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169B1 - 가로형 밀폐 배수로의 가스역류 개선을 위한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로형 밀폐 배수로의 가스역류 개선을 위한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169B1
KR100244169B1 KR1019960705731A KR19960705731A KR100244169B1 KR 100244169 B1 KR100244169 B1 KR 100244169B1 KR 1019960705731 A KR1019960705731 A KR 1019960705731A KR 19960705731 A KR19960705731 A KR 19960705731A KR 100244169 B1 KR100244169 B1 KR 10024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gas
liquid
air
back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빈 에이 브라운
유진 오. 버그만
리챠드 지이
Original Assignee
버그만 유진 오
더 에프 비 레오폴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그만 유진 오, 더 에프 비 레오폴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버그만 유진 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가로형 밀폐도관(12)상에 지지된 과립자 여과매체(14)를 가스 역세척하는 장치(10) 및 방법이 제공된다.
가로형 밀폐도관(12)는 복수의 분산공(40)과 그 분산공(40) 밑의 수준에서 배출부(20)으로 신장하는 최소 하나의 액체 복귀관(3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산공(40)을 통해 과립형 매체(14)로 역세척 가스를 향하게 하고, 분산공 하부에 형성된 가스포켓(50)으로 부터 분산공(40)을 통하는 역세척 가스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액체가 과립형 매체(14)로 부터 액체 복귀관을 통해 향하게 함으로써, 전체 가로형 밀폐도관(12)을 가로 지르는 역세척 가스의 분배를 균일하게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가로형 밀폐 배수로(Lateral Underdrains)의 가스역류(Backwash)개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밀폐 도관시스템을 갖는 필터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필터 밀폐도관 블록의 제1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제3도의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 밀폐 도관블록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VI-VI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필터 밀폐도관 블록의 제1실시예의 벨끝단을 보여주는 부분 절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계측 오리피스의 단면을 도시한 분리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플을 도시한 제5도의 VII-VII선의 일부 절개 단면도.
제8도는 다공질 플레이트를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 밀폐도관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 밀폐 도관 블록의 일부 단면 절개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 밀폐 도관블록의 일부단면 절개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필터밀폐 도관블록의 일부단면 절개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필터 밀폐 도관블록을 도시한 부분 절개사시도.
제13도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도관 분배에 대한 역세척수 불균형분배와 유속을 예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력필터 12 : 밀폐도관(underdrain)
14 : 매체(여과제)베드 16 : 필터 블록
18 : 필터 저면 20, 40, 130 : 장홈
27, 94, 128, 146, 172 : 블록
28, 96, 132,148, 174 : 상부벽
30, 98, 150, 176 : 하부벽 32, 100, 150, 178 : 측벽
34, 102, 154, 180 : 내벽 36, 104, 158, 162 : 제1수평관
38, 106, 156, 184 : 제2수평관
40, 110, 136, 170,196 : 분산공
44, 48, 80, 109, 138, 164, 190 : 오리피스
46, 54, 120, 140, 168 : 경계면
50, 122, 134, 166, 199 : 가스 브랭킷
62, 66, 192 : 배플 82 : 다공질
112, 172 : 견인수복귀관(drag water return canduit)
114 : 튜브 118 : 배출부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가스/액체(예; 공기/물)가 혼합되는 가로형 밀폐 도관(암거, underdrain) 시스템을 갖는 필터(Filter)에 있어서, 가스 역세척, 전형적으로는 공기 역세척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물과 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여과재층을 갖는 중력필터와 같은 필터에 있어서는 여과재 하부에 상기 필터로부터 여과된 액체를 이동시키고 여과재를 역세척(backwash)하여 필터수명을 연장하도록 세정액 및/또는 세정기체를 주기적으로 분배하는 밀폐도관이 제공되어 있다.
Farabaugh 에 부여된 미국특허 제4,065,39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2중 가로형 공기/물 밀폐도관시스템을 갖는 필터의 공기/물 역세척에 있어서는 공기 및 물결합사용에서 공기만의 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공기는 여과재 아래에서 공급되어 여과재내의 먼지를 그 표면위에서 교반하고 파괴한다. 그후 물로 역세척 하는 동안 먼지등이 필터로 부터 쉽게 제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용수사용량이 감소된다.
고객이 새로운 또는 개량된 필터 밀폐도관 장치의 공급을 필요로 할 때는 중력필터의 설계자와 사용자는 초기 공기만의 역세척 세그멘트 또는 단계를 명시하는 것이 매우 일반적인 추세로 되었는데, 이는 전체적인 작동 및 설치 비용이 보다 낮기 때문이다. 공기 또는 물 대신 또는 이에 덧붙여서는 액체가 필터 역세척에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가스" 또는 "액체"를 "공기" 또는 "물"과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공기만의 역세척 단계에 있어서는, 전형적으로 가로형 밀폐 도관과 여과재를 처리수내에 침지시킨다.
공기는 밀폐 도관내로 펌프 공급되고, 그 가압된 공기는 밀폐 도관의 상부 데크 또는 상부벽(덮개)의 아래에서 수중 포켓(pocket)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는 상부데크상의 분산공을 통하여 누출되어 여과재를 통해 물 표면까지 상승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는 여과재로 부터 먼지(오물)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필터 효능 및 수명을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여과재를 지지하는 공기/물 가로형 밀폐도관이 하기 설계 목적과 부합하여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a. 가로형 밀폐 도관 시스템의 상부 테크내에 여과물 수집 및 역세척 공기/물 분배공(개구부)을 위한 폐쇄공간이 제공될 것; b .역세척 공기와 물 모두를 최대한 여과재면적 및 깊이에 맞물리게 하여 맞물리지 않은 여과재의 포켓의 없도록 할 것; c. 막히는 것을 방지토록 충분히 큰 분배공을 제공할 것.
상기 Farabaugh 특허 밀폐도관은 밀폐도관의 상부데크에서 일차적으로 물분배를 위해 설계된 동일한 관통을 통해 역세척물과 역세척 공기를 통과 시킴으로서 이들 목적을 이룬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최근에 상기 특허의 밀폐 도관에서 관통공을 이중으로 사용함으로써 공기만의 역세척 과정중 "견인수 복귀(drag water return)"라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와 이분야에서의 숙련된 자에게 알려지지 않은 이러한 현상은 상기 특허의 밀폐 도관이 공기만의 역세척 과정중 최대 분산력을 얻는 것을 방해하였다. 특히, 공기유속이 낮을때는 더욱 심하다. 이 현상은 또한, 하부에서 밀폐도관이 적절히 공기를 분배하는 역세척 공기유속 범위의 하한을 제한하였다.
실험결과 상기 특허의 밀폐도관은 적당한 공기 역세척 분배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최소 3cfm/ft2(cubic feet per minute per square foot)의 공기유속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사용에 기인하여, 상기 특허의 분산공은 그 전체 단면적이 역세척수 및 역세척 공기 모두에 대하여 적절한 양정손실(head less)을 제공할 수 있는 크기가 되어야 한다. 단면적이 크게 되면 공기의 분산이 나빠지게 되고, 상기 단면적이 줄거나 감소되면, 물 역세척 동안 압력강하가 너무 크게되는 원인이 된다. 특히, 밀폐도관시스템은 최적의 역세척 물 분배를 이루도록 최소의 수압 양정손실을 기초로 설계되어야 한다. 유동 여과재 적용을 위해서, 상기와 같은 양정손실을 일반적으로 전체 여과재 유동화가 기대되는 초기물 유동점에서 깨끗한 필터 여과재 양정손실보다 커야 한다(예를 들어 10-30GPM/ft2(gallons per minute per square foot)). 반대로 역세척수 양정손실은 적절한 역세척수 흐름을 얻기 위하여 불필요한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도록 너무 높지 않아야 한다.
통상의 가로형 밀폐도관 시스템은 약 20GPM/ft2역세척 속도에서 배출공을 통해 여과재 내부의 통로를 포함하여 15-40 인치의 물 컬럼인 전체 밀폐 도관을 통해 최대 물 양정손실까지 최적 물 역세척을 제공한다.
이것은 대부분의 가로형 밀폐 도관이 효율적으로 역세척을 수행하는 통상적인 최대 양정손실에 근접한다. 양정손실이 높아질수록 에너지의 손실은 크게 되며, 물 처리를 위한 전력이 많이 소요되며 펌프 크기가 증대한다. 일반적인 액체 역세척 유속에서 이러한 일반적인 양정손실의 기준치는, 가로형 밀폐 도관의 상부 데크에 형성된 모든 배출공의 특정 수와 크기를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공의 크기 및 공간은 설계 및 제조의 간소화를 이루도록 모든 밀폐도관 적용에 대하여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역세척 공기를 분배하는 구멍이 역류용 물을 분배하는 최적 크기 및 공간의 비밀폐(non-clog)구멍과 같은 경우, 공기를 분배하는 상부 테크의 구멍을 통한 양정손실은 휠씬 낮은 공기밀도 때문에 현저하게 낮다. 이보다 낮은 양정손실은 상부 테크 아래의 공기 포켓을 형성하기에 충분하지만 공기와 물이 상기 구멍에 유입되기 전에 효율적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구멍앞에 형성되는 공기 포켓이 형성될 정도로 충분히 깊지는 않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최근에 분사작용에 의한 높은 속도의 공기가 공기 포켓을 통해 가로형 밀폐 도관의 여과재까지 분산구멍을 통하여 위로 약간의 액체를 끌므로서(견인하여) 상부 데크아래에 도관 가로 챔버내에 압력공극을 만든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압력공극은 동일한 량의 물을 분산공을 통해 계속하여 아래로 돌려보내 밀폐도관의 상부데크의 어느 면에 압력평형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견인수 복귀"는 상부 데크의 구멍을 막아 공기를 전혀 분배하지 못하도록 하여 다른 구멍은 오직 간헐적으로만 공기를 분배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본 발명을 이용한 것과 이용하지 않은 경우 모두에 대하여 투명한 파이롯 필터에서 염료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다수의 다른 미국특허가 결합된 공기/물 가로형 밀폐도관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그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5,160,614호; 제5,156,738호 ; 제5,149,427호; 제5,108,627호; 제5,087,362호; 제5,068,034호; 제5,019,259호; 제4,331,542호; 제4,214,992호; 제4,196,079호; 제4,064,050호; 제3,468,422호 및 제2,710,692호를 들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어느 것도 공기와 물 모두의 분배를 위해 같은 구멍을 사용하는 밀폐 도관에서 공기만의 역세척 동안 발생되는 견인수 복귀 문제를 다루지는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은 공기만의 역세척 동안 공기/물 가로형 밀폐 도관의 상부 데크내의 임의의 구멍에서의 공기 막힘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 공기브랑켓을 낮추기 위해 밀폐 도관 위로 부터 발생되는 방해받지 않는 견인수 복귀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세척수와 역세척 공기 모두를 분산토록 같은 분산구멍을 사용할 때 가로형 밀폐도관의 여과물 수집과 역세척수 분배작용을 방해하지 않고 역세척 공기를 크게 개선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짧고 긴 두개의 가로길이상에 예컨데 1-2cfm/ft2와 같이 매우 낮은 공기만의 유속에서 역세척 공기 분배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보다 낮은 공기만의 유속에서의 역세척은 송풍장치를 낮은 유속으로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기 역세척 시스템과 관련된 설치와 작동비율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필터 저면에 위치되고, 밀폐 도관 분배기위에 배열된 과립형 여과재를 갖는 결합형 가스/액체 가로형 밀폐 도관을 갖는 필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밀폐도관 분배기를 제공한다. 액체는 과립형 여과매체에 공급되어 밀폐 배수로 분배기까지 상기 매체를 통하여 흐른다. 밀폐 도관 분배기는 중공 내부를 이루는 다수의 외벽을 포함한다. 이 외벽은 상부벽과 그 상부벽과 필터 저면사이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측벽을 포함한다. 다수의 분산공이 상기 상부벽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내부와 상기 매체 사이에 유체가 흐르도록 한다. 본 발명은 중공내부와 분배기 외벽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밀폐 도관 분배기에 적어도 하나의 액체회귀도관을 제공하고, 복수의 분산공 하부의 중공내부내의 수준에서 도관 배출부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도관 배출부는 상부벽 아래에 형성된 가스 포켓 외부의 액체가 가스 역세척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분배기 내부에 복귀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내부를 제1수평 도관과 제1수평도관 부근에 위치한 제2수평도관으로 나누는 복수의 내벽을 포함하며, 상부벽내의 각 관통공은 상기 제2수평도관중 하나와 연결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복귀관은 상벽내에 장홈으로 형성되어 그 장홈의 하부에 있는 최소하나의 오리피스가 제2수평도관과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상기 액체복귀도관은 상부벽에서 부터 상기 제2수평도관의 내부까지 신장된 튜브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기 측벽의 상부에 위치된 오리피스 형태로된 액체 복귀도관을 포함한다. 아래로 신장된 배플(baffle)이 밀폐도관 분배기의 내부 오리피스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가스포켓이 오리피스와 연결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관통공을 갖고, 최소하나의 액체 복귀도관이 관통공 아래 수준에서 밀폐도관 내부의 배출부까지 신장하는, 가로형 밀폐도관 위에 설치된 과립형 매개체를 역세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밀폐도관과 과립형 매개체는 처리 액체내에 침지된다. 역세척 방법은; 상기 관통공과 액체 복귀용 배출관 사이에 역세척 가스포켓이 형성토록 밀폐도관에 역세척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역세척 가스를 과립형 매체에 향하게 하는 단계; 및 액체 복귀용도관을 통해 상기 가스 포켓 외부에 있는 액체를 액체 복귀용 배출관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전체 필터 바닥의 관통공을 통해 역세척 가스를 균일하게 분배함으로써 입자 매체측면이나 분배기 외부에서 부터 분배기 내부까지 액체의 복귀에 따른 가스흐름의 부분적인 또는 임의적인 분쇄를 최소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부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다.
제1도는 과립자 매체 베드를 지지하는 가로형 밀폐도관(12)를 구비한 중력필터(10)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가로형 밀폐도관은 필터 저면(18)을 가로질러 인접한 열에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필터 밀폐도관 블록(16)을 포함한다. 상기 중력필터(10)는 역세척수 유입구(22)와 역세척 공기유입구(24)를 갖는 요홈(20)을 포함한다.
중력 필터(10)는 역세척 공기만의 모우드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처리수 26이 필터내에 존재하고 있다. 과립자 매개층(14)은 개략적으로 도시되는데, 상기 밀폐 도관(12)바로 위에 자갈지지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기/물 가로형 밀폐도관을 갖는 중력 필터는 Farabough에 부여된 미국특허 제4,065,391호에서 찾을 수 있다.
상기 필터 블록(16)은 액체 또는 "견인수(drag water)"복귀관을 포함하는데, 이에 대하여는 제2 내지 12도에 예시된 여러가지 특정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제2 내지 제7도에 예시되어 있다. 특히 제2도는 상부벽(28)과 하부벽(30) 및 상기 상부벽(28)과 하부벽(30) 이에서 신장된 한쌍의 대향벽(32)을 갖는 블록(27)을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측벽(34)은 블록(27)의 중공내부를 제1수평관(36)과, 상기 기본 수평관(36)의 양측 반대에 위치하는 제2수평관(38)으로 분리한다.
상부벽(28)은, 카운터 싱크(41)에서 상부벽 외표면으로 부터 약간 함몰된 다수의 분산공(40)을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블록(27)은 전형적으로 약 4피트 길이이고, 상부벽(28)을 균일하게 가로질러 간격을 이룬 92개의 분산공(40)을 포함한다. 상기 분산공(40)은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약 7/32"-1/4" 이다.
상기 상부벽(28)은 폭이 약 9"정도이며, 분산구멍(40)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도관 블록(27)의 1피트당 23개의 구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장홈(42)은, 상부벽(28)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다수의 오리피스(44)가 장홈(42)의 바닥(45) 근처에서 장홈 양측에 위치된다. 오리피스(44)는 차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견인수 복귀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오리피스(44)는 직경이 1/4"이고, 여섯개의 오리피스가 장홈(42)의 각 측면(43)에 위치된다. 상기 오리피스(44)는 블록(27)의 길이방향을 따라 8" 중심간격으로 직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44)는 장홈(42)의 서로 반대편에 대칭되지 않도록 상호 교차되어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필터형태에 있어서, 여과되어질 물이 입자매체(14)을 통하여 하향으로 유입되어 비폐쇄분산공(40)과 요홈 오리피스(44)내로 흐르게 된다. 그곳에서 부터 물은 제2도관(38)으로 통과한 다음 제1도관(36)으로 흐른다. 제1도관(36)은 수집 홈통(20)으로 연결되며, 이는 여과된 액체를 도시되지 않은 정수조로 보내어 수요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필터성능을 최대화시키는 위해서는, 과립자 매체(14)는 규칙적으로 세척되어야 한다. 이러한 세척은, 밀폐도관(12)을 통해서 깨끗한 물을 뒤로 펌핑하고 과립형 매체를 통해 상향으로 펌핑하여 과립형 매체로 부터 오물 및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흔히 물 역세척을 위한 과립형 매체 제조를 위하여, 침지된 입자 매체를 먼저 공기만의 역세척으로서 씻어내는데, 여기서 공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로형 밀폐도관(12)을 통하여 위로 펌프된다. 이 공기만의 역세척은 이어지는 물역세척 단계에 의해 보다 쉽게 제거되도록 분진 및 다른 불순물을 느슨하게 한다.
공기만의 역세척은 일반적으로 물과 공기의 동시 역세척 또는 물만의 역세척 전에 시작된다. 이때에 상기 밀폐도관과 그위의 입자 매체층은 모두 공기처리수(26)에 침지된다. 제2도는 공기만의 역세척 모우드를 도시하였다. 가압된 공기가 제1도관(36)으로 펌프되어 제1도관 공기/물 경계면(46)이 제1도관내에서 형성된다.
특히, 각 제1도관(36)을 이루는 내벽(34)은 다수의 공기 계측용 오리피스(48)를 포함한다. 공기 계측용 오리피스(48)의 보다 바람직한 배열 상태가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공기만의 역세척 동안 공기는 0.5에서 5ctm/ft2의 속도로 상기 밀폐도관내에 펌프된다. 특히, 공기는 오리피스(48)을 통해 제2도관(38)내로 계측되고, 여기서 공기는 상기 상부벽(28)의 상측으로 흐르는 처리수(26)을 통해 기포를 발생시킨다. 분산공(40)의 크기와 간격에 의해, 역세척 공기는 분산공(40)을 통해 충분한 양정손실을 겪게 되고 이에 따라 모든 분산공 바로 아래에는 가스 블랭킷 또는 포켓(50)이 형성된다. 분산공(40)을 통하는 공기진행방향을 화살표(52)로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상기 가스 브랭킷(50)은 상부벽(28) 아래에서 1/8"에서 7/8"깊이로 확대된다. 상기 가스브랭킷은 제2도관(38)에 부가적인 공기/물 경계면(54)을 형성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척력이 높은 물만의 역세척시, 상기 밀폐 도관내에서 최적의 전체 양정손실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상부데크의 분산공이 일차적으로 통상의 물역세척속도에 대한 상부벽(28)을 가로지르는 양정손실이 전체 밀폐도관 양정손실요구치와 적절히 균형을 이루도록 그 크기 및 간격이 정해져야 한다.
상기 양정손실의 균형은 수압불균형 분배성을 최소치로 유지시키는 데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일반적으로 가로형 밀폐 도관은 명목상 밀폐 도관 양정손실이 대략 20GPM/ft2(gallons per minute per square foot)의 높은 역세척 율에서 물기둥의 길이가 15-40인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통상의 가로형 밀폐 도관이 효과적으로 작동되는 최대 역세척수 양정손실범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명목상의 양정손실에 대한 어떤 특정값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상부데크내의 모든 오리피스가 farabaugh 특허에서와 같이 공기와 물 모두의 역세척 사용되도록 크기 및 면적이 적절히 조정되는 밀폐 도관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공기 흐름이 발생되고, 공기와 물의 경계면(54)이 형성되고 균형을 이룬 공기포켓크기가 분산공(40)과 상부벽(28)아래의 제2수평관내 발달된 후는, 같은 양의 물(26)이, 5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28)을 가로지르는 관통공(40)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흐름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강제 견인될 거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잔류 "견인수"이동은 상기와 같은 견인수를 밀폐도관으로 즉시 복귀시켜 스스로 균등화되고자하는 밀폐 도관내의 정압력 불균형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자들은 "견인수 복귀(drag water return)"이라고 지칭하였다.
특별한 관찰을 통하여, 이와 같은 공기만의 역세척 작용동안 상부벽(28)위로 부터의 견인수가 아래로 복귀될 것이고, 이는 역세척 공기가 여러 관통공(40)을 통과하는 것을 막을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밀폐 도관의 상부벽(28)을 가로지르는 몇몇 관통공은 공기를 단지 간헐적으로 통과시키게되고 나머지 관통공은 공기를 전혀 통하지 않게 할 것이다.
그렇지만, 경계면(54)을 낮추기 위하여 분산공(40)의 단면적을 줄이는 것만으로는 해결책이 될수 없는 것이다. 특히 단면적의 감소는 다음의 세가지 문제를 항상 야기시키게된다. 즉, (1)물 역세척작용시 양정손실이 증가되고, (2)과립형 매체층에서 역세척유체의 적용범위가 줄어들게하고, 이로인해 데드스폿(dead spot)을 일으키며(예를들어 간격이 증가되고 구멍크기는 그대로 유지되면), 또는 (3)막힘 현상의 야기,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견인수 복귀는 화살표 52로 나타낸 바와같이, 제2도관(38)내의 가스브랭킷(50)아래의 위치까지 오리피스(44)를 통하여 나아갈수 있다. 특히, 오리피스(44)의 배출부가 가스브랭킷(50)아래에 위치하고, 공기와 물이 경계면(54)은 오리피스(44)가 가스브랭킷(50)과 연결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견인수는 가스브랭킷에 의해서 방해되지 않고 제2도관(38)으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산공은 공기 역세척속도 0.5cfm/ft2에서 대략 5cfm/ft2에서 배출부가 가스브랭킷 직접유체 연결되지않는채 있도록 그 관총공의 크기 및 간격을 정하고 액체배출도관을 위치시켜야 하는 것이다. 보다 적은 경인수는 분산공(40)을 통해 아래로 복귀하고자 할 것이며, 이러한 현상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분산구멍의 숫자는 현저하게 감소되거나 없어지게된다. 이에따라 역세척 공기의 분배는 실질적으로 개선된다. 본 발명의 효율을 증명하는 정량적 시험이 하기 실시예 I-III에 나타나있다.
본 발명은, 특히 분산구멍이 역세척수 및 역세척 공기모두를 분배하는데 사용되는 공기/물 가로형 밀폐 도관에서 견인수 복귀 문제를 해결한다. 종래의 많은 가로형 밀폐도관은 역세척수와 역세척 공기 분산공을 분리 취급하여 왔지만, 역세척시 매체 베드의 영역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것만큼 그리 크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더욱이 그들의 공기 역세척공은 역세척 동안 역세척력을 부여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단면적을 가진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밀폐도관은 역세척수 또는 열세척공기 또는 이들 양자모두가 정확한 세척을 위해 필터 매체 및 매체지지 자갈에 도달할 수 없는 데드스폿을 남기기 쉬운것이다.
제5도 및 제7도에 의하면, 배플(62)이 밀폐 도관 블록(27)의 벨 단부(64) 근처의 제2도관(38)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공기와 물 경계면(54) 아래에 있는 제2도관 하측내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배플(54)는 상부벽(28) 아래의 공기 상승을 방지한다. 그렇지 않으면 크고, 제어하기 힘든 공기포켓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제2배플(62)은 처리수(26)의 회전 파을 방지함으로서 가스브랭킷(50)이 오리피스(44)와 연결되는 가스층(50)을 차단하며, 상기 회전파는 오리피스(44)수준아래로 공기와 물의 경계면(54)을 형성하게 한다.
또한, 장홈 오리피스(44)역시 제2도관(38)내에 남아 있는 약간의 공기가 균일하게 빠지도록 공기 역세척 차단을 도와준다.
아래로 흐르는 물(57)과 위로 분출되는 공기(52)사이에는 보다 적은 경계면이 있다, 차단시 아래로 흐르는 물은 장홈 오리피스(44)를 통해서 흐르게 될 것이다.
블록(27)은 다음의 방법으로 상호 연결된다. 각각의 블록은 마개단부(68)와 벨단부(64)를 구비한다. 이것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벨단부는 삽입구 끝단에 있는 정렬홈(72)내에 수용되는 정렬돌기(70)를 갖는다. 정렬돌기(70)와 정렬홈(72)은 통로(38)(38)를 적절하게 분리토록 내벽(34)의 끝단부에 위치된다.
삽입구끝단(68)는 벨단부(64)에 수용되고, 다수의 탭(74)가 삽입구 끝단(68)위에 위치하며, 벨단부(64)내의 윈도우(76)에 삽입되게 된다.
탭(74)는 스냅고정식으로 원도우(76)에 수용된다. 오링(78)은 연결점에서의 밀폐도관내에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탭(74)부근에서 삽입구 끝단(68)에 끼워진다.
다수의 물 계측용 오리피스(80)가 내벽(34)의 하부지점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와 같은 오리피스의 최적크기 및 간격은 그들의 외견에서 4"블록을 따라 6"센터에 위치, 즉, 제2도관 38과 대향하는 측벽 34상에서 취한 칫수가 길이 7/8"이고 폭 5/16"일때 이루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이같은 오리피스 8개가 블록 27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내벽(34)에 위치하게된다. 이같은 오리피스설계에 따라 역세척수 분배가 향상되는 것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의 세로칫수는 수직평면내에 있다. 벽의 두께에 대한 오리피스의 수평칫수비는 실질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그러므로 상기 오리피스(80)는 유체흐름을 제1도관(36)내에서와 같은 방향보다는 수직상향으로 제1도관으로부터 제2도관(38)까지 향하게한다.
물 역세척 작용시, 물은 제1도관(36)에 유입되어 계측용 오리피스(80)를 통하여 제2도관(38)으로 흐르게 된다. 제2도관 내에서의 흐름을 보상하면, 이는 제1흐름의 역방향이며, 수평방향의 분균형분배를 최소화할 것이다. 불균형 분배율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1도관(36)은 또한 제1도관 36내에서 역세척수의 흐름을 배플(66)을 부착할 수 있다. 제2도관(38)으로 부터 물은 과입자 매체층(14)내로 분산공을 통하여 위로 상승된다. 특히, 모든 분산공(40)은 물 역세척동안 사용된다.
정상적으로 상기 물은, 물 역세척 작용시 펌프되거나 또는 헤드탱크에의해 이송되고 10-30 GPM/ft2의 명목 유속으로 제어토록 헤드탱크로서 조절된다.
이와 같이 필터 밀폐 도관블록(27)의 제1실시예는 제13도에서 도시한 그래프의 결과로서 알수있는 바와 같이 역세척수 분배에 있어서의 개선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결합되는 가로형 밀폐 도관의 불균일분배율은, 종래의 가로형 밀폐 도관의 불균일 분배율과 비교될수 있다. 제13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 58로 도시한 밀폐도관 블록(27)의 불균일 배율은 역류 유동비율의 범위이상의 선 60으로 나타낸 종래기술보다 실질적으로 더 우수하다. 제13도의 그래프를 포함한 실제 데이타가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추가적인 기둥은 본 발명에서 성취한 개선%를 나타낸다.
[표 1]
불균형 분배
바람직한 실시예; 종래기술
40ft 길이 가로형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첫 번째 실시예에 다공질 플레이트(82)를 결합시킨 것으로 제8도에 도시한다. 상기 다공질 플레이트에는 상부벽을 가로질러 위치한 다수의 리브(rib)(84)에 지지된다. 리브(84)는 각 유체분배실을 이루기위해 분산 오리피스(40)와 장홈(42) 및 장홈 오리피스(44)로 분할한다.
리브(84)는 그 양단부에 랜드(land)(86)를 구비하고, 비접촉 지지리브(88)가 리브(84)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된다. 다공질 플레이트의 모서리에는 세워진 플랜지(92)의 오프셋(90)에 수용된다. 상기 다공질 플레이트(82)와 블록(27)사이를 적절하게 밀폐토록 도시되지 않은 틈새막이 또는 실링재를 오프셋(90)에 설치할수 있다. 결합된 다공질 캡/필터 밀폐도관블록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미국특허 제5,149,427호에서 제안되고 있다. 중요한것은, 상기 플레이트(82)는 분산공(40)과 장홈 오리피스(44)로 부터 수직으로 간격을 이룬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 간격관계는 역세척유체를 블록 27로부터 다공질 플레이트(82)를 통하여 분배시킴으로 확고히 한다는 점에서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예가 제9도에 도시된다. 블록(94)은, 상부벽(96)과 바닥(98) 및 상기 상부벽(96)과 바닥(98)사이에 연장된 한쌍의 대향하는 측벽(100)을 포함한다. 복수의 내벽(102)이 블록(94)의 중공내부를 제1수평관(104)과 제2수평관(106)으로 분리한다.
제2수평관은 제1수평관의 반대면에 위치된다. 중심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수직인 지지벽(108)은 바닥(98)과 상부벽(96)사이에 연장된다. 수직벽(108)은 블록(94)의 폭이 앞에서의 같은 블록의 크기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블록(94)내에 포함된다. 두개의 제1도관(104)사이에 공기와 물이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벽(108)내에는 관통공이 제공된다. 내벽(102)은 제2도관(106)에 공기와 물을 분배토록 하는 다수의 계측 오리피스(109)를 포함한다. 수직형태의 오리피스가 제2도관(106)에 물을 분배하도록 내벽(102)의 저부에 제공될수 있다. 다수의 분산공(110)은 상부벽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상기 분산공(110)은 제2도관(106)과 그 위의 입자 매개층사이를 연결한다. 다수의 견인수 복귀 관(112)이 그 상부벽(96)에 위치된다. 상기 견인수 복귀관(112)은 상부벽(96)으로부터 관(106)내부로 하향신장하는 상부 플랜지(116)가 있거나 없는 튜브(114)를 포함한다. 각각의 튜브(114)는 상기 제2도관(106)내의 공기와 물의 경계면(120)아래에 위치되는 배출부(118)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수 복귀관(112)은 상부벽(96)을 가로질러 균일하게 분배된다.
여과 및 물역세척 작용시, 블록(94)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와 비슷하게 작용한다. 공기 역세척동안 공기는 가스브랭킷(122)이 상부벽(96)아래에 형성하도록 제1도관(104)에 공급된후 오리피스(109)를 통해 제2도관(106)내로 계측된다. 특히 공기와 물의 경계면(120)은 상부벽(96)과 튜브(114)의 배출부(118)사이에 위치된다. 역세척 가스는 화살표 124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산공(110)을 통하게된다. 과립형 매개층(14)으로부터 나온 용액은, 화살표 12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견인수 복귀관(112)를 통해 가스브랭킷(122)하부에 위치한 배출부(118)로 하향으로 향하게된다.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가 제10도에 도시된다. 블록(128)은 상부벽(132)내에 한쌍의 장홈(130)을 포함한다. 가스브랭킷(134)은 공기만의 역세척 작용시 상부벽(132)의 아래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벽(132)는 다수의 분산공(136)을 포함하고, 장홈(130)은 장홈(130)의 하부에 장홈 오리피스(138)를 포함한다. 상기 장홈 오리피스(138)는 앞서 제1, 2및 3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만의 역세척작용시 견인수 복귀관으로의 역할을 한다.
공기만의 역세척 작용시, 상기 가스브랭킷은 상부벽(132)와 홈통 오리피스(138)사이에 위치한 공기와 물의 경계면(140)을 이룬다. 역세척 공기는 화살표 14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산공(136)을 통하여 상향으로 흐르고, 반면에 견인수는, 화살표144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와 물의 경계면(140)아래에 위치한 장홈 오리피스(138)을 통해 복귀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가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블록(146)은 상부벽(148), 바닥(150), 양측벽(152) 및 내벽(154)를 포함한다. 상기 내벽은 두개의 상부 제2도관(156)과 두개의 하부 제1도관(158)을 이룬다. 원통형의 제1가스관(160)이 상기 상부 제2도관(156)사이에 위치된다. 중앙장홈(162)은 상부벽(148)내에 위치하며, 그 하측으로 장홈 오리피스(164)를 갖는다.
작용시, 공기는 제1가스관(160)을 통하여 공급된다. 그곳에서 부터 공기는 상부 제2도관(156)에 모여져서 상부벽(148)아래에 가스브랭킷(166)을 형성한다. 상기 가스브랭킷은 상부벽(148)과 장홈 오리피스(164)사이에 위치된 공기와 물의 경계면(168)을 갖는다. 역세척 공기(169)는 상부벽(148)내의 분산공(170)을 통하여 위로 흐르고, 반면에 견인수(171)은 상기 공기와 물의 경계면(168)아래에 위치한 장홈 오리피스(164)를 통해 복귀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6실시예가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블록(172)각각은 상부벽(174), 바닥(176), 양측벽(178) 및 내벽(180)을 포함한다. 상기 내벽은 하부제도관(182)과 상부 제2도관(184)을 이룬다. 제1가스관(186)은 상부 제2도관(184)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양측벽(178)은 상부의 내측으로 각을 이룬부위(188)을 포함한다. 부위(188)는 분산공(170)아래에 위치한 다수의 물복귀 오리피스(190)를 포함한다. 내측으로 각을 이룬 부위(188)위에는 배플(192)이 위치된다. 메움층(194)이 블록(172)사이에 도시되어 있다. 메움수준은 물 복귀 오리피스(190)의 아래에 위치된다. 다수의 분산공(196)이 상부벽(174)내에 위치된다. 작용시 역세척가스는 제1가스관(186)에 이동하고 상부 제2도관(184)내로 유입된다. 가스브랭킷(198)이 상부벽(174)아래에 형성되며 배플(192)는 가스브랭킷이 물복귀 오리피스(190)과 연결되는 것을 막는다.
화살표 200 및 2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역세척 공기는 분산공(196)을 통하여 위로 흐르고, 견인수는 복귀용 오리피스(190)을 통해 회귀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의 장점은 본 발명의 제3내지 제6실시예에 그래도 적용될수 있다. 제2도 내지 8도 및 10도 내지 12도에 예시된 특정구조는 액체 복귀용 관이 압출 제조공정에 의해 쉽게 결합될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나타낸다.
제9도에서 보여준 블록설계는 이와 같은 구조가 이미 존재하는 밀폐도관에 설치될 수 있는 각 튜브(114)를 제조함으로서 현존하는 밀폐 도관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위에서 논의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제9도에 도시하는 것을 제외하면 견인수 복귀 도관 배출부는, 몇몇 경우에 있어서, 제2도관내에 공기와 물 경계면위 또는 아래에 위치될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견인수 복귀도관 배출부위로의 처리수 정적 헤드가 상승되는 역세척 공기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견인수 복귀의 적절한 유동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 1]
새로운 밀폐 배수로 블록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침수된 8피트 길이의 테스트용 가로 배수로에서 다른 표면에너지층은 공기만의 역류 작용시 발생됨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다른 에너지층은 더 낮은 공기 유동율에서는 보다 확실하고, 일반적으로 가로 테스트기를 따라 같은 위치에서 발생된다. 이와 같은 에너지층은 공기를 상승시키고 물을 복귀하는 많은 반복선택으로 발생되었다. 상부데크 오리피스를 통해 위로 상승되는 공기가 상부데크와 오리피스를 통한 같은 양의 물을 이동토록 충분한 항력을 발생시킨다는 것은 놀라운 것이다. 이는 뜨거운 표면층의 결과일 것이다.
보다 얇은 층에서는 임의의 오리피스를 막고 이에 따라 공기의 자유로운 흐름을 제반함으로서 밀폐 배수로내에서 아래로 흐르는 물을 조정 또는 복귀시킨다고 유추되었다.
종래 가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부 테크 오리피스를 통한 공기의 이동과 공유없이 상기 상부 데크위에서 부터 측면쪽의 물바디까지 이동 또는 복귀되는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개발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따라서, 3/8" 직경의 홀이 공기와 물경계면 아래에 제2의 구역내에서 측면벽을 통해 가로 길이를 따라 12"중심으로 드릴되었다. 공기는 다시 테스트를 위해 가로 밀폐 배수로에 주입되었다. 다른 표면 에너지층은 사라지고 표면교류가 명백하게 같게 됨을 알았다. 공기의 상향흐롬은 상부데크와 제2의 오리피스위로 물을 이동시키고, 이러한 손실을 보충할 외부에서의 물이 필요하며, 오리피스가 막히는 원인이 되며, 순차로 다른 표면 교류 또는 에너지층의 원인이 된다는 결론이 났다.
[예2]
12개의 1/4"내부직경과 길이 2"인 플라스틱 튜브가 4피트 테스트 블록의 상부데크에 삽입되었다. 상기 볼록위 상부데크상에 92개의 7/32"직경의 오리피스가 형성되었다. 초기에 모든 물 복귀용 튜브는 밀폐되고, 공기는 2cfm/ft2의 비율로 테스트 블록에 주입되었다. 막혀있거나 또는 공기만 간헐적으로 통과하는 오리피스의 수가 계산되었다. 이러한 계산은 3, 4그리고 5cfm/ft2비율로 반복되었다. 공기 공급이 중단될 때 공기의 기포현상이 관찰되었다.
모든 공기가 노출된 후 밀폐용 실이 여섯개의 물 복귀용 튜브로 부터 제거되었고, 공기는 다시 2, 3, 4 그리고 5cfm/ft2비율로 가로형 밀폐 배수로내에 펌프되었다. 마지막으로, 밀폐용 실이 나머지 여섯개의 튜브에서 제거되고, 공기가 같은 유동비율로 주입되었다. 막히고 간헐적으로 통하는 오리피스의 수를 6개의 튜브와 12개의 튜브에 대해 동시에 각각의 유동비율에서 계산되었다. 결과는 아래의 표 2에서 나타내었다.
[표 2]
[예 3]
물 복귀용 홈통이 테스트용 가로 밀폐 배수로의 상부데크의 중앙부에 제공되었다. 1/4" 직경의 물 복귀용 홀이 홈통의 하부에 홈통의 양측에 6개 위치되었다. 상기 상부 데크는 7/32"직경의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초기에, 홈통내에 모든 물 복귀용 오리피스가 밀폐되고, 공기는 상기 예 2에서와 같은 비율로 주입되어 관찰된 것이 기록되었다. 밀폐용 실이 6개의 몰 복귀용 홀에서 제거되고, 테스트용 가로 밀폐 배수로는 관찰이 기록되면서 유동비율을 변화하여 다시 노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나머지 여섯개의 홀로부터 밀폐용 실이 제거되고, 같은 유동비율로 관찰된 것이 기록되었다. 관찰결과는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예 1 내지 3에서, 막힌 오리피스의 퍼센트는 물 복귀용 튜브와 홀의 수에 있어서 증가할수록 감소되고, 막힌 오리피스 수의 감소는 더 낮은 공기 유동율에 있을 때 확실하다. 다시 말하면, 몰 복귀용 튜브와 홀은 오리피스를 통한 공기의 균일한 분배에 커다란 개선점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물 복귀용 관의 과사용은 물과 공기 또는, 물 또는 공기 역류 분배작용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상기 예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물 복귀용 홀은 예 2에서 논의된 물복귀용 튜브보다 더 영향이 크다. 왜냐하면 홀은 튜브보다 더 적은 마찰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공기 공급이 재개되면 밀폐 배수로 블록의 나머지 공기는 더 균일하게 누출되고 물복귀용 장치가 제공되면 상부 오리피스로 부터 더 적당하게 누출된다. 대부분의 물은 물 복귀용 튜브 또는 홀을 통하여 밀폐 배수로 블록내에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더 많은 오리피스가 공기를 방출토록 개방된다.
물 복귀용 튜브로 부터 물의 복귀는 공기와 물의 경게면이 공기 공급후 약 30~40초동안 튜브의 배출부 아래로 낙하된다. 홈통과 홀 배열에는 관찰시 아무런 문제점이 없었다.
본 발명의 세번째에서 여섯 번째까지의 실시예에 대한 직접적인 도면은 본질적으로 도식적이고, 첫번째와 두번째의 실시예에 관한 추가적인 상세 내용은 그후의 실시예에서 적용된다. 예를 들어 벨 및 마개 단부의 배열과 지지용 가로보와 분산 구멍의 크기 및 구멍이 많은 플레이트등은 첫 번째와 두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듯이, 같은 과정으로 차후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공기와 물 혼합용 가로형 밀폐 배수로의 작용에 대한 개선점을 제공한다.
(1)제13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 비분배율의 감소가 발생된다. 물 비분배율의 평균 감소율은 종래와 이중 공기와 물 혼합용 가로형 밀폐 배수로와 비교하여 42%이다.
(2)공기 분배율의 향상이 발생된다. 길이가 40피트인 테스트용 밀폐 배수로에서 우수한 공기 분배율은 1-5 scfm/ft2의 폭넓은 공기 유동 범위이상으로 관찰된다.
데드(막힌)지점은 실질적으로 6"정도의 물에 침수된 상태에서 제거된다. 우수한 공기 분배율이 40피트 길이인 테스트용 가로 밀폐 배수로에 대한 1/2 scfm/ft2의 저유동 비율에서 관찰되었다.
(3)역류용 물 라인을 통하여 필터내로 유입되는 제어되지 못하는 공기는 밀폐 배수로의 길이를 따라 세분하여 분할된다. 따라서 제어되지 못하는 공기는 감소된다.
(4)수위에 따른 감도는 감소된다. 40피트길이인 테스트용 가로 밀폐 배수로가 1"높은 경우에는 물 비분배율에 대한 어떠한 관찰도 발견되지 못하였다. 40피트길이인 테스트용 가로형 밀폐 배수로가 1/2" 높은 경우에는 물 비분배율에 대한 어떠한 영향도 발견되지 못하였다. 삽입되는 수압의 교류는 반대 영향없이 ±1/4"로 설정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적용하는 현재로서는 가장 우수한 형태와 실시예가 여러 가지 형태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서 이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밀폐된 물 복귀용 관은 자갈층과, 또는 구멍이 많은 매개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이미 여러 형태로 알려진 가로형 밀폐 배수로 블록과 혼합되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유동 또는 비 유체유동 매개층을 갖고 사용되는 밀폐 배수로에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물 복귀항력관으로서 홈통과 튜브 혼합체를 포함하는 변화된 형태도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에 부가된 청구의 범위로서만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여파모우드에서 액체가 과립형 여과매체로 공급되어 그 매체를 통해 상향으로 밀폐도관 시스템(underdrain system)으로 통과하고, 가스만의 역세척 모우드에서는 역세척 가스가 밀폐도관 시스템으로 도입되어 상향으로 매체로 통과하는, 상부에 과립형여과매체를 갖는 가스/액체 결합형 가로 밀폐도관시스템(lateral underdrain system)에서, 필터하부에 위치하고, 중공내부를 이루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며, 상기벽은 상부벽 및 그 상부벽과 필터 하부사이에 신장하는 한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벽은 상기 중공내부와 분배기외부 사이에 유체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균일한 크기로된 동일평면상의 비-차단 분산공을 가지며, 상기 분산공은 모든 분산공이 액체만의 역세척, 액체/가스 동시 역세척 및 가스만의 역세척을 선택적으로 분산하여 가스만의 역세척동안 상기 상부벽아래체 가스포켓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헤드손실(head loss)를 제공하는 크기 및 가격을 갖고 있는, 밀폐도관 분배기(underdrain distributor)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중공내부와 상기 분배기외부사이에 유체통로를 제공하는 최소하나의 액체 복귀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복귀도관은 상기 중공내부내에 상기 복수의 분배공 아래 수준에서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액체 포켓 밖에있는 액체가 가스만의 역세척동안 상향으로 흐르는 역헤척 가스의 흐름을 현저하게 차단하지 않고 상기 분배기로 희귀할 수 있도록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도관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복귀관은 상기 상부벽에 형성된 장홈 및 상기 중공내부와 연결되는 상기 장홈의 하부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도관 분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홈내의 오리피스는 상기 중공내부에 있는 가스포켓 아래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복귀용 관은 중공내부로 연장되는 튜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상부벽에서 부터 상기 중공내부에 있는 가스포켓아래의 배출부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복귀관은 최소하나의 양측벽의 하부에 위치한 중공내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분배기.
  7. 제6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액체 복귀용 오리피스 근처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배플(baffle)을 포함하며, 상기 배플은 상기 가스포켓이 상기 오리피스와 직접유체 연결됨을 차단하도록 위치함을 특징으로하는 분배기.
  8. 제1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평도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의 수평도관으로 구분하는 복수의 내벽을 포함하며, 상기 분산공중 최소하나가 상기 제2수평도관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복귀관은 상기 상부벽에서 부터 상기 제2수평도관내 상기 가스포켓 아래에 배출부까지 연장된 튜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복귀관은 상기 상부벽에 형성된 장홈과 상기 제2수평도관과 연결되는 상기 장홈의 하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복귀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측벽의 상부에 위치되는 중공내부와 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공과 액체 복귀관의 배출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분배기의 상부벽에 고정된 다공질 플레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포켓이 모든 분산공 바로 아래에 직접 위치하고, 상기 가스포켓의 외부에 있는 상기 액체는 0.5cfm/ft2에서 대략 5cfm/ft2의 가스 역세척 유속에서 가스역세척 흐름을 크게방해함이 없이 상기 분배기 내부로 복귀되도록, 상기 분산공의 크기 및 간격이 조정되고 상기 액체 복귀도관 배출부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4. 액체가 필터 베드에 공급되고 블록을 포함하는 밀폐 도관시스템으로 필터 배드를 통하여 아래로 흐르는 형태의 필터 베드를 배수하고 역세척하는데 사용되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부벽, 바닥 및 상기 상부벽과 상기 바닥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양측벽을 포함하여 중공내부를 이루는 복수의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은 상기 중공내부와 블록외부 사이를 통하게 하는 복수의 균일한 크기의 동일평면상의 비-차단 분산공을 가지며, 상기 상부벽내의 모든 분산공은 가스만의 역세척, 가스/액체 동시 역세척 그리고 액체만의 역세척을 선택적으로 분산시키도록 그 크기 및 간격을 갖고, 상기 분산공은 가스만의 역세척 동안 상기 상부벽내의 각 분산공 바로 아래에 가스포켓이 형성될 수 있는 크기 및 간격으로 되어 있으며, 나아가 상기 블록내에는, 상기 중공내부와 상기 불록 외부사이에 유체통로를 제공하는 최소 하나의 액체 복귀관이 제공되며, 그 액체복귀관은 상기 분배공 아래의 중공내부내의 수준에서 배출부를 갖고, 그 배출부는 상기 가스포켓 밖의 액체가 가스만의 역세척 동안 가스역세척을 크게 방해하지 않고 상기 블록 내부로 복귀할 수 있도록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장홈의 하부에 상기 장홈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액체 복귀 관을 갖고, 상기 블록내에 길이방향으로의 장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블록을 따라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분산공과 상기 액체 복귀관을 구분지움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부벽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과 상기 액체 복귀용 곤 배출부로 부터 수직으로 간격을 둔 다공질 플레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공은 가스포켓이 약 0.5-5cfm/ft2의 가스 유속에서 형성토록 크기와 면적이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19. 다수의 분산공과, 상기 구멍아래 수위에서 밀폐 도관의 내부에서 배출부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체 복귀관을 포함하고, 밀폐도관과 과립형 매체가 처리용액내에 침지되어 있는, 가로형 밀폐도관 위에 설치된 과립형 매체를 역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역세척 가스포켓이 상기 분산공과 액체복귀용 관 배출부사이에 형성토록 상기 밀폐 도관에 역세척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b)상기 분산공을 통해 상기 역세척 가스를 상기 과립자 매개층내에 유입시키는 단계; 및 (c)상기 과립자 매개층내로 가는 역세척 가스 유동을 방해함이 없이 상기 액체 복귀용관을 통해 상기 액체 복귀용관 외부의 액체를 상기 액체복귀관 배출부로 흐르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가스포켓이 상기 액체 복귀관 배출부와 직접 유체 연결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705731A 1994-04-12 1994-05-12 가로형 밀폐 배수로의 가스역류 개선을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244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26,811 1994-04-12
US08/226,811 US5489388A (en) 1994-04-12 1994-04-12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gas backwash in lateral underdrains
PCT/US1994/005244 WO1995027549A1 (en) 1994-04-12 1994-05-12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gas backwash in lateral underdrai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4169B1 true KR100244169B1 (ko) 2000-02-01

Family

ID=2285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731A KR100244169B1 (ko) 1994-04-12 1994-05-12 가로형 밀폐 배수로의 가스역류 개선을 위한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489388A (ko)
EP (1) EP0755292B1 (ko)
JP (1) JP3053870B2 (ko)
KR (1) KR100244169B1 (ko)
CN (1) CN1064855C (ko)
AU (1) AU6909994A (ko)
BR (1) BR9408566A (ko)
CA (1) CA2187515C (ko)
DE (1) DE69414006T2 (ko)
WO (1) WO19950275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401B1 (ko) 2005-04-12 2006-12-19 주식회사 젠트로 급속 여과지의 집수장치
KR102587762B1 (ko) 2022-10-13 2023-10-11 하이워터 주식회사 배수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388A (en) * 1994-04-12 1996-02-06 The F. B. Leopold 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gas backwash in lateral underdrains
US6312611B1 (en) * 1996-07-31 2001-11-06 The F.B. Leopold Co., Inc.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 and liquid during concurrent gas/liquid backwash in filter underdrain flumes
US6093329A (en) * 1996-10-04 2000-07-25 United States Filter Corporation Air scour/backwash apparatus for celless traveling bridge filter
US6740237B1 (en) * 1997-09-22 2004-05-25 Rg Delaware, Inc. Low profile extruded underdrain
US6190568B1 (en) * 1998-03-19 2001-02-20 Tetra Process Technologies Div Of Capital Controls, A Severn Trent Services Co Method for retrofitting a false bottom underdrain filter system
US6048132A (en) * 1998-07-27 2000-04-11 Agency Environmental, Inc. Filter underdrain with prefabricated cells
US6143188A (en) * 1998-12-22 2000-11-07 Tetra Process Technologies Underdrain block for filter media system
US6110366A (en) * 1999-05-13 2000-08-29 Tetra Process Technologies Anchor for an underdrain block
KR100337625B1 (ko) * 2000-01-10 2002-05-24 김영윤 하부집수장치용 유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US6569328B1 (en) 2000-11-02 2003-05-27 Gary D. Haggard Underdrain filtration system with stamped perforations
US6569327B2 (en) 2001-01-23 2003-05-27 Rg Delaware, Inc. Apparatus for directing fluids through a filter system
CA2389155A1 (en) 2001-06-06 2002-12-06 United States Filter Corporation Filter media retaining cap and hold down grid
KR20030010206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한힘테크놀러지 하부집수장치
US6982034B2 (en) * 2001-09-10 2006-01-03 Rg Delaware, Inc. Underdrain system
US8052871B2 (en) * 2001-09-10 2011-11-08 Rg Delaware, Inc. Underdrain system
US6991726B2 (en) * 2002-07-01 2006-01-31 Usfilter Corporation Filter having a media retaining plate
US6830684B2 (en) * 2002-07-10 2004-12-14 U.S. Filter Corporation Integrated liquid and gas distribution device for underdrain block laterals
US20060186062A1 (en) * 2005-02-22 2006-08-24 Usfilter Corporation Filter support member and methods of use and fabrication
CN101247872B (zh) * 2005-05-17 2014-08-27 塞莱默水处理齐利诺普尔有限公司 在使用双重隔离的过滤暗渠水道中进行反冲洗过程时用于配气和配液的装置和方法
US7820043B2 (en) * 2006-04-10 2010-10-26 Rg Delaware Inc. Underdrain system
US8070946B2 (en) * 2007-09-14 2011-12-06 Rg Delaware, Inc. Underdrain for a filter system for filtering water or wastewater and a method of washing the filter system
JP5378008B2 (ja) * 2009-02-27 2013-12-25 株式会社クボタ 集水装置用有孔ブロックおよび接続方法
US8323514B2 (en) * 2009-03-18 2012-12-04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filter media support structures
US8657122B2 (en) * 2009-09-30 2014-02-25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Clog resistant media retainer assembly
US10112128B2 (en) 2010-01-18 2018-10-30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Apparatus for securing underdrain filter block
TWI533913B (zh) 2010-01-18 2016-05-21 季利恩歐柏木質部水對策有限責任公司 固定暗渠濾磚之設備及方法
US9199186B2 (en) * 2010-09-21 2015-12-01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Underdrain flume plate
JP5854733B2 (ja) * 2011-09-29 2016-02-09 水ing株式会社 集水装置
US8871093B2 (en) 2012-01-12 2014-10-28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Filter media retainer assembly
CN104302375A (zh) * 2012-02-06 2015-01-21 塞莱默水处理齐利诺普尔有限公司 具有内部空气分配管道的双平行横向排水沟
US9072989B2 (en) 2012-05-21 2015-07-07 Roberts Marketing De, Inc. Underdrain for a filter system for filtering water or wastewater
CN104662231A (zh) * 2012-06-06 2015-05-27 环宇企业股份有限公司 表面排水系统
US9138665B2 (en) 2012-07-20 2015-09-22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Filter media retainer assembly
CA2882628A1 (en) * 2012-09-14 2014-03-20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Filter system with integral media retainer seal
US10022654B2 (en) * 2012-12-17 2018-07-17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Gas-liquid distribution technique for water or wastewater filters using underdrains
CN105228716B (zh) * 2013-02-15 2018-10-16 迈克尔·理查德·艾柯霍尔姆 暗渠组件
ES2770692T3 (es) 2013-03-05 2020-07-02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Drenaje inferior y procedimiento para transferir fuerzas y dirigir el flujo
DK2981674T3 (en) * 2013-04-03 2018-08-13 Ibs Morten Nesheim SHIELD DRAINAGE NETWORK
US9320991B2 (en) 2013-05-29 2016-04-26 Meurer Research Inc. Underdrain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5020485A1 (ko) * 2013-08-08 2015-02-1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산기 장치 및 분리막 생물반응조
US10913014B2 (en) * 2015-03-05 2021-02-09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Multiple rate filter underdrain lateral gas metering plate
US10143944B2 (en) 2016-05-04 2018-12-04 Ovivo Inc. Filter underdrain with internal air scour laterals
CN110913969B (zh) * 2017-05-16 2022-03-29 塞莱默水处理齐利诺普尔有限公司 自清洁无灌浆式过滤器暗渠
US10881990B2 (en) 2017-05-17 2021-01-05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Filter media retainer and underdrain system having a filter media retainer
JP6691897B2 (ja) * 2017-09-29 2020-05-13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集水装置用有孔ブロック
CN110095997B (zh) * 2019-03-28 2021-07-02 东华工程科技股份有限公司 水处理系统顺控组态方法
CN112824329B (zh) * 2019-11-20 2022-05-17 南京大学 一种模块化滤池布水布气装置及其系统和应用方法
JP7182745B1 (ja) * 2022-08-01 2022-12-02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上向流濾過設備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339A (en) * 1883-03-20 Combined cooler and filter
GB695751A (en) * 1949-07-27 1953-08-19 Bamag Meguin Ag Zweigniederlas Improved filtering plant capable of being back flushed with a mixture of gas and liquid
US3468422A (en) * 1967-02-03 1969-09-23 Chicago Bridge & Iron Co Ceramic filter bottom directly supporting media
GB1162913A (en) * 1967-06-13 1969-09-04 Paterson Candy Internat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filters with granular beds
US4065391A (en) * 1975-09-08 1977-12-27 Sybron Corporation Fluid distributor
US4064050A (en) * 1976-02-27 1977-12-20 Dravo Corporation Filter bottom
US4118322A (en) * 1976-05-17 1978-10-03 Hydrotechnic Corporation Filtering apparatus for liquids
JPS5635219Y2 (ko) * 1977-08-12 1981-08-19
US4196079A (en) * 1978-12-29 1980-04-01 Harsco Corporation Pleated filter underdrain, method and apparatus
US4331542A (en) * 1980-08-01 1982-05-25 Enviroquip, Inc. Underdrain unit with air/water backwash for granular filtration system
US4356888A (en) * 1980-09-15 1982-11-02 Steenberg Christen K Structural joint
JPS6018563B2 (ja) * 1980-12-01 1985-05-11 株式会社クボタ 農用トラクタの姿勢自動制御装置
US4608168A (en) * 1981-06-17 1986-08-26 Blue Circle Projects (Proprietary) Ltd. Distribution filter nozzles and filters incorporating same
FR2508338B1 (fr) * 1981-06-25 1987-09-18 Degremont Filtre a remplissage de materiau granulaire
US4476020A (en) * 1981-12-08 1984-10-09 Paterson Candy International Limited Strainer assembly for granular media filters
FR2557558B1 (fr) * 1984-01-02 1986-05-23 Degremont Sa Filtre immerge a remplissage de materiau granulaire
US4707257A (en) * 1986-05-29 1987-11-17 The Graver Company Air/water distributor underdrain
FR2625915B1 (fr) * 1988-01-15 1990-05-25 Degremont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e planchers pour filtres, et planchers ainsi realises
US4923606A (en) * 1988-02-26 1990-05-08 Tetra Technologies Plastic-jacketed filter underdrain block
GB8808133D0 (en) * 1988-04-07 1988-05-11 Paterson Candy Int Granular media filters
US5019259A (en) * 1989-06-15 1991-05-28 Hambley John B Filter underdrain apparatus with partitioned distributor conduits
US5028322A (en) * 1989-07-11 1991-07-02 The Graver Company Low profile underdrain strainer assembly with improved distribution/fastening means
US5068034A (en) * 1990-05-03 1991-11-26 Unilift Corporation Purification underdrain with means to compensate for flow and pressure differences between laterals
US5108627A (en) * 1991-02-01 1992-04-28 F.B. Leopold Company, Inc. Filter underdrain block
US5269920A (en) * 1991-04-03 1993-12-14 The F. B. Leopold Co., Inc. Cap system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US5149427A (en) * 1991-04-03 1992-09-22 The F.B. Leopold Company, Inc.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US5232592A (en) * 1991-04-03 1993-08-03 The F. B. Leopold Company, Inc.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US5156738A (en) * 1991-06-21 1992-10-20 Johnson Filtration Systems Inc. Apparatus for uniformly distributing gas and/or liquid in an underdrain lateral system
US5087362A (en) * 1991-07-26 1992-02-11 F.B. Leopold Company, Inc. Flume distribution system with removable block
US5160614A (en) * 1992-02-25 1992-11-03 The F.B. Leopold Company, Inc. Air duct block for air/water underdrain systems in gravity filters
US5328608A (en) * 1992-05-27 1994-07-12 The F.B. Leopold Co., Inc. Mutli-lateral filter underdrain block
US5489388A (en) * 1994-04-12 1996-02-06 The F. B. Leopold 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gas backwash in lateral underdrai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401B1 (ko) 2005-04-12 2006-12-19 주식회사 젠트로 급속 여과지의 집수장치
KR102587762B1 (ko) 2022-10-13 2023-10-11 하이워터 주식회사 배수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87515A1 (en) 1995-10-19
US5639384A (en) 1997-06-17
EP0755292A4 (en) 1997-10-15
CN1064855C (zh) 2001-04-25
JP3053870B2 (ja) 2000-06-19
JPH09511446A (ja) 1997-11-18
CA2187515C (en) 2002-01-22
EP0755292B1 (en) 1998-10-14
EP0755292A1 (en) 1997-01-29
DE69414006T2 (de) 1999-03-25
BR9408566A (pt) 1997-08-26
CN1183736A (zh) 1998-06-03
US5489388A (en) 1996-02-06
DE69414006D1 (de) 1998-11-19
AU6909994A (en) 1995-10-30
WO1995027549A1 (en) 199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169B1 (ko) 가로형 밀폐 배수로의 가스역류 개선을 위한 장치및 방법
US5296138A (en) Underdrain for liquid purification systems
US5108627A (en) Filter underdrain block
US5149427A (en)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US5232592A (en)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US8277665B2 (en) Method of washing a particulate filter bed using an underdrain
JPH06205905A (ja) ろ過装置用の暗きょブロックまたは暗きょ分配器とキャップとの組合せ
JPH046416B2 (ko)
JPH06170117A (ja) 濾過装置用下部集水モジュール及び濾過装置用下部集水システム
KR101435017B1 (ko) 역세척 유체의 균등 방사를 위한 오리피스 구조를 갖는 하부집수장치
US3456804A (en) Filter bottoms
US4995990A (en) Air and water distribution conduit
US5160613A (en) Purification underdrain with compensating chamber and baffle isolating backwash gas from backwash water
KR200417138Y1 (ko) 하부집수장치의 w형유공블록
US5176827A (en) Filter underdrain with means to increase gas flow during simultaneous gas/liquid backwashing
KR200156598Y1 (ko) 급속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JP5294168B2 (ja) 二重仕切りを用いた、逆流洗浄時に気体及び液体を濾過装置の暗渠に分配する設備及び方法
KR100655166B1 (ko) 하부집수장치의 w형유공블록
JPH0686904A (ja) 地下排水管分配装置
JPS5931289Y2 (ja) 急速「ろ」過池用下部集配水装置
US2754971A (en) Multicell filter apparatus
KR100226187B1 (ko) 암거의 분배 장치
JP3377894B2 (ja) 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0461902B1 (ko) 하부집수장치용 유공블럭
CA2256290A1 (en) Sealing shoe for celless traveling bridge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