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585B1 -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간 통화 예약 방법 - Google Patents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간 통화 예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585B1
KR0175585B1 KR1019960001923A KR19960001923A KR0175585B1 KR 0175585 B1 KR0175585 B1 KR 0175585B1 KR 1019960001923 A KR1019960001923 A KR 1019960001923A KR 19960001923 A KR19960001923 A KR 19960001923A KR 0175585 B1 KR0175585 B1 KR 0175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xtension
line
dedicated line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797A (ko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585B1/ko
Publication of KR97006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Arrangements for recalling a calling subscriber when the wanted subscriber ceases to be bus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키폰시스템에서 전용 통화 예약 방법.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전용선으로 접속된 키폰 시스템에서 상대방 키폰시스템의 내선이나 국선이 통화중이 아닐 경우에는 해당 내선과 통화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통화를 원하는 내선이 통화중인 경우에는 설정된 전용선을 통한 통화루프를 차단한 후 다시 전용선을 잡은 후 통화 요청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전용선으로 접속된 키폰시스템에서, 상기 전용선을 통해 호출된 내선이 통화중일 경우에 송신측 키폰시스템의 내선번호를 등록 받아 통화를 예약한 후 상기 호출된 내선의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호출된 내선과 상기 등록된 내선을 호출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예약 방법.
[발명의 중요한 용도 : 키폰 시스템.]

Description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간 통화 예약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전용선에 의해 접속된 키폰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일반적인 키폰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예약을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을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16 : 내선단말기 112,114 : 키폰시스템
210 : 제어부 212 : 메모리부
214 : 네트워크 216 : 내선회로
218 : 링발생기 220 : 톤발생기
222 : 전용선회로 224 : 국선회로
226 : DTMF 송신기 228 : DTMF 수신기
본 발명은 키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용선에 의해 접속된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을 통한 국선 및 내선을 통화 예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용선이라 함은 서로 다른 키폰시스템 간에 국선을 통하지 않고 직접 통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연결된 라인을 말한다. 즉, 서로 떨어진 키폰시스템을 전용선으로 연결하여 양 키폰시스템간에 통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전용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용선을 통해서 상대 키폰시스템의 내선 또는 국선을 바로 호출하여 통화할 수가 있다.
상기한 전용선을 통해 접속된 키폰시스템의 블록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1도는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키폰시스템(112,114)은 다수의 내선, 국선 및 전용선을 구비하여 통화 요구에 따른 교환기능을 수행한다. 내선단말기(110, 116)는 상기 키폰시스템(112,114)의 내선가입자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단말기를 나타낸다.
상기 키폰시스템의 블럭 구성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2도를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제어부(210)은 키폰시스템(112,114)의 동작수행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반적으로 제어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설정된 착신 서비스 형태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메모리부(212)는 상기 제어부(210)의 설정된 착신 서비스 형태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메모리부(212)는 상기 제어부(210)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키폰시스템(112,114)에서 교환기능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른 내선단말기의 내선번호를 저장한다. 네트워크(214)는 통화를 원하는 착신호가 입력된 국선회로(224)의 국선가입자 또는 내선회로(216)의 단말기(110,116)를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요청된 해당 파트로 연결한다.
상기 국선회로(224)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국설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인입되는 다수의 일반 국선을 상기 네트워크(214)로 연결한다. 상기 내선회로(216)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다수의 내선단말기중 통화요청을 하는 내선단말기를 상기 네트워크(214)로 연결한다.
DTMF수신기(228)는 상기 네트워크(214)를 통해 수신되는 DTMF신호를 전송받아 디지탈에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10)에 제공한다. DTMF송신기(226)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214)로 DTMF신호를 송출한다.
링발생기(218)는 상기 국선회로(224) 또는 내선회로(216)를 통해 특정 내선단말기로의 통화를 원하는 착신호아 수신될시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통화요청을 알리기 위한 링신호를 발생하여 해당 내선단말기로 송출한다. 톤공급기(220)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214)로 출력한다. 전용선회로(222)은 서로 떨어진 키폰시스템(112,114)을 연결하는 다수의 전용선을 가지며, 상대측 키폰시스템에서 인입되는 다수의 전용선을 상기 네트워크(214)로 연결한다.
종래의 전용선으로 접속된 키폰시스템에서 상대방 키폰시스템의 내선이나 국선이 통화 중이 아닐 경우에는 해당 내선과 통화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통화를 원하는 내선이 통화중인 경우에는 설정된 전용선을 통한 통화루프를 차단한 후 다시 전용선을 잡은 후 통화 요청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용선을 통해 접속된 상대측 키폰시스템의 내선을 예약 통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용선을 통해 접속된 상대측 키폰시스템의 국선을 예약 통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용선을 통해 접속된 상대측 키폰시스템의 내선 및 국선을 예약 통화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측 키폰시스템의 발신 내선으로부터 전용선을 통해 내선 또는 국선의 호출이 이루어질 시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된 내선 또는 국선이 통화중이라 판단할 시 전용선을 통해 상기 발신 내선으로 화중음을 송출한 후 상기 화중음에 응답한 예약키가 수신되는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키가 수신될 시 상기 호출된 내선 또는 국선의 통화 예약을 설정한 후 예약모드로 전화되었음을 알리는 전환음을 전용선을 통해 상기 발신 내선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전환음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내선의 내선번호를 전용선을 통해 제공받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된 내선이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전화되거나 휴지상태의 국선이 검출될 시 전용선을 통해 상기 발신 내선을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에 의해 상기 발신 내선이 응답할 시 상기 예약 된 내선 또는 상기 휴지상태의 국선을 호출함으로서 통화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한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함으로써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예약을 위한 과정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용선을 통해 상대측 키폰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요구가 있는가를 감지하는 과정과, 호출된 내선 또는 국선이 통화중인 경우에 화중음을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송출된 화중음에 응답하여 예약키에 해당하는 DTMF가 상대측 키폰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면 전환음을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전환음에 대응하여 송신측 내선번호에 해당하는 DTMF가 상대측 키폰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면 입력된 내선번호를 저장하는 대기보드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을 위한 과정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대기모드에서 상기 예약과정에서 예약된 내선 또는 국선의 통화가 종료되었는가를 감지하는 과정과, 예약된 내선 또는 국선이 통화 종료되면 선택된 내선으로 호출신호를 송출하거나 국선을 점유하는 과정과, 상대측 키폰시스템의 호출을 원하는 내선을 호출하는 과정과, 호출에 응답하는 경우에는 통화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도와 제4도는 호출된 키폰시스템에서 수행되어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제3,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3도를 참조하여 예약과정에 따른 일실시예를 들면, 제어부(210)는 310단계에서 송신측 키폰시스템으로부터 전용선을 통한 통화 요구에 해당하는 호출이 있는가를 감지한다. 상기 통화 요구는 상대측 키폰시스템 내의 다수 내선 중 어느 한 내선(이하 발신 내선이라 칭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화 요구를 의미한다.
상기 310단계에서 전용선을 통한 통화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10)은 3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2단계로 진행한 제어부(210)는 호출하고자 하는 내선번호에 해당하는 DTMF 또는 국선을 점유하기 위한 확인키에 해당하는 DTMF가 상대측 키폰시스템으로부터 전용선을 통해 전용선회로(212)에 수신되는가를 감지한다.
상기 312단계에서 내선번호 또는 국선 점유 요구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314단계에서 호출된 내선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 또는 키폰시스템 내의 모든 국선이 통화중인가를 검색한다. 상기 호출된 내선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 또는 모든 국선이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는 32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210)는 네트워크(214)를 제어하여 호출된 내선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와의 일반적인 통화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국선 점유 요구일 경우에는 국선을 통한 통화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314단계에서 호출된 내선 또는 모든 국선이 통화중일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10)는 316단계로 진행하여 톤공급부(220)를 제어하여 화중음을 발생한다. 상기 화중음은 상기 네트워크(214)를 통해 전용선회로(222)에 접속된 전용선으로 송출된다. 상기 전용선으로 송출된 화중음은 송신측 키폰시스템을 통해 발신내선으로 제공된다. 상기 화중음을 확인한 발신 내선의 가입자는 예약 통화를 원하는 경우 예약키를 누르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발신 내선의 가입자에 의해 눌린 예약키에 따른 DTMF의 수신을 318단계에서 감지하게 되며, 상기 예약키의 감지로 인해 상기 제어부(210)는 316단계로 진행한다. 하지만 상기 예약키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10)는 328단게에서 상대측 키폰시스템인 단말기가 훅크-온되는 가를 감시하며, 훅크-온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상기 318단계에서 예약키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320단계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전환음을 상기 전용선으로 송출한다. 상기 송출된 전환음은 상기 송신측 키폰시스템의 발신 내선으로 제공되며, 상기 전환음을 확인한 발신 내선의 가입자는 내선과의 통화를 원하는 경우에는 내선번호를 지정하게 된다. 하지만 국선 통화를 원하는 경우에는 국선을 지정하는 특정키를 조작하거나 키 조작 없이 훅크-온함으로서 이를 대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10)는 322단계에서 내선번호에 해당하는 DTMF 또는 국선 점유를 요구하는 확인키에 해당하는 DTMF가 입력되면 3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4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210)는 수신된 내선번호 또는 국선 점유 요구를 메모리부(212)에 임시로 등록한 후 상기 330단계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제4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예약과정을 통해 예약된 기능의 수행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210)는 410단계인 대기모드에서 예약된 내선 또는 국선의 통화가 종료되었는가를 감시한다. 상기 412단게에서 호출된 내선 또는 국선의 통화종료가 감지되면, 4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210)는 링발생기(218)를 제어하여 호출신호에 해당하는 링신호를 호출된 내선측으로 송출한다.
그리고 국선 점유 요구일 경우에는 통화 종료된 국선을 점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416단계에서 내선 또는 국선을 예약한 상대측 키폰시스템의 내선 단말기를 전용선을 통해 호출하며, 418단계에서 양측의 단말기가 호출에 응답하는가를 감지한다. 상기 418단게에서 호출에 응답하였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420단계에서 양측 단말기가 전용선을 통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통화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용선을 통해서 호출된 상대방의 내선이나 국선이 통화중일 때 해당 호를 예약하여 예약된 내선 또는 국선이 대기상태일 때 예약한 내선에게 알려줌으로서 호출한 상대방의 내선 또는 국선이 통화중이더라도 통화를 해제하고 재 통화요구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 키폰시스템 간에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용선으로 접속된 키폰시스템에서 통화예약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키폰시스템의 발신 내선으로부터 전용선을 통해 내선 또는 국선의 호출이 이루어질 시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된 내선 또는 국선이 통화중이라 판달할 시 전용선을 통해 상기 발신 내선으로 화중음을 송출한 후 상기 화중음에 응답한 예약키가 수신되는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키가 수신될 시 상기 호출된 내선 또는 국선의 통화 예약을 설정한 후 예약모드로 전화되었음을 알리는 전환음을 전용선을 통해 상기 발신 내선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전환음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내선의 내선번호를 전용선을 통해 제공받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된 내선이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거나 휴지상태의 국선이 검출될 시 전용선을 통해 상기 발신 내선을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에 의해 상기 발신 내선이 응답할 시 상기 예약된 내선 또는 상기 휴지상태의 국선을 호출함으로서 통화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예약 방법.
KR1019960001923A 1996-01-29 1996-01-29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간 통화 예약 방법 KR0175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923A KR0175585B1 (ko) 1996-01-29 1996-01-29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간 통화 예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923A KR0175585B1 (ko) 1996-01-29 1996-01-29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간 통화 예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797A KR970060797A (ko) 1997-08-12
KR0175585B1 true KR0175585B1 (ko) 1999-04-01

Family

ID=1945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923A KR0175585B1 (ko) 1996-01-29 1996-01-29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간 통화 예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41B1 (ko) * 1998-12-30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교환기의 전용선 착신호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360A (ko) * 1997-08-27 1999-03-15 윤종용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자동 네트워크 다이얼링 예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41B1 (ko) * 1998-12-30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교환기의 전용선 착신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797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7411A (ko) 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시 발신자 이름 표시 방법
KR0175585B1 (ko)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간 통화 예약 방법
JPH0946437A (ja) 一斉指令伝達方法
KR10024188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과 통화중인 국선 호의 전환 방법
KR0184503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착신시 음악원 송출방법
KR100285716B1 (ko) 교환기에서아날로그가입자를위한발신번전송방법
KR100228300B1 (ko) 교환시스템의 그룹 예약 호 서비스방법
KR0148554B1 (ko) 사설 isdn망 간이 교환기의 방송호출 통화형성방법
KR100464361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KR100270736B1 (ko) 패어지정을 통한 사설교환시스템의 내선 단말 호 처리 방법
KR100454938B1 (ko) 교환기의다중착신서비스방법
KR100229871B1 (ko) 자동 다자 통화 구현방법
KR100234089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연속 전환방법
KR0138180B1 (ko) 부재중 안내서비스방법
JP2812794B2 (ja) ディジタル電話機
KR1002107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호전환제어방법
KR100506204B1 (ko) 사설교환기시스템에서강제자동응답절환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469732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다중가입자의링방지방법
KR20010037123A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
KR19980063205A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호 처리 방법
KR19980076743A (ko) 교환시스템의 자동 방송 호출 서비스방법
JPH0393393A (ja) 加入者集線通信方式
KR19990020265A (ko) 키폰 시스템에서 내선 통화 및 착신호 전환 방법
KR19990016005A (ko) 교환시스템의 국선호 착신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