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088B1 -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088B1
KR100240088B1 KR1019970079685A KR19970079685A KR100240088B1 KR 100240088 B1 KR100240088 B1 KR 100240088B1 KR 1019970079685 A KR1019970079685 A KR 1019970079685A KR 19970079685 A KR19970079685 A KR 19970079685A KR 100240088 B1 KR100240088 B1 KR 100240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ntroller
battery
start switch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9477A (ko
Inventor
이정규
Original Assignee
토니헬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니헬,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니헬
Priority to KR101997007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088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5Control of electric,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ventilators, electro-driven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굴삭기등의 구동중 엔진을 갑자기 정지시키는 경우 얼터내이터의 과도전압(surge voltage)발생을 방지하여 제어기등의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연결되며 소정신호 인가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배터리 릴레이, 장비의 시동에 따른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스위치, 상기 엔진구동시 구동하여 상기 시동 스위치의 조작유무와 무관하게 상기 배터리 릴레이를 온시켜 상기 엔진정지시 소정시간동안 제어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유지시키는 배터리릴레이 제어용 릴레이, 상기 엔진의 쓰로틀레버를 제어하는 엔진출력제어장치, 상기 엔진쓰로틀레버의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값을 출력하는 엔진 쓰로틀위치 검출수단, 상기 시동 스위치와 엔진 쓰로틀위치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엔진 출력제어장치와 배터리릴레이 제어용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굴삭기등의 구동중 엔진을 갑자기 정지시키는 경우 얼터내이터의 과도전압 발생을 방지하여 제어기등의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장비 구동중 엔진 정지시 쓰로틀레버를 저속 아이들상태로 전환하여 엔진부하를 감소시킨 다음 배터리 릴레이의 전원을 차단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등의 구동중 엔진을 갑자기 정지시키는 경우 얼터내이터의 과도전압(surge voltage)발생을 방지하여 제어기등의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의 엔진 시스템은 시동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경우 배터리 릴레이가 즉시 오프되어 제어기의 전원이 차단되어진다. 그러나 엔진은 관성력에 의해 전원을 오프시킨 다음에도 잠시동안 회전을 계속하게 되며, 얼터 내이터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배터리와 전원연결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과도전압이 발생된다. 따라서 전기회로부품에 많은 부하가 발생되어 제어등의 관련부품 고장을 초래하며, 내구성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등의 구동중 엔진을 갑자기 정지시키는 경우 얼터내이터의 과도전압(surge voltage)발생을 방지하여 제어기등의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비 구동중 엔진 정지시 쓰로틀레버를 계속 아이들 상태로 전환하여 엔진부하를 감소시킨 다음 배터리 릴레이의 전원을 차단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방법에 적용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베터리
3 ; 제어기 4 : 배터리 릴레이
5 : 시동 스위치 6 : 배터리 릴레이 제어용 릴레이
7 : 엔진 쓰로틀 제어기구 8 : 엔진출력 제어장치
9 : 엔진 쓰로틀위치 검출수단 10 : 얼터내이터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연결되며 소정신호 인가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배터리 릴레이, 장비의 시동에 따른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스위치, 상기 엔진구동시 구동하여 상기 시동 스위치의 조작유무와 무관하게 상기 배터리 릴레이를 온시켜 상기 엔진정지시 소정시간동안 제어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유지시키는 배터리릴레이 제어용 릴레이, 상기 엔진의 쓰로틀레버를 제어하는 엔진출력제어장치, 상기 엔진 쓰로틀레버의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값을 출력하는 엔진 쓰로틀위치 검출수단, 상기 시동 스위치와 엔진 쓰로틀위치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엔진 출력제어장치와 배터리릴레이 제어용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시동시 배터리 릴레이를 온시키는 제1단계와, 시동 스위치의 조작신호 및 엔진 쓰로틀레버의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엔진 쓰로틀레버의 위치를 기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시동 스위치의 조작유무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시동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하이상태인 경우 상기제2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시동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로우상태인 경우 엔진 쓰로틀레버를 저속 아이들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4단계와, 소정시간 경과여부 및 시동 스위치의 조작유무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 의해 소정시간 경과전에 상기 조작신호가 하이상태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제5단계에 의해 소정시간 경과후까지 상기 조작신호가 로우상태인 경우 배터리 릴레이를 차단하여 제어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시동 스위치 오프시 상기 엔진 쓰로틀레버를 저속 아이들 상태로 전환시키며 오프시간이 일정시간 경과시 배터리 릴레이 제어용 릴레이를 오프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방법에 적용되는 흐름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는, 동력원인 엔진(1) 및 엔진(1) 구동시 배터리(2)를 충전시키는 전력을 공급하는 얼터내이터(10)와,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 및 제어기 (3)로부터의 소정신호 인가에 따라 구동하여 전술한 배터리(2)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배터리 릴레이(4)와, 장비시동에 따른 소정신호를 전술한 제어기(3)에 입력하는 시동 스위치(5)와, 전술한 엔진(1) 구동시 구동하여 전술한 시동 스위치(5)의 조작유무와 무관하게 전술한 배터리 릴레이(4)를 온(on)시켜 전술한 엔진(1)정지시 소정시간동안 전술한 제어기(3)에 공급되는 전원을 유지시키는 배터리 릴레이 제어용 릴레이(6)와, 전술한 시동 스위치(5)오프(off)시 엔진 쓰로틀 제어기구(7)를 통하여 전술한 엔진 쓰로틀레버를 저속 아이들상태로 전환후 전술한 엔진(1)정지에 따른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엔진 쓰로틀레버를 제어하는 엔진출력 제어장치(8)와, 전술한 엔진 쓰로틀레버의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값을 전술한 제어기(3)에 입력하는 엔진 쓰로틀 위치검출수단(9)과, 전술한 시동 스위치(5) 오프시 소정시간 경과 후 전술한 배터리 릴레이(4)를 오프시켜 전술한 엔진(1) 정지시 얼터내이터(10)의 과도전압발생을 방지하도록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기(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방법을 첨부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텝 1(11)에서는, 엔진이 시동되면 스텝 2로 진행한다.
스텝 2(12)에서는, 배터리 제어용 릴레이를 온(on)시킨 다음, 스텝 3으로 진행한다.
스텝 3(13)에서는, 시동 스위치의 "C" 단자의 신호상태(α)와, 엔진 쓰로틀레버의 위치신호(β)를 입력받은 다음, 스텝 4로 진행한다.
스텝 4(14)에서는, 저속 아이들상태의 엔진 쓰로틀위치를 기억시키며, 스텝 5로 진행한다.
스텝 5(15)에서는, 전술한 시동 스위치의 "C" 단자의 신호가 "로우"인가를 판단하되, 전술한 시동 스위치의 "C"단자의 신호(α)가 하이(HIGH)상태이면 전술한 스텝 3으로 진행하며, 전술한 시동 스위치 "C" 단자의 신호(α)가 로우(LOW) 상태이면 스텝 6으로 진행된다.
스텝 6(16)에서는, 전술한 스텝 5 단계에 의한 전술한 시동 스위치의 "C" 단자의 신호(α)가 로우(LOW)상태인 경우로서, 전술한 시동 스위치 오프(OFF) 시 엔진 정지에 따른 급속한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엔진 출력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엔진 쓰로틀레버를 저속 아이들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스텝 7로 진행한다.
스텝 7(17)에서는, 소정시간 경과여부와 전술한 시동 스위치의 "C" 단자의 신호가 "로우" 인지를 판단하되, 소정시간 경과전에 전술한 시동 스위치 "C"단자의 신호(α)가 하이(HIGH)상태로 복귀하는 경우 전술한 스텝 3으로 진행하며, 소정 시간 경과후까지 계속하여 전술한 시동 스위치의 "C" 단자의 신호(α)가 로우(LOW)상태이면 스텝 8으로 진행한다.
스텝 8(18)에서는, 전술한 시동 스위치 오프후 소정시간 경과후 배터리 릴레이 제어용 릴레이를 오프시킴에 따라 전술한 배터리 릴레이를 차단하여 엔진 정지시 발생하는 얼터내이터의 과도전압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제어기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엔진(1)구동중 전술한 시동 스위치(5)를 오프시키는 경우, 전술한 엔진 쓰로틀 위치검출수단(9)에 의해 엔진 쓰로틀레버를 검출하여 전술한 엔진 출력제어장치(8)를 이용하여 엔진 쓰로틀레버를 저속 아이들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전술한 엔진(1) 정지에 따른 급속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어기(3)에 의해 전술한 시동 스위치(5)를 오프시킨 후 소정시간 경과후 전술한 배터리 릴레이 제어용 릴레이(6)를 오프시킨 다음 전술한 제어기(3)의 전원을 차단함에 따라 전술한 엔진(1)을 급격하게 정지시키는 경우 전술한 얼터내이터(10)의 과도전압 발생을 방지하여 전술한 제어기(3)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굴삭기등의 구동중 엔진을 갑자기 정지시키는 경우, 얼터내이터의 과도전압(surge voltage)발생을 방지하여 제어기등의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장비 구동중 엔진 정지시 쓰로틀레버를 저속 아이들 상태로 전환하여 엔진부하를 감소시킨 다음 배터리 릴레이의 전원을 차단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Claims (3)

  1. 엔진,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연결되며 소정신호 인가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배터리 릴레이; 장비의 시동에 따른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스위치; 상기 엔진구동시 구동하여 상기 시동 스위치의 조작유무와 무관하게 상기 배터리 릴레이를 온시켜 상기 엔진정지시 소정시간동안 제어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유지시키는 배터리릴레이 제어용 릴레이, 상기 엔진의 쓰로틀레버를 제어하는 엔진출력제어장치, 상기 엔진쓰로틀레버의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값을 출력하는 엔진 쓰로틀위치 검출수단; 및 상기 시동 스위치와 엔진 쓰로틀위치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엔진 출력제어장치와 배터리릴레이 제어용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2. 엔진시동시 배터리 릴레이를 온시키는 제1단계와; 시동 스위치의 조작신호 및 엔진 쓰로틀레버의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엔진 쓰로틀레버의 위치를 기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시동 스위치의 조작유무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시동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하이상태인 경우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시동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로우상태인 경우 엔진 쓰로틀레버를 저속 아이들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4단계와; 소정시간 경과여부 및 시동 스위치의 조작유무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 의해 소정시간 경과전에 상기 조작신호가 하이상태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제5단계에 의해 소정시간 경과후까지 상기 조작신호가 로우상태인 경우 배터리 릴레이를 차단하여 제어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시동 스위치 오프시 상기 엔진 쓰로틀레버를 아이들상태로 전환시키며 오프시간이 일정시간 경과시 배터리릴레이 제어용 릴레이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KR1019970079685A 1997-12-30 1997-12-30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 KR100240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685A KR100240088B1 (ko) 1997-12-30 1997-12-30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685A KR100240088B1 (ko) 1997-12-30 1997-12-30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477A KR19990059477A (ko) 1999-07-26
KR100240088B1 true KR100240088B1 (ko) 2000-01-15

Family

ID=1953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685A KR100240088B1 (ko) 1997-12-30 1997-12-30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0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477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6010A (en) Overcurrent breaking circuit
KR101069213B1 (ko) 차량의 전원 차단 장치
KR100240088B1 (ko)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
JP3704886B2 (ja) 電池パック
KR0184799B1 (ko) 전기자동차의 전원 제어장치
KR100954215B1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JP3028691B2 (ja) 過電圧保護回路付レギュレータ
KR101934120B1 (ko) 건설기계의 전원제어방법
KR20130087208A (ko) 건설기계의 전원제어장치
KR0184334B1 (ko) 건설중장비용 전원공급 제어장치
KR19990003993A (ko) 차량의 전원 제어 시스템
KR100350272B1 (ko) 시동시 오토 크랭킹 스톱 제어 방법
KR100238875B1 (ko) 차량의 콘트롤러 제어방법
US20030028300A1 (en) Control unit for a load
KR200266245Y1 (ko) 스타트모터소손방지장치
KR20090108438A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KR0138035Y1 (ko) 모터 과부하 방지회로
KR200216693Y1 (ko) 3상 감지 발전기 기동 장치
JP2000041342A (ja) バッテリ用電気回路
KR0138813Y1 (ko) 엔진제어부의 전원공급장치
KR19990029126U (ko) 발전기의 과전압보호회로
KR20000014881U (ko) 발전기 제어시스템의 전원제어회로
KR200159959Y1 (ko)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KR100192913B1 (ko) 자동차의 키스위치 리턴 시스템
KR20000014897U (ko) 발전기 기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