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690B1 - 이득 제어기 - Google Patents

이득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690B1
KR100246690B1 KR1019970024181A KR19970024181A KR100246690B1 KR 100246690 B1 KR100246690 B1 KR 100246690B1 KR 1019970024181 A KR1019970024181 A KR 1019970024181A KR 19970024181 A KR19970024181 A KR 19970024181A KR 100246690 B1 KR100246690 B1 KR 10024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control
gain
variable
characteristic data
err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814A (ko
Inventor
도모야 가꾸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8000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Landscapes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자동 이득 제어기는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에 따라 각각 설정되는 샘플링 스텝에서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으로부터 샘플된 불연속 특성 데이타를 이용하여 교정 제어기에 의해 교정된 오차 신호에 근거하여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한다. 상기 교정 제어기는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이 오차 신호에 대해 실질적으로 선형이도록 메모리에 저장된 불연속 특성 데이타로부터 발생된 연속 특성 데이타에 근거하여 상기 오차 신호를 교정한다.

Description

이득 제어기
본 발명은 총체적으로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DS-CDMA(다이렉트 시퀀스-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시스템과 같이 정교한 이득 제어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적합한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S-CDMA 시스템에서, 다수의 채널이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고, 각 사용자의 PN(의사랜덤 노이즈(pseudorandom noise)) 시퀀스가 독특한 코드에 의해 발생되어, 수신기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의 신호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신기는 송신기에 사용된 상기 PN 시퀀스의 복사본을 그것에 곱함으로써 수신된 신호의 역-스프레딩 또는 디스프레딩(reverse-spreading or despreading)을 수행한다. 수신기가 원하는 사용자 신호에 독특한 PN 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의 코드와 함께 코드화된 신호는 단순히 노이즈로 나타내게 되어, 통신의 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전력이 모두 단말국으로부터 수신되고 전력 수준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도록 각 사용자의 송신기의 전력은 중앙 기지국에 의해 제어될 필요가 있다. 달리 표현하면, 각 단말국의 송신 전력은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의의 DS-CDMA 시스템에서 정확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를 위해 북미의 TLA(원거리 통신 산업 협회)에 의해 발표된 잠정 표준 95에 따르면, 송신 전력 허용오차는 ±0.5㏈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수신기는 서로 다른 사용자의 신호들 간을 구별하기 위해 수신된 신호의 역-스프레딩을 수행한다. 따라서, 선형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각 단말국의 수신기를 위해 이득을 정교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 및 이득 제어는 가변-이득 증폭기를 사용하는 자동 이득 제어(AGC) 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더 상세하게는,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 수준은 타켓 수준과 비교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출력 수준과 목표 수준 간의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이 제어된다.
정확한 AGC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은 광범위한 동적 범위에 걸쳐 이득 제어 신호 SD에 따라 선형으로 변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변-이득 증폭기는 그 정체의 동적 범위에 걸쳐 선형 이득 제어 특성을 갖지 않지만, 제1(a)도에 특성 곡선(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선형 이득 제어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선형 이득 제어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가변-이득 증폭기에 인가되는 이득 제어 신호 SD를 교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AGC 회로에 따르면, 교정표가 ROM과 같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고, 가변-이득 증폭기에 인가될 이득 제어 신호 SD가 교정표를 이용하여 교정된다. 더 상세하게는,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불연속 점(도면에서, 이득 값 G1-G9과 이득 제어 값 C1-C9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한 세트의 불연속 데이타가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불연속 데이타는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타의 양을 감소시킨다. 교정표의 불연속 데이타를 이용하여 선형 보간함으로써, 이득 제어 신호 SD는 가변-이득 증폭기에 선형 이득 제어 특성을 제공하도록 교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교정표를 이용하는 이와 같은 제어 방법은 일본 특허공개 제63-167557호에 개시되어 있다. 비록 제어 회로가 반도체 레이저 드라이버에 포함되어 있지만, 레이저의 출력 전력은 교정표를 이용하여 피드백 루프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종래의 제어 방법 및 AGC 회로는 가변-이득 증폭기에 인가될 이득 제어 신호 SD를 정확하게 교정할 수 없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범위는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 이득 값 G1-G9을 구하기 위해 균일하게 분할된다. 이득 제어 신호 SD의 불연속 값들 간의 이득 제어 값이 교정표로부터 선형 보간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따라서, 특성 곡선(10)이 급격한 곡률을 갖는 경우에, 교정된 이득 제어 신호는 급격한 곡률의 위치에서의 이상적인 이득 제어 신호로부터 유도된다.
특히,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성 곡선(10)이 (예를 들어, 제1(a)도에서 이득 제어 값 C1및 C2, C7및 C8, 또는 C8및 C9) 간에 급격한 곡률을 가질 때, 가변-이득 증폭기의 교정된 출력 특성 곡선(11)은 샘플 위치 S1및 S2, S7및 S8또는 S8및 S9간의 실제 출력 특성 곡선(12)으로부터 일탈한다. 이와 같은 편차로 DS-CDMA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가 저하되게 되어 통신 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이득 증폭기의 정확한 이득 제어를 달성할 수 있는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DS-CDMA 시스템에서 높은 품질의 통신을 달성하기 위해 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 수준과 기준 수준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오차 신호에 근거하여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 제어 장치에서,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에 따라 각각 설정되는 샘플링 스텝에서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으로부터 불연속 특성 데이타가 샘플된다. 상기 불연속 특성 데이타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교정 제어기는,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이 오차 신호에 대해 실질적으로 선형이도록 메모리에 저장된 불연속 특성 데이타로부터 발생된 연속 특성 데이타에 근거하여 오차 신호를 교정한다.
각각의 샘플링 스텝이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불연속 특성 데이타로부터 발생된 연속 특성 데이타는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과 극히 유사하다. 따라서,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이 오차 신호에 대해 실질적으로 선형이도록 오차 신호가 정확하게 교정될 수 있어,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이 정확하게 제어되고 DS-CDMA 시스템에서 통신의 품질이 향상되게 된다.
제1(a)도는 이득 제어 신호의 종래 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가변-이득 중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 곡선을 도시하는 도면.
제1(b)도는 종래의 교정 방법에 따라 제어된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 특성 곡선을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 회로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의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득 제어 신호의 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 곡선을 도시하는 도면.
제4(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득 제어 신호의 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누적된 오차 신호에 대한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 곡선을 도시하는 도면.
제4(c)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된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 특성 곡선을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6도는 DS-CDMA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도시하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401, 501 : 가변-이득 증폭기 102, 301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103, 402, 501, 502 : 비교기 104 : 가산기
105 : 지연부
106, 404, 504 :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
107 : 이득 제어 교정표 108, 302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201 : 교정 제어기 303 : 아날로그 가산기
403, 503 : 누산기 506 : RX/TX 이득 변환 제어기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GC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AGC 회로는 아날로그 출력 신호 POUT의 출력 수준이 기준 출력 수준 또는 목표 수준 PREF로 유지되도록 가변-이득 증폭기(101)의 이득을 제어한다.
가변-이득 증폭기(101)의 아날로그 출력 신호 POUT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2)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고, 디지탈 출력 신호가 비교기(103)에 공급된다. 상기 비교기(103)는 출력 신호의 전력 수준을 기준 출력 수준 PREF과 비교하여 출력 신호 POUT의 출력 수준과 기준 출력 수준 PREF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 신호 SC를 만든다. 예를 들어, 출력 수준이 기준 수준 PREF보다 크면, 오차 신호 SC는 그 차이에 대응하는 양의 값까지 상승한다. 반대로, 출력 수준이 기준 수준 PREF보다 작으면, 오차 신호 SC는 그 차이에 대응하는 음의 값까지 떨어진다. 오차 신호 SC는 누산기 또는 필터에 의해 누적되어 누적된 오차 신호 SE를 만든다. 누산기는, 그 출력이 가산기(104)에 의해 오차 신호 SC에 더해지는 가산기(104)의 출력이 지연부(105)에 의해 지연되도록 접속된, 가산기(104)와 지연부(105)로 구성된다. 누적된 오차 신호 SE는, 오차 신호 SC가 양일 때 커지고, 오차 신호 SC가 음일 때 작게 된다.
누적된 오차 신호 SE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득 제어 교정표(107)를 사용하여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106)에 의해 교정된다. 이하, 상세히 서슬되는 바와 같이, 이득 제어 교정표(107)는 가변-이득 증폭기(101)의 이득 제어 특성을 미리 저장한다. 이득 제어 교정표(107)를 사용함으로써,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106)는 상기 누적된 오차 신호 SE를 교정하여 가변-이득 증폭기(101)의 선형 AGC 특성을 구하기 위해 디지탈 이득 제어 신호를 만든다. 상기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106)에 의해 발생된 디지탈 이득 제어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08)에 의해 아날로그 이득 제어 신호 SD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이득 제어 신호 SD는 가변-이득 증폭기(101)의 제어 단자에 인가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106)는 교정 제어기(201)와 가산기(202)로 구성된다. 교정 제어기(201)는 누산기의 가산기(104)로부터 누적된 오차 신호 SE를 수신하고, 이득 제어 교정표(107)를 이용하여 선형 보간함으로써 교정 신호 ΔS를 만든다. 교정 신호 ΔS는 가산기(202)에 의해 누적된 오차 신호 SE에 더해져 디지탈 이득 제어 신호를 만든다. 이득 제어 교정표(107)의 내용과 교정 제어기(201)의 동작은 제4(a)도 내지 제4(c)도를 참조로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제4(a)도를 참조하면, 이득 제어 교정표(107)는 이득 제어 범위에 걸쳐 가변-이득 증폭기(101)의 특성 곡선(10)으로부터 샘플된 다수의 불연속 점(도면에서, 이득값 G1-G9및 이득 제어값 C1-C9)을 미리 저장한다. 더 상세하게는, 특성 곡선(10)의 곡률이 급격해짐에 따라 보다 작은 스텝에서 불연속 점들이 샘플된다. 달리 표현하면, 샘플링 스텝은 선형 보간이 충분히 효과적이도록 결정된다.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성 곡선(10)이 이득 제어 값 C1및 C3간의 이득이 보다 높은 범위에서 비교적 급격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불연속 점들은 보다 작은 스텝에서 샘플된다. 특성 곡선(10)이 거의 선형인 이득 제어 값 C3및 C5간의 중간 이득 범위에서, 대응하는 불연속 점들이 보다 큰 스텝에서 샘플된다. 그리고, 특성 곡선(10)이 이득 제어 값 C5및 C9간의 이득이 보다 낮은 범위에서 비교적 급격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불연속 점들이 보다 작은 스텝에서 샘플된다. 이와 같이, 불연속 이득 값과 이득 제어 값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일단의 불연속 데이타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득 제어 교정표(107)에 저장된다.
교정 제어기(201)는 이득 제어 교정표(107)로부터 선형 보간을 수행하여 누적된 오차 신호 SE에 대해 선형 이득 제어 특성을 제공하도록 교정 신호 ΔS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연속 특성 데이타를 만든다.
더 상세하게는, 제4(b)도를 참조하면, 교정 제어기(201)는, 가변-이득 증폭기(101)의 이득 제어 특성이 누적된 오차 신호 SE에 대해 실질적으로 선행이도록 이득 제어 교정표(107)를 이용하여 교정 신호 ΔS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이, 불연속 특성 데이타는 이득 제어 특성 곡선(10)의 곡률 정도에 따라 각각 결정되는 샘플링 스텝에서 샘플된다. 따라서, 선형 보간이 보다 효율적이어서 AGC 회로의 선형 이득 제어 특성이 향상되게 된다.
제4(c)도를 참조하면, 결국, 특성 곡선(10)이 제4(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한 곡률(예를 들어, 제4(a)도에서 이득 제어 값 C1및 C2, C7및 C8, 또는 C8및 C9)를 가질 때에도, 가변-이득 증폭기의 교정된 출력 특성 곡선은, 특히, 샘플 위치 S1및 S2, S7및 S8, 또는 S8및 S9사이에서 전 범위에 걸쳐 실제 출력 특성 곡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DS-CDMA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가 향상되게 되어, 통신 품질이 향상된다.
제5도를 참조하면, AGC 회로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106)는 누산기로부터 아날로그 누적된 오차 신호 SE를 수신한다.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106)는 교정 제어기(201),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01),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302), 및 아날로그 가산기(303)로 구성된다. 아날로그 누적된 오차 신호 SE는 디지탈 형식으로 변환되어 교정 제어기(201)로 출력된다. 교정 제어기(201)에 의해 발생된 교정 데이타는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되고 아날로그 교정 신호 ΔS가 아날로그 누적된 오차 신호 SE에 더해서 이득 제어 신호 SD를 만든다.
DS-CDMA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서는, 송신 전력 수준이 수신된 신호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있다. 더 상세하게는, 수신된 신호 수준이 비교적 높을 때, 무선 기지국 근처에 위치되는 이동 단말국과 극히 유사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송신 전력은 수준이 감소되어 설정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수신된 신호 수준이 비교적 낮을 때, 송신 전력은 수준이 증가되어 설정된다. DS-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와 같은 이동 단말 트랜시버의 트랜시버가 이하 서술될 것이다.
제6도을 참조하면, 트랜시버의 수신기는 제1도 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탈 또는 아날로그 AGC 회로를 이용한다. 가변-이득 증폭기(401)의 출력 신호 POUT(R)의 출력 수준은 오차 신호 SC(R)를 만드는 비교기(402)에 의해 기준 출력 수준 PREF(R)와 비교된다. 오차 신호 SC(R)는 누산기(403)에 의해 누적되어 누적된 오차 신호 SE(R)를 만든다. 누적된 오차 신호 SE(R)는 이전에 상술된 바와 같이 이득 제어 교정표(405)를 이용하여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404)에 의해 교정된다.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404)는 누적된 오차 신호 SE(R)를 교정하여 가변-이득 증폭기(401)의 선형 AGC 특성을 달성하도록 이득 제어 신호 SD(R)를 만든다.
이와 유사하게, 트랜시버의 송신기도 역시 제1도 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탈 또는 아날로그 AGC 회로를 이용한다. 가변-이득 증폭기(501)의 출력 신호 POUT(T)의 출력 수준은 오차 신호 SC(T)를 만드는 비교기(502)에 의해 기준 출력 수준 POUT(T)과 비교된다. 오차 신호 SC(T)를 누산기(503)에 의해 누적되어 누적된 오사 신호 SE(T)를 만든다. 누적된 오차 신호 SE(T)는 이전에 서술된 바와 같이 이득 제어 교정표(505)를 이용하여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504)에 의해 교정된다. 이득 제어 신호 제어기(504)는 누적된 오차 신호 SE(T)를 교정하여 가변-이득 증폭기(501)의 선형 AGC 특성을 달성하도록 이득 제어 신호 SD(T)를 만든다.
송신기에서, 비교기(502)는 RX/TX 이득 변환 제어기(506)로부터 기준 출력 수준PRTF(T)를 수신한다. 수신기의 누산기(403)에 의해 발생된 누적된 오차 신호 SE(R)는 RX/TX 이득 변환 제어기(506)에 의해 송신기를 위해 기준 출력 수준 PREF(T)로 변환된다. 따라서, 송신 전력 수준은 수신된 신호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트랜시버가 본 발명에 따른 AGC 회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전력 제어가 달성되어 DS-CDMA 시스템에서 통신의 품질이 향상되게 된다.

Claims (14)

  1.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 수준과 기준 수준 간의 차이에 따른 오차 신호에 근거하여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에 따라 각각 설정되는 샘플링 스텝에서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으로부터 샘플된 불연속 특성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이 상기 오차 신호에 대해 실질적으로 선형이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불연속 특성 데이타로부터 발생된 연속 특성 데이타에 근거하여 상기 오차 신호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스텝의 각각은 대응하는 샘플링 위치에서 상기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가 커짐에 따라 보다 작은 스텝에 설정되고, 상기 샘플링 스텝의 각각은 대응하는 샘플링 위치에서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가 작아짐에 따라 보다 큰 스텝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샘플링 스텝은 샘플링 스텝에서 선형 보간에 의해 무시할 수 있는 오차가 발생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제어기는 선형 보간에 의해 상기 불연속 특성 데이타로부터 연속 특성 데이타를 발생하고, 상기 연속 특성 데이타와 상기 오차 신호에 근거하여 교정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교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 신호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장치.
  5.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 수준과 기준 수준 간의 차이에 따른 오차 신호에 근거하여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에 따라 각각 설정되는 샘플링 스텝에서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으로부터 샘플된 불연속 특성 데이타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이 상기 오차 신호에 대해 실질적으로 선형이도록 상기 불연속 특성 데이타로부터 발생된 연속 특성 데이타에 근거하여 상기 오차 신호를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샘플링 스텝의 각각은 대응하는 샘플링 위치에서 상기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가 커짐에 따라 보다 작은 스텝에 설정되고, 상기 샘플링 스텝의 각각은 대응하는 샘플링 위치에서 상기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가 작아짐에 따라 보다 큰 스텝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각각의 샘플링 스텝은 샘플링 스텝에서 선형 보간에 의해 무시할 수 있는 오차가 발생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각각의 샘플링 스텝은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 곡선의 곡률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선형 보간에 의해 상기 불연속 특성 데이타로부터 연속 특성 데이타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연속 특성 데이타와 상기 오차 신호에 근거하여 교정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 신호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방법.
  10. 자동 이득 제어회로에 있어서, 이득 제어 신호에 따라 이득이 변하는 가변-이득 증폭기;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 수준과 기준 수준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오차 신호를 만들기 위해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 수준을 목표 수준과 비교하기 위한 수준 비교기; 본래의 이득 신호를 만들기 위해 상기 오차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에 따라 각각 설정되는 샘플링 스텝에서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으로부터 샘플된 불연속 특성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이 상기 본래의 이득 제어 신호에 대해 실질적으로 선형이도록 이득 제어 신호를 만들기 위해 상기 불연속 특성 데이타로부터 발생된 연속 특성 데이타에 근거하여 상기 본래의 이득 제어 신호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스텝의 각각은 대응하는 샘플링 위치에서 상기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가 커짐에 따라 보다 작은 스텝에 설정되고, 상기 샘플링 스텝의 각각은 대응하는 샘플링 위치에서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가 작아짐에 따라 보다 큰 스텝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샘플링 스텝은 샘플링 스텝에서 선형보간에 의해 무시할 수 있는 오차가 발생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제어기는 선형 보간에 의해 상기 불연속 특성 데이타로부터 연속 특성 데이타를 발생하고, 상기 연속 특성 데이타와 상기 본래의 이득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교정 신호를 발생하며, 이득 제어 신호를 만들기 위해 상기 교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본래의 이득 제어 신호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14.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 수준과 기준 수준 간의 차이에 따른 오차 신호에 근거하여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DS-CDMA (다이렉트 시퀀스-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용 자동 이득 제어 회로에 있어서, 이득 제어 특성의 편차에 따라 각각 설정되는 샘플링 스텝에서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으로부터 샘플된 불연속 특성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 제어 특성이 상기 오차 신호에 대해 실질적으로 선형이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불연속 특성 데이타로부터 발생된 연속 특성 데이타에 근거하여 상기 오차 신호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KR1019970024181A 1996-06-11 1997-06-11 이득 제어기 KR100246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49548A JPH09331222A (ja) 1996-06-11 1996-06-11 利得制御信号補正装置
JP96-149548 1996-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814A KR980006814A (ko) 1998-03-30
KR100246690B1 true KR100246690B1 (ko) 2000-03-15

Family

ID=1547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181A KR100246690B1 (ko) 1996-06-11 1997-06-11 이득 제어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96064A (ko)
EP (1) EP0813294B1 (ko)
JP (1) JPH09331222A (ko)
KR (1) KR100246690B1 (ko)
AU (1) AU726388B2 (ko)
CA (1) CA2207350C (ko)
DE (1) DE69736502T2 (ko)
TW (1) TW43370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776B1 (ko) * 1998-10-28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에따른증폭기의이득설정방법
KR101003843B1 (ko) * 2009-12-07 2010-12-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샘플 및 홀드를 이용한 자동레벨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78417B1 (ko) * 2009-07-31 2011-10-3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증폭 장치 및 증폭 장치의 전력 교정 장치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24261A1 (en) * 1997-12-09 1999-06-09 Philsar Electronics Inc. Low phase noise, high q, high gain amplifier in an integrated circuit
US6128477A (en) * 1998-08-07 2000-10-03 Ericsson Inc. System for improving the dynamic range of transmitter power measurement in a cellular telephone
GB9824776D0 (en) * 1998-11-11 1999-01-06 Kemp Michael J Audio dynamic control effects synthesiser
KR20000039922A (en) * 1998-12-16 2000-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mpensating variance of transmission power in each channel of cellular phone
US6353364B1 (en) * 1998-12-22 2002-03-05 Ericsson Inc. Digitally gain controllable amplifiers with analog gain control input, on-chip decoder and programmable gain distribution
US6172569B1 (en) * 1999-03-16 2001-01-09 Analog Devices, Inc. Transconductance filter control system
US6434135B1 (en) * 1999-08-31 2002-08-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daptive RF amplifier prelimiter
KR100365793B1 (ko) * 1999-12-31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단말기의 전력증폭기 전압제어 장치
US6321073B1 (en) * 2000-01-31 2001-11-20 Motorola, Inc. Radiotelephone receiver and method with improved dynamic range and DC offset correction
JP2001230644A (ja) * 2000-02-18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利得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自動利得制御機能を備える無線通信装置
JP2001251152A (ja) * 2000-03-03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利得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自動利得制御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US6721368B1 (en) * 2000-03-04 2004-04-1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 architectures for communications systems
KR100659199B1 (ko) * 2000-05-19 2006-12-19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씨디엠에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회로 및 방법
US6424221B1 (en) 2000-06-19 2002-07-23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grammable gain amplifier for use in data network
JP2002033629A (ja) 2000-07-14 2002-01-31 Nec Corp 利得可変増幅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端末装置
US6542029B1 (en) * 2000-10-11 2003-04-01 Skyworks Solutions, Inc. Variable-slope variable-gain amplifier
US6404284B1 (en) 2001-04-19 2002-06-11 Anadigics, Inc. Amplifier bias adjustment circuit to maintain high-output third-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 performance
FR2824433B1 (fr) * 2001-05-07 2003-08-01 Cit Alcatel Dispositif de regulation du controle de la puissance d'un emetteur
JP4642272B2 (ja) * 2001-05-29 2011-03-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出力補正装置
JP2003323720A (ja) * 2002-05-07 2003-11-14 Sanyo Electric Co Ltd 信号処理装置
US7230988B1 (en) 2002-08-07 2007-06-12 Marvell International Ltd. Intercircuit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US7312856B2 (en) * 2002-09-12 2007-12-2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rogrammable pulse capture device with automatic gain control
US7085334B2 (en) * 2002-09-30 2006-08-01 Lsi Logic Corporation Automatic gain control with analog and digital gain
US7218258B2 (en) * 2004-02-05 2007-05-1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ixed analog-digital automatic gain control
DE602004009034T2 (de) 2004-04-08 2008-06-19 Stmicroelectronics N.V. Verfahren zur Regelung der Leistung des Ausgangssignals eines Verstärkersystems, und entsprechendes System
US7167045B1 (en) * 2004-06-07 2007-01-23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output power of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7148749B2 (en) * 2005-01-31 2006-12-1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losed loop power control with high dynamic range
US7663442B2 (en) * 2005-03-28 2010-02-16 Intel Corporation Data receiver including a transconductance amplifier
US7768732B2 (en) * 2005-04-12 2010-08-03 Stmicroelectronics, Inc. Gain controller for a gain loop of a read channel and related gain loops, read channels, systems, and methods
US7773324B2 (en) * 2005-04-12 2010-08-10 Stmicroelectronics, Inc. Phase acquisition loop for a read channel and related read channel, system, and method
JP4791271B2 (ja) 2006-06-28 2011-10-12 富士通株式会社 増幅器制御装置
DE102006035663B4 (de) 2006-07-31 2013-08-08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Schaltungsanordnung
US7893761B2 (en) * 2006-10-18 2011-02-22 Sige Semiconductor (Europe) Limited Monotonic and voltage supply independent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JP4922985B2 (ja) * 2008-04-11 2012-04-25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修正値導出装置、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8615208B2 (en) * 2010-11-02 2013-12-24 Crestcom, Inc. Transmitter linearized in response to signal magnitude derivative parameter and method therefor
EP2647130B1 (en) * 2010-11-30 2019-05-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ceiver gain adjustment to reducing an influence of a dc offset
US9083148B2 (en) 2012-01-11 2015-07-14 Kongsberg Seatex As Real time equivalent model, device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master oscillator power amplifier laser
JP6284350B2 (ja) * 2013-12-09 2018-02-28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電力レベル推定装置及び電力レベル推定方法
US9568897B2 (en) * 2014-01-02 2017-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ler system for variable parameter and related program product
CN106155164B (zh) * 2015-04-20 2017-11-28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与其集成电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20952A1 (fr) * 1982-02-03 1983-08-05 Trt Telecom Radio Electr Dispositif de controle automatique de gain (cag) a action rapide
JPS63167557A (ja) * 1986-12-29 1988-07-11 Fuji Photo Film Co Ltd レ−ザ記録方法および装置
GB8826918D0 (en) * 1988-11-17 1988-12-21 Motorola Inc Power amplifier for radio frequency signal
JP2743492B2 (ja) * 1989-07-05 1998-04-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出力電力制御装置
EP0412398B1 (de) * 1989-08-08 1994-09-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Fördervolumenmessung aus der Schnittkontur eines Schaufelradbaggers oder anderen Tagebaugeräts
GB8918365D0 (en) * 1989-08-11 1989-09-20 Motorola Ltd Amplifier for radio transmitter having controllable output power
EP0489276B1 (de) * 1990-12-03 1995-06-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dulationseinrichtung für einen Hf-Leistungsverstärk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776B1 (ko) * 1998-10-28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에따른증폭기의이득설정방법
KR101078417B1 (ko) * 2009-07-31 2011-10-3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증폭 장치 및 증폭 장치의 전력 교정 장치와 방법
KR101003843B1 (ko) * 2009-12-07 2010-12-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샘플 및 홀드를 이용한 자동레벨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26388B2 (en) 2000-11-09
DE69736502D1 (de) 2006-09-28
CA2207350A1 (en) 1997-12-11
US5896064A (en) 1999-04-20
DE69736502T2 (de) 2007-03-29
JPH09331222A (ja) 1997-12-22
AU2480397A (en) 1997-12-18
EP0813294B1 (en) 2006-08-16
CA2207350C (en) 2000-08-15
EP0813294A3 (en) 1999-06-16
KR980006814A (ko) 1998-03-30
EP0813294A2 (en) 1997-12-17
TW433702U (en) 200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690B1 (ko) 이득 제어기
RU2158474C2 (ru) Линеаризованная цифровая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регулировка усиления
EP0783801B1 (en) Digital agc for a cdma radiotelephone
RU213401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а коррекции и ограничения реверсивной радиосвязи и мощности передачи в радиотелефонной системе
KR950000054B1 (ko) 자동파워 콘트롤장치
US5732334A (en) Radio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by radio transmitter
EP13009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transmission power in mobile terminal
KR100314334B1 (ko) 디지털 자동 이득 제어용 리니어라이저 및 이것을 이용한 디지털 자동 이득 제어 회로
EP1650882A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7570709B2 (en) Automatic transmit power control loop with modulation averaging
EP1811655A1 (en) A power amplifier distortion compens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2012799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amplification of a high-frequency signal
US5697072A (en) Transmission signal level control device for radio transmitter
US7197289B2 (en) Automatic gain control for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in a time slotted data transmissions
EP1185016A1 (en)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signal processing
JP3937397B2 (ja) 送信電力検波回路のオフセット補償機能を有する通信機器
KR100383505B1 (ko)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무선전화기용 디지탈 자동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JP3649579B2 (ja) 高周波出力レベル補正回路
KR100257930B1 (ko) 송수신기의 기준 주파수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927723A (ja) 送信電力制御方式
JP2000261332A (ja) 送信電力制御回路
JPH07123065A (ja) 時分割多重アクセス無線装置
KR20040036964A (ko) 선형화된 자동 이득 제어 방법
KR20020069915A (ko) Cdma 이동통신 기지국 송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