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123A -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123A
KR20010037123A KR1019990044447A KR19990044447A KR20010037123A KR 20010037123 A KR20010037123 A KR 20010037123A KR 1019990044447 A KR1019990044447 A KR 1019990044447A KR 19990044447 A KR19990044447 A KR 19990044447A KR 20010037123 A KR20010037123 A KR 20010037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vate
extension subscriber
extension
state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1242B1 (ko
Inventor
정홍경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4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2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2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47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subscriber, e.g. profile, database, database access

Abstract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전용선 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개 사설 교환 시스템의 각 내선 가입자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전용선 망 사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한 것으로, 사설 교환 시스템이 전용선망을 통해 접속되는 경우 데이타 채널을 통해 전체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공유하여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표시수단을 통해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용선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개의 사설 교환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한번의 호 접속 요구로 원하는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를 원하는 상대측 내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는 이유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통화량을 최소화시켜 통신 비용을 절감하고 전용선망의 사용에 효율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 Extension Subscriber State Share In Private Branch Exchang}
본 발명은 사설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용선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개 사설 교환 시스템의 각 내선 가입자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전용선망 사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한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용선망은 통화량이 많은 지역과 지역의 사설 교환 시스템을 연결하여 통화 비용을 절감시키고 ISDN,QSIG 등의 고급망을 사용하여 다양한 망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용선망은 일정 사용횟수 이하인 상태에서는 일반 통신망 보다 저렴하게 서비스가 제공되어지나 일정 사용횟수 이상인 상태에서는 일반 통신망 보다 고가로 서비스가 제공되어지므로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최소한의 전용회선 임대와 전용선망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통화 경비를 절감하는 최선책이 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하루의 통화량 분포는 균일하지 않고 출근 후 1∼2시간, 퇴근전 1∼2시간 동안에는 통화량이 폭주하므로 통화량이 많은 시간대에 통화중인 상대방을 연속적으로 호출하거나 착신 거부를 등록한 상대방 호출, 부재중 등록한 상대방 호출 등 불필요한 통화에 의한 전용선망의 점유는 전용선망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종래에 전용선망으로 연결되는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일 예를들어 사설 교환 시스템 A에서 내선 번호 1000번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 사용자가 사설 교환 시스템 B에서 내선 번호 2000번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와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설 교환 시스템 A에서 내선 번호 1000번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송수화수단을 오프 훅 한 다음(S1) 전용선망으로 연결되는 사설 교환 시스템 B의 내선 번호 2000번와 호 접속을 요구하기 위하여 망 점유 코드와 내선 번호 2000번을 다이얼링 하면(S2) 사설 교환 시스템 A는 전용선망의 채널을 점유하여 사설 교환 시스템 B측에 호 설정을 시도한다(S3).
상기와 같이 사설 교환 시스템 A로 부터 호 설정의 시도가 사설 교환 시스템 B측에 착신호로 감지되면(S4) 사설 교환 시스템 B는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내선 번호 2000번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통화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느지를 판단한다(S5).
상기에서 내선 번호 2000번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설 교환 시스템 B는 내선 번호 2000번에게 착신링을 송출한 다음 해당 내선 단말기로부터의 응답을 검출한다(S10).
상기에서 사설 교환 시스템 B측에 내선 번호 2000번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의 응답이 검출되면(S11) 사설 교환 시스템 B는 전용선망의 점유된 채널을 통해 사설 교환 시스템 A측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12).
상기와 같이 전용선망을 통해 사설 교환 시스템 B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사설 교환 시스템 A가 수신하게 되면 사설 교환 시스템 A는 자신에게 접속된 내선 번호 1000번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와 사설 교환 시스템 B에 접속된 내선 번호 2000번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간의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를 유지하여 준다(S13)(S14).
상기 S5에서 내선 번호 2000번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불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설 교환 시스템 B는 사설 교환 시스템 A측에 통화중음을 송출하여 호 접속을 요구한 내선 번호 1000번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에 송출하여 준다(S6).
이때, 사설 교환 시스템 A에서 내선 번호 1000번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의 사용자는 호 접속 요구한 해당 가입자 단말기가 통화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자신단말기의 송수화 수단을 온 훅 상태로 복구한 다음 재 통화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S1의 과정으로 리턴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다시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는 전용선망으로 연결되는 사설 교환 시스템 내선 가입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장치가 제공되어 있지 않아 임의의 사설 교환 시스템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사용자는 전용선망으로 연결되는 타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게 호 접속을 요구한 다음 호 접속 요구되는 타측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통화 불가능에 대한 메시지나 비지톤(Busy Tone)으로 부터 타측 사설 교환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통화중인 내선 가입자 단말기나 착신 거부를 등록한 내선 가입자 단말기 또는 부재중 등록을 한 내선 가입자 단말기를 여러 내선 가입자가 호출함으로 인하여 전용선망에 불필요한 통화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통화량이 적은 주간 시간의 경우에도 통화중에 있는 상대방이 언제 통화를 복구할 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통화를 시도해 보아야 하는 불필요한 행위로 인해 업무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용선망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사설 교환 시스템의 각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통화 가능 및 불가능에 대한 상태 정보를 통화로를 점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타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각 사설 교환 시스템측에 방송 방식으로 전송하여 각 사설 교환 시스템에 접속되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표시수단을 통해 상대측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호 접속 시도를 방지하여 전용선망의 사용에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가 전용선망을 통해 접속되는 타측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 상태 정보 확인 및 호 설정을 실행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가 전용선망을 통해 접속되는 타측 사설 교환 시스템 내선 가입자의 상태 정보 공유를 실행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100D : 사설 교환 시스템 110 : 내선 가입자 접속부
120 : 중앙 처리부 130 : 메모리부
140 : 톤 송출부 150 : 전용선 접속부
160 : 스위칭부 200 : 전용선망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설 교환 시스템이 전용선망을 통해 접속되는 경우 데이타 채널을 통해 전체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공유하여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표시수단을 통해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설 교환 시스템은 복수개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를 정합하여 각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감지 보고하고 호 설정 및 해지를 실행하는 내선 가입자 접속부와, 상기 사설 교환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전체 블록의 기능을 제어 및 중재하고, 검출되는 상태 정보가 공유를 위해 등록된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내선 가입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등록 정보와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해 등록되는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중앙 처리부의 억세스 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등록 정보를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사설 교환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반적인 톤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톤 발생부와, 전용선 망을 정합하며, 중앙 처리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용선망을 통한 호 설정 및 해제 등을 담당하며, 등록된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 메시지로 전송시키는 전용선 접속부 및, 상기 중앙 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용선망을 통해 타측 사설 교환 시스템과 음성 및 데이터의 교환을 위한 스위칭을 담당하는 스위칭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임의의 사설 교환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오프 훅하여 상태 정보 공유를 원하는 타측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를 지정하면 자신을 담당하고 있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중앙 처리수단이 이를 감지하여 메모리수단에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번호를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단말기로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상태 정보 공유 요구를 전용선망을 통해 지정된 프로토콜로서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를 담당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측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 공유가 요구되는 해당 가입자 단말기를 담당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중앙 처리수단은 전용선망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번호를 상태 공유 가입자로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와 같이 상태 공유 가입자 단말기의 번호가 등록되면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서 상태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변화가 발생되면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를 담당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중앙 처리수단은 발생된 상태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용선망을 통해 전송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용선망을 통해 임의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가 전용선망에 접속되는 사설 교환 시스템에 수신되는 경우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자신의 담당하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측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는, 복수개의 사설 교환 시스템(100A∼100D)이 전용선망(200)을 통해 접속되고, 복수개의 사설 교환 시스템(100A∼100D) 각각에는 고유의 전화번호를 갖는 복수개의 내선 단말기(100A-1∼100A-N,100B-1∼100B-N,… 100D-1∼100D-N)기 접속된다.
또한, 상기에서 전용선망(200)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개의 사설 교환 시스템(100A∼100D) 각각에는 내선 가입자 접속부(110)와, 중앙 처리부(120), 메모리부(130), 톤 송출부(140), 전용선 접속부(150), 스위칭부(160)로 이루어지는데, 내선 가입자 접속부(110)는 복수개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A-1∼100A-N, 100B-1∼100B-N … 100D-1∼100D-N)를 정합하며, 정합된 각각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A-1∼100A-N, 100B-1∼100B-N … 100D-1∼100D-N)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중앙 처리부(160)에 보고하고 중앙 처리부(160)에서 지시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A-1∼100A-N, 100B-1∼100B-N … 100D-1∼100D-N)와 호 설정을 위한 동작 및 내선 가입자 단말기 관련 기능을 실행한다.
중앙 처리부(120)는 검출 분석되는 정보를 등록된 정보와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사설 교환 시스템에 구비되는 각 기능 블럭들의 기능을 제어 및 중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메모리부(130)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운용에 대한 알고리즘과 접속되는 내선 가입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등록되며 중앙 처리부(12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용선망(200)을 통해 접속되는 사설 교환 시스템(100A∼100D)의 각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A-1∼100A-N, 100B-1∼100B-N, … 100D-1∼100D-N)들의 상태 정보를 지정되는 어드레스 영역에 등록하고, 중앙 처리부(120)의 억세스 요구에 따라 해당 정보를 출력한다.
톤 송출부(140)는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통화중음, 보류 멜로디, 호출음 등을 생성하고, 중앙 처리부(12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톤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전용선 접속부(150)는 전용선망(200)을 정합하며, 중앙 처리부(12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용선망(200)을 통한 호 설정과 해제 등을 담당하며, 상대측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호 설정 및 해제 메시지를 중앙 처리부(120)측에 보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에서 전용선 접속부(150)는 실제 통화로를 점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태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채널이 존재하여야 하므로,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B 채널과 제어용 메시지를 전송하는 D 채널이 존재하는 ISDN BRI 전용선(2B+1D)이나 ISDN PRI 전용선(30B+1D 또는 24B+1D)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제적인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나 인터페이스 자체적으로 데이타 채널이 존재하지 않고 일반 채널만 존재하는 전용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데이타 채널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모뎀이 설치된다.
스위칭부(160)는 중앙 처리부(12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용선망(200)을 통해 타측 사설 교환 시스템과 음성 및 데이터의 교환을 위한 스위칭을 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각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용선망(200)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개의 사설 교환 시스템(100A∼100D)이 실제 통화로를 점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A-1∼100A-N, 100B-1∼100B-N, … 100D-1∼100D-N)들의 상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상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를 등록하여야 한다.
일예를 들어, 사설 교환 시스템 A(100A)의 내선 가입자 접속부(110)에 접속되어 있는 임의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A-1) 사용자가 전용선망(200)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사설 교환 시스템 B(100B)의 도시되지 않은 내선 가입자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B-1)의 상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사설 교환 시스템 A(100A)에 접속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A-1)의 사용자는 송수화 수단을 오프 훅 한 다음 상태 정보 공유를 원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B(100B)에 접속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B-1)의 내선 번호를 자신 단말기의 유동 버튼에 등록하게 되면 사설 교환 시스템A(100A) 내의 중앙 처리부(120)는 내선 가입자 접속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해당 등록 정보를 분석한 후 메모리부(130)측에 저장한다(S101).
이후, 중앙 처리부(120)는 전용선 접속부(150)를 제어하여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A-1)에서 입력되는 상태 정보 공유를 요구하는 등록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구하면 전용선 접속부(150)는 해당 등록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 메시지로 변환하여 데이타 채널을 통해 전용선 망(200)으로 전송한다(S102).
이때,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해 등록되어진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B-1)를 접속하고 있는 사설 교환 시스템 B(100B)의 도시되지 않은 전용선 접속부는 전용선망(200)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해당 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후 도시되지 않은 자신의 중앙 처리부측에 등록 메시지의 등록 사실을 통지하면, 중앙 처리부는 해당 정보를 도시되지 않은 자신의 메모리부측에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B-1)를 상태 공유 가입자 단말기로 등록한다(S103).
상기와 같이 사설 교환 시스템B(100B)가 도시되지 않은 자신의 내선 가입자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B-1)를 상태 공유 가입자 단말기로 등록한 후 도시되지 않은 중앙 처리부는 내선 가입자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전체 가입자 단말기(100B-1∼100B-N)들에 대한 상태 변화의 발생을 감시한다.
이때, 임의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서 상태 변화, 일 예를 들어 특정 상대방과 통화를 하거나 착신 거부의 등록 또는 부재중 등록을 하게 되면 도시되지 않은 중앙 처리부는 내선 가입자 접속부로부터 검출되는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가 자신의 메모리부에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해 등록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S104).
상기 S104에서 상태 변화의 발생이 검출된 내선 가입자 단말기가 자신의 메모리부에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해 등록한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B-1)인 것으로 판단되면 등록된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B-1)에 발생된 상태 변경 정보를 전용선망(200)을 통해 접속되는 타측 사설 교환 시스템(100A,100C,100D)과 공유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전용선 접속부측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B-1)의 상태 변경 정보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설 교환 시스템B(100B)측의 도시되지 않은 전용선 접속부는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등록된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B-1)에 대한 상태 변경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방송의 형태로써 전용선망(200)으로 전송한다(S105).
이때, 전송되는 상태정보는 음성 채널을 점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이타 채널을 통해 전송되어 진다.
이후, 전용선망(200)에 접속되어 있는 사설 교환 시스템(100A,100C,100D) 각각은 전용선 접속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설 교환 시스템B(100B)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B-1)의 상태 정보를 검출한 후 중앙 처리부측에 인가하면 중앙 처리부는 내선 가입자 접속부를 통해 사설 교환 시스템B(100B)에 접속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100B-1)에 대한 상태 정보, 즉 현재 통화 할 수 없는 정보를 전체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LED를 점등시켜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지시하여 준다(S106).
따라서, 전용선망(200)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개의 사설 교환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 각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서 지시되는 메시지를 확인하여 통화를 원하는 상대측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되어 한번의 호 접속 요구를 원하는 통화를 실행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전용선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개 사설 교환 시스템의 전체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나, 전용선망의 과부하를 방지하지 위하여 등록된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해서만 상태 변경 정보를 공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용선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개의 사설 교환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한번의 호 접속 요구로 원하는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를 원하는 상대측 내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는 이유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통화량을 최소화시켜 통신 비용을 절감하고 전용선망의 사용에 효율성을 제공한다.

Claims (5)

  1. 사설 교환 시스템이 전용선망을 통해 접속되는 경우 데이타 채널을 통해 전체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공유하여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표시수단을 통해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설 교환 시스템은 복수개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를 정합하여 각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감지 보고하고 호 설정 및 해지를 실행하는 내선 가입자 접속부와;
    상기 사설 교환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전체 블록의 기능을 제어 및 중재하고, 검출되는 상태 정보가 공유를 위해 등록된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내선 가입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등록 정보와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해 등록되는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중앙 처리부의 억세스 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등록 정보를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사설 교환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반적인 톤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톤 발생부와;
    전용선망을 정합하며, 중앙 처리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용선망을 통한 호 설정 및 해제 등을 담당하며, 등록된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 메시지로 전송시키는 전용선 접속부 및;
    상기 중앙 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용선망을 통해 타측 사설 교환 시스템과 음성 및 데이터의 교환을 위한 스위칭을 담당하는 스위칭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선 접속부는 실제 통화로를 점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태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채널이 존재하여야 하므로 자체적으로 데이타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전용선을 사용하는 경우 데이타 송수신을 실행 할 수 있는 모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4. 전용선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개의 사설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사설 교환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오프 훅하여 상태 정보 공유를 원하는 타측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를 지정하면 자신을 담당하고 있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중앙 처리수단이 이를 감지하여 메모리수단에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번호를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단말기로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상태 정보 공유 요구를 전용선망을 통해 지정된 프로토콜로서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를 담당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측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 공유가 요구되는 해당 가입자 단말기를 담당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중앙 처리수단은 전용선망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번호를 상태 공유 가입자로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와 같이 상태 공유 가입자 단말기의 번호가 등록되면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서 상태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변화가 발생되면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를 담당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중앙 처리수단은 발생된 상태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용선망을 통해 전송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용선망을 통해 임의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가 전용선망에 접속되는 사설 교환 시스템에 수신되는 경우 해당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자신의 담당하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측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에서 등록된 내선 가입자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상태 정보를 전용선망을 통해 타측 사설 교환 시스템측에 전송할 시 방송 방식을 이용한 전송을 실행하여 전용선망에 접속되는 전체의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방법.
KR1019990044447A 1999-10-14 1999-10-14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 KR10033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447A KR100331242B1 (ko) 1999-10-14 1999-10-14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447A KR100331242B1 (ko) 1999-10-14 1999-10-14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123A true KR20010037123A (ko) 2001-05-07
KR100331242B1 KR100331242B1 (ko) 2002-04-06

Family

ID=1961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447A KR100331242B1 (ko) 1999-10-14 1999-10-14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112B1 (ko) * 2001-12-28 200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사설교환기의 blf 정보 관리방법
KR101006023B1 (ko) * 2008-10-29 2011-01-06 (주)제너시스템즈 호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112B1 (ko) * 2001-12-28 200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사설교환기의 blf 정보 관리방법
KR101006023B1 (ko) * 2008-10-29 2011-01-06 (주)제너시스템즈 호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1242B1 (ko) 200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964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가입자 그룹 서비스방법
KR0153871B1 (ko) 호출-대기-인터럽트 규제 자동제어방법 및 교환기
KR100222734B1 (ko) 발신 전용 휴대 전화 시스템을 이용한 사설 교환기용 무선 정합 장치
US608843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networking a plurality of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s using ISDN lines
KR20010037123A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
KR100228310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
KR0151482B1 (ko) 아이 에스 디 엔의 호중계 장치
KR100271518B1 (ko) 음성메시징시스팀을 이용한 원격착신호전환서비스 방법
KR0175585B1 (ko)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간 통화 예약 방법
KR20010057113A (ko) 지능망 교환 시스템에서 발신 번호 메일 통지 서비스 방법
JPH02260749A (ja) 交換装置
KR20020012987A (ko) 유무선 복합 사설망의 호 다중착신방법
KR20010028208A (ko) 내선 가입자의 호를 전환하여 보류시키는 방법
KR0148554B1 (ko) 사설 isdn망 간이 교환기의 방송호출 통화형성방법
KR10026337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 그룹간 호 전환방법
KR10025251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호 재착신방법
KR100590861B1 (ko)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전환시키는 방법
KR100331467B1 (ko) 교환기와 넘버 세븐 신호 방식으로 정합된 부가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242699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리셋 호 서비스 방법
JP3234698B2 (ja) Isdn交換機および端末
KR100267849B1 (ko) 알투신호를적용한자동전용네트워크다이얼링방법
KR100302335B1 (ko) 사설교환 시스템의 큐 시그널링을 이용한 국선 공유 방법
JPH0964983A (ja) Isdn中継線による付加情報転送サービス方法
JPS63102449A (ja) 局側発呼者による自動転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