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745B1 -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745B1
KR100241745B1 KR1019970039169A KR19970039169A KR100241745B1 KR 100241745 B1 KR100241745 B1 KR 100241745B1 KR 1019970039169 A KR1019970039169 A KR 1019970039169A KR 19970039169 A KR19970039169 A KR 19970039169A KR 100241745 B1 KR100241745 B1 KR 100241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ndow
user
undifferentiated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584A (ko
Inventor
임병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9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745B1/ko
Priority to CN98104306A priority patent/CN1098495C/zh
Priority to GB9806480A priority patent/GB2328533B/en
Priority to JP11094798A priority patent/JP3021417B2/ja
Publication of KR19990016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개인정보 입력시 그 개인정보의 구분이 모호해 개인정보가 잘못 구분되어 기록됨을 방지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사용자의 개인정보관리 명령에 따라 미구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구분으로 구분된 정보들을 그 식별정보로서 구분하여 각각 다른 검색창에 디스플레이하며, 신규정보 입력을 명령하기 위한 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검색창 디스플레이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키로서 미구분정보의 신규입력을 명령하면, 사용자로부터 미구분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미구분정보 신규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입력창 디스플레이단계와, 미구분 정보 신규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미구분정보와 그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미구분 정보 저장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개인용 정보 단말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본 발명은 개인용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가나이저(Organizer) 등과 같은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 Assistant; PDA)는 개인정보 관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PIM)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개인용 정보 단말기는 상기 개인정보 관리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인의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한 스케줄러(Scheduler), 할 일을 미리 기록하여 관리하기 위한 할 일 리스트(To Do List), 전화번호 등을 기록하기 위한 전화번호부(Phone Book), 그 외의 메모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Memo) 등의 개인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개인용 정보 단말기는 개인정보관리를 위하여 다수의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하였다.
통상 개인용 정보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은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이에따라 개인정보검색시에 사용자가 다수의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을 각각 구동시켜보아야 하였다.
또한 사용자는 개인정보를 기록할 때에 그 개인정보가 다수의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중 어디에 속하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해당 정보를 기록하였다. 그런데, 사용자가 쉽게 그 개인정보가 속하는 개인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없는 구분이 모호한 정보를 기록할 경우에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일관성이 결여된 상태로 개인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기록하였다. 이는 이후 사용자가 정보검색시에 어떠한 개인정보 관리 프로그램에 어떠한 데이타를 저장하였는지를 알 수 없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개인용 정보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개인정보 관리 프로그램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각 개인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구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또한 개인정보의 기록시에 사용자는 그 개인정보가 속하는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을 선택구동하여 상기 개인정보를 기록하였다. 그런데, 사용자가 쉽게 그 개인정보가 속하는 개인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없는 구분이 모호한 정보를 기록할 경우에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일관성이 결여된 상태로 개인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기록할 수 있는 데, 이는 이후 사용자의 정보검색을 곤란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종류의 개인정보 검색이 편리하며, 개인정보 입력시 구분이 모호한 개인정보를 기록 당시에 구분하지 않아도 되게 하여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에 잘못 구분되어 기록되지 않도록 하는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개인용 정보단말기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정보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이하 도 3이라 함)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통합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4 내지 도 10은 도 1의 LCD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정보 포맷을 나타낸 도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정보관리 명령에 따라 미구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구분으로 구분된 정보들을 그 식별정보로서 구분하여 각각 다른 검색창에 디스플레이하며, 신규정보 입력을 명령하기 위한 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검색창 디스플레이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키로서 미구분정보의 신규입력을 명령하면, 사용자로부터 미구분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미구분정보 신규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입력창 디스플레이단계와, 미구분 정보 신규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미구분정보와 그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미구분 정보 저장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개인용 정보 단말기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개인용 정보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롬(12)과 램(14)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터치 패널(16)은 사용자의 손 또는 펜의 접촉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터치 패널(16)로부터의 신호는 AD 컨버터(18)에 의하여 정보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입력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 정보를 인지한다. LCD(Liquid Crystal Display)(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플래시 메모리(24)는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저장한다.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콘트롤러(26) 및 PCMCIA 카드 슬롯(28)은 메모리 확장 및 입출력장치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2)는 플래시 메모리(24) 및 PCMCIA 콘트롤러(26)를 제어한다. 그 외에 상기 개인용 정보 단말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도시하지 않았음)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개인용 정보 단말기는 통합형 개인정보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들을 구비한다. 상기 소프트웨어들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용 정보 단말장치는 플래시 메모리(24)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과, 시스템 운영을 담당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류해서 관리, 검색,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구분되지 않은 개인정보를 구성, 저장, 검색하는 미구분 개인정보 엔진과, 스케줄 정보를 구성, 저장, 검색하는 스케줄러 엔진과, 할 일 리스트 정보를 구성, 저장, 검색하는 할 일 리스트 엔진과, 전화번호부 정보를 구성, 저장, 검색하는 전화번호부 엔진과, 메모 정보를 구성, 저장, 검색하는 메모 엔진과, 그 상위에 통합적으로 개인정보관리 관련 정보의 입출력을 관리하는 개인정보 입출력 관리자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개인용 정보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통합관리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3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터치패널(16)을 통하여 개인정보 관리를 명령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개인정보 관리를 명령하면 (3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34)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플래시 메모리(24)로부터 현재 일시에 대응한 개인정보를 리드하여 현재 일시에 대응한 개인정보 관리창을 LCD(20)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도 2의 예에서 상기 개인용 정보 단말기가 스케줄러 엔진과, 할일 리스트 엔진과, 전화번호부 엔진과, 메모 엔진과, 미구분 개인정보 엔진을 구비하므로, 상기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되는 개인정보는 스케줄, 할일, 전화번호, 메모, 미구분 개인정보 등이 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되는 개인정보의 포맷을 도시한 도 11을 참조하면, 모든 개인정보는 각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과, 그 정보가 생성된 일시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과, 각 정보에 따른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이 구비된다. 도 11의 스케줄 정보는 구분정보와, 그 정보가 생성된 년, 월, 일, 시, 분 정보와, 스케줄이 시작되는 년, 월, 일, 시, 분 정보와, 그 스케줄이 지속되는 시간정보와, 해당 일시에 어떤 형태의 알람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정보와, 해당 스케줄 정보로 구성된다. 할일 정보는 구분 정보와, 그 정보가 생성된 년, 월, 일, 시, 분 정보와, 할 일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와, 해당 할일 정보로 구성된다. 전화번호 정보는 구분정보와, 그 정보가 생성된 년, 월, 일, 시, 분 정보와, 성명, 전화번호, 회사, 직책, 팩스번호, 주소, 메모의 정보로 구성된다. 메모 정보는 구분정보와, 그 정보가 생성된 년, 월, 일, 시, 분 정보와, 그 메모의 제목과, 해당 메모 정보로 구성된다. 미구분 정보는 그 정보가 생성된 년, 월, 일, 시, 분 정보와 해당 미구분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현재 일시에 대응한 개인정보 관리창을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정보 관리창의 상단에는 현재일시 및 각종 명령입력키 즉, 신규입력키(N), 선택된 개인정보의 갱신키(U), 선택된 개인정보의 삭제키(D), 현재 일시로의 복귀키(B), 종료키(E)등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개인정보 관리창은 여섯개의 개인정보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다섯개의 창과, 일시를 나타내는 하나의 창으로 다시 구분된다. 상기 여섯개의 창은 미구분 정보창(UN)과 스케줄 정보창(S)과 일시 정보창(DT)과 전화번호 정보창(T)과 할일 정보창(DO)과 메모 정보창(M)으로 구성된다.
상기 미구분 정보창(UN)에는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되어 있는 미구분 정보중에서 현재 일시에 대응하는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종로12시-종호연락, 리포트 제출, PDA 자료조사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스케줄 정보창(S)에는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되어 있는 스케줄 정보중에서 현재 일시에 대응하는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8시에서 9시까지 월례조회가 있고, 12시에서 12시 50분까지 동기회동이 있음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일시 정보창(DT)에는 상단에 디스플레이된 1997년 5월 6일에 대응되는 연, 월, 일이 달력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연의 좌, 우측에는 연의 증감을 위한 방향키가 디스플레이되고, 월의 좌, 우측에는 월의 증감을 위한 방향키가 디스플레이된다. 일시 정보창(DT)의 6일에 형성되어 있는 박스(BO)는 현재 개인정보 관리창이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일을 나타내며, 사용자는 상기 박스(BO)를 이동하여 원하는 날의 개인정보 관리창의 디스플레이를 명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화번호 정보창(T)에는 성명 및 회사명을 입력할 창(I)과, 상기 찾을 전화번호의 범위 즉, 성명 및 회사, 전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들과, 상기 창(I)에 입력한 성명 및 회사명을 찾기 위한 찾기키(S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할일 정보창(DO)에는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되어 있는 할일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특허 분석, 특허 작성, PDA WEB SITE 조사등이 디스플레이되며, 각 정보의 좌측에는 진행상태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메모 정보창(M)에는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되어 있는 메모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업적고과작성, 업무분장완료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미구분 정보창(UN), 스케줄 정보창(S), 전화번호 정보창(T), 할일 정보창(DO), 메모 정보창(M)의 우측상단에는 화면 확대/축소키(Z)가 구비된다. 상기 화면확대/축소키(Z)는 해당 창의 확대/축소를 명령하기 위한 키이다.
상기와 같은 현재일시에 대한 개인정보 관리창이 디스플레이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신규입력키(N)를 입력하는 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상기 신규입력키(N)를 입력하면 (38)단계로 진행하여 신규정보 입력을 위한 과정으로 진입하고, 그렇지 않으면 (102)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정보의 검색, 갱신, 삭제 등을 위한 과정으로 진입한다.
상기 (3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신규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신규입력창을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신규입력창의 상단에는 새로이 입력하기 위한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콤보박스(CB)가 위치한다. 상기 콤보박스(CB)의 '▼'를 클릭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메뉴는 미구분, 스케줄, 할일, 메모, 전화번호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규입력창의 우측상단에는 다시 정보관리창으로 돌아가기 위한 종료키(E)가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신규입력창의 디스플레이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4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미구분 정보의 신규입력을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콤보박스(CB)의 미구분을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미구분을 선택하였으면 (4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미구분 개인정보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미구분 개인정보 입력창을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상단의 콤보박스(CB)는 미구분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우측상단에는 입력한 미구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키(SV1)와 상기 미구분 정보의 신규입력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키(E1)가 위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4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미구분 개인정보를 입력받는다. (4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저장키(SV1)를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저장키(SV1)를 선택하면 (48)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받은 미구분 개인정보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맷으로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한후에 (5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대로 (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종료키(E1)를 입력하는 지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종료키(E1)를 입력하면 상기 (38)단계로 진행하여 신규입력창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4)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하여 미구분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5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스케줄 정보를 새로이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신규입력창의 콤보박스(CB)에서 스케줄을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사용자가 신규입력창에서 스케줄을 선택하면 (5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4)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케줄 정보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스케줄 정보입력창을 도시한 도 7을 참조하면, 상단의 콤보박스(CB)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케줄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스케줄 정보입력창의 우측상단에는 입력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키(SV2)와, 상기 스케줄 정보의 신규입력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키(E2)가 위치한다. 그 하단에는 스케줄의 시를 입력하기 위한 창들과, 알람을 선택하기 위한 알람선택 콤보박스가 위치한다. 상기 알람선택은 알람없음, 정각알람, 5분전 알람, 10분전 알람들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 하단에는 사용자가 스케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창이 위치한다. 상기 스케줄 정보입력창의 디스플레이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5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스케줄 개인정보 및 스케줄의 시간, 알람 선택등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동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58)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저장키(SV2)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저장키(SV2)를 입력하면 (60)단계로 진행하여 스케줄 정보를 도 11에 도시한 포맷으로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한후에 (6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대로 (6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종료키(E2)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종료키(E2)를 입력하면 신규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하여 스케줄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64)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할일을 새로이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신규입력창에서 할일을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신규입력창에서 할일을 선택하면 (6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할일 정보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할일 정보입력창을 도시한 도 8을 참조하면, 상단의 콤보박스(CB)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할 일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우측상단에는 입력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키(SV3)와 상기 스케줄 정보의 신규입력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키(E3)가 위치한다. 그 하단에는 할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콤보박스가 위치하고, 그 하단에는 할 일을 입력하기 위한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할일 정보입력창의 디스플레이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68)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할일 정보 및 우선순위 선택 등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할일 정보를 입력받는 동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7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7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저장키(SV3)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저장키(SV3)를 입력하면 (72)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된 할일 개인정보를 도 11에 도시한 포맷으로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한 후에 (74)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대로 (7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4)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종료키(E3)를 입력하면 상기 (38)단계로 진행하여 신규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하여 할일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7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상기 신규입력창에서 전화번호를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신규입력창에서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7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전화번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전화번호 입력창을 도시한 도 9를 참조하면, 상단의 콤보박스(CB)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우측상단에는 입력한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키(SV4)와 상기 전화번호 정보의 신규입력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키(E4)가 위치한다. 그 하단에는 성명, 전화번호, 회사, 직책 등을 입력하기 위한 창들이 위치한다. 상기 전화번호 입력창의 디스플레이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8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동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8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8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저장키(SV4)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저장키(SV4)를 입력하면 (84)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정보를 도 11에 도시한 포맷으로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한 후에 (86)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대로 (8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종료키(E4)를 입력하면 상기 (38)단계로 진행하여 신규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하여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8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메모정보를 새로이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신규입력창에서 메모를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신규입력창에서 메모를 선택하면 (9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메모정보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모정보 입력창을 도시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메모정보 입력창의 상단의 콤보박스(CB)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우측상단에는 입력한 메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키(SV5)와 상기 메모 정보의 신규입력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키(E5)가 위치한다. 그 하단에는 제목을 입력하기 위한 창과 메모를 입력하기 위한 창이 위치한다. 상기 메모입력창의 디스플레이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9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메모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메모정보를 입력받는 동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9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94)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저장키(SV5)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저장키(SV5)를 입력하면 (96)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된 메모정보를 도 11에 도시한 포맷으로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한 후에 (98)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대로 (9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종료키(E5)를 입력하면 상기 (38)단계로 진행하여 신규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하여 메모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10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상기 신규입력창에서 종료키(E)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종료키(E)를 입력하면 (3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일시의 개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하고, 그렇지 않으면 (38)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하여 신규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10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개인정보 관리창에서 디스플레이된 정보중 어느 한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후에 갱신키(U)를 입력하는 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가 어느 한 정보를 선택한 후에 갱신키(U)를 입력하면 (104)단계∼(106)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4)단계∼(10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개인정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새로이 입력하는 정보로서 상기 정보를 갱신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정보뿐만 아니라 정보의 종류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변경한 정보를 종류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포맷으로 플래시 메모리(24)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3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개인정보 관리창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중 어느 한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후에 삭제키(D)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어느 한 정보를 선택한 후에 삭제키(D)를 입력하면 (11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개인정보를 삭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1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일시창의 연월의 좌, 우측에 있는 방향키를 조작하거나 일에 형성되어 있는 박스를 이동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상기 방향키를 조작하거나 박스를 조작하면 (11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4)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해당 일시의 개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개인정보 관리창의 일시복귀키(B)를 사용자가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일시복귀키를(B) 입력하면 (11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현재 일시의 개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2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개인정보 관리창의 화면확대/축소키(Z)들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화면확대/축소키(Z)들중 어느 한 키를 입력하면 (12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창을 확대하고, 그렇지 않으면 (12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대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12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화면확대/축소키(Z)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화면확대/축소키(Z)가 입력되면 (12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2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원래의 개인정보 관리창으로 복귀하고, 상기 (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2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종료키(E)를 입력하는 지를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가 종료키(E)를 입력하면 개인정보 관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36)단계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미구분 정보로 구분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구분이 모호한 개인정보를 입력당시에 미구분 정보로서 기록하고, 이후에 다시 갱신과정에서 다른 구분을 가지는 정보로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분이 모호한 개인정보를 잘못 구분하여 저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검색의 곤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개인정보를 하나의 창에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가 개인정보 프로그램을 일일이 구동시켜 개인정보를 검색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5)

  1. 개인용 정보 단말기의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인정보관리 명령에 따라 미구분정보를 포함하는 다수로 구분된 정보들을 그 식별정보로서 구분하여 각각 다른 검색창에 디스플레이하며, 신규정보 입력을 명령하기 위한 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검색창 디스플레이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키로서 미구분정보의 신규입력을 명령하면, 사용자로부터 미구분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미구분정보 신규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입력창 디스플레이단계와,
    미구분 정보 신규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미구분정보와 그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미구분 정보 저장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검색창에 디스플레이된 미구분정보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갱신명령하면, 사용자로부터 갱신될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미구분정보 갱신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갱신창 디스플레이단계와,
    상기 미구분정보 갱신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갱신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미구분정보를 갱신하는 갱신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단계가,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미구분정보의 구분의 변환을 명령하면, 해당 정보의 식별정보를 상기 변환하고자 하는 구분의 식별정보로서 갱신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4.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 명령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미구분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미구분정보 관리창과, 메모리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에서 현재일시에 따른 스케줄 정보들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스케줄정보 관리창과, 일시를 검색하기 위한 일시관리창과,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전화번호 관리창과, 메모리에 저장된 할일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할일정보 관리창과, 메모리에 저장된 메모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메모정보 관리창과,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신규입력키와, 선택된 정보의 삭제를 위한 삭제키와, 선택된 정보의 갱신을 위한 갱신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검색창 디스플레이단계와,
    사용자의 상기 신규입력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신규입력될 정보의 구분을 선택하기 위한 콤보박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콤보박스 디스플레이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콤보박스를 통해 어느 한 구분을 선택하면, 해당 구분에 따른 정보를 새로이 입력하기 위한 신규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신규입력창 디스플레이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신규입력창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정보와 그 정보의 구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신규입력창을 삭제하는 저장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검색창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갱신키를 입력하는 것에 응답하여,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신규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이후 사용자가 상기 신규입력창에 새로이 입력한 정보와 그 정보의 구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신규입력창을 삭제하는 갱신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검색창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삭제키를 입력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정보를 삭제하는 삭제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단계가,
    상기 신규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 콤보박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정보의 구분을 변환하면, 해당 정보의 식별정보를 상기 변환된 구분의 식별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KR1019970039169A 1997-08-18 1997-08-18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KR100241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169A KR100241745B1 (ko) 1997-08-18 1997-08-18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CN98104306A CN1098495C (zh) 1997-08-18 1998-01-26 管理个人信息的方法
GB9806480A GB2328533B (en) 1997-08-18 1998-03-27 Method for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JP11094798A JP3021417B2 (ja) 1997-08-18 1998-04-21 個人情報統合管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169A KR100241745B1 (ko) 1997-08-18 1997-08-18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584A KR19990016584A (ko) 1999-03-15
KR100241745B1 true KR100241745B1 (ko) 2000-02-01

Family

ID=1951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169A KR100241745B1 (ko) 1997-08-18 1997-08-18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021417B2 (ko)
KR (1) KR100241745B1 (ko)
CN (1) CN1098495C (ko)
GB (1) GB23285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201A (ko) 2014-08-04 2016-02-15 조정현 개인정보 자동 검색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8435B2 (ja) * 1999-03-12 2008-06-11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及びデータ生成方法並びに情報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10094267A (ko) * 2000-04-06 2001-10-31 황순영 개인신상정보 관리시스템
KR100651367B1 (ko) 2005-04-01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이벤트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JP5192468B2 (ja) * 2009-09-29 2013-05-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19829D0 (en) * 1987-08-21 1987-09-30 Randall S Information storage device
JP3376604B2 (ja) * 1992-07-20 2003-02-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201A (ko) 2014-08-04 2016-02-15 조정현 개인정보 자동 검색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28533A (en) 1999-02-24
CN1208895A (zh) 1999-02-24
JPH1166104A (ja) 1999-03-09
GB9806480D0 (en) 1998-05-27
KR19990016584A (ko) 1999-03-15
CN1098495C (zh) 2003-01-08
JP3021417B2 (ja) 2000-03-15
GB2328533B (en) 2000-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5841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интерфейс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управления задачами и информации календаря
US5349658A (en) Graphical user interface
US5873108A (en)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information entry allowing for intermingling of items belonging to different categories within a single unified view
EP1586992A2 (en) Template for generating user interfaces
US20050235224A1 (en) User interface for an activity scout window
US20050235206A1 (en) User interface for a quick activity window
EP15918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gressively disclosing information to a computer user
CN100447784C (zh) 信息管理装置和信息管理方法
US20050235223A1 (en) User interface adaptable by an end user
US20050235208A1 (en) User interface for a guided activity window
KR100241745B1 (ko) 개인정보 통합 관리방법
JP200815257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H09288647A (ja) 情報処理装置
JP2001022850A (ja) 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H01290033A (ja) データ検索方式
JPH0547865B2 (ko)
JPH11296486A (ja) スケジュール作成支援方法
JP2001255976A (ja) 共通レジストリを含むタブ付きノートブックおよびその表示操作方法
JPH06149745A (ja) 電子手帳
JPH0437945A (ja) 小型電子機器
JPH08314678A (ja) 文書の自動削除方法
KR2005012037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정 검색 방법
KR1004865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정 검색 방법
JPH09146892A (ja) 電子機器
JPH05303591A (ja) データベース検索処理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