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621B1 - 차음벽 구성용 판넬 - Google Patents

차음벽 구성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621B1
KR100239621B1 KR1019950039218A KR19950039218A KR100239621B1 KR 100239621 B1 KR100239621 B1 KR 100239621B1 KR 1019950039218 A KR1019950039218 A KR 1019950039218A KR 19950039218 A KR19950039218 A KR 19950039218A KR 100239621 B1 KR100239621 B1 KR 10023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rushed
sound
magnet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954A (ko
Inventor
쿠로다 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후루야 히데또시
제온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야 히데또시, 제온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야 히데또시
Priority to KR101995003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621B1/ko
Publication of KR97003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2/00Resin or rubber layer comprising scrap, waste or recycl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정면판과, 배면판과, 이들 정면판과 배면판과의 사이에 장착되는 흡음재를 갖고, 흡음재가 자기 테이프 또는 자기 시트 등의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의 파쇄품을 포함하는 차음벽 구성용 판넬. 정면판은, 음원측에 면하여 다수의 구멍이 형성하여 있는 유공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음재는, 통기성 포대와 그 통기성 포대내에, 겉보기 비중이 0.05-0.4, 통기 저항이 3-90dyn·S/cm4로 이루어지도록 수용되어 있는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의 파쇄품으로 구성된다. 통기성 포대내에 수용되어 있는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의 파쇄품으로서는, 파쇄 이외의 처리를 하지 않은 단순한 파쇄품 단독으로도 좋으나, 이들과 파쇄품의 성형체의 혼합한 것도 좋다. 또는 파쇄품의 성형체만을 통기성 포대내에 수용할 수 있다. 양호한 흡음 특성을 갖고, 그리고 내습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고, 그리고 경량이며, 가격이 저렴한 차음벽 구성용 판넬을, 자기 테이프 및 자기 시트 등의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 특히 그의 폐재를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음벽 구성용 판넬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음벽 구성용 판넬의 요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정면판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배면판의 사시도,
제4도는 차음벽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차음벽 구성용 판넬 4 : 정면판
6 : 배면판 8 : 측면판
10 : 매달린 금구 12 : 구멍
15 : 흡음재 16 : 스페이서
20 : 차음벽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도로, 철도, 공업 시설 등의 소음 대책에 사용하는 차음벽 구성용 판넬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 테이프나 자기 시트 등의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 특히 이들의 폐재(廢材)를 이용한 차음벽 구성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자기 테이프나 자기 시트 등의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의 생산량은, 매년 증가하여, 특히 그 페기물의 처리가 문제로 되고 있다. 현재 전국에서 수백톤/월의 규모로, 자기 테이프가 매립 내지 소각 처리되고 있다. 금후,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을 완료한 자기 테이프의 회수 시스템이 확립되면, 크게 팽창한 양의 폐기물의 처리가 문제로 된다.
한편, 흡음재로서는, 유리벽, 락월 등의 섬유상 흡음재, 알루미늄 등의 금속계, 세라믹계의 다공질 흡음재가 알려져 있다. 또 콘크리트 재료도 흡음성능을 갖는다. 또 합판, 석고 보드, 파티클 보드 등의 판재도 흡음재로서 위치를 가질수 있다. 또 특정의 주파수의 흡음성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는, 유공판 등이 사용되고 있다.
차음벽을 구성하기 위한 판넬로서는, 유리벽, 락월 등의 섬유상 흡음재를, 정면판과 배면판 사이에 장착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유리솜, 락월 등의 섬유상 흡음재는, 흡습성, 흡수성을 가져, 흡습량 또는 흡수량이 증대하면, 흡음성의 저하가 일어난다. 또 세라믹계, 콘크리트계의 흡음재료는, 일반적으로, 무겁고 가격이 높기 때문에, 차음벽 구성용 판넬로서 사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 단순히 판재 및 유공판은 흡음성능이 일반적으로 낮아, 그 자신 단독으로 차음벽 구성 판넬로서 사용할 수 없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들은, 흡음성능이 우수하고, 내습성, 내수성도 우수하며, 또 가격이 저렴한 차음벽 구성용 판넬에 대하여 각종의 검토를 한 결과, 예를 들면, 자성분체를 도포한 자기 테이프 또는 자기 시트 등의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의 폐재를, 파쇄 또는 분쇄(본 명세서에서는, 「파쇄」로 총칭한다)하고, 이 파쇄품을, 판넬내에 그 자체 상태로, 또는 판상, 플록상으로 하여 또는 포대내에 적당하게 충전한 상태로, 수용한 것으로, 그의 적당한 공극율과, 자기 테이프 필름의 탄성과 국부적인 면밀도의 커짐에 따라, 양호한 흡착성능을 나타내고, 또 플라스틱에 따른 내습성, 내수성에도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져, 양호한 흡음 특성을 갖고, 그리고 내습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그리고 경량이고, 저렴한 가격의 차음벽 구성용 판넬을, 자기 테이프 및 자기 시트 등의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 특히 그 폐재를 이용하여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음벽 구성용 판넬은, 정면판과, 배면판과, 이들 정면판과 배면판의 사이에 장착되는 흡음재를 갖고, 상기 흡음재가 자기 테이프 또는 자기 시트 등의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의 파쇄품으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면판은 음원측에 면하여, 다수의 구멍이 형성하여 있는 유공판으로 구성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공판으로는, 예를 들면, 직경 3-50mm의 구멍을, 5-100mm 피치로 다수 형성한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제 판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정면판의 내측에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두르는 것도 바람직하다. 직포로서는 예를 들면, 평직의 유리 직포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배면판으로는, 특히 한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알루미늄, 아연철판, 스텐레스판 등의 금속판, 플라스틱 형성판, 또는 금속 분말 또는 유리 섬유 등의 충전재가 충전하여 있는 플라스틱 성형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면판과 배면판의 사이에 장착되는 흡음재는, 통기성 포대와, 그 통기성 포대내에 겉보기 비중이 0.05-0.4, 통기 저항이 3-90 dyn·S/cm4로 이루어지도록 수용되는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의 파쇄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성 포대에 수용된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의 파쇄품으로서는, 파쇄 이외의 처리를 하지 않은 단순히 파쇄품 단독으로도 바람직하나, 이들과 파쇄품의 성형체와의 혼합도 바람직하다. 또는 파쇄품의 성형체만을 통기성 포대내에 수용할 수도 있다. 파쇄품의 성형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파쇄품은 통기성 포대내에, 층상으로 충전하여도 좋고, 랜덤으로 충전하여도 좋다. 또 균일하게 충전하기 위하여, 하니콤상, 원형상 등의 간막이 판을 내부에 배치하고 그 간막이 판 사이에 파쇄품을 충전할 수 있다. 통기성 포대로서는, 플라스틱 필름, 직포, 부직포(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등 또는 이들의 복합체도 바람직하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없다.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으로서의 자기 테이프로는, 오디오 테이프, 비디오 테이프, 컴퓨터 테이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자기 시트로서는, 플로피 디스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자기 테이프는, 자성층, 베이스 필름 및 백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백층이 없는 것도 있다. 자성층은 산화철, 메탈, 바륨 페라이트 등을 이용한 자성분과 염화비닐수지, 니트로셀룰로오즈,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이용한 바인더와 기타 가교제, 윤활제, 연마제, 대전방지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성층은 다층 구성을 갖는 것도 있다. 또 다층의 일부가 비자성의 필러를 사용한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베이스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아라미드 등도 사용되고 있다. 백층은 카본 블랙 분말 등과, 자성층에 사용된 바와 같은 바인더 및 첨가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기 테이프는, 베이스필름에 자성층이 적층된 구성이면 좋고, 백층은 적층되어 있어도 좋고, 적층시키지 않는 것도 좋다. 또 각각에 사용되는 재료는 특정된 것은 아니다.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 파쇄품은,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 또는 자기 시트 등의 폐재를, 로터리 커터 등의 파쇄기로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파쇄품의 크기는 로터리 커터에 구비된 스크린의 망눈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어,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2-20mm각(또는 직경)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 파쇄품으로서는, 자기 테이프 또는 자기 시트를 적어도 일부 요철상으로 파쇄된 것도 바람직하고, 요철상으로서 파쇄한 것과 단순히 파쇄한 것을 혼합한 것도 좋다. 요철상이라 하는 것은, 요상의 형, 철상 형 사이에 테이프 또는 시트를 삽입하여 압체 프레스한다. 압체 프레스는 평판상의 형도 좋고, 롤상의 형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부형시키는 것도 좋다.
또 상기 파쇄품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처리시켜 컬상으로 성형된 컬상 파쇄품인 것도 바람직하다. 컬상이란, 예를 들면, 짧은 파편의 경우에는, 양단이 치켜올려진 원형에 유사한 형상을 말하고, 긴 파편의 경우에는 구겨진 파상의 파편을 말한다. 컬상으로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베이스 필름으로 이용한 자기 테이프의 경우에는, 100-150℃의 분위기 온도로 파편을 노출시켜도 좋다. 파편의 형상, 처리량 등에 의해, 가열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컬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단순한 파편에 비교하여, 복잡한 세공 형상이 얻어지고, 더욱 겉보기 비중이 적은 방음재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의 파쇄품에, 바인더를 가하여, 겉보기 비중이 0.05-0.4, 통기 저항이 3-90dyn·S/cm4로 이루어진 성형체로 구성될 수 있다. 성형체로 하는 것은, 재단 또는 파쇄한 파쇄품에 충전물을 혼합하고, 후술하는 라텍스 등의 바인더를 이용하여, 판상 또는 블록상으로 성형한다. 성형품을 얻기 위한 충전재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펄프, 목분, 무기충전재 등의 충전재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흡음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파쇄품으로 성형한 성형품, 또는 충전시킨 파쇄품의 겉보기 비중을 0.05-0.4의 범위로 하여, 파쇄품으로 성형한 성형품, 또는 충전된 파쇄품의 통기 저항을 3-90dyn·S/cm4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흡음 기구는, 음파가 흡음체내로 침입하고, 세공내의 공기가 진동하고, 그 때 공기와 세공의 내벽면과의 사이로 마찰을 일으켜, 음향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흡음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겉보기 비중이 0.05 이하 또는 통기 저항이 3dyn·S/cm4이하에서는, 저항이 적어지고, 음파의 칩입에 대하여 마찰을 일으켜도 조금 있다. 또 겉보기 비중이 0.4 이상 또는 통기 저항이 90dyn·S/cm4이상에서는 세공이 막힌 상태로 되어, 음파가 침입하기 어려워 마찰을 일으키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범위내에서 바람직한 흡음성능이 얻어진다.
겉보기 비중을 0.05-0.4의 범위, 통기 저항을 3-90dyn·S/cm4의 범위로 한 판상 또는 블록상의 성형품을 강고한 응집체로서 얻기 위해서는, 파쇄품을 바인더에 의해 가교한 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로서는, 특히 한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NBR), 초산비닐 또는 초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EVA),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R),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의 라텍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파쇄품으로 판상 또는 블록상 등의 일정한 형상을 갖는 성형품을 얻기 위해서는, 파쇄품에 상술한 충전재와, 라텍스 등의 바인더와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난연재를 가하여, 이를 물 등의 액체를 이용하여 블렌드하고, 금형내에 유입하고 가압 탈수하면 좋다. 가압 탈수시의 가열온도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100℃ 이상이고, 가압시간은 수분-수시간 정도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파쇄품을, 통기성 포대내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인더의 양을 최소한으로까지 감량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무한 상태로도, 사용에 견디는 흡음재를 얻을 수 있다.
즉 파쇄품으로 판상 또는 블록상으로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을 형성하는 경우에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라텍스와 함께 생석회,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삼산화안티몬 등의 난연성 부여재를 첨가하는 것이 유효하다.
파쇄품으로 판상 또는 블록상으로 성형한 경우에는, 파쇄품, 충전제, 바인더, 난연재의 배합 비율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파쇄품 100중량부에 대하여 충전재가 0-10중량%, 라텍스 등의 바인더가 10-90중량%, 난연재가 0-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음벽 구성용 판넬에 포함되는 흡음재에는, 충전재 및 난연재는,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다. 또 통기성 포대내에 파쇄품을 충전하고, 그를 판넬내로 장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음벽 구성용 판넬은, 라텍스 등의 바인더도 사용할 필요는 없다.
상술한 구성의 흡음재를, 정면판과 배면판과의 사이에 장착하면, 차음 성능이 우수한 차음벽 구성용 판넬을 얻을 수 있다. 즉 판넬내에는, 상기 흡음재에 한정하지 않고, 플라스틱 발포체 등으로 구성되는 스페이서를 수용하여도 좋다. 또 판넬내에는, 상기 파쇄품을 포함하는 흡음재가 장착되는 영역 이외에는, 흡음용 공기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파쇄품을 포함하는 흡음재는, 판넬내의 음원측에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페이서 또는 흡음용 공기층은, 판넬내의 반음원측에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음벽 구성용 판넬에 대한 설명을 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음벽 구성용 판넬(2)는, 일반적으로 음원측에 배치시키는 정면판(4)와, 반음원측에 배치시키는 배면판(6)을 갖는다. 배면판(6)에는, 그 단부에, 정면판(4)와 접속하기 위한 측면판(8)이,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측면판(8)을 배면판(6)과 별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들은 스폿 용접 또는 그 외의 수단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측면판(8)의 단부와 정면판(4)의 단부는, 스폿 용접, 코킹 용접, 리벳 접속 또는 그 외의 수단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용접부에는, 매달린 금구(10)가 스폿 용접 등으로 접속하고 있다.
정면판(4)는, 예를 들면 두께 1.0mm의 알루미늄제 유공판(有孔板)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15mm의 구멍(1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구멍의 피치는, 도면중 P1방향으로, 18mm이고, 도면중에 P2및 P3방향으로 16mm이다. 정면판(4)의 크기는, 특별하게 한정되어 있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그 높이 h가 520mm이고, 그 폭 b가 1960mm이다.
제1도에 도시한 정면판(4)의 내측에는 도시 생략하고 있으나, 155g/m2의 평직의 유리 직포가 둘러있다.
배면판(6)은, 예를 들면 두께 1.6mm 아연철판으로 구성되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판(4)의 높이 및 폭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판(8)과 일체로 형성하여 있다. 배면판(6)의 중앙부에는, 배면판의 길이 방향에 연하여 신장하고, 판넬내측으로 돌출하는 내측 돌기(14)가 형성하여 있다. 이 내측 돌기(14)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나, 판넬(2)에 대하여 소정의 강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2)의 두께 T는, 특별하게 한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95mm이다. 정면판(4), 배면판(6) 및 측면판(8)으로 둘러싸여 있는 판넬(2)내에는, 그 음원측에 흡음재(15)가 배치되어 있고, 그 반음원측에 스페이서(16)이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16)은,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t=40mm, 폭 25mm의 폴리에틸렌 발포체로 구성되고,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16)과 정면판(4)와의 사이에서, 흡음재(15)가 좁아진다. 흡음재(15)는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테이프의 분쇄편과, 이들을 수용한 통기성 포대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성 포대로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50g/m2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자기 테이프의 분쇄편이 수용된 통기성 포대로 구성되는 흡음재(15)는 판넬 내로 상하 방향으로 4개를 모아 결합하면, 그 집합체의 상하단을 각각 매달린 금구(10)에 매달려 유지되고 있다.
또 판넬(2)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배면판(6) 및 측면판(8)의 접합부 근방에는, 물제거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판넬(2)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판(4)가 음원측을 향하도록,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립되어 있고, 차음벽(20)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흡음재(15)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 테이프로하는 백층없는, 자기 테이프를 이용하고, 이를 로터리 커터에 의해 파쇄하고, 플레이크 면적이 약 0.3cm2인 파쇄품을 얻었다. 이 파쇄품을, 50g/m2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 구성되는 통기성 포대내에 수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15)를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통기성 포대의 내부에, 상기 파쇄품을 겉보기 비중이 0.17로 되고, 통기 저항이 8.0 dyn·S/cm4로 이루어지도록 충전하였다. 충전시킨 파쇄품의 집합체의 두께는, 약 50mm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용적이 24리터의 통기성 포대내에, 총중량 4,000g의 상기 파쇄품을, 균일하게 충전하여, 흡음재(15)을 얻었다. 또 통기 저항의 측정은 JIS-A6308에 따라 행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판넬(2)를 6개 사용하여, 극간을 퍼티의 시일재로 시일하면서 차음벽을 조립하여, 「JIS A 1416 실험실에서 음향 투과 손실 측정방법」에 의해 투과 손실량을 구하고,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4.1dB이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판넬(2)를 사용하여 「JIS A 1409 잔향실법 흡음율의 측정방법」에 의한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3dB이었다.
*1은, 겉보기 비중 0.05-0.4의 범위외를 나타낸다.
*2는, 통기저항 3-90dyn·cm4의 범위외를 나타낸다.
[비교예 1]
흡음재로서, 32Kg/m3, 두께 50mm의 유리솜 보드를 20㎛의 불소수지필름으로 둘러싼 것을 이용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차음벽 구성용 판넬을 형성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각각 32.5dB 및 8.5dB이었다.
[평가]
실시예 1과 비교예 1과를 검토한 결과, 차음 특성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차음벽 구성용 판넬은 종래의 차음벽 구성용 판넬과 동등 이상인 것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판넬은, 유리솜 등의 섬유상 흡음재를 이용하여 둘러싸지않고, 자기 테이프의 폐재 등을 흡음재로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내습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고, 유리솜 등이 갖는 문제점(흡습량 또는 흡수량이 증대하면서 흡음 성능이 저하)을 갖지 않는다. 즉 비교예 1에 따른 판넬을 우수에 1일 놓아두면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측정할 때 어느 것도 반 이하의 값이 얻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일단 흡수한 유리솜의 흡음성능은 다시 돌아오기 어렵다. 한편 실시예 1에 따른 판넬은 동상으로 우수에 방치하여도 단시간에 원래대로 원위치되고, 측정 결과도 원래의 값과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 자기 테이프의 폐재 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 자원의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고, 자원 재생 및 지구 환경의 관점에서 우수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이용한 파쇄품을, 통기성 포대내에, 겉보기 비중이 0.08이고, 통기 저항이 4.0 dyn·S/cm4로 이루어지도록 충전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흡음재(15)를 제작하고, 그를 판넬내에 장착하여, 판넬을 제조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33.5dB 및 9.5dB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이용한 파쇄품의 플레이크 면적을 약 3cm2로 하고, 이들 파쇄품을 통기성 포대내에, 겉보기 비중이 0.17이고, 통기 저항이 15.0dyn·S/cm4으로 이루어지도록 충전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상으로 하여 흡음재(15)를 제작하고, 그를 판넬내에 장착하고 판넬을 제조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34.2db 및 10.2dB 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자기 테이프를 롤상의 압체 프레스에 의해, 자기 테이프의 표면에 3mm 크기의 미소 요철을 다수 형성하고, 이를 로타리 커터에 의해 파쇄하고, 플레이크 면적이 약 0.3cm2의 파쇄품을 얻고, 이들 파쇄품을 겉보기 비중이 0.17이고, 통기 저항이 11.0dyn·S/cm4으로 이루어지도록 충전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흡음재(15)를 제작하고, 그를 판넬내에 장착하고 판넬을 제조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34db 및 10.2dB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이용한 파쇄품 100중량부에 대하여, 펄프 섬유 3중량부, NBR라텍스 45중량부, 소석회로 구성된 난연재 5중량부로 이루어져, 이들을 물 700중량부로 혼합하고, 혼합액을 금형내로 유입하고, 30 Kg/cm2의 가압력으로, 성형하여, 겉보기 비중이 0.17, 통기저항이 10.0dyn·S/cm4, 두께 50mm의 흡음재 성형품을 얻었다. 이 흡음재재 성형품을, 제1도에 도시한 흡음재(15)의 대신에, 판넬내에 배치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판넬을 제조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34.5db 및 9.8dB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이용하는 플레이크 면적이 약 0.3cm2의 파쇄품을, 130℃의 분위기하에서 열처리하여, 컬상의 파쇄품을 얻고, 이들 컬상의 파쇄품을 통기성 포대내에 겉보기 비중이 0.17이고, 통기저항이 26.0dyn·S/cm4으로 이루어지도록 충전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흡음재(15)를 제작하고, 그를 판넬내에 장착하여 판넬을 제조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34.5db 및 10.1dB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이용하는 플레이크 면적이 약 0.3cm2의 파쇄품을, 130℃의 분위기하에서 열처리하고, 컬상의 파쇄품을 얻고, 이들 컬상의 파쇄품과 가열처리전의 플랫한 파쇄품을, 중량비로 1대1로 혼합하고, 이들을, 통기성 포대내에 겉보기 비중이 0.17이고, 통기 저항이 20.0dyn·S/cm4으로 이루어지도록 충전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상으로 하여 흡음재(15)로 제작하고, 그를 판넬내에 장착하여 판넬을 제조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34.0db 및 10.3dB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이용하는 플레이크 면적이 약 0.3cm2을, 130℃의 분위기하에서 열처리하여, 컬상의 파쇄품을 얻고, 이들 컬상의 파쇄품을 통기성 포대내에 겉보기 비중이 0.32이고, 통기 저항이 30.0dyn·S/cm4으로 이루어지도록 충전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흡음재(15)를 제작하고, 그를 판넬내에 장착하여 판넬을 제조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35.0db 및 10.6dB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이용하는 파쇄품을 통기성 포대내부에 겉보기 비중이 0.01로 되고, 통기 저항이 1dyn·S/cm4으로 이루어지도록 충전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판넬을 제조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32.1db 및 7.4dB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이용하는 파쇄품을 통기성 포대의 내부에 겉보기 비중이 0.5로 되고, 통기 저항이 100dyn·S/cm4으로 이루어지도록 충전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판넬을 제조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34.0db 및 7.7dB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서 이용하는 파쇄품을 통기성 포대의 내부에 겉보기 비중이 0.08로 되고, 통기 저항이 1dyn·S/cm4으로 이루어지도록 충전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판넬을 제조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32.5db 및 7.6dB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서 이용하는 파쇄품을 통기성 포대의 내부에 겉보기 비중이 0.3으로 되고, 통기 저항이 100dyn·S/cm4으로 이루어지도록 충전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판넬을 제조하였다.
그 판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상으로 하여 투과 손실량 및 반사 감음량을 구한 것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33.8db 및 7.9dB이었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에 따른 차음벽 구성용 판넬은, 유리솜 등을 이용한 종래의 차음벽 구성용 판넬에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차음성을 갖고, 또 내습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고, 유리솜 등이 갖는 문제점(흡습성 또는 흡수량이 증대하면 흡음성이 저하)를 갖지 않는다. 또 자기 테이프의 폐재 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 자원의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고, 자원재생 및 지구환경의 관점에서 우수하다.
또 본 발명의 판넬은, 자기 테이프의 폐재 등을 흡음재로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판넬 전체로서의 중량도 경량이고, 또 경제적이다. 그러므로, 도로, 철도, 공업시설 등의 차음벽 구성 판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조합시켜 차음벽을 구성하는 차음벽 구성용 패널에 있어서, 정면판; 배면판; 및 상기 정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사이에 장착되는 흡음재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재가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의 파쇄품을 포함하는 차음벽 구성용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흡음재가, 통기성 포대와, 그 통기성 포대내에 겉보기 비중이 0.05-0.4, 통기 저항이 3-90 dyn·S/cm4로 이루어지도록 수용된 상기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 파쇄품으로 구성된 차음벽 구성용 판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기성 포대가 플라스틱 필름, 직포, 부직포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차음벽 구성용 판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기성 포대는, 판넬내에 음원(音原)측으로 배치되고, 판넬내의 반음원(反音原)측에는 스페이서가 장착하여 있는 차음벽 구성용 판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페이서는, 플라스틱 발포체로 이루어진 차음벽 구성용 판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이 자기 테이프 또는 자기 시트중 어느 하나인 차음벽 구성용 판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제가 상기 자성체 도포 플라스틱의 파쇄품에, 바인더를 가하고, 겉보기 비중이 0.05-0.4, 통기 저항이 3-90dyn·S/cm4으로 이루어진 성형체를 포함하는 차음벽 구성용 판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품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처리되어 컬상으로 성형된 컬상 파쇄품인 차음벽 구성용 판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품의 적어도 일부가 요철상으로 파쇄하여 있는 차음벽 구성용 판넬.
  10. 제1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품이 2-20mm 각 또는 직경의 크기를 갖는 차음벽 구성용 판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은 음원측에 면하여, 다수의 구멍이 형성하여 있는 유공판으로 구성하여 있는 차음벽 구성용 판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은, 직경 3-50mm의 구멍을, 5-100mm의 피치로 다수 형성하여 있는 금속제 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음벽 구성용 판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의 내측에는, 직포 또는 부직포가 둘러진 것인 차음벽 구성용 판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은 금속판, 플라스틱 성형판, 충전재가 충전하여 있는 플라스틱 성형판 중 어느 하나인 차음벽 구성용 판넬.
KR1019950039218A 1995-11-01 1995-11-01 차음벽 구성용 판넬 KR10023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218A KR100239621B1 (ko) 1995-11-01 1995-11-01 차음벽 구성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218A KR100239621B1 (ko) 1995-11-01 1995-11-01 차음벽 구성용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954A KR970030954A (ko) 1997-06-26
KR100239621B1 true KR100239621B1 (ko) 2000-01-15

Family

ID=1943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9218A KR100239621B1 (ko) 1995-11-01 1995-11-01 차음벽 구성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6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954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9053A (en) Panel for constituting sound insulating wall
US5484970A (en) Acoustic insulator
US4094380A (en) Multi layer sound-proofing structure
EP0144340B1 (en) Acoustic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2000077883A (ja) 不燃性ハニカム電波吸収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波吸収体
KR100239621B1 (ko) 차음벽 구성용 판넬
JPH10219868A (ja) 防音パネル
JPH0333838B2 (ko)
JP4105784B2 (ja) 吸音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66942A (ja) 多孔質材及び吸音パネル
JP3678320B2 (ja) 複合ボード
JPH0626127A (ja) 建築用板
JP3979700B2 (ja) 吸遮音吸放湿性板材
JPH02273232A (ja) 耐火複合パネル
JP4020175B2 (ja) 建築用パネル
CN219773248U (zh) 一种礼堂用吸声墙面
JPH0941515A (ja) 建築用パネル
JP3654723B2 (ja) 成形吸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003126722A (ru) Защитный экран с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JPH09111909A (ja) 壁パネル
JP2004179354A (ja) 電磁波吸収パネル
AU686857B2 (en) Improved lining materials for buildings
JPH03212539A (ja) 建築用板
KR20240047530A (ko) 마그네슘 보드를 기초로 한 복합흡음재
JPH09105186A (ja) 耐火・断熱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