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281B1 - 내구성과 마찰 특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구성과 마찰 특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281B1
KR100241281B1 KR1019970044753A KR19970044753A KR100241281B1 KR 100241281 B1 KR100241281 B1 KR 100241281B1 KR 1019970044753 A KR1019970044753 A KR 1019970044753A KR 19970044753 A KR19970044753 A KR 19970044753A KR 100241281 B1 KR100241281 B1 KR 100241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transmission
weight
oil composition
formula
transmiss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225A (ko
Inventor
유성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4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28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1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 C10M137/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
    • C10M137/04Phosphate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 C10M137/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
    • C10M137/04Phosphate esters
    • C10M137/06Metal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에 사용되는 자동변속기유(automatic transmission oil)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용제정제형 기유(base oil)를 이성화(isomerized) 처리한 기유에 마찰특성 조정제, 점도지수 향상제, 청정분산제, 유동점 강하제, 산화 방지제 및 소포제 등이 적절하게 함유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안정성, 산화안정성, 내구성 및 변속성이 향상되고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이다.

Description

내구성과 마찰 특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본 발명은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성화 처리된 기유를 사용하고, 여기에 마찰특성 조정제, 점도지수 향상제 및 기타 첨가제가 적절하게 함유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안정성, 산화안정성, 내구성 및 변속성이 향상되고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Transmission)는 클러치와 추진축 또는 클러치와 종감속기어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를 말하는데, 흔히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자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manual transmission)에서와 같이 동력을 단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클러치 조작과 주행조건에 따라 기어변속을 수동으로 선택할 필요 없이 엔진의 회전속도 및 회전력을 변화시켜 구동륜에 전달하는 변속기의 작용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변속기를 말한다.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유체(Automatic Transmission Fluid ; 이하 ″ATF″ 라 약칭함)는 1)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 내에서의 동력을 전달하는 작동유, 2) 기어 또는 베어링 등 회전요소의 윤활유, 3) 밸브, 클러치 및 브레이크 등과 같은 유압기구의 작동유 및 4) 냉각유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유에는 다음과 같은 성능이 요구된다.
〈1〉 극압(소착방지성) 및 내마모성
자동변속기유는 기어유로서의 극압(소착방지성) 및 내마모성을 지녀야 한다. 기어가 작동될 때 기어 사이에서 높은 압력에 의하여 유막이 없어진다면, 금속끼리의 마찰로 발생되는 높은 열에 의해 눌어붙는 현상이 일어나거나 조기 마모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자동변속기유는 이와 같은 고압이 발생하여도 유막이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
〈2〉 점도 특성과 저온 유동성
자동변속기유는 유압 작동유로서 점도 특성과 저온 유동성을 지녀야 한다. 오일의 점도는 여러 유압 밸브 들의 작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고온에서 오일의 점도가 너무 낮아지면 컨트롤 밸브, 클러치 피스톤, 씰(seal) 부위 등으로 많은 오일이 새기 때문에 유압이 저하되고, 펌프 효율이 저하됨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오일량의 부족으로 인하여 마찰부분의 마모가 증가되어 정밀조절과 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한편, 저온시 점도가 너무 높아지면 밸브 등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아 변속이 불량하며, 내부마찰이 증가하고 온도가 상승하고, 장치의 관내 저항에 의하여 압력이 증가하며, 그로 인하여 동력 손실이 증가하여 작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ATF는 저온 시에도 낮은 점도가 요구되며, 온도 변화에 대하여 점도 변화가 가능하면 적은(즉, 점도지수가 큰)것이 좋다.
〈3〉 마찰특성
자동변속기유는 클러치 플레이트 재질에 적합한 마찰특성을 지녀야 한다. ATF의 마찰특성은 자동변속기의 변속감(shift feeling)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마찰계수에는 정마찰계수(구동축과 피동축간의 회전수 차이가 1rpm일 때의 마찰계수: μs), 동마찰계수(구동축과 피동축간의 회전수 차이가 30rpm일 때의 마찰계수: μd)가 있다. 만일 동마찰계수(μd)가 작으면, 변속시간(클러치 접속시간)이 길어져 미끌림에 의한 발열 때문에 클러치 표면 온도가 상승하여 클러치가 타는 경우가 발생하며, 정마찰계수(μs)가 크면 변속 최종단계에 급격한 토크 변동이 일어나 충격 및 이음이 발생된다.
〈4〉 청정분산성 및 산화안정성
자동변속기유는 동력전달 손실에 의한 발열 및 습식 클러치 작동에 의한 온도상승을 분산시키는 청정분산성이 있어야 하고, 장시간 동안 교환 없이 사용하여도 ATF의 기본 특성 변화가 작은 산화안정이 필요하다.
〈5〉 씰재 및 냉각계통 재질에 대한 안전성
자동변속기유는 자동변속기 내의 각종 씰재, 클러치 페이싱(facing)재 등이 ATF에 의해서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거나 경화, 수축, 및 팽창 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므로 씰재 및 냉각계통 재질에 대한 안정성을 지녀야 한다.
〈6〉 저 발포성 및 방청성
자동변속기유는 기포가 쉽게 발생되지 않아야 하며 방청성을 지녀야 한다. ATF에 기포가 발생하면 오일 펌프의 토출능력 저하가 일어나고, 유압이 저하되어 마모나 타서 눌어붙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도가 낮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기포 발생이 감소된다. 그리고 ATF는 방청성을 지녀 유체가 접하는 부품의 부식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자동변속기유는 용제정제형의 기유를 2∼3종 혼합한 기유에 마찰특성 조정제로 애쉬리스 형(ashless type)의 황(sulfur) 또는 인(phosphorus)계 화합물, 점도지수 향상제로 분자량 100,000 정도의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methacryrlate, PMMA), 산화방지제, 청정분산제,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변속기유는 방향족 성분이 함유된 용제 정제형의 기유를 2∼3종 혼합한 기유를 사용하여 열 및 산화안정성이 나쁘며, 마찰특성 조정제로 사용된 애쉬리스 형의 황 또는 인계 화합물은 금속과 강력한 반응을 일으켜 표면에 유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극압성은 있으나 과도한 하중을 받을 경우 마찰계수가 커지게 되며, 점도지수 향상제로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엔진오일이 전단에 의하여 탄소사슬 구조가 절단되어 저 탄소성분의 화합물이 생성됨으로써 열 및 산화안정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자동변속기유가 가지는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를 계속해 오던 중, 기존의 자동변속기유에 비하여 내구성 및 마찰 특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성화 처리된 용제정제형 기유, 마찰특성 조정제, 점도지수 향상제, 청정분산제 및 기타 첨가제가 적절한 비율로 포함된 내구성과 마찰특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종 이상의 이성화 처리된 기유에 마찰조정제인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zinc dithiophosphate)와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점도지수 향상제인 폴리 이소부틸렌, 청정분산제인 초염기성 퍼네이트, 유동점 강하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가 적절한 비율로 함유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1 종 이상의 이성화 처리된 기유에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zinc dithiophosphate)를 3∼5 중량%,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phosphoric esters)를 2∼3 중량%, 폴리 이소부틸렌을 2∼10 중량%, 청정분산제인 초염기성 퍼네이트를 2∼3 중량%, 유동점 강하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등을 적절한 비율로 함유시킨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은 용제정제유를 이성화 처리한 이성화유를 사용하는데, 용제정제형 기유는 기유 중 열 및 산화안정성이 나쁜 방향족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용제정제형 기유로 제조된 자동변속기유는 열화 및 산화시 불용성 화합물이 발생되어 변속기유의 수명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에 사용되었던 용제정제형 기유를 수소정제 및 이성화 처리하여 용제정제형 기유에 함유되어 있던 방향족 성분을 열 및 산화안정성이 좋은 파라핀 성분으로 변화시킨 기유를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파라핀 성분이 50∼70%, 나프텐 성분이 30∼50%로 함유된 이성화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변속기유의 수명은 마찰특성의 수명과도 연관이 있으며, 속도변화에 따라 변속기유의 마찰계수가 변화되어 클러치의 변속성이 향상 또는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마찰특성 조정제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은 마찰특성 조정제로 화학식 1의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과 화학식 2의 애쉬형의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를 사용한다.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고속에서 클러치가 회전될 때 마찰계수를 작게 유지시키고 동마찰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클러치의 변속충격을 완화시켜 결과적으로 변속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2∼3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0
또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애쉬형의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는 저속에서 클러치가 회전될 때 마찰계수를 유지시키고 정마찰계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클러치의 변속충격을 완화시켜 결과적으로 변속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3∼5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1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은 점도지수 향상제로 분자량이 35,000∼50,000인 하기 화학식 3의 폴리 이소부틸렌을 사용하는데, 폴리 이소부틸렌은 기존의 자동변속기유에 사용된 PMMA(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비하여 온도변화에 따르는 점도변화를 줄이고 전단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며, 2∼5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2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은 청정분산제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초염기성 페네이트를 사용하는데, 청정분산제는 애쉬형 첨가제의 산화 열화시 생성되는 불용성 화합물에 의한 성능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초염기성 페네이트는 2∼3 중량 %정도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3
또한,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에는 유동점 강하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이 함유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은 이성화 처리되어 파라핀과 나프텐의 함량이 각각 다른 이성화유 1을 30 중량%, 이성화유 2를 70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여기에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3 중량%와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 5 중량%, 폴리 이소부틸렌 3 중량%, 유동점 강하제 3 중량%, 산화방지제 1 중량%, 초염기성 페네이트 2 중량%, 그리고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1 중량%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100 중량%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엔진오일 조성물은 -40℃에서 점도와 40℃에서 동점도(kinetic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또한, 전단안전성, 산화안정도 및 마찰 내구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은 이성화 처리되어 파라핀과 나프텐의 함량이 각각 다른 이성화유 1을 40 중량%, 이성화유 2를 60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여기에 마찰특성 조정제로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3 중량%와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 5 중량%, 점도지수 향상제로 폴리 이소부틸렌 5 중량%, 유동점 강하제 3 중량%, 산화방지제 2 중량%, 청정분사제로 초염기성 페네이트 3 중량%, 그리고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1 중량%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100 중량%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엔진오일 조성물은 -40℃에서 점도와 40℃에서 동점도(kinetic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또한, 전단안전성, 산화안정도 및 마찰 내구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은 이성화 처리되어 파라핀과 나프텐의 함량이 각각 다른 이성화유 1과 이성화유 2를 각각 50 중량% 씩 혼합하여 사용하고, 여기에 마찰특성 조정제로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3 중량%와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 5 중량%, 점도지수 향상제로 폴리 이소부틸렌 5 중량%, 유동점 강하제 3 중량%, 산화방지제 2 중량%, 청정분사제로 초염기성 페네이트 3 중량%, 그리고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1 중량%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100 중량%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엔진오일 조성물은 -40℃에서 점도와 40℃에서 동점도(kinetic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또한, 전단안전성, 산화안정도 및 마찰 내구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4〉
본 발명은 이성화 처리되어 파라핀과 나프텐의 함량이 각각 다른 이성화유 1을 30 중량%, 이성화유 2를 70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여기에 마찰특성 조정제로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3 중량%와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 5 중량%, 점도지수 향상제로 폴리 이소부틸렌 10 중량%, 유동점 강하제 3 중량%, 산화방지제 2중량%, 청정분사제로 초염기성 페네이트 3 중량%, 그리고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1 중량%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100 중량%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엔진오일 조성물은 -40℃에서 점도와 40℃에서 동점도(kinetic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또한, 전단안전성, 산화안정도 및 마찰 내구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교실시예〉
본 발명은 방향족 성분이 각각 다른 함량으로 함유된 용제정제유 1을 60 중량%, 용제정제유 2를 40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여기에 마찰특성 조정제로 아연 디티포스페이트를 5 중량%, 점도지수 향상제로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5 중량%, 유동점 강하제 3 중량%, 아민계 산화방지제 1 중량%, 청정분사제로 호박산아미드 2 중량%, 그리고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1 중량%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100 중량%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엔진오일 조성물은 -40℃에서 점도와 40℃에서 동점도(kinetic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또한, 전단안전성, 산화안정도 및 마찰 내구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제조한 자동변속기유의 조성을 표 1 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 실시예
기유 용제정제유 1 - - - - 60
용제정제유 2 - - - - 40
이성화유 1 30 40 50 30 -
이성화유 2 70 60 50 70 -
첨가제 마찰특성 조정제 아연디티오포스페이트 5 5 5 5 5
인산 에스테르계 3 3 3 3 -
점도지수 향상제 PMMA - - - - 5
PIB 3 5 5 10 -
청정분산제 2(초염기성페네이트) 3(초염기성페네이트) 2(초염기성페네이트) 3(초염기성페네이트) 2(호박산 아미드)
유동점 강하제 3 3 3 3 3
산화방지제 1 2 1 2 1 (아민계)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1 1 1 1 1
또한, 하기 표 2에는 상기의 조성으로 구성된 엔진오일 조성물의 전단안전성, 산화안정도, 마찰계수 및 마찰내구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실시예
점도 (-40℃, cP) 17,800 18,600 19,800 21,200 35,000
동점도 (40℃, cSt) 32.2 32.8 33.2 23.8 32.8
점도지수 176 182 184 188 168
전단안전성(%) 12 10 10 9 18
산화안정도(불용분 %) 0.48 0.42 0.39 0.40 1.02
마찰 계수 μs 0.124 0.123 0.122 0.122 0.134
μ6 0.124 0.125 0.125 0.126 0.132
μ30 0.134 0.136 0.136 0.136 0.132
μ180 0.145 0.147 0.148 0.148 0.142
μ719 0.148 0.152 0.152 0.152 0.145
마찰계수비 0.855 0.850 0.844 0.851 0.929
마찰내구시간(시간) 320 310 300 300 100
상기 표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은 기존의 자동변속기유에 비하여 저온 점도, 점도지수 및 마찰계수가 감소하였으며, 전단안전성, 마찰내구성 및 산화안정도가 향상되었고, 마찰내구성이 기존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에 비하여 약 3배 정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은 이성화 처리된 기유를 사용하여 열화 및 산화시 발생되는 불용성 화합물이 감소하여 자동변속기유 조성물의 내구성이 증가하였다. 마찰특성 조정제로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 및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자동변속기유의 정마찰계수가 작아지고, 동마찰계수는 커져 클러치의 변속충격이 완화되어 변속성이 향상되었으며, 속도변화에 따른 마찰계수가 적절하게 변화되어 클러치의 변속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점도지수 향상제로 폴리 이소부틸렌을 사용함으로써 전단안전성이 향상되었으며, 저온 점도가 감소하여 저온 시동성이 향상되어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자동변속기유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Claims (6)

  1. 이성화(isomerized) 처리된 기유(base oil)를 1∼2종 혼합한 기유에 마찰특성 조정제, 점도지수 향상제, 청정분산제 및 기타 첨가제가 함유된 자동변속기유(automatic transmission oil)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이성화유는 파라핀(paraffine) 성분이 50∼70 중량%, 나프텐(naphthene) 성분이 30∼50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마찰특성 조정제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 에스테르계(phosphoric esters) 화합물이 2∼3 중량%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애쉬형(ash type)의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zinc dithiophosphate)가 3∼5 중량%로 각각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kpo00004
    화학식 2
    Figure kpo00005
  4. 제 1항에 있어서, 점도지수 향상제로 분자량이 35,000∼50,000인 화학식 3의 폴리 이소부틸렌(poly isobutylene)이 2∼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kpo00006
  5. 제 1항에 있어서, 청정분산제로 화학식 4의 초염기성 페네이트가 2∼3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kpo00007
  6. 제 1항에 있어서, 기타 첨가제는 유동점 강하제가 2∼3 중량%, 산화 방지제가 1∼2 중량% 및 소포제가 1∼2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KR1019970044753A 1997-08-30 1997-08-30 내구성과 마찰 특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KR100241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753A KR100241281B1 (ko) 1997-08-30 1997-08-30 내구성과 마찰 특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753A KR100241281B1 (ko) 1997-08-30 1997-08-30 내구성과 마찰 특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25A KR19990021225A (ko) 1999-03-25
KR100241281B1 true KR100241281B1 (ko) 2000-02-01

Family

ID=1952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753A KR100241281B1 (ko) 1997-08-30 1997-08-30 내구성과 마찰 특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080B1 (ko) 2008-10-27 2011-01-13 에스케이루브리컨츠 주식회사 장수명 건설기계용 유압작동유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5239A (ja) * 2007-04-05 2008-10-23 Japan Energy Corp ギヤ油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375A (ja) * 1994-03-31 1995-10-17 Tonen Corp 自動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375A (ja) * 1994-03-31 1995-10-17 Tonen Corp 自動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080B1 (ko) 2008-10-27 2011-01-13 에스케이루브리컨츠 주식회사 장수명 건설기계용 유압작동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25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3921B2 (ja) 添加剤組成物
JPH07268375A (ja) 自動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JP5301305B2 (ja) 無段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JPS5925890A (ja) 共通潤滑油組成物
US20120028857A1 (en) Automobile transmission oil composition with improved low-temperature transmission performance
KR100241281B1 (ko) 내구성과 마찰 특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JP5094360B2 (ja) 農業機械用潤滑油組成物
JP3145444B2 (ja) 自動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JP5473344B2 (ja) 無段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JP5301304B2 (ja) 無段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KR0173882B1 (ko)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KR100250814B1 (ko) 전자제어식 토크 컨버터용 합성유계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JP3271872B2 (ja) 自動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KR100706434B1 (ko) 자동 변속기용 윤활유 조성물
JP3251963B2 (ja) 潤滑油組成物
JP3138181B2 (ja) 自動変速機油組成物
JPH1025487A (ja) 自動変速機油組成物
KR100346352B1 (ko) 윤활유 조성물
US20050277557A1 (en) Thermally stable, friction, wear and degradation reducing composition, for use in highly stressed power transmission systems
Barr et al. ESSENTIAL REQUIREMENTS OF HYDRAULIC TRANSMISSION QILS
Barr et al. Hydraulic Transmissions
JPH1192779A (ja) 潤滑油組成物
KR100520484B1 (ko) 습식 브레이크장치용 액슬 오일 조성물
RU2247769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жидкость
JPH1180772A (ja) 潤滑油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