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529B1 - 챔퍼링기 - Google Patents

챔퍼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529B1
KR100244529B1 KR1019970034669A KR19970034669A KR100244529B1 KR 100244529 B1 KR100244529 B1 KR 100244529B1 KR 1019970034669 A KR1019970034669 A KR 1019970034669A KR 19970034669 A KR19970034669 A KR 19970034669A KR 100244529 B1 KR100244529 B1 KR 100244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utting chip
string
guide plate
chamf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105A (ko
Inventor
야스오 가자마
다카시 지바
Original Assignee
다카타 모토유키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타 모토유키,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타 모토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2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6Portable devices or machines f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20Portable devices or machines; Hand-driven device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Turn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챔퍼링량을 조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어져스트링을 본체측의 고리상 커넥터로부터 떼어내는 일 없이 절삭칩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챔퍼링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싱(1)으로부터 돌출시킨 구동축(4)에 절삭칩(7)을 부착한 홀더(8)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절삭칩(7)의 가이드플레이트(23)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어져스트링(22)을 상기 케이싱과 동축에 설치된 홀더케이스(10)에 구비한 챔퍼링기이고, 상기 어져스트링(22)과 가이드플레이트(23)는 축(27)을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3)를 어져스트링(22)에 대하여 개폐시켜서 상기 홀더의 절삭칩부착부(19)를 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챔퍼링기
본 발명은 피가공부재의 외주단틀부의 챔퍼링과, 구멍이나 홈 등의 내주틀부의 챔퍼링이 가능한 휴대식 챔퍼링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챔퍼링량을 조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어져스트링을 본체측의 홀더케이스로부터 떼어내는 일 없이 절삭칩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챔퍼링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챔퍼링기의 구성을 일본 실용신안 공고공보95-8087호에 기재된 것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도 7은 동 챔퍼링기의 정면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50"은 구동원으로서의 에어모터(51)를 내장하는 케이싱이며, 에어모터의 모터축(52)은 1쌍의 볼베어링(53, 54)을 통하여 케이싱(50)에 축지지되어 있다. 케이싱(5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모터축(52)에는 회전축(55)이 동축상에 나사끼워맞춤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55)에 절삭칩(56)이 나사(6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50)의 하단부에는 회전축(55)과 축심이 일치하고 있는 고리상 커넥터(57)가 고정(58)되어 있으며, 이 고리상 커넥터(57)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암나사(59), 숫나사(60)가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리상 커넥터(57)의 상기 암나사(59)에는 피가공물(61)의 표면에 재치되는 가이드베이스(62)의 고리상 보스(63)의 외주면에 형성한 숫나사(64)가 끼워맞추어지고 고리상 커넥터(57)에 대하여 가이드베이스(62)를 착탈 자유롭게 고정한다. 회전축(55)은 고리상 보스(63)의 중심을 지나서 가이드베이스(62)의 바닥면측에 돌출하고, 이 돌출부에는 4변에 절삭날(65)을 갖는 정방형의 절삭칩(56)을 동 칩(56)의 1변이 가이드베이스(62)의 바닥면에 대하여 예를 들면 45°의 각도를 갖고 대향하도록 가이드베이스(6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부를 보이게 하여 나사(66)로 착탈 자유롭게 고정한다. 또 상기 회전축(55)의 선단에는 피가공부(61)의 측면부에 접촉회전 가능한 가이드용 베어링(67)을 박스너트(68)로 고정한다.
상기 절삭칩(56)의 절삭날(65)에 의한 챔퍼링량(C)은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절삭칩(56)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 경우 절삭날(65)이 가이드베이스(62)의 바닥면과 교차하는 점과 가이드용 베어링(67)의 외주면의 사이의 수평거리에 따르는 치수가 된다. 따라서 고리상 커넥터(57)에 나사끼워맞춤하는 고리상보스(63)를 가이드베이스(62)와 함께 회전시켜서 해당 가이드베이스(62)를 회전축(55)의 축심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바꾸어 말하면 절삭날(65)을 가이드베이스(62)의 아래쪽으로 보이게 하는 양을 조정함으로써 챔퍼링량(C)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가이드베이스(62)의 이동량은 고리상 커넥터(57)의 암나사(59)의 나사피치와 가이드베이스(62)의 회전수에 의하여 일률적으로 결정된다. 고리상 보스(63)를 고리상 커넥터(57)로부터 이탈시키면 절삭칩(56)은 완전히 외부에 노출된다.
고리상 커넥터(57)의 숫나사(60)에는 록링(69)의 내주면에 형성한 암나사가 나사식으로 맞추어져 있으며, 록링(69)을 조이면 고리상 커넥터(57)와 고리상 보스(63)를 고정하고, 록링(69)을 풀면 고리상 커넥터(57)와 고리상 보스(63)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챔퍼링량(C)을 조정하는 데에는 록링(69)을 풀림방향으로 돌려서 고리상 커넥터(57)와 고리상 보스(63)의 조여붙임상태를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고리상 커넥터(57)에 나사끼워맞춤되어 있는 고리상 보스(63)를 가이드베이스(62)와 함께 회전하여 가이드베이스(62)의 하면으로부터 일부를 보이게 한 절삭칩(56)의 돌출량을, 소요의 챔퍼링량(C)을 얻도록 변경한다. 그 후 다시 록링(69)을 조임방향으로 돌려서 고리상 보스(63)와 고리상 커넥터(57)의 나사끼워맞춤상태를 강고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챔퍼링량(C)의 설정을 실시한 후 에어모터(51)의 스위치레버(70)를 조작하고 에어모터(51)의 스위치레버(70)를 조작하고 에어모터(51)를 기동하여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가이드베이스의 바닥면을 피가공물의 표면에 재치하고 가이드용 베어링의 외주부를 피가공물의 단면으로 밀면서 챔퍼링기를 이동시키면 가이드용 베어링과 함께 회전축에 고정된 절삭날이 피가공물의 능선부를 챔퍼링한다.
절삭칩(56)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챔퍼링량의 조정작업과 똑같이 록링(69)을 푼 상태에서 고리상 커넥터(57)에 나사끼워맞춤하는 고리상 보스(63)를 가이드베이스(62)와 함께 돌려서 케이싱(57)으로부터 떼어내고 절삭칩(56)을 완전히 외부에 노출시키고, 이 상태로 나사(66)를 풀어서 절삭칩(56)을 다른 칩으로 교환하거나 절삭칩(56)을 90° 돌려서 미사용의 절삭날(65)을 작용위치에 꺼낸다.
그런데 상기 챔퍼링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마모나 파손된 절삭칩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챔퍼링량의 조정작업과 똑같이 록링(69)을 푼 상태에서 고리상 커넥터(57)에 나사끼워맞춤하는 고리상 보스(63)를 가이드베이스(62)와 함께 돌려서 고리상 커넥터(57)로부터 떼어내어 절삭칩을 완전히 외부에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즉 절삭칩을 고정하고 있는 나사(66)의 위치와 가이드베이스(62)의 위치가 겹쳐져 있기 때문에 나사를 풀기 위한 공구를 사용할 수 없고 고리상 커넥터(57)로부터 고리상 보스(63)를 떼어내지 않는 한 절삭칩(56)의 교환을 실시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이 장치에서는 절삭칩(56)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록링(69)을 푼 상태에서 고리상 커넥터(57)에 나사끼워맞춤하는 고리상 보스(63)를 가이드베이스(62)와 함께 돌려서 고리상 커넥터(57)로부터 떼어내어 절삭칩(56)을 완전히 외부에 노출시킬 필요가 있어서, 절삭칩(56)의 교환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또 절삭칩(56)을 교환한 후는 다시 고리상 보스(63)와 가이드베이스(62)를 회전시키면서 고리상 커넥터(57)에 나사끼워맞춤시키고, 그 후에 다시 고리상 보스(63)와 가이드베이스(62)를 회전시키면서 챔퍼링량의 조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어서 작업효율이 나쁜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어져스트링(고리상 보스) 및 가이드플레이트(가이드베이스)를 베어링케이스(고리상 커넥터)로부터 떼어내는 일 없이 간단히 절삭칩을 교환할 수 있는 동시에 절삭칩을 교환한 후에도 챔퍼링량을 다시 조정할 필요가 없는 챔퍼링기를 제안하여 상기 제문제를 해결하려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어져스트링과 가이드플레이트를 일체화하지 않고 어져스트링에 대하여 가이드플레이트를 요동시키는 개폐기구를 설치하고 절삭칩을 교환할 필요가 발생했을 때에는 개폐기구를 고정하는 록기구를 떼어 가이드플레이트를 어져스트링에 대하여 90° 요동개방해서 절삭칩을 완전히 외부에 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절삭칩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절삭칩교환시에 어져스트링과 홀더케이스의 상대위치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절삭칩을 교환한 후 가이드플레이트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고 록기구에 의하여 어져스트링과 가이드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것만으로 이미 세트되어 있는 챔퍼링량을 확보할 수 있어서 즉시 챔퍼링작업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작업효율이 좋다. 즉 종래의 챔퍼링기와 같이 절삭칩을 교환할 때마다 챔퍼링량을 재조정할 필요가 없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한 기술해결수단은 케이싱으로부터 돌출시킨 구동축에 절삭칩을 부착한 홀더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절삭칩의 가이드플레이트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어져스트링을 상기 케이싱과 동축에 설치된 홀더케이스에 구비한 챔퍼링기이고, 상기 어져스트링과 가이드플레이트는 축을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어져스트링에 대하여 개폐시켜서 상기 홀더의 절삭칩부착부를 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이며,
케이싱의 하단에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돌출시킨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케이스에는 착탈 자유로운 홀더케이스를 설치하며, 또한 홀더케이스에는 절삭칩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홀더를 설치하며, 상기 홀더케이스에는 상기 절삭칩의 챔퍼링량을 조절할 수 있는 어져스트링을 나사식으로 맞추며, 상기 어져스트링의 단면에는 록수단에 의해 어져스트링에 맞붙임고정되는 동시에 록수단을 해제했을 때에 어져스트링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록수단을 해제하여 가이드플레이트를 열어서 절삭칩의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로서의 챔퍼링기의 정면단면도.
도 2는 절삭칩을 고정한 홀더를 축지지하는 홀더케이스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동 챔퍼링기의 가이드플레이트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홀더의 일부 단면한 정면도(b), 측면도(a), 평면도(d) 및 홀더의
반단면도(c), 동 바닥면도(e).
도 5는 어져스트링과 홀더를 아래에서 본 하면도.
도 6은 절삭칩교환시에 가이드플레이트를 개방상태로 한 홀더케이스의 단면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모터 3, 3’: 기어
4: 구동축 7: 절삭칩
8: 홀더 9: 베어링케이스
10: 홀더케이스 20: 가이드롤러
21: 너트 22: 어져스트링
23: 가이드플레이트 26: 가이드링
29: 스토퍼 30: 록와이어
31: 레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절삭칩교환이 용이한 챔퍼링기를 설명하면, 도 1은 본 실시형태로서의 챔퍼링기의 정면단면도, 도 2는 절삭칩을 고정한 홀더를 축지지하는 홀더케이스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동 챔퍼링기의 가이드플레이트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도 3에 있어서, "1"은 구동원으로서의 모터(2)를 내장하는 케이싱이며, 모터(2)의 출력축(2a)은 기어(3, 3′)를 통하여 구동축(4)에 전달된다. 구동축(4)은 1쌍의 베어링(5, 6)을 통하여 케이싱(1)에 축지지되어 있고, 또한 구동축(4)의 단부는 케이싱(1)으로부터 돌출되며, 이 돌출부에 키(13)를 통하여 절삭칩(7)을 부착한 홀더(8)(상세하게는 후술한다)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부착된다. 또 케이싱(1)의 도면중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홀더케이스(10)를 끼움고정하기 위한 베어링케이스(9)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케이스(9)에 끼움고정되는 홀더케이스(10)는 케이싱(1)에 형성한 상기 베어링케이스(9)에 대한 끼워맞춤부(11)를 갖고 있으며, 이 끼워맞춤부(11)를 상기 베어링케이스(9)에 끼운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나사(10a(4군데))에 의해 베어링케이스(9)에 고정된다. 또한 홀더케이스(10)를 베어링케이스(9)에 고정하는 수단은 홀더케이스(10)를 확실하게 베어링케이스(9)에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완수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태의 고정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 홀더케이스(10)에는 홀더(8)를 축지지하는 베어링(14)의 외륜을 누르기 위한 나사삽입오목부(11a)가 3군데 설치되어 있다. 홀더케이스(10)의 중심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칩(7)을 부착하기 위한 홀더(8)가 상하 1쌍의 볼베어링(14, 15)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8) 및 베어링(14, 15)은 상기 나사삽입오목부(11a)에 설치한 나사(16(3군데)) 및 스토플링(17)에 의하여 홀더케이스(10)로부터의 빠짐방지가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볼베어링(14, 15)에 축지지되는 상기 홀더(8)는 도 4(a)∼(e)에 나타내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홀더중심부에 상기 구동축(4)을 결합하는 구멍(18)이 형성되고, 또 홀더머리부(8a)에는 절삭칩(7)을 고정나사(24)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절삭칩부착부(1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절삭칩부착부(19)의 반대측에는 평면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19a)는 절삭칩부착부(19)로부터 절삭칩(7)을 떼어낼 때에 홀더(8)의 회전을 저지하는 공구를 협지하기 위한 것이다. 홀더(8)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4)측에 설치한 키(13)를 통하여 구동축(4)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동축(4)에 끼워지는 동시에 홀더(8) 선단에는 피가공부의 측면부에 접촉회전 가능한 가이드롤러(20)가 너트(21)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홀더(8)는 후술하는 어져스트링(22)의 중심을 지나서 후술하는 가이드플레이트(23)의 바닥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절삭칩부착부(19)에 4변에 절삭날을 갖는 정방형의 절삭칩(7)을 동 칩(7)의 1변이 가이드플레이트(23)의 바닥면에 대하여 예를 들면 45°의 각도를 갖고 대향하도록 가이드플레이트(23)의 바닥면측으로부터 일부를 보이게 하여 고정나사(24)로 착탈 자유롭게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3 참조).
홀더케이스(10)의 하단외주에는 숫나사(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숫나사(25)에 이하에 서술하는 어져스트링(22)의 암나사(22a)가 나사식으로 맞추어져 있다.
어져스트링(22)은 도 5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위 한 곳에 분리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핀(22b)(도 3 참조)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핀(22b)은 절삭칩부착부(19)로부터 절삭칩(7)을 떼어낼 때에 홀더(8)의 회전을저지하는 공구(31)를 홀더(8)측의 상기 평면부(19a)와의 사이에서 협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어져스트링(22)은 홀더케이스(10)의 하단외주에 형성한 숫나사(25)에 어져스트링(22)의 암나사(22a)를 나사식으로 맞춘 상태에서 분리부(22a)를 볼트(12)로 조임으로써 홀더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어져스트링(22)의 하면에는 가이드링(26)을 고정한 가이드플레이트(23)가 축(27)을 중심으로 요동 자유롭게 원추형 접합되어 있으며, 또한 가이드플레이트(23)의 상기 축(27)부와 대략 대칭위치에는 나사(28)에 의해 스토퍼(29)가 고정되어 있다. 이 스토퍼(29)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3)를 어져스트링(22) 하면에 고정하는 록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스토퍼(29)의 하면에는 록와이어(30)를 걸어두는 홈(29)이 형성되어 있다. 록와이어(30)는 어져스트링(22)의 외주볼록부(22c)에 요동 자유롭게 축지지(32)되어 있는 레버(31)에 부착되어 있고 록와이어(30)를 상기 홈(29a)에 걸어 맞춘 상태에서 레버(31)를 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윗쪽으로 회전시키면 가이드플레이트(23)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링(26)을 어져스트링(22)에 맞붙임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29)와 맞붙는 볼록부(22c)에는 해당 스토퍼(29)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기구는 상기한 레버(31), 록와이어(30), 스토퍼(2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삭칩(7)에 의한 워크의 챔퍼링량(C)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홀더케이스(10)를 케이싱(1)의 베어링케이스(9)에 고정하여 절삭칩(7)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 경우 절삭칩(7)의 절삭날이 가이드플레이트(23)의 바닥면과 교차하는 점과 가이드롤러(20)의 외주면의 사이의 수평거리에 따르는 치수가 된다. 따라서 케이싱(1)의 베어링케이스(9)와 함께 고정된 홀더케이스(10)에 나사끼워맞춤하는 어져스트링(22)을 가이드플레이트(23)와 함께 회전시켜서 해당 가이드플레이트(23)를 홀더(8)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바꾸어 말하면 절삭날을 가이드플레이트(23)의 아래쪽으로 보이게 하는 양을 조정함으로써 챔퍼링량(C)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가이드플레이트(23)의 이동량은 홀더케이스(10)의 숫나사(25)의 나사피치와 어져스트링(22)의 회전수에 따라서 일률적으로 정해진다. 이렇게 하여 어져스트링이 위치결정된 후는 어져스트링에 형성된 분리부(22a)를 볼트(12)로 조임으로써 홀더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챔퍼링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원으로서의 모터(2)를 내장하는 케이싱(1)의 베어링케이스(9)에 홀더(8) 등을 맞붙인 홀더케이스(10)의 끼워맞춤부를 끼우고, 그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나사(10a)에 의해 홀더케이스(10)를 베어링케이스(9)에 고정한다. 이 때 당연하지만 구동축(4)은 홀더(8)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맞추고 키(13)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접속된다.
워크의 챔퍼링량(C)은 어져스트링(22)의 분리부(22a)의 볼트(12)를 푼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칩(7)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싱(1)에 고정되어 있는 홀더케이스(10)에 대하여 나사끼워맞춤하는 어져스트링(22)을 가이드플레이트(23)와 함께 회전시켜서 해당 가이드플레이트(23)를 홀더(8)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서 챔퍼링량(C)의 조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챔퍼링량(C)의 설정을 실시한 후 분리부(22a)의 볼트(12)조임, 어져스트링을 홀더케이스(10)에 고정하여 챔퍼링량(C) 설정작업이 종료된다. 그 후 모터(2)를 기동하여 출력축(2a) 및 구동축(4)을 기어(3, 3’)를 통하여 회전시키고 가이드플레이트(23)의 바닥면을 피가공물(워크)의 표면에 재치하며 가이드롤러(20)의 외주부를 피가공물의 단면으로 밀면서 챔퍼링기를 이동시키면 가이드롤러(20)와 함께 회전축에 고정된 절삭칩(7)이 피가공물의 능선부를 챔퍼링한다.
또 절삭칩(7)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기구의 레버(31)를 가이드플레이트측으로 회전이동시켜서 록와이어(30)를 스토퍼(29)로부터 떼고 가이드플레이트(23)를 아래쪽으로 요동시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8)에 부착한 절삭칩(7)을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어져스트링(22)에 설치한 가이드핀(22b)과 홀더머리부(8a)에 형성한 평면부(19a)의 사이에 공구(31)를 협지시키고 홀더(8)의 회전을 저지한 상태에서 공구(실시형태에서는 육각렌치)(33)에 의해 절삭칩(7)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나사(24)를 풀어서 절삭칩(7)을 다른 칩으로 교환하거나 절삭칩(7)을 90° 돌려서 미사용의 절삭날(7a)을 피가공물의 절삭면측에 부착한다. 절삭칩(7)의 교환이 종료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시 가이드플레이트(23)를 끌어 올려서 록기구의 록와이어(30)를 스토퍼(29)의 하면의 홈(29a)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레버(31)를 윗쪽으로 요동시키면 가이드플레이트(23)를 고정하고 있는 가이드링(26)을 어져스트링(22)에 맞붙임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는 홀더케이스(10)와 어져스트링(22)의 상대위치가 불변이기 때문에 절삭칩(7)의 교환전의 챔퍼링량과 같은 위치에서 고정되어 종래와 같은 챔퍼링량의 재조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어져스트링(22)과 가이드링(26)의 고정을 레버, 록와이어,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록기구에 의해 실시하고 있는데, 어져스트링과 가이드링(26)을 고정할 수 있는 기구이면 나사 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에서 일탈하는 일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또 상기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상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챔퍼링기본체케이싱에 착탈할 수 있는 홀더케이스에 챔퍼링량을 조정하기 위한 어져스트링을 나사식으로 맞추고, 또한 어져스트링에 가이드링을 고정한 가이드플레이트를 요동 자유롭게 설치하며, 상기 어져스트링과 가이드링을 고정하는 록기구를 설치했기 때문에 마모한 절삭칩을 교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록기구를 떼어서 가이드링 및 가이드플레이트를 아래쪽으로 요동 개방하고 홀더에 고정한 절삭칩을 노출시킬 수 있으며, 이 결과 간단히 절삭칩의 교환을 할 수 있다. 또 절삭칩의 교환시에는 어져스트링에 형성한 분리부 부분을 볼트로 조여서 홀더케이스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절삭칩의 교환작업시에 어져스트링과 홀더케이스의 상대위치관계는 변화하는 일이 없이 절삭칩교환후 다시 가이드링 및 가이드플레이트를 어져스트링에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절삭칩교환전의 챔퍼링량을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절삭칩교환작업후에 실시하는 챔퍼링량의 재조정이 불필요하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Claims (3)

  1. 케이싱으로부터 돌출시킨 구동축에 절삭칩을 부착한 홀더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절삭칩의 가이드플레이트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어져스트링을 상기 케이싱과 동축에 설치된 홀더케이스에 구비한 챔퍼링기로서, 상기 어져스트링과 가이드플레이트는 축을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어져스트링에 대하여 개폐시킴으로써 상기 어져스트링을 이동시키는 일 없이 상기 홀더의 절삭칩부착부를 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
  2. 케이싱의 하단에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돌출시킨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케이스에는 착탈 자유로운 홀더케이스를 설치하며, 홀더케이스에는 절삭칩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홀더를 설치하며, 상기 홀더케이스에는 상기 절삭칩의 챔퍼링량을 조절할 수 있는 어져스트링을 나사식으로 맞추며, 상기 어져스트링의 단면에는 록수단에 의해 어져스트링에 맞붙임고정되는 동시에 록수단을 해제했을 때에 어져스트링에 대하여 요동개폐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록수단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어져스트링을 이동시키는 일 없이 가이드플레이트를 열어서 절삭칩의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
  3. 케이싱으로부터 돌출시킨 구동축에 절삭칩을 부착한 홀더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절삭칩에 의한 챔퍼링량을 조정하기 위한 어져스트링을 상기 케이싱측에 부착한 챔퍼링기로서, 상기 어져스트링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가이드플레이트를 부착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어져스트링에 대하여 개폐시킴으로써 상기 어져스트링을 이동시키는 일 없이 상기 홀더의 절삭칩부착부를 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
KR1019970034669A 1996-09-19 1997-07-24 챔퍼링기 KR100244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733596A JP3205514B2 (ja) 1996-09-19 1996-09-19 面取り機
JP96-247335 1996-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105A KR19980024105A (ko) 1998-07-06
KR100244529B1 true KR100244529B1 (ko) 2000-03-02

Family

ID=1716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669A KR100244529B1 (ko) 1996-09-19 1997-07-24 챔퍼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05514B2 (ko)
KR (1) KR100244529B1 (ko)
TW (1) TW3392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590Y1 (ko) * 1999-08-17 2000-02-15 조기봉 챔퍼링기
KR100575201B1 (ko) * 2006-02-14 2006-04-28 전건영 면취량 조절이 용이한 면취기
KR100608293B1 (ko) * 2006-02-14 2006-08-02 전건영 가이드롤러의 내구성이 향상된 면취기
KR100820186B1 (ko) * 2006-06-01 2008-04-08 이규상 연삭기용 탈착형 면취기
KR100798637B1 (ko) * 2006-10-18 2008-01-28 배우성 탁상용 직선 면취기
CN101534984A (zh) * 2007-11-28 2009-09-16 日东工器株式会社 便携式倒角机
KR100901160B1 (ko) * 2008-06-18 2009-06-04 김강석 휴대용 면취기의 면취량 조절장치
KR100988070B1 (ko) 2010-02-04 2010-10-18 전영철 휴대용 파이프 면취장치
KR100955216B1 (ko) 2010-02-12 2010-04-29 주식회사 대성지티 원터치식 면취량 조절이 가능한 용접 비드면 가공용 면취기
KR100955217B1 (ko) * 2010-02-12 2010-04-29 주식회사 대성지티 면취기의 원터치식 면취량 조절장치
KR101259839B1 (ko) 2012-07-25 2013-05-02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면취량 조절이 자유로운 축이동식 면취기
DE102013012167B4 (de) * 2013-07-20 2022-02-03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Vorrichtung zur spanenden Bearbeitung von Kanten
KR101497638B1 (ko) * 2015-01-15 2015-03-03 이종일 이동식 용접 개선용 파이프 외경 면취기
CN110666250A (zh) * 2019-10-08 2020-01-10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飞机蒙皮接缝处倒角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05514B2 (ja) 2001-09-04
JPH1086011A (ja) 1998-04-07
KR19980024105A (ko) 1998-07-06
TW339298B (en) 199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529B1 (ko) 챔퍼링기
USRE33335E (en) Device for attaching a tool
JP2560048Y2 (ja) 環状カッタ等の着脱装置
US20100067996A1 (en) Depth adjustment device for power tool
JP2004235250A (ja) 切削装置
JPS59161242A (ja) クランプ装置
KR19990077458A (ko) 챔퍼링기
JP3337215B2 (ja) 切削機械加工用工具
KR20220137655A (ko) 선삭 공구
SI9300393B (en) Cutter head, especially profile cutter head
JPH11156614A (ja) 中空ドリル工具の駆動装置
JPS59224226A (ja) 工具ホルダ着脱保持装置
TWI677412B (zh) 動力工具
JP2001009612A (ja) ホールソー着脱装置
JP5295728B2 (ja) 加工工具取付具
FR2532227A1 (fr) Dispositif d'amenee de refrigerant a des outils de coupe pour l'usinage de metaux avec copeaux, notamment des outils de percage, rotatifs munis de canaux pour refrigerant
JP2006205290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取付方法
JP2001150218A (ja) 回転切削工具
KR200213206Y1 (ko) 모서리 면취기_
KR20010050498A (ko) 조절가능한 공구 홀더 장치
JP3335604B2 (ja) 分離型ホールソー
JPS5856101Y2 (ja) 歯切用ワ−ク取付装置
JP2004322300A (ja) 固定具
JP4092019B2 (ja) 旋盤刃物台
JPS61427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