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361B1 -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361B1
KR100464361B1 KR1019970076098A KR19970076098A KR100464361B1 KR 100464361 B1 KR100464361 B1 KR 100464361B1 KR 1019970076098 A KR1019970076098 A KR 1019970076098A KR 19970076098 A KR19970076098 A KR 19970076098A KR 100464361 B1 KR100464361 B1 KR 100464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call forwarding
call
forwarding function
switch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120A (ko
Inventor
정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7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3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무응답 내선에 대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일정 시간 동안에 응답이 없는 내선에 대해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지정된 내선으로 자동 착신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가입자에 의해 무응답 착신 전환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에 의한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한 내선이나 내선 그룹으로 착신이 전환되도록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가입자가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무응답인 내선에 대한 착신을 지정된 내선으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본 발명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착신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내선에 대한 자동 착신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착신호 전환 기능은 착신되는 모든 착신호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외부 전화 가입자에게로 혹은 미리 지정된 내선 가입자에게로 착신 전환되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종래 사설 교환시스템에서는 내선 가입자가 착신 전환 기능을 미리 설정해두어야만, 일정 시간 동안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 착신 전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사설 교환시스템에서는 내선 가입자가 무응답 착신 전환을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에 일정 시간 동안 응답하지 않더라도 착신 전환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발신자는 착신측의 상황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지정한 내선으로 자동 착신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가입자가 착신 전환 기능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지정된 내선으로 착신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착신 전환 기능을 설정되지 않은 내선 가입자로 착신된 호를 지정된 내선 그룹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가입자에 의해 무응답 착신 전환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에 의한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한 내선이나 내선 그룹으로 착신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 교환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제어부100과 메모리101과 국선접속부102와 스위칭부103과 DTMF수신부104와 DTMF송신부105와 가입자접속부106과 링발생부107과 톤발생부108과 내선 가입자의 전화기111∼11n와 제어단말기120과 타이머130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 교환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00은 사설 교환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10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의 제어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0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내선에 대한 자동 착신 전환하기 위한 내선 또는 내선 그룹을 저장한다. 국선접속부102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국선을 통해 접속되는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스위칭부103으로 전송한다. 스위칭부103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국선접속부102 및 내선접속부106간의 통화로를 스위칭한다. DTMF수신부104는 제어부100과 스위칭부103와 연결되며, 스위칭부130으로부터 출력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DTMF송신부105은 제어부100과 스위칭부103과 연결되면,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DTMF신호를 스위칭부103으로 출력한다. 가입자접속부106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110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접속된 전화기111∼11n로 전송하고, 상기 접속된 전화기111∼11n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스위칭부103으로 전달한다. 링발생부107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국선접속부102 또는 가입자접속부106의 특정 전화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을 때 링신호를 생성하여 가입자접속부106을 통해 접속된 전화기111∼11n로 전달한다. 톤발생부108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부103으로 전달한다. 전화기111∼11n은 내선 가입자의 단말기이다. 제어단말기120은 제어부100을 통해 사설 교환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타이머130은 시계칩IC로서 현재의 시간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0으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21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가입자접속부106을 통해 내선 또는 국선으로부터 소정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이 있는 경우 제22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링발생부107을 제어하여 링신호를 생성하여 가입자접속부106을 통해 상기 착신된 내선으로 링신호를 송출한다. 제23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착신된 내선에 대한 사용자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사용자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제24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사용자 착신 전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지정된 내선 번호를 참조한다. 이와 달리, 상기 사용자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25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시스템에서 자체적인 착신 전환 기능에 의해 지정된 내선 번호를 참조한다. 제26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가입자접속부106을 통해 상기 착신된 내선으로 링송출에 대해 타이머130을 세팅한다. 제27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세팅된 타이머130을 참조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28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가입자접속부106을 통해 상기 착신된 내선으로 송출되는 링신호를 해제한다. 제29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가입자접속부106을 제어하여 상기 제240단계 또는 제250단계에서 참조한 착신 전환에 의해 지정된 내선 번호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무응답 착신 전환 기능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라도, 자동으로 착신 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 가입자가 착신 전환 기능을 일일이 지정해두지 않더라도 무응답인 착신에 대해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 교환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착신 전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2)

  1. 사용자 착신 전환 기능의 설정에 따른 전환하고자 하는 내선 번호와, 시스템 자체적인 착신 전환 기능에 의한 전환하고자 하는 내선 번호를 저장하는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소정 내선에 대한 착신 여부를 판단하여 착신된 내선으로 링신호를 송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착신된 내선에 대한 사용자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사용자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착신 전환 내선 번호를 참조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사용자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시스템 자체적인 착신 전환 기능에 의한 내선 번호를 참조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착신된 내선으로 링신호가 송출된 후에 일정 시간 이상이 경과되면, 상기 링신호의 송출을 해제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3과정 또는 상기 제4과정에서 참조한 내선 번호로 착신을 전환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착신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과정에서는,
    상기 사용자 착신 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시스템 자체적인 착신 전환 기능에 의한 내선 번호로 착신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착신 전환 방법.
KR1019970076098A 1997-12-29 1997-12-29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KR100464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98A KR100464361B1 (ko) 1997-12-29 1997-12-29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98A KR100464361B1 (ko) 1997-12-29 1997-12-29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120A KR19990056120A (ko) 1999-07-15
KR100464361B1 true KR100464361B1 (ko) 2005-04-06

Family

ID=3730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098A KR100464361B1 (ko) 1997-12-29 1997-12-29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692B1 (ko) * 1998-12-30 200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착신 전환 시간 자동 조정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7157A (ja) * 1990-01-22 1991-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構内交換機の不応答転送装置
JPH09163433A (ja) * 1995-12-05 1997-06-20 Hitachi Telecom Technol Ltd 構内交換機における着信転送方式
KR19990005628A (ko) * 1997-06-30 1999-01-25 윤종용 내선 시스템 직접 접속 기능을 통한 사설 교환기에서 착신호 전환 방법
KR0164370B1 (ko) * 1995-06-20 1999-02-01 김광호 사설교환장치에서 디사 라인을 통한 착신 전환 방법
KR19990016137A (ko) * 1997-08-13 1999-03-05 윤종용 발신자 전화번호가 제공되는 사설교환기에 연결된디지털폰에서 착신 전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7157A (ja) * 1990-01-22 1991-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構内交換機の不応答転送装置
KR0164370B1 (ko) * 1995-06-20 1999-02-01 김광호 사설교환장치에서 디사 라인을 통한 착신 전환 방법
JPH09163433A (ja) * 1995-12-05 1997-06-20 Hitachi Telecom Technol Ltd 構内交換機における着信転送方式
KR19990005628A (ko) * 1997-06-30 1999-01-25 윤종용 내선 시스템 직접 접속 기능을 통한 사설 교환기에서 착신호 전환 방법
KR19990016137A (ko) * 1997-08-13 1999-03-05 윤종용 발신자 전화번호가 제공되는 사설교환기에 연결된디지털폰에서 착신 전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120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254B1 (en) Personal portable apparatus for use in completing a telephone call
KR19980077411A (ko) 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시 발신자 이름 표시 방법
US68737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nouncing a message through a private branch exchange
KR100464361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KR10024188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과 통화중인 국선 호의 전환 방법
KR100582569B1 (ko) 내선 가입자의 호를 전환하여 보류시키는 방법
JPH0683297B2 (ja) デイジタル電話機
KR0158115B1 (ko) 무선 사설교환기에서의 착호전환 처리방법
KR100202146B1 (ko) R2mfc신호를 이용한 사설교환망 및 그 운용방법
KR100320275B1 (ko) 위성통신시스템용 아날로그 트렁크 인터페이스장치
KR0175585B1 (ko) 키폰시스템에서 전용선간 통화 예약 방법
KR0164403B1 (ko) 교환시스템에서 내선번호 번역에 의한 통화방법
KR100238543B1 (ko)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KR100239175B1 (ko) 전화기에서 착신 정보를 등록된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RU2040861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елефонный концентратор
KR100299042B1 (ko) 사설교환기에서 아날로그 트렁크를 이용한 네트워킹 시 호 전환방법
KR19990018360A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자동 네트워크 다이얼링 예약방법
KR100234089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연속 전환방법
KR950004413B1 (ko)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간의 상호 가입자 호출방법
KR100297288B1 (ko) 교환시스템의국선군기능제어방법
KR100464362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픽업 방법
KR19990056225A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내선간 문자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KR19990056119A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통화중인 가입자에게 통화요청하는 방법
KR19990054380A (ko) 키폰시스템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
JPH03278667A (ja) 通話回線設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