽면(41a, 41a)과 대응하는 곳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지편(40, 40)의 하단부에 원형의 지지 구멍(40a, 40a)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앞쪽 에지의 상부로부터 스프링 맞닿음부(40b, 40b)가 서로 안쪽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42는 카세트 케이스(16)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21)를 뒷면 및 아래쪽으로부터 덮은 뒤쪽 뚜껑이고, 그 각각의 부분이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43은 뒤쪽 뚜껑(42)의 주요부이고, 좌우 방향으로 긴 판 형상이며, 앞쪽 뚜껑(29)의 상기 2개의 지지편(40, 40) 사이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고, 앞쪽 뚜껑(29)의 전단부(30)의 상하 폭보다 약간 작은 상하 폭을 가지고 있으며, 그 배면(43a)의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위쪽 부근의 부분에는 횡단면에서 원호 형상인 돌조(rib)(43b)가 형성되고, 주요부(43)의 상기 돌조(43b)가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쪽의 부분은 그 나머지의 부분보다 약간 뒤쪽에 있고 우측에서 보았을 때 대략 <자 형상을 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주요부(43)의 좌우 양쪽 단면 중 상기 돌조(43b)와 대응된 부분에 절단부(43c, 43c)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단부(43c, 43c)쪽을 향한 면으로부터 서로 동축인 2개의 지점핀(44,44)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요부(43)의 앞면의 아래쪽 에지에 근접한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덮개 돌조(45)가 형성되며, 또한, 좌우 양단의 하단으로부터 비교적 짧은 아암(46, 46)이 뒤쪽을 향해 돌출 설치되며, 그 아암(46,46)의 선단부에 작은 원주 형상의 피안내핀(47,47)이 옆쪽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48, 48은 주요부(43)은 좌우 두 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 설치된 피압착부이고, 이 피압착부(48, 48)의 아랫면으로부터 주요부(43)의 윗면까지의 간격은 앞쪽 뚜껑(29)의 앞면부(30)의 하단으로부터 윗면부(31)의 아랫면까지의 간격보다 약간 좁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점핀(44, 44)이 앞쪽 뚜껑(29)의 지지편(40, 40)에 형성된 지지 구멍(40a, 40a)에 각각 삽입되며, 이에 의해 뒤쪽 뚜껑(42)이 앞쪽 뚜껑(29)의 전단부(30)의 뒤쪽으로 앞쪽 뚜껑(29)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며, 또한, 피안내핀(47, 47)이 카세트 케이스(16)에 설치된 후술되는 안내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며, 이에 의해, 뒤쪽 뚜껑(42)은 앞쪽 뚜껑(29)의 회전에 따라 제 7a 도에 나타낸 뚜껑 닫힘 위치와 제 7c 도에 나타낸 뚜껑 열림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49, 49는 뒤쪽 뚜껑(42)에 하단부가 앞쪽 뚜껑(29)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가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이고, 코일부(49a, 49a)와 이 코일부(49a, 49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뻗어 있는 2개의 아암(49b, 49b)(49c, 49c)을 가지고 있고, 코일부(49a, 49a)가 지점 핀(44, 44)중 주요부(43)와 지지편(40, 40)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 설치됨과 함께, 한쪽의 아암(49b, 49b)의 선단부가 지지편(40, 40)의 스프링 맞닿음부(40b, 40b)에 뒤쪽으로부터 탄성 접촉되고, 다른 쪽의 아암(49c, 49c)의 선단부가 주요부(43)의 앞면중 절단부(43c, 43c)의 상부면에 연속하는 위치의 앞쪽으로부터 탄성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스프링(49, 49)의 탄발력(彈發力)에 의해 뒤쪽 뚜껑(42)에는 좌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진다.
50, 50은 상기 피안내핀(47, 47)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여 뒤쪽 뚜껑(42)의 앞쪽 뚜껑(29)에 대한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안내 홈이고, 상기 안내 기능 이외에 뒤쪽 뚜껑(42)을 뚜껑 닫힘 위치에서 로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카세트 케이스(16)의 상기 벽(41, 41)의 안쪽면(41a, 41a)에 돌조(50a, 50a)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홈(50, 50)은 그 하단부를 이루는 초기 안내부(51, 51)와, 이에 이어진 중간부(52, 52)와, 이에 이어진 말기 안내부(53, 5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초기 안내부(51, 51)는 카세트 케이스(16)의 앞면(16a)의 테이프 인출 영역을 따라 걸쳐 있는 자기 테이프(21)의 아랫쪽 에지와 대략 동일한 높이이고, 또한 앞쪽 뚜껑(29)이 뚜껑 닫힘 위치에 온 상태에서 뒤쪽 뚜껑(42)의 피안내핀(47, 47)의 회전 궤적을 따라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52, 52)는 초기 안내부(51, 51)의 후단에 연속하여 그곳으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거의 곧바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종기 안내부(53, 53)는 중간부(52, 52)의 상단에 연속하며 그곳에서 좌측으로 보아 사계 회전 방향으로 완만한 호를 그리고 연장하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은 벽(41, 41)의 상단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안내 홈(50, 50)에 뒤쪽 뚜껑(42)의 피안내핀(47, 47)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피안내핀(47, 47)의 이동 경로는 안내 홈(50, 50)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안내 홈(50, 50)의 뒤쪽 뚜껑(42)에 대한 로크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뒤쪽 뚜껑(42)에는 그 하단이 앞쪽 뚜껑(29)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져 있으며, 또한, 안내 홈(50, 50)의 초기 안내부(51, 51)는 뚜껑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뒤쪽 뚜껑(42)의 피안내핀(47, 47)의 회전 궤적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앞쪽 뚜껑(29)이 뚜껑 닫힘 위치에 오면 피안내핀(47, 47)은 제 7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안내부(51, 51)의 대략 수평인 안쪽 바닥면(51a, 51a)과 대략 수직인 앞쪽면(51b, 51b)에 탄성 접촉되며, 이에 의해 뒤쪽 뚜껑(42)이 더 이상 상기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 상태의 뒤쪽 뚜껑(42)의 위치가 리드 닫힘 위치이며, 이 상태에서는 주요부(43)가 자기 테이프(21)를 끼고 앞쪽 뚜껑(29)의 앞면부(30)와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고, 또한 그 덮개 돌조(45)의 앞단부가 자기 테이프(21)의 아래 에지로부터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고, 또한 앞쪽 뚜껑(29)의 앞면부(30)의 배면에 가볍게 접촉하든지 또는 매우 근접한 곳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뚜껑 닫힘 상태에서는 자기 테이프(21)중 카세트 케이스(16) 밖으로 도출되어 있는 부분은 앞쪽 뚜껑(29)에 의해 앞면측 및 위쪽으로부터 덮힘과 함께 뒤쪽 뚜껑(42)에 의해 뒷면측과 아랫쪽으로부터 덮인다.
그리고, 뚜껑 닫힘 상태에 있어서 뒤쪽 뚜껑(42)은 뚜껑 닫힘 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즉, 뚜껑 닫힘 위치에 로크되고, 또한 앞쪽 뚜껑(29)는 뒤쪽 뚜껑(42)이 로크됨으로써 뚜껑 닫힘 위치에 로크된다.
이와 같은 로크는 안내 홈(50, 50)의 초기 안내부(51, 51)와 토션 스프링(49, 49)의 탄발력에 의해 행해진다. 제 7a 도에 나타낸 직선(L1)은 초기 안내부(51, 51)의 윗면(51c, 51c)(이하, 「로크면」이라 함)의 연장선, 곡선(R)은 뚜껑 닫힘 상태에 있어서 뒤쪽 뚜껑(42)을 회전시킨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피안내핀(47, 47)의 외주면 중 로크면(51c, 51c)과 접촉하고 있는 위치의 회전 궤적, 직선(1)은 뚜껑 닫힘 상태에 있어서 피안내핀(47, 47)의 중심과 지점핀(44, 44)의 중심을 연결한 선, 또한, 직선(l2)은 상기 직선(1)과 회전 궤적(R)이 교차하는 점에 있어서 회전 궤적(R)에 외접(外接)하는 외접선이며, 로크면(51c, 51c)은 외접선(L2)에 대해 약간 뒤쪽으로 경사진 방향(도면에서는 대략 5°경사진 상태로 도시됨)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뚜껑 닫힘 상태로부터 앞쪽 뚜껑(29)을 뚜껑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가해지면, 이 힘은 뒤쪽 뚜껑(42)에도 가해진다. 그리고, 뒤쪽 뚜껑(42)에는 토션 스프링(49, 49)에 의한 회전력이 가해져 있으므로, 거의 지점 핀(44, 44)의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 피안내핀(47, 47)은 반드시 로크면(51c, 51c)에 직선(1)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되게 된다. 그리고, 로크면(51c, 51c)은 상기 경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로크면(51c, 51c)에 가압된 피안내핀(47, 47)에는 앞쪽으로 이동력이 생기게 되며, 따라서 피안내핀(47, 47)은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저지되며, 이에 의해 뒤쪽 뚜껑(42)의 뚜껑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며, 또한, 뒤쪽 뚜껑(42)의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앞쪽 뚜껑(29)의 뚜껑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도 저지된다.
그래서, 뒤쪽 뚜껑(42)과 앞쪽 뚜껑(29)은 뚜껑 닫힘 위치에 로크된다.
앞쪽 뚜껑(29) 및 뒤쪽 뚜껑(42)의 뚜껑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은 테이프 카세트(15)를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할 때, 기록 재생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뚜껑 개방 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즉, 앞쪽 뚜껑(29)의 앞면부(30)의 하단부중 뚜껑 닫힘 위치에 온 뒤쪽 뚜껑(42)의 상기 피가압부(48, 48)와 대응된 위치에는 절단면(54, 54)이 형성되어 있고, 테이프 카세트(15)를 기록 재생 장치의 카세트 삽입부에 삽입하면, 먼저, 뚜껑 개방 수단의 로크 해제부가 상대적으로 상기 절단면(54, 54)을 통해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24) 내에 삽입되어 피가압부(48, 48)를 뒤쪽을 향해서 가압하며, 이에 의해 뒤쪽 뚜껑(42)이 제 7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되며, 피안내핀(47, 47)이 안내 홈(50, 50)의 초기 안내부(51, 51)와 중간부(52, 52)가 연속하는 위치로 이동되며, 이어서, 일부는 상기 뚜껑 개방용 오목부(23)를 통해 아래로부터 위로 이동하는 뚜껑 개방 부재에 의해 앞쪽 뚜껑(29)에 뚜껑 열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며, 이에 의해 앞쪽 뚜껑(29)이 뚜껑 열림 방향을 향해 회전된다. 그리고, 이 회전에 따라, 뒤쪽 뚜껑(42)은 앞쪽 뚜껑(29)에 지지된 위치가 지점 핀(33, 33')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이동됨과 더불어, 피안내핀(47, 47)의 이동 경로가 안내 홈(50, 50)의 중간부(52, 52) 및 종기 안내부(53, 53)에 의해 안내되면서 뚜껑 열림 방향으로 이동해가며, 제 7c 도에 나타낸 뚜껑 열림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피안내핀(47, 47)이 중간부(52, 52)에 의해 이동 방향이 안내되고 있는 사이에는, 뒤쪽 뚜껑(42)의 앞쪽 뚜껑(29)의 앞면부(30)에 대한 기울기가 서서히 증가해가고, 피안내핀(47, 47)이 종기 안내부(53, 53)에 의해 이동 방향이 안내되고 있는 사이에는 상기 기울기가 감소해가며, 뚜껑 열림 위치에 도달하면, 뒤쪽 뚜껑(42)은 앞쪽 뚜껑(29)과 거의 평행한 자세로 된다.
또한, 앞쪽 뚜껑(29) 및 뒤쪽 뚜껑(42)의 뚜껑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 동작은 상기 뚜껑 열림시의 이동 동작과 반대의 순서로 행해진다.
(a-3. 2개의 테이프 카세트의 비교)[제 13 도]
여기서, 상기 2개의 테이프 카세트(1, 15)를 포개서 각 부분의 위치를 비교하면 제 1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즉, 신형 테이프 카세트(15)의 오목부(24)는 VHS 형 테이프 카세트(1)의 3개의 오목부(6,7,8)를 포함하는 크기이며, 신형 테이프 카세트(15)의 자기 테이프(21)는 VHS 형 테이프 카세트(1)의 자기 테이프(4) 보다 조금 앞에 위치하며, 뚜껑 개방용 오목부(13, 23) 발광용 오목부(11, 27), 로크 해제 핀 삽입구멍(12, 28)은 각각 같은 위치에 있다.
또한, VHS 형 테이프 카세트(1)의 위치 결정 구멍(9, 10)중 10은 신형 테이프 카세트(15)의 오목부(24)에 대응되지만, 9는 바닥판이 있는 부분에 대응된다. 반대로, 신형 테이프 카세트(15)의 위치 결정 구멍(25, 26)은 어느 것이나 VHS 형 테이프 카세트(1)의 바닥판이 있는 부분에 대응된다.
b. 기록 재생 장치의 개요(제 4 도)
다음에, 기록 재생 장치(55)의 개요가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4 도에는 VHS 형 테이프 카세트(1)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개요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카세트(1)의 테이프 릴(3, 3')은 도시되지 않는 릴 결합 축과 결합된다.
56은 도시되지 않는 회전 자기 헤드를 구비한 헤드 드럼이고, 57, 57, ...은 안내 롤러이며, 58은 전폭 소거 헤드이고, 59는 오디오 소거 헤드, 오디오 헤드 및 제어 신호 헤드를 구비한 헤드부이다.
상기 테이프 카세트(1)가 장착되면, 인출 안내 수단(60) 및 로딩 테이프 안내 수단(61, 61)의 오목부(6) 내에 위치되게 되고, 또한 한쪽의 로딩 테이프 안내 수단(62, 62)이 오목부(7) 내에 위치되게 되며, 그리고 캡스턴(63)이 오목부(8) 내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기록 동작 또는 재생 동작이 개시될 때에는, 인출 안내 수단(60) 및 로딩 테이프 안내 수단(61, 61, 62, 62)이 소정의 동작 위치까지 이동하여 자기 테이프(4)를 카세트 케이스(2)로부터 인출하며, 이에 따라 제 4 도에 나타낸 소정의 테이프 경로가 형성되고, 또한 핀치(pinch) 롤러(64)가 자기 테이프(4)를 캡스턴(63)에 압착하고, 장력(tension) 조절 핀(65)이 상기 자기 테이프(4)에 탄성 접촉된다.
또한, 신형 테이프 카세트(15)가 상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될 때에는, 상기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24)가 VHS 형 테이프 카세트(1)의 각각의 오목부(6, 7, 8)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인출 안내 수단(60), 로딩 테이프 안내 수단(61, 61, 62, 62) 및 캡스턴(63)은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24) 내에 위치되며, 그리고 인출 안내 수단(60) 및 로딩 테이프 안내 수단(61, 61, 62, 62)이 소정의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자기 테이프(21)가 카세트 케이스(16)로부터 인출되어 소정의 테이프 경로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2개의 테이프 카세트(1, 15)의 뚜껑 개방용 오목부(13, 23), 발광용 오목부(11, 27), 로크해제 핀 삽입 구멍(12, 28)은 제 1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치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뚜껑 개방 판, 테이프 끝 감지기의 발광부, 로크 해제 핀은 두 테이프 카세트(1, 15)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c. 위치 결정 핀(제 1 도 내지 제 3 도)
VHS 형 테이프 카세트(1)의 위치 결정 구멍(10)에 삽입되는 위치 결정 핀(66)을 종래와 마찬가지로 고정 타입의 위치 결정 핀으로 해도 되지만, 위치 결정 구멍(9, 25, 26)에 삽입되는 위치 결정 핀(67, 68, 69)은 가압될 때 후퇴라는 후퇴 가능 위치 결정 핀이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결정 핀(67, 68, 69)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위치 결정 핀(67)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70은 새시(chassis) 상에 제공된 카세트 장착부(7)에 설치된 지지통(support cylinder)이다.
지지통(70)은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상단면(72)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삽입 구멍(74)을 정의하는 내부 플랜지(inner flange)(73)가 제공되어 있다.
75는 상기 지지통(70)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 가동 핀이고, 슬라이딩 베이스부(base portion)(76)와 그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삽입 핀부(77)가 일체로 형성돼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베이스부(76)는 하단에 개구된 오목부(76a)를 가지고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경은 상기 지지통(70)의 내경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통(70)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삽입 핀부(77)는 짧은 원 기둥 형상을 한 베이스부(77a)와 이 베이스부(77a)의 상단에 연속되어 절두체(frustum) 형상을 한 도입부(77b)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고, 베이스부(77a)의 외경은 상기 지지통(70)의 삽입 구멍(74)의 직경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삽입 핀부(77)가 지지통(70)의 삽입 구멍(74)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78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지지통(70) 내에 삽입되며,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하단은 카세트 장착부(71)의 윗면에 탄성 접촉되며,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상단은 가동 핀(후퇴 위치 결정 핀)(75)의 슬라이딩 베이스부(76)의 오목부(76a)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가동 핀(75)이 위쪽으로부터 가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압축 스프링(78)의 탄발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되며, 삽입 핀(77)이 지지통(70)의 삽입 구멍(74)으로부터 돌출되고, 슬라이딩 베이스부(76)의 상단면 에지의 어깨부(76b)가 지지통(70)의 상단면(72)의 에지부(73)에 맞닿는 곳에서 가동 핀(75)의 상승이 저지된다.
따라서, 카세트 장착부(71)에 VHS 형 테이프 카세트(1)가 장착되면, 위치 결정 핀(67)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 결정 구멍(9)이 오므로, 삽입핀(77)이 상기 위치 결정 구멍(9)에 결합되어 테이프 카세트(1)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카세트 장착부(71)에 신형 테이프 카세트(15)가 장착되면, 그 카세트 케이스(16)의 바닥 벽에는 삽입 핀부(77)가 삽입되는 구멍이 없으므로, 도입부(77b)의 끝부분이 카세트 케이스(16)의 바닥 벽에서 가압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78)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가동 핀(75)이 밀어 넣어지며, 카세트 케이스(16)의 바닥 벽이 지지통(70)의 상단면(72) 상에 위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카세트 장착부(71)에 VHS 형 테이프 카세트(1)가 장착되면, 위치 결정 핀(67)의 삽입핀부(77)가 위치 결정 구멍(9) 내에 결합되어, 위치 결정 핀(66)의 상단부(66a)가 위치 결정 구멍(10) 내에 결합되면, 위치 결정 핀(68, 69)의 삽입 핀부(77, 77)는 지지통(70, 70) 내에 인입 테이프 카세트(1)의 바닥 벽이 위치 결정 핀(68, 69)의 지지통(70, 70)의 상단면(72, 72) 상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카세트 장착부(71)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카세트 장착부(71)에 신형 테이프 카세트(15)가 장착되면, 위치 결정 핀(68, 69)의 각각의 삽입 핀부(77, 77)가 위치 결정 구멍(25, 26) 내에 각별히 삽입되며, 위치 결정 핀(66)의 상단은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24) 내에 삽입되며, 위치 결정 핀(67)의 삽입 핀부(77)는 지지통(70) 내에 인입 카세트 케이스(16)의 바닥 벽이 위치 결정 핀(67)의 지지통(70)의 상단면(72) 상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카세트 장착부(71)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15)의 위치 결정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카세트 케이스(16)의 바닥 벽에 1개소 높이의 규제핀을 맞닿게 해도 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테이프 카세트를 유지하여 카세트 장착부(71)에 장착하기 위한 카세트 홀더나 기타 다른 소정의 부재나 부품이 필요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기재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는 위치 결정 핀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할 수 있는 기록 재생 장치이며, 상이한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 결정 구멍과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는 해당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케이스의 바닥 벽의 위치 아래로 후퇴 가능한 위치 결정 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상호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의 한쪽을 장착할 때와 다른 쪽을 장착할 때 대응한 위치에 카세트 케이스의 위치 결정 구멍이 없는 바닥 벽이 위치하고 위치 결정 핀이 해당 카세트 케이스의 바닥 벽의 위치 아래로 후퇴되며, 이에 의해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 나타낸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한가지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게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5)

  1. 상이한 2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 중 어느 하나의 테이프 카세트와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2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는 실질적으로 길이가 동일하고 폭이 약간 다르며, 각각의 상기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는 각각의 패턴으로 위치 결정 구멍이 형성된 밑면을 가지고 있는 바닥 벽을 가진 카세트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패턴이 상기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 중 다른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 결정 구멍의 패턴과는 다른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2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 중 어느 하나의 테이프 카세트가 위에 위치 결정 되도록 되어 있는 카세트 정착 수단과;
    상기 2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의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의 패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카세트 장착 수단 상의 복수의 위치 결정 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 핀 장치 중 적어도 3 개의 위치 결정 핀 장치는,
    위치 결정된 테이프 카세트가 각각의 위치 결정 핀 장치의 위치에 위치 결정 구멍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위치 결정된 테이프 카세트의 바닥 벽의 밑면에 의해 후퇴되도록 아래로 눌리게 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이 각각의 위치 결정 핀 장치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위치 결정 구멍과 각각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각각의 후퇴 가능 위치 결정 핀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2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 중 어느 하나의 테이프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장착 수단 상에 위치 결정될 때, 상기 위치 결정 핀 모두가 각각의 위치 결정 구멍에 대해 후퇴되거나 결합되는 기록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후퇴 가능한 위치 결정 핀을 포함하고 있는 각각의 상기 위치 결정 핀 장치는 위치 결정된 테이프 카세트의 바닥 벽의 밑면에 의해 상기 후퇴 가능한 위치 결정 핀이 아래쪽으로 눌릴 때 상기 후퇴 가능한 위치 결정 핀을 수용하는 지지 실린더를 가지고 있는 기록 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후퇴 가능한 위치 결정 핀을 포함하고 있는 각각의 상기 위치 결정 핀 장치가 상기 후퇴 가능한 위치 결정 핀을 위쪽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가지고 있는 기록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실린더는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후퇴 가능한 위치 결정 핀의 위쪽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 수단을 가지고 있는 기록 재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후퇴 가능한 위치 결정 핀은 테이퍼진 헤드를 가지고 있는 기록 재생 장치.
KR1019910005756A 1990-04-13 1991-04-11 기록재생장치 KR100247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98560A JPH03295064A (ja) 1990-04-13 1990-04-13 記録再生装置
JP2-98560 1990-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029A KR910019029A (ko) 1991-11-30
KR100247369B1 true KR100247369B1 (ko) 2000-03-15

Family

ID=1422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756A KR100247369B1 (ko) 1990-04-13 1991-04-11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59477A (ko)
EP (1) EP0452149A3 (ko)
JP (1) JPH03295064A (ko)
KR (1) KR100247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8944A (en) * 1991-09-10 1993-03-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locating and holding a cartridge
JP2807119B2 (ja) * 1992-03-18 1998-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磁気テープ装置のカセット検出装置
US5341264A (en) * 1992-05-12 1994-08-23 Sony Corporation Double lid structure for tape cassette
JP3208621B2 (ja) * 1993-07-12 2001-09-1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2986318B2 (ja) * 1993-11-30 1999-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254195A (ja) * 1994-03-17 1995-10-03 Hitachi Ltd 記録再生装置のカセット装着機構
WO1999065028A2 (en) * 1998-06-12 1999-12-16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tape cassette and tape reel
GB2493186A (en) 2011-07-27 2013-01-30 Oclaro Technology Ltd High speed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1347A (ja) * 1987-02-02 1988-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2511A (en) * 1977-10-04 1979-04-25 Olympus Optical Co Ltd Cassette type magnetic recorder-reproducer
JPS5788578A (en) * 1980-11-25 1982-06-02 Victor Co Of Japan Ltd Adaptor for tape cassette
JPH06101174B2 (ja) * 1984-08-20 1994-1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セツト装着装置
JPH0719467B2 (ja) * 1985-01-29 1995-03-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短時間記録用テ−プカセツト
JPH0648588Y2 (ja) * 1985-12-18 1994-12-12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位置決め装置
JPS63112845A (ja) * 1986-10-28 1988-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EP0311390B1 (en) * 1987-10-07 1994-02-23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Tape cassette loading system
US4972278A (en) * 1987-10-15 1990-11-20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ape cassette driving system compatible with two cassette types of different sizes
JPH0256761A (ja) * 1988-08-23 1990-02-26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US5237470A (en) * 1988-11-14 1993-08-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tape cassette loading/unloading apparatus which selectively loads different size cassettes
JPH02310850A (ja) * 1989-05-25 1990-12-26 Toshiba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142743A (ja) * 1989-10-27 1991-06-18 Sanyo Electric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カセット位置決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1347A (ja) * 1987-02-02 1988-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52149A2 (en) 1991-10-16
US5359477A (en) 1994-10-25
EP0452149A3 (en) 1991-12-18
KR910019029A (ko) 1991-11-30
JPH03295064A (ja) 199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360B1 (ko) 테이프 카셋트
EP0578536B1 (en) Opening/closing door mechanism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EP0406943B1 (en) System for recording/reproducing signals on/from magnetic tape, and apparatus and cassette for use in the system
KR100247369B1 (ko) 기록재생장치
KR940001245B1 (ko) 카세트 홀더
KR940006360B1 (ko) 자기 테이프 레코오더용 테이프 카세트, 그 도어작동기구 및 도어 작동방법
US6964391B2 (en) Recording tape cartridge
EP0450882B1 (en) Tape cassette
KR0148625B1 (ko) 기록재생장치의 카세트 로딩기구
KR100710400B1 (ko) 테이프 카세트
US6456462B1 (en) Tape cassette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6452749B1 (en) Tape cassette
US5224004A (en) Tape cassette having reels displaceable towards the rear corners
US6345778B1 (en) Tape cassette with pivoting lid lock within front lid
US5337204A (en) Tape cassette having recesses for cassette loading
EP0543159B1 (en) Tape cassette and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KR0126782B1 (ko) 테이프카세트의 허브 케이스 가이드장치
JP4660057B2 (ja) カートリッジ
CA1323694C (en) Cassette holding apparatus for a cassette tape player
JPH06295556A (ja) テープカセット
US6977797B2 (en) Cartridge having a recording mode switching member
KR950000570B1 (ko) 테이프카세트
US5406430A (en) Cassette tape mount for use in a cassette tape recorder
JP2847877B2 (ja) 記録再生装置
JP2629431B2 (ja) テープ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