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717B1 - 화장재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재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717B1
KR100238717B1 KR1019940026027A KR19940026027A KR100238717B1 KR 100238717 B1 KR100238717 B1 KR 100238717B1 KR 1019940026027 A KR1019940026027 A KR 1019940026027A KR 19940026027 A KR19940026027 A KR 19940026027A KR 100238717 B1 KR100238717 B1 KR 10023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holder
regulator
cosmetic material
rear en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819A (ko
Inventor
오가와아끼라
스가야유우시
Original Assignee
가와까미게에
가와까미기껭 가부시끼가이샤
호소에 이사오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까미게에, 가와까미기껭 가부시끼가이샤, 호소에 이사오,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filed Critical 가와까미게에
Publication of KR95001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장재료용 용기는 개방된 전단부(12) 및 개방된 후방부(11)를 갖춘 슬리이브 홀더(1)와, 슬리이브 홀더(1)의 후단부(11)를 폐쇄시키는 플러그(2)와, 슬리이브 홀더의 전단부(12)에 고정된 접착편(3)과, 그리고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2)의 외주상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2중 캡을 포함하고 있다. 접착편(3)은 외주상에 환형홈(311)을 갖추고 있는 조절기(31)와, 조절기(31)의 축선방향 구멍(312) 안으로 삽입되어서 환형홈(311)의 일부와 소통하는 다공성 연결코어(32)와, 그리고 연결코어(32)의 전단부에 연결되어서 조절기(31)의 전단부에 제공된 소켓(313) 안에 삽입된 다공성 접착단부(33)를 포함하고 있다. 조절기(31)의 후단부와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2) 사이로 화장재료 저장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코어(32)는 조절기(31) 안에 배열되며, 연결코어의 후단부가 저장부(13) 안으로 돌출하여 있다.

Description

화장재료용 용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재료용 용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화장재료용 용기에서 2중 캡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이브 홀더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Ⅳ-Ⅳ를 따라서 절단된 횡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원(Ⅴ)으로 둘러싸여진 부분의 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화장재료용 용기에서 도포체 유닛의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화장재료용 용기에서 조절기의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 Ⅷ-Ⅷ을 따라서 절단된 횡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선 Ⅸ-Ⅸ를 따라서 절단된 횡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선 Ⅹ-Ⅹ을 따라서 도시된 단부도.
제11도는 종래의 화장재료용 용기의 종단면도.
제12도는 다른 유형의 종래의 화장재료용 용기의 종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된 카트리지 부재의 종단면도.
제14도는 종래의 직접식 물잉크 분사용 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리이브 홀더 2 : 플러그
3 : 도포체 유닛 4 : 2중 캡
11 : (슬리이브 홀더의) 후단부 12 : (슬리이브 홀더의) 전단부
13 : (화장재료) 저장부 14 : (슬리이브 홀더의) 계단부
15 : (슬리이브 홀더의) 돌기 16 : (슬리이브 홀더의) 통풍슬롯
17 : (슬리이브 홀더의) 나사부 31 : (도포체 유닛의) 조절기
32 : (도포체 유닛의) 연결코어 33 : (도포체 유닛의) 도포체
41 : (2중 캡의) 외부캡 42 : (2중 캡의) 내부캡
43 : (2중 캡의) 압축코일 스프링 311 : (조절기의) 환형홈
312 : (조절기의) 축선방향 구멍 313 : (조절기의) 소켓
314 : (조절기의) 슬릿 315 : (조절기의) 돌기
316 : (조절기의) 통풍슬롯 317 : (조절기의) 플랜지
411 : (외부캡의) 돌기 421 : (내부캡의) 돌기
본 발명은 얼굴을 치장하기 위한 아이라이너 등과 같은 액체성 화장재료에 사용하는 화장재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설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제 11도 내지 제 14도에 도시된 종래의 화장재료용 용기들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제 11도는 종래의 화장재료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제 12도는 다른 유형의 종래의 화장재료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제 13도는 제 12도에 도시된 카트리지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제 14도는 종래의 물잉크 분사용 펜의 종단면도이다.
제 11도에 도시된 종래의 화장재료용 용기에서는, 슬리이브 홀더(100)의 전단부에 도포체 유닛(101)이 부착되어 있다. 화장재료를 함유하고 있는 면직편(102)이 슬리이브 홀더(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면직편(102)은 슬리이브 홀더(100)의 내부에서 면직편 마개(103) 및 단부 플러그(104)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수용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면직편(102)내에 함유된 화장재료의 잔류량이 감소되었을 경우에 그러한 면직편(102)내에 함유된 화장재료를 완전히 다 사용하기가 어려운데, 이는 화장재료가 도포체 유닛(101)으로 충분히 공급되지 못할 정도로 도포체 유닛(101)의 흡수력이 약화되어서 화장재료용 용기는 실질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의 화장재료가 면직편(102)내에 잔류하기 때문이다. 이는 비경제적이다. 면직편(102)내에 함유된 화장재료가 감소함에 따라서, 전체 도포체 유닛(101)안으로 화장재료가 삼투식으로 스며들 수 없을 정도로 도포체 유닛(101)은 약화된다.
그 결과, 다소의 화장재료가 면직편(102)내에 잔류함에도 불구하고 화장재료용 용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는 비경제적이다.
한편, 제 12도 및 제 13도에 도시된 다른 유형의 종래의 화장재료용 용기에 있어서는, 화장재료의 저장부(200)가 카트리지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포체 유닛(300)의 후단부에 특수한 연결부(301)가 필요하다.
또한, 화장재료가 카트리지식 저장부(200) 안으로 청전된 후에는, 이러한 저장부(200)가 볼 등에 의해서 폐쇄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식의 별도의 부재를 고려할 때 화장재료용 용기의 제조비용은 비교적 고가이다.
한편, 제 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종래의 물잉크 직접 분사용 펜에 있어서는, 슬리이브 홀더(400)의 개방된 전단부에 도포체 유닛(500)이 부착되어 있으며, 슬리이브 홀더(400)의 후단부에는 바닥벽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슬리이브 홀더(400)의 후단부가 잉크 저장부(401)를 형성한다. 도포체 유닛(500)은 펜(501), 전방 플러그(502), 조절기(503), 및 연결코어(504)를 포함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이와같은 구성의 화장재료용 용기가 실제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의 화장재료용 용기가 사용된다고 하여도 그 제조중의 살균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슬리이브 홀더(400) 및 도포체 유닛(5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개별적으로 살균처리되어야만 하며, 제일 먼저 도포체 유닛(500)이 살균압력하에 조립된다. 그리고 나서, 화장재료가 슬리이브 홀더(400) 안으로 충전된 후에 도포체(500)와 덮개 등을 각각 결합시켜야 한다. 이는, 추가의 살균압력 시스템을 필요로 하며, 결합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부품들의 제조과정에서 살균단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화장재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충전된 화장재료를 모두 사용할 수가 있는 화장재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성부품의 수를 줄여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화장재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와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된 전단부 및 개방된 후단부를 갖춘 슬리이브 홀더와,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후단부를 폐쇄시키는 단부 플러그와,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에 고정된 도포체 유닛과, 그리고 슬리이브 홀더의 전단부의 외측 원주상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된 2중 캡을 포함하고 있는 화장재료용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장재료용 용기에서, 도포체 유닛은 그 외측 원주상에 다수의 환형홈을 갖추고 있는 조절기와, 조절기내의 축선방향 구멍 안으로 삽입되어서 환형홈의 일부와 소통하는 다공성 연결코어와, 그리고 조절기의 전단부에 제공된 소켓내에 삽입되어서 연결코어의 전단부와 연결된 다공성 도포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기의 후단부와 슬리이브와 전단부 사이로 화장재료의 저장부가 형성된다.
상기 다공성 연결코어는 후방단부를 저장부 내부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조절기 내부에 배열된다.
2중 캡은 외부캡과 내부캡 그리고 압축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내부캡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져서, 2중 캡이 슬리이브 홀더와 연결되었을 때 내부캡은 슬리이브 홀더의 전단부의 외측 원주부와 선형으로 접촉한다.
슬리이브 홀더의 중앙 부근에서 그 내부에는 계단부 및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계단부는 내경의 차이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다. 조절기의 후단부가 계단부의 돌출부의 사이로 체결되면, 조절기는 슬리이브 홀더내에 고정된다.
슬리이브 홀더의 전단부의 외측 원주상에는 수렴하는 형태의 경사부가 제공된다. 슬리이브 홀더의 내부에는 축선방향으로 연장한 적어도 하나의 통풍슬롯이 제공된다.
조절기의 외측 원주상에는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연장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제공된다. 이 슬릿의 적어도 일부가 조절기의 축선방향 구멍과 소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중 제 1도 내지 제 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장재료용 용기는 개방된 전단부(12) 및 개방된 후단부(11)를 갖추고 있는 슬리이브 홀더(1)와, 이 슬리이브 홀더(1)의 후단부(11)를 폐쇄시키기 위한 플러그(2)와, 슬리이브 홀더(1)의 개방된 전단부(12)에 고정되어 있는 도포체 유닛(3)과, 그리고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2)의 외측 원주상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2중 캡(4)을 포함하고 있다.
제 6도 및 제 7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도포체 유닛(3)은 외측 원주상에 다수의 환형홈(311)이 제공되어 있는 조절기(31)와, 이 조절기(31)의 축선방향 구멍(312) 안으로 삽입되어서 환형홈(311)의 일부와 소통하고 있는 다공성 연결코어(32)와, 그리고 연결코어(32)에 연결되어서 조절기(31)의 전단부에 제공된 소켓(313) 안으로 삽입되어 있는 다공성 도포체(33)를 포함하고 있다.
제 1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조절기(31)의 후단부와 슬리이브 홀더(1)내의 플러그(2) 사이로 화장재료 저장부(13)가 형성된다. 연결코어(32)의 후단부가 저장부(13) 안으로 연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장재료는 예를들면 액체의 아이라이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도포체(33) 및 연결코어(32)는 액체의 화장재료를 흡수하여 유지시키기에 적절한 아크릴 또는 폴리에스터 섬유 등과 같은 섬유질 혹은 다공성 재료로 제조된 것이다.
제 6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코어(32)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서 화장재료를 흡수하고 배출시킬 수가 있다.
플러그(2)는 통상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제조된다. 플러그가 나일론 수지로 제조된 경우에는, 플러그가 화장재료내의 수분을 흡수하여서 수밀성(water-sealing)이 개선되며, 이에 따라서 화장재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중 캡(4)은 외부캡(41), 내부캡(42), 및 압축코일 스프링(43)을 포함하고 있다. 압축코일 스프링(43)에 의해서 내부캡(42)이 외부캡(4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밀려진다. 그러나, 내부캡(42)의 외부에 형성된 돌기(421)가 외부캡(41)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411)와 접촉하기 때문에, 내부캡(42)이 외부캡(4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제 2도는 2중 캡(4)이 슬리이브 홀더(1)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 3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2)의 외측 원주상에는 수렴된 형태의 경사부가 제공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 캡(4)이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2)에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 내부캡(42)의 후방으로 경사진 표면 가장자리(422)가(제 2도 참조)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2)의 외부상에 제공된 경사부와 선형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화장재료용 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화장재료가 도포체(33)로 부터 우발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 3도 및 제 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리이브 홀더(1)의 중간부분의 내부에는, 내경의 차이에 의해서 형성된 계단부(14) 및 돌기(15)가 제공되어 있다. 조절기(31)가 슬리이브 홀더(1)의 후단부(11)로부터 슬리이브 홀더(1)의 안쪽으로 삽입되면, 조절기(31)의 후단부상에 형성된 플랜지(317)가(제7도 참조) 계단부(14)와 돌기(15) 사이로 고정된다.
제 3도 및 제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리이브 홀더(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슬롯(16)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통풍슬롯(16)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제 7도 내지 제 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절기(31)의 외측 원주상에는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연장한 적어도 하나의 슬릿(314)이 제공되어 있다. 슬릿(314)의 적어도 일부가 조절기(31)의 축선방향 구멍(312)과 소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릿(314)은 조절기(31)의 하부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조절기(31)의 후단부에서 축선방향 구멍(312)과 소통한다.
조절기(31)의 후단부상에 형성된 플랜지(317)의 내부에도 돌기(315)가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코어(32)가 일정한 틈새(318)를(제6도 참조) 두고서 축선방향 구멍(312) 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연결코어(32)가 축선방향 구멍(312)내에 축선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돌기(315)에 의해서 방지된다.
조절기(31)의 외측 원주의 상부에는 축선방향으로 연장한 통풍슬롯(316)이 제공되어 있다. 도포체 유닛(3)이 슬리이브 홀더(1) 안으로 삽입되면, 조절기(31)의 통풍슬롯(316)은(제8도 참조) 앞에서 설명한 통풍슬롯(16)과(제3도 참조) 서로 소통된다.
이제, 본 발명의 화장재료용 용기를 조립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포체 유닛(3)의 도포체(33)를 조절기(31)의 전단부에 형성된 소켓(313) 안으로 압착식으로 삽입한 후에, 연결코어(32)를 조절기(31)의 후단부로부터 축선방향 구멍(312) 안으로 삽입하고, 이 연결코어(32)의 말단부를 도포체 유닛(3)의 후단부 안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도포체 유닛(3)이 조립된다.
다음으로, 도포체 유닛(3)을 슬리이브 홀더(1)의 후단부(11)로부터 안쪽으로 삽입하고, 조절기(31)의 후단부상에 형성된 플랜지(317)를 슬리이브 홀더(1)의 계단부(14)와 돌기(15)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도포체 유닛(3)이 슬리이브 홀더(1)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도포체(33)는 상기 슬리이브 홀더(1)의 전방으로 돌출한다(제1도).
2중 캡(4)은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에 부착된다. 이와같은 조립단계에서 화장재료용 용기가 살균처리된다. 살균과정이 종료된 후에, 화장재료를 슬리이브 홀더(1)의 후단부(11)로부터 저장부(13) 안으로 집어넣은 다음에 플러그(2)를 후단부(11) 안으로 끼운다. 이에 따라서, 모든 조립과정이 완료된다.
필요에 따라서, 슬리이브 홀더(1)의 외측 원주상에 금속덮개(도시안됨)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서 금속덮개는 슬리이브 홀더(1)상에 형성된 나사부(17)와 나사결합식으로 고정된다.
화장재료용 용기의 살균과정 이후에 화장재료를 집어넣는 단계 및 플러그를 부착시키는 단계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과정의 반정도만이 작업자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또 다른 추가의 살균과정을 생략할 수가 있다.
화장재료용 용기의 사용중에 화장재료는 감소된다. 동시에, 통풍슬롯(16, 316)을 통해서 그리고 축선방향 구멍(312)과 연결코어(32) 사이로 형성된 틈새(318)를 통해서 저장부(13) 안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온도 등의 변화로 인하여 저장부(13)내의 압력과 외부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발생되는 경우에, 조절기(31)내의 환형홈(311)과 저장부(13)의 사이로 화장재료가 흘러들어가서, 그러한 압력변화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의 수를 줄여서 조립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화장재료용 용기에 비해서 살균과정을 최소의 단계로 마무리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연결코어가 다공성 재료로 제조되어서 슬리이브 홀더의 저장부 안으로 직접 연장하여 있기 때문에, 저장부내에 수용된 화장재료를 모두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5)

  1. 화장재료용 용기로서, 개방된 전단부 및 개방된 후단부를 갖춘 슬리이브 홀더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상기 후단부를 폐쇄시키는 플러그와, 외측 원주상에 다수의 환형홈을 갖춘 조절기와, 상기 조절기의 축방향 구멍 안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환형홈의 일부와 소통하는 다공성 연결코어, 및 상기 연결코어의 전단부에 연결되어서 상기 조절기의 전단부에 제공된 소켓안에 삽입되는 다공성 도포체를 가지며,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상기 전단부에 고정되는 도포체 유닛과,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상기 전단부의 외측 원주상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2중 캡, 및 상기 조절기의 후단부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상기 전단부 사이에 형성된 화장재료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연결코어가 상기 조절기내에 배열되어서 상기 연결코어의 후단부가 상기 저장부 안으로 연장하는 화장재료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중 캡이 외부캡, 내부캡, 및 압축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내부캡이 상기 스프링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밀려져서, 상기 2중 캡이 상기 슬리이브 홀더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내부캡이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상기 전단부의 외측 원주와 선형으로 접촉하는 화장재료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중간부분의 내부에는 내경의 차이에 의해서 형성된 계단부 및 돌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기의 후단부가 상기 계단부와 상기 돌기 사이로 체결되었을 때 상기 조절기가 상기 슬리이브 홀더 안으로 고정되는 화장재료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상기 전단부의 외측 원주상에는 수렴되는 형태의 경사부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내부에는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통풍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화장재료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의 외측 원주상에는 상기 조절기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슬릿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절기의 상기 축선방향 구멍과 소통하는 화장재료용 용기.
KR1019940026027A 1993-10-13 1994-10-12 화장재료용 용기 KR100238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60018 1993-10-13
JP1993060018U JP2557614Y2 (ja) 1993-10-13 1993-10-13 化粧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819A KR950010819A (ko) 1995-05-15
KR100238717B1 true KR100238717B1 (ko) 2000-01-15

Family

ID=1312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027A KR100238717B1 (ko) 1993-10-13 1994-10-12 화장재료용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57614Y2 (ko)
KR (1) KR1002387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854B1 (ko) 2007-09-12 2009-05-15 주식회사 케미코스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KR200459415Y1 (ko) 2010-09-07 2012-03-23 주식회사 리치코스 아이라이너 브러시 구조
KR200463527Y1 (ko) 2011-04-28 2012-11-07 샤 신 플라스틱 웍스 컴퍼니 리미티드 개량된 구성의 아이라이너액 유출 구조체
KR20190002086U (ko) * 2018-02-07 2019-08-16 김상선 에어타이트 구조를 구비한 액체 칼라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806B1 (ko) * 2012-10-05 2013-01-25 양하석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KR101226853B1 (ko) * 2012-10-15 2013-02-07 양하석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843A (ko) * 1992-03-05 1993-10-20 강진구 클럭신호 선택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843A (ko) * 1992-03-05 1993-10-20 강진구 클럭신호 선택회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854B1 (ko) 2007-09-12 2009-05-15 주식회사 케미코스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KR200459415Y1 (ko) 2010-09-07 2012-03-23 주식회사 리치코스 아이라이너 브러시 구조
KR200463527Y1 (ko) 2011-04-28 2012-11-07 샤 신 플라스틱 웍스 컴퍼니 리미티드 개량된 구성의 아이라이너액 유출 구조체
KR20190002086U (ko) * 2018-02-07 2019-08-16 김상선 에어타이트 구조를 구비한 액체 칼라 용기
KR200490412Y1 (ko) * 2018-02-07 2019-11-07 김상선 에어타이트 구조를 구비한 액체 칼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4214U (ja) 1995-05-09
KR950010819A (ko) 1995-05-15
JP2557614Y2 (ja)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1789A (en) Cosmetic material container
KR100946428B1 (ko) 직액식 필기구
EP1634724B1 (en) Ink occluding element in a writing implement
CN111183041B (zh) 涂布工具
KR100238717B1 (ko) 화장재료용 용기
US4614163A (en) Ink pot for felt pens for inscribing posters or the like
US5720563A (en) Cosmetic applicator
EP1674289B1 (en) Writing implement
KR20050006055A (ko) 필기구
JP6514480B2 (ja) インク充填具
KR100358241B1 (ko) 카트리지식액체도포기
JPS6323179Y2 (ko)
CN114762553A (zh) 液体化妆品材料容器
JP3063585B2 (ja) 液状化粧料塗布容器
JP3594267B2 (ja) カートリッジ式液体塗布具
JP2570242Y2 (ja) ペ ン
CA2028000A1 (en) Painting/writing instrument
KR940007204Y1 (ko)
JPS6319174Y2 (ko)
JPH0737906Y2 (ja) スライド栓付万年筆
JPH11138085A (ja) 塗布具
JPS6023180Y2 (ja) 細管式筆記具
JP2595416Y2 (ja) マーキングペン用インキ補充容器
JP2626967B2 (ja) 墨 壷
JPH09202092A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