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543B1 -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543B1
KR100238543B1 KR1019970075938A KR19970075938A KR100238543B1 KR 100238543 B1 KR100238543 B1 KR 100238543B1 KR 1019970075938 A KR1019970075938 A KR 1019970075938A KR 19970075938 A KR19970075938 A KR 19970075938A KR 100238543 B1 KR100238543 B1 KR 100238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vate
mobile wireless
subscriber
exchang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962A (ko
Inventor
김완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5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동무선단말기와 연동 운용되는 사설교환망에서 상기 이동무선단말기와 사설교환기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이동무선결합기의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이, 후크오프를 검출할 시 상기 사설교환기 간의 초기 셋업을 위해 헤딩 씨피씨들을 송수신하여 과정과, 상기 초기 셋업을 완료한 후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발생된 국선호출 정보를 상기 사설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국선호출 정보 전송 후 티이 씨피씨 수신이 있을 시 상기 사설교환기에 티이에이 씨피씨로 응답하는 과정과, 상기 티이에이 씨피씨 전송 후 다이얼 톤 입력이 있을 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발생된 국설가입자 전화번호를 상기 국설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 전송 후 티이 씨피씨 수신이 있을 시 상기 사설교환기에 티이에이 씨피씨로 응답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이동무선결합기와 상기 국설교환기 간에 통화패스가 연결되며, 상기 티이에이 씨피씨 전송 후 실제적인 통화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본 발명은 이동무선결합기(CNRI)의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교환기의 호출기능을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설교환망에서 사설교환기의 가입자가 국설가입자(타 망 가입자를 포함)를 호출할 수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사설교환기에 연동되어 운용되는 이동무선단말기가 이동무선결합기(이동무선단말기가 접속되는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설교환기의 가입자(이하 사설가입자라 칭함)를 호출할 수가 있었다.
여기서 상기 이동무선결합기는 이동무선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사설교환망 내의 가입자(사설가입자)와 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무선결합기는 상기 사설교환망내의 가입자를 7자리 번호로 직접 호출이 가능하나, 다른 국설교환기(다른 사설교환망의 가입자를 포함)의 가입자를 직접 호출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기존에 상기 이동무선결합기와 사설교환기 사이에 정해진 프로토콜을 이용한다면 가능하리라 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무선결합기에서 타 망의 가입자를 직접 호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무선결합기에서 국설교환기의 가입자를 직접 호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무선단말기와 연동 운용되는 사설교환망에서 상기 이동무선단말기와 사설교환기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이동무선결합기의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이, 후크오프를 검출할 시 상기 사설교환기 간의 초기 셋업을 위해 헤딩 씨피씨들을 송수신하여 과정과, 상기 초기 셋업을 완료한 후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발생된 국선호출 정보를 상기 사설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국선호출 정보 전송 후 티이 씨피씨 수신이 있을 시 상기 사설교환기에 티이에이 씨피씨로 응답하는 과정과, 상기 티이에이 씨피씨 전송 후 다이얼 톤 입력이 있을 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발생된 국설가입자 전화번호를 상기 국설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 전송 후 티이 씨피씨 수신이 있을 시 상기 사설교환기에 티이에이 씨피씨로 응답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이동무선결합기와 상기 국설교환기 간에 통화패스가 연결되며, 상기 티이에이 씨피씨 전송 후 실제적인 통화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구성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이동무선결합기(CNRI)의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상기 도 1에서 사설교환기의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하여 국설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무선단말기와 연동운영되는 사설교환망의 망 구성도를 보여준다.
상기 도 1를 참조하면, 이동무선단말기11은 이동무선결합기12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를 통해 사설교환기13의 가입자 또는 국설교환기14의 가입자와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는 상기 이동무선단말기11과 상기 사설교환기13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사설교환기와의 프로토콜 송수신 등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상기 사설교환기13은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3과 상기 국설교환기14에 연결되며, 망15 외로 나가거나 망15 안으로 들어오는 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도 1은 국설교환기를 호출하는데 이용되는 사설교환기 하나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제적인 망은 하나의 망안에 50여개의 사설교환기가 회선간선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은 본 발명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장비들만 도시하였으나, 실제적인 연결은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와 상기 사설교환기(노드교환기)13 사이에 무선망의 기지국이 될 수 있는 무선장비인 RAU와 상기 무선장비인 RAU와 상기 사설교환기13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전송장비 PCU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이동무선결합기와 사설교환기의 구성 및 기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1은 상기 이동무선결합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롬22는 상기 이동무선결합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램23은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일시적인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음성처리부24는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 및 이동무선단말기1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음성처리를 담당한다. 클럭발생부25는 상기 이동무선결합기에서 사용되는 동기클럭을 발생시켜 신호처리부26 및 선로접속부27로 출력한다. 신호처리부26은 상기 제어부21에서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처리하여 상기 선로접속부27로 출력하거나, 상기 선로접속부27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데이터처리하여 상기 제어부21로 출력한다. 상기 선로접속부27은 2와이어(wire)를 통해 상기 사설교환기13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처리부21로부터 제공되는 CPC(Cyclic Permutable code) 신호를 사설교환기13로 출력하거나, 상기 사설교환기13로부터 제공되는 CPC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26으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13의 블록 구성도이다.
제어부311은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사설교환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312는 기본 호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311의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 및 상기 제어부31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롬으로 구성된다. 입출력부313은 교환기의 제어부311과 외부 입출력장치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314는 상기 제어부311과 교환기의 각 기능 블록 간에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칭회로315는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및 음성데이타를 스위칭한다. 가입자회로316은 상기 제어부31의 제어하에 일반전화기(도시하지 않음)에 통화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일반전화기와 상기 스위칭회로315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 한다. 링발생기318은 링신호를 발생하여 가입자선로에 공급한다. 중계대37은 상기 가입자회로316과 연결되며, 착신호 및 발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노드간선회로319는 사설교환망을 운용할 시 다른 교환기와의 간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간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선회로320은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하에 국선을 시저(seizure)하여 국선 통화 루프를 형성하며, 국선과 상기 스위칭회로315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여기서 국선은 상기 국선회로319와 국설교환기314를 연결하는 선로를 말한다.
톤발생기321은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하에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회로315로 출력한다. DTMF수신기(Dual Tone Multi-Frequency Receiver)322는 상기 스위칭회로315에서 입력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311로 출력한다. DTMF송신기323은 상기 제어부311이 출력하는 디지털데이타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회로315로 출력한다. 시그널링회로(signalling circuit)324는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하에 시그널링을 삽입하거나 또는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1가 상기 국설교환기14의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한 프로토콜 진행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와 상기 교환기13 사이에 상호 송수신되는 신호들은 모두 CPC 신호들임을 밝혀둔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는 411단계에서 후크오프에 의한 시즈(seize) CPC(씨피씨)를 교환기13 측으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교환기13은 412단계에서 Send Mode 신호를 이동무선결합기21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는 Mode 씨피씨로 응답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교환기13은 414단계에서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로 Send Prec를 전송하며, 이에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는 415단계에서 Prec로 상기 교환기13에 응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411단계에서 상기 415단계 까지의 수행과정은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의 후크오프에 의해 발생되는 초기 셋업 과정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rec 씨피씨를 수신한 상기 교환기13은 416단계에서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로 디지트 요구 씨피씨(Send Digit CPC)를 전송하며, 이에 상기 이동무선단말기 사용자는 다이얼톤(Dial Tone)을 청취하고, 회선간선 디지트(본 발명에서는 국설교환기를 호출하기 위한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3자리 디지트로 구현하였다)를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는 417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디지트들을 상기 교환기13 측으로 전송하며, 이에 상기 교환기13은 418단계에서 국설교환기13와 연결된 국선 포트들중 휴지포트를 점유한 후 TE(Traffic enable) 씨피씨를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TE를 수시한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는 419단계에서 TEA(Traffic enable ACK) 씨피씨로 상기 교환기13에 응답하게 된다.
이때 국설교환기14로부터 제공되는 다이얼 톤은 421단계에서 상기 사설교환기13을 통해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로 전달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 톤을 청취하고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국설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은 42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디지트 정보들을 상기 교환기13으로 전달하며, 이에 상기 교환기13은 상기 디지트 정보들을 상기 국설교환기14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교환기13은 422단계에서 상기 디지트 정보들중 마지막 디지트 검출후 5초간의 딜레이들 가진다음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로 TE 씨피씨를 전송하며, 이에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는 423단계에서 TEA 씨피씨로 상기 교환기13에 응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무선결합기12와 국설교환기14간에 패스가 형성되며, 비로서 424단계에서 실제적인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교환망에서 연동 사용되는 이동무선결합기에서 다른 망의 가입자(국설가입자 등)들을 직접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호처리를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이동무선결합기에 본 기능(무전기와 사설가입자와의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이루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외에 국설교환기 호출 기능까지 부여하여 상기 이동무선결합기에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1)

  1. 이동무선단말기와 연동 운용되는 사설교환망에서 상기 이동무선단말기와 사설교환기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이동무선결합기의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에 있어서,
    후크오프를 검출할 시 상기 사설교환기 간의 초기 셋업을 위해 헤딩 씨피씨들을 송수신하여 과정과,
    상기 초기 셋업을 완료한 후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발생된 국선호출 정보를 상기 사설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국선호출 정보 전송 후 티이 씨피씨 수신이 있을 시 상기 사설교환기에 티이에이 씨피씨로 응답하는 과정과,
    상기 티이에이 씨피씨 전송 후 다이얼 톤 입력이 있을 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발생된 국설가입자 전화번호를 상기 국설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 전송 후 티이 씨피씨 수신이 있을 시 상기 사설교환기에 티이에이 씨피씨로 응답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이동무선결합기와 상기 국설교환기 간에 통화패스가 연결되며,
    상기 티이에이 씨피씨 전송 후 실제적인 통화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접속부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KR1019970075938A 1997-12-29 1997-12-29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KR100238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38A KR100238543B1 (ko) 1997-12-29 1997-12-29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38A KR100238543B1 (ko) 1997-12-29 1997-12-29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962A KR19990055962A (ko) 1999-07-15
KR100238543B1 true KR100238543B1 (ko) 2000-01-15

Family

ID=1952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938A KR100238543B1 (ko) 1997-12-29 1997-12-29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5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962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171B1 (ko)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RU2214068C2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KR100238543B1 (ko)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KR100582569B1 (ko) 내선 가입자의 호를 전환하여 보류시키는 방법
KR100218882B1 (ko) 전자 교환기의 발신자 전화번호 통보방법
JPH0129104B2 (ko)
KR100464361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KR100285716B1 (ko) 교환기에서아날로그가입자를위한발신번전송방법
KR0175585B1 (ko)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간 통화 예약 방법
KR960028637A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어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45585A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에서 내선기능을 갖는 가입자접속장치
KR100532323B1 (ko) 종합정보통신망을 통한 문자정보 서비스방법
KR100377342B1 (ko) 키폰시스템의 유무선 접속 장치
KR100206304B1 (ko) 내부 호 처리가 가능한 원격가입자 수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51629B1 (ko) 씨티투착신시스템에서피알아이인터페이스시디채널사용방법
JP2786155B2 (ja) 簡易携帯電話機の無線接続方式
EP0954188B1 (en) Final digit detection of a telephone number
JP3018538U (ja) Phs基地局装置
JPH09322255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10190831A (ja) 打合わせ電話システム
JPH0374980B2 (ko)
JPH10108227A (ja) 構内交換機と無線サービス提供装置との相互接続装置
KR20020010755A (ko) 단말기에 개별번호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
JPH0220163A (ja) 通信システム
JPH10224471A (ja) 呼接続監視装置および呼接続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