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755A - 단말기에 개별번호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에 개별번호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755A
KR20020010755A KR1020000044187A KR20000044187A KR20020010755A KR 20020010755 A KR20020010755 A KR 20020010755A KR 1020000044187 A KR1020000044187 A KR 1020000044187A KR 20000044187 A KR20000044187 A KR 20000044187A KR 20020010755 A KR20020010755 A KR 20020010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dtmf
cal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영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2000004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0755A/ko
Publication of KR2002001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7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07Control equipment for part of th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405Dual frequency signaling, DTM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단말기를 사용할 때에 교환기나 또는 해당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를 증설하지 않고서도 다수의 단말기에 개별적인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입호시에는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의 동일한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 전체에 링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며 해당 송수화기를 먼저 드는 단말기가 호통화를 하는 방식으로 한다. 또한, 해당 교환기의 가입자 단자의 수는 제한되므로, 접속된 단말기 수가 많을 경우는 비용이 많이드는 교환기 또는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의 증설을 하지 않고는 다수의 단말기에 개별적인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한정된 단말기에만 개별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는 교환기에 다수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교환기나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를 증설하지 않고 서도 브릿지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여 각 단말기에 개별적인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기에 개별번호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Bridge apparatus and method for give a phone number to each telephone }
본 발명은 브릿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단말기를 사용할 때에 교환기 또는 해당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를 증설하지 않고서도 다수의 단말기에 개별적으로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사용되는 교환기에는 일정수의 외부전화회선을 모든 직원이 공유하고, 해당 교환기는 내선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 사용자들간에 전화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준다. 교환기에서 하나의 가입자 단말에 다수의 단말기를 브릿지 접속하는 경우에는, 통상 다수의 단말기가 하나의 단말기 식별번호로 연결되며, 따라서 입호시에는 동일한 가입자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단말기 전체에 링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먼저 송수화기를 드는 단말기로 통화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하나의 가입자 단자에 다수의 단말기를 브릿지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 첨부한 도면 도1과 같이 교환기의 가입자 라인 보드(10)에 다수의 단말기(11~14)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10)는 입호 또는 출호되는 호의 연결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단말기(11~14)는 송수화기를 통하여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비이다.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10)에 대한 단말기(11~14)의 연결은 동일한 가입자 단자에 다수의 단말기(11~14)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 하는데, 통상적으로 약 2∼8대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다. 해당 단말기(11~14)의 동작은 독립적이지만 가입자 라인 보드(10)의 동일한 가입자 단자에 함께 연결되어 있어서 다수의 단말기(11~14)를 하나의 단말기 식별번호로 구분을 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입호시에는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10)의 동일한 가입자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11~14) 전체에 링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므로, 해당 송수화기를 먼저 훅오프하는 단말기가 호통화를 하는 방식으로 한다. 또한, 해당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는 제한되어 있으므로, 단말기가 많을 경우는 비용이 많이드는 교환기 또는 해당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10)의 증설을 하지 않고는 다수의 단말기에 개별적인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환기에 다수의 단말기를 브릿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고가의 교환기나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를 증설하지 않고서도 한정된 단말기에 대하여 개별적인 식별번호를 부여하도록 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가입자 라인 보드에 다수의 단말기가 연결된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3은 도2의 링차단부의 통화대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
도4는 도2의 링차단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가입자 라인 보드, 11 ~ 14, 27 ~ 30 : 단말기,
21 :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송신부,
22 : 브릿지 장치, 23 : DTMF수신부, 24 : 제어부,
25 : 링차단부, 26 : 오프훅감지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교환기에 실장되어 링신호 송출시에 DTMF신호를 합성하여 전송하는 DTMF송신부와, 상기 DTMF송신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는 DTMF수신부와, 상기 DTMF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따라 단말기로의 링신호 연결을 전환하는 링차단부와, 호통화후 단말기의 통화해제완료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오프훅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로의 링신호 송출시에 DTMF신호를 합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DTMF 신호를 분석하여 단말기 식별번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된 단말기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로만 링신호를 전송하여 통화케하는 과정과, 호통화가 이루어져 통화를 한 후에 단말기의 송수화기를 오프훅하면 해당 통화 해제완료를 검출하여, 통화대기 상태로 복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장치(2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라인 보드(20)에 설치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송신부(21), DTMF수신부(23), 링차단부(25), 오프훅(Off-Hook)감지부(26), 제어부(24)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2는 4대의 단말기(27~30)를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장치(22)를 이용하여 접속한 경우이며 각 회로부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환기의 가입자 라인 보드(20)에 설치되는 DTMF송신부(21)는 입호시에 DTMF신호를 링신호에 실어 전송하는 기능을 하며, 이 때 DTMF 신호는 7개의 주파수로 이루어져 높은 주파수와 낮은 주파수를 조합하여 단말기를 식별하는 디지트를 구성하여 송출한다. DTMF수신부(23)는 해당 DTMF송신부(2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부(24)로 전송한다. 링차단부(25)는 릴레이를 제어하여 해당 단말기(27)에 통화로를 연결시켜 호통화를 하게 한다. 오프훅감지부(26)는 입호나 출호하여 호통화를 마친후 송수화기를 내려 놓았을 때 통화해제완료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24)로 전송한다. 제어부(24)는 입호시에는 상기 DTMF수신부(23)에서 분석한 신호에 따라 링차단부(25)의 릴레이를 제어하며, 통화의 종료후에는 상기 오프훅감지부(26)에서 전송하는 통화해제완료 신호로 링차단부(25)의 릴레이를 제어 한다.
또한, 브릿지장치(22)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호통화 요구가 교환기의 가입자 라인 보드(20)로 전송되면 DTMF송신부(21)는 단말기로의 링신호 송출시에 호통화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합성하여 링신호에 실어 DTMF수신부(23)로 전송한다. 이에, DTMF수신부(23)는 해당 DTMF송신부(21)로부터 입력된 DTMF신호를 분석하여 어떤 단말기 식별번호가 호출되는 지를 판별하여 제어부(24)로 전송한다. 해당 제어부(24)에서는 링차단부(25)의 릴레이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데, 해당 단말기 식별 번호 외의 다른 단말기 식별번호를 가지는 릴레이를 오픈시키는 신호를 만들어 링차단부(25)에게 전송한다. 링차단부(25)는 릴레이로 구성되며, 통화 대기시에는 단말기(27~30)와 가입자 라인 보드(20)의 팁(Tip) 라인과 링신호 라인이 연결되어 있고, 호통화를 이루기 위한 단말기 식별번호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호통화 단말기(27) 이외의 단말기(28~30)에 대해서는 릴레이를 오픈하여 통화로를 차단하여 해당 단말기 식별 번호를 부여받은 단말기(27)만 호통화를 하게된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3과 도면 도4를 참조하여 링차단부(25)의 릴레이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도3은 해당 링차단부(25)의 릴레이가 모두 연결된 상태로 호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통화의 대기를 나타내는 상태이다.
도면 도4는 단말기 식별번호1로 호통화가 이루어진 상태이며, 해당 단말기 식별번호1 이외의 다른 단말기 식별번호2, 3, 4의 단말기는 링차단부(25)의 릴레이를 제어하여 오픈시켜 통화로를 차단한 것이다. 해당 단말기 식별번호1로 호통화 후에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오프 훅하면 오프훅감지부(26)는 해당 단말기 식별 번호1에서 해당 통화해제완료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4)로 전송한다. 해당 오프훅감지부(26)로부터 입력된 통화해제완료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24)는 통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링차단부(25)의 릴레이를 모든 단말기에 연결시켜 통화로를 복구시킨다.
한편, 브릿지 장치의 전체 동작의 순서를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호통화 요구신호가 전송되면 교환기의 가입자 라인 보드(20)에 설치되는 DTMF송신부(21)는 링신호 송출시에 호통화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합성하여 DTMF수신부로 전송 한다(스텝 S50, S51). DTMF신호를 수신한 DTMF수신부(23)는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단말기 식별 번호를 판단하여 제어부(24)로 전송한다(스텝 S52). 이에, 해당 제어부(24)는 DTMF수신부(23)에서 입력한 신호에 의하여 링차단부(25)를 제어하여 호통화 요구를 받은 단말기는 연결시키고 그외의 단말기는 통화로를 차단함으로써, 해당 호통화 요구를 받은 단말기로만 링신호를 전송하여 통화가 가능케한다(스텝 S53, S54). 한편, 호통화가 이루어져 통화를 한후에 단말기의 송수화기를 오프훅하면 오프훅감지부(26)에서 통화해제완료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24)로 전송하면, 해당 제어부(24)는 링차단부(25)의 릴레이를 모든 단말기에 연결하여 통화대기 상태로 복구시킨다(스텝 S55, S56).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에 다수의 단말기를 브릿지하여 사용하는 경우, 교환기나 교환기에 실장되는 가입자 라인 보드를 증설하지 않고 서도 각 단말기에 개별적인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교환기에 실장되어 링신호 송출시에 DTMF신호를 합성하여 전송하는 DTMF송신부와,
    상기 DTMF송신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는 DTMF수신부와,
    상기 DTMF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단말기로의 링신호 연결을 전환하는 링차단부와,
    호통화후 단말기의 통화해제완료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오프훅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개별번호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
  2. 단말기로의 링신호 송출시에 DTMF신호를 합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DTMF 신호를 분석하여 단말기 식별번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된 단말기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로만 링신호를 전송하여 통화케하는 과정과,
    호통화가 이루어져 통화를 한 후에 단말기의 송수화기를 오프훅하면 해당 통화 해제완료를 검출하여, 통화대기 상태로 복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개별번호 부여하는 브릿지 방법.
KR1020000044187A 2000-07-31 2000-07-31 단말기에 개별번호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 KR20020010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187A KR20020010755A (ko) 2000-07-31 2000-07-31 단말기에 개별번호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187A KR20020010755A (ko) 2000-07-31 2000-07-31 단말기에 개별번호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755A true KR20020010755A (ko) 2002-02-06

Family

ID=1968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187A KR20020010755A (ko) 2000-07-31 2000-07-31 단말기에 개별번호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07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9536A (zh) * 2020-04-21 2020-09-15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视联网的号码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9536A (zh) * 2020-04-21 2020-09-15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视联网的号码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8178A (en) Wireless telephone apparatus including both a telephone handset and a telephone headset
CN101674378B (zh) 一种可自动切换通话线路的无线固定终端及切换方法
EP0899928B1 (en) Communication method i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20010755A (ko) 단말기에 개별번호 부여하는 브릿지 장치와 방법
JPH0234047A (ja) 無線電話装置
JPH09331555A (ja) 伝送装置
KR100206304B1 (ko) 내부 호 처리가 가능한 원격가입자 수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69742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디아디 기능을 이용한 디자 전용 국선설정 방법
JP3092332B2 (ja) 無線端末制御装置
KR100584353B1 (ko) 발신자 식별코드를 이용한 착신 알림방법
KR100270736B1 (ko) 패어지정을 통한 사설교환시스템의 내선 단말 호 처리 방법
KR100229021B1 (ko) 전화기에서 라인상태 알림 음성메시지 송출방법
JP3334527B2 (ja) 電話装置
KR100239175B1 (ko) 전화기에서 착신 정보를 등록된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KR100666944B1 (ko) 각종 디지털 가입자 회선 시스템에서 착신시 발생되는고주파 신호 제거 장치
JP2000134356A (ja) 回線選択装置
KR100247178B1 (ko) 교환기에서 착신호와 발신호의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JP4749272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238543B1 (ko)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JP2776066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
JP2003073047A (ja) エレベータ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20092535A (ko) 전화 연결 장치
JPH06177986A (ja) 自動交換機の会議トランクの外線着信呼切断方法及びその切断装置
JPS6313532A (ja) 無線ネツトワ−ク制御方式
KR20000042239A (ko) 국선자동 착신기능을 이용한 국선 발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