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536B1 - 프레스성이 양호한 Fe-Cr-Ni계 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스성이 양호한 Fe-Cr-Ni계 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536B1
KR100237536B1 KR1019970022507A KR19970022507A KR100237536B1 KR 100237536 B1 KR100237536 B1 KR 100237536B1 KR 1019970022507 A KR1019970022507 A KR 1019970022507A KR 19970022507 A KR19970022507 A KR 19970022507A KR 100237536 B1 KR100237536 B1 KR 100237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material
grain size
manufacturing
electron gun
surface r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495A (ko
Inventor
마시히로 츠치
요시히로 오제키
Original Assignee
사카모토 타카시
닛코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5071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3753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사카모토 타카시, 닛코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카모토 타카시
Publication of KR98000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성이 양호한 전자총 부품용 Fe-Cr-Ni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과 개발을 과제로한 것이며, 중량%로서, Cr15∼20%, Ni9∼15%, 나머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합금소재를 최종어닐링에 의해서 결정입도가 오스테나이트결정입도로 표시해서 No.7∼12이도록 조정하고 그리고 기계적인 표면연마 또는 압연에 의해 중심선평균거칠기(Ra)가 0.05∼0.25㎛ 또한 최대높이(Rmax)가 3.5㎛이 하이도록 소재표면거칠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스성이 양호한 Fe-Cr-Ni계 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프레스성이 양호한 Fe-Cr-Ni계 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전자총부품, 예를 들면 전자총전극재료에 사용되는 비자성스테인레스강에 있어서 드로잉가공을 위한 프레스가공성을 향상시킨 Fe-Cr-Ni계 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관 등에 사용되는 전자총부품은, 판두께 0.05∼0.5mm정도의 비자성 스테인레스강인 Fe-Cr-Ni계 합금재를 프레스가공에 의해 소정형상으로 드로잉 가공됨으로써 만들어진다.
드로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히 버링성형(둥근구멍을 뚫어서 가장자리를 내는 방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압연가공률이나 어닐링조건을 검토한 기술(일본국 특원평 6-257253)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프레스가공속도의 향상이 한층더 추구되는 동시에, 프레스할 때에 사용되는 오일도 저점도이고 탈지하기 쉬운 것이 사용되는 경향에 있고, 드로잉 가공에 있어서는 드로잉가공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운 까다로운 조건이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재료에서는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없고, 프레스가공성의 더 한층의 개선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프레스의 양호한 전자총부품용 Fe-Cr-Ni계 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의 개발이다.
이러한 과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Fe-Cr-Ni계 합금소재에 있어서, 결정입도를 오스테나이트결정입도로서 7.0∼12.0으로 하고, 금속표면의 거칠기를 중심선평균거칠기(Ra)로서 0.05∼0.25㎛, 최대높이(Rmax)로서 3.5㎛이하로 하므로써, 드로잉가공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종래, 드로잉가공성과의 관련에서 표면거칠기의 정량화, 또한 Ra, Rmax의 2개의 지표의 정량화에 의해 개선이 얻어진다는 지견은 없다.
이 지견에 의거해서, 본 발명은,
(1) 중량%로서, Cr15∼20%, Ni9∼15%, 나머지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합금소재로서, 결정입도가 오스테나이트결정입도로 표시해서 No.7∼12이고 그리고 중심선평균거칠기(Ra)가 0.05∼0.25㎛ 또한 최대높이(Rmax)가 3.5㎛이하인 표면거칠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성이 양호한 전자총부품용 Fe-Cr-Ni계 합금소재, 및
(2) 중량%로서, Cr15∼20%, Ni9∼15%, 나머지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합금재를 최종어닐링에 의해서 결정입도가 오스테나이트결정입도로 표시해서 No.7∼12이도록 조정하고 그리고 중심선평균거칠기(Ra)가 0.05㎛∼0.25㎛ 또한 최대높이(Rmax)가 3.5㎛이하이도록 소재표면거칠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성이 양호한 전자총부품용 Fe-Cr-Ni계 합금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표면거칠기의 조절은, 기계적인 표면연마 또는 압연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프레스가공의 직전에 기계적인 표면연마를 실시하는 것이 추장된다.
본 발명의 전자총부품용 Fe-Cr-Ni계 합금소재의 합금성분한정이유 및 결정입도 및 표면거칠기의 한정이유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Cr) : 전자총용 부품으로서는 비자성이라는 것이 요구된다. 통상, 비자성이기 위해서는 투자율이 1.005이하인 것이 요구되고 있고, 이것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Cr량을 적정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그 성분범위를 15∼20%로 한다.
(Ni) : Ni가 9%보다 적으면 자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데다가, 가공성을 저해한다. 또 15%보다 많이 함유하는 경우도, 가공성이 저해되는 데다가 원가상승이 된다. 따라서 그 성분범위를 9∼15%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총부춤용 Fe-Cr-Ni계 합금소재는, 그 결정입도를 오스테나이트결정입도로 표시해서 7∼12로 조정된다. No.7∼12로 하는 이유는, 7보다 작으면 프레스할때에 프레스품표면에 거칠어짐이 발생하고, 12보다 크면 드로잉성이 저하하여, 갈라짐이 발생하기 쉽게되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의 전자총부품용 Fe-Cr-Ni계 합금소재는, 중심선평균거칠기(Ra)가 0.05∼0.25㎛ 또한 최대높이(Rmax)가 3.5㎛이하인 표면거칠기를 가진 것이 된다. 거칠기의 측정은 표면거칠기측정기에 의해서 행하였다.
중심선평균거칠기(Ra)를 0.05∼0.25㎛로 하는 이유는, 0.05㎛보다 작으면 프레스성의 개선이 확인되지 않고, 0.25㎛를 넘으면 프레스성의 개선을 포화하고, 반대로 표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이다.
최대높이(Rmax)를 3.5㎛이하로 하는 이유는 3.5㎛를 넘으면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프레스성의 개선을 볼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프레스성의 개선은, 프레스가공시에 재료표면의 오목볼록에 오일이 들어가고, 오일유지가 좋아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전자총부품용 Fe-Cr-Ni계 합금은,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해서 제조된다. 먼저 상기한 각 함유성분의 조성비를 만족시킨 합금성분을 용해, 주조하고, 이어서, 열간단조 또는 압연을 실시한 후, 냉간압연과 어닐링을 반복해서 소정의 두께로 마무리한다.
이때, 최종어닐링에 의해서 오스테나이트결정입도가 7∼12가 되도록 조정한다.
중심선평균거칠기(Ra) 및 최대높이(Rmax)의 조절은 최종판두께가 된 재료를 버프, 연마석, 커터 등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표면연마함으로써 실시할 수도 있고, 또 최종압연시에 표면거칠기를 조절함으로서도 실시할 수 있다.
표 1에 표시한 조성의 합금성분을 각각 용해해서 주괴(ingot)에 주조하고, 이어서, 열간압연을 실시한 후 냉간압연과 어닐링을 반복해서 판두께 0.4mm의 어닐링재를 제조했다.
이 어닐링재를 각종의 거칠기를 가진 연마재 및 SiC를 함침시킨 비행기용익포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표면연마를 행하였다.
또, 이것과는 별도로, 최종압연시에 각종의 거칠기를 가진 압연롤(덜롤)을 사용해서 압연하고, 표면거칠기가 다른 재료를 제조하고, 최종어닐링을 행한 것도 제조했다.
그리고, 이들 재료의 프레스성(드로잉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계드로잉비를 구했다. 이 한계드로잉비는, 하중디프드로잉성시험에 의해 컵벽강도와 플랜지변형력을 구하고, 그 교점으로부터 구한 것이다. 또한, 프레스시의 윤활제로서는 수용성 왁스를 사용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드로잉비 1.33에서 모든 공시재를 평저펀치를 사용해서 드로잉하고, 가공품에 표면거칠어짐이 있는지 어떤지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병기했다.
Figure kpo00001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합금 No.1∼4는, 비교합금 No.5∼8에 비해서 모두 한계드로잉비가 크고, 우수한 드로잉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비교합금 No.8과 비교해서 명백한 바와 같이 결정입도가 지나치게 크면(결정입도 No.가 6으로 작으면)표면거칠어짐의 발생이 확인되고, 프레스제품으로서는 부적당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Fe-Cr-Ni계 합금소재는, 프레스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엄격한 프레스조건에서 가공되어도 드로잉가공갈라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재료이다. 따라서, 전자총부품의 가공에 대한 금후의 엄격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Claims (5)

  1. 중량%로서, Cr15∼20%, Ni9∼15%, 나머지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합금소재로서, 결정입도가 오스테나이트결정입도로 표시해서 No.7∼12이고 그리고 중심선평균거칠기(Ra)가 0.05∼0.25㎛ 또한 최대높이(Rmax)가 3.5㎛이하인 표면거칠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성이 양호한 전자총부품용 Fe-Cr-Ni계 합금소재.
  2. 중량%로서, Cr15∼20%, Ni9∼15%, 나머지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합금재를 최종어닐링에 의해서 결정입도가 오스테나이트결정입도로 표시해서 No.7∼12이도록 조정하고 그리고 중심선평균거칠기(Ra)가 0.05㎛∼0.25㎛ 또한 최대높이(Rmax)가 3.5㎛이하이도록 소재표면거칠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성이 양호한 전자총부품용 Fe-Cr-Ni계 합금소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표면거칠기의 조절을 기계적인 표면연마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성이 양호한 전자총부품용 Fe-Cr-Ni계 합금소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프레스가공의 직전에 기계적인 표면연마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성이 양호한 전자총부품용 Fe-Cr-Ni계 합금소재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표면거칠기의 조절을 압연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성이 양호한 전자총부품용 Fe-Cr-Ni계 합금소재의 제조방법.
KR1019970022507A 1996-07-17 1997-05-31 프레스성이 양호한 Fe-Cr-Ni계 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237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205453A JP3095689B2 (ja) 1996-07-17 1996-07-17 プレス性の良好なFe−Cr−Ni系合金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96-205453 1996-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495A KR980009495A (ko) 1998-04-30
KR100237536B1 true KR100237536B1 (ko) 2000-01-15

Family

ID=1650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507A KR100237536B1 (ko) 1996-07-17 1997-05-31 프레스성이 양호한 Fe-Cr-Ni계 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95689B2 (ko)
KR (1) KR100237536B1 (ko)
TW (1) TW4540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4397B2 (ja) 1999-07-05 2007-06-06 日鉱金属株式会社 電子銃電極用Fe−Cr−Ni系合金素材
MY121162A (en) 1999-09-28 2005-12-30 Nippon Mining Co Fe-cr-ni alloy for electron gun electrodes and fe-cr-ni alloy sheet for electron gun electrodes.
JP3602752B2 (ja) 1999-09-29 2004-12-15 日鉱金属加工株式会社 プレス性の良好な電子銃電極用Fe−Cr−Ni系合金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2448A (ja) * 1991-12-27 1993-08-10 Nisshin Steel Co Ltd 改良された電子管用材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7813A (ja) * 1991-04-18 1993-05-14 Nisshin Steel Co Ltd 成形加工性および疲労特性に優れたメタルガスケツト用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17029B2 (ja) * 1994-09-28 2000-03-06 日鉱金属株式会社 ハイバーリング成形用非磁性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3206631B2 (ja) * 1994-10-12 2001-09-10 日鉱金属株式会社 ロ−ル転写性に優れた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2448A (ja) * 1991-12-27 1993-08-10 Nisshin Steel Co Ltd 改良された電子管用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95689B2 (ja) 2000-10-10
TW454045B (en) 2001-09-11
JPH1030157A (ja) 1998-02-03
KR980009495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5366C2 (ru) Высокопрочный стальной лист с повышенной устойчивостью к замедленному разрушению и низкотемпературной ударной вязкостью и высокопрочная деталь, изготовленная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EP2246451B1 (en) Hot forging micro alloyed steel and hot rolled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fracture splittability and machinability, and part thereof.
US6569270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metal article
EP0574814B1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ing in deep draw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513947B1 (ko) 프레스성이 양호한 구리 합금 소재 및 그 제조방법
EP1215298A2 (en) A high-streng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strip excellent in flatness of sha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114022B1 (ko)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박 및 그 제조 방법
KR950004936B1 (ko) 에칭 천공성이 우수하고 소둔시의 소부를 방지하며 가스발생을 억제하는 섀도우 마스크용 Fe-Ni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3436A (ko) 알루미늄 합금박 및 알루미늄 합금박의 제조 방법
JP2753115B2 (ja) 非磁性ステンレス鋼、テレビ受像機用ビーム案内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37536B1 (ko) 프레스성이 양호한 Fe-Cr-Ni계 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
EP0598358A1 (en) Aluminum alloy sheet suitable for high-speed form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391254B1 (en) Fe-Cr-Ni alloy for electron gun electrodes
JP2004068118A (ja) 精密打抜き加工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US5645654A (en) Nonmagnetic stainless steel for high bur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97041B1 (ko) 전자총 전극용 합금
EP0903419A1 (en) Thin steel plate of high rectangular tube draw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0543161C (zh) 压力加工性出色的磷青铜条
KR100405395B1 (ko) 전자총 전극용 Fe-Cr-Ni 계 합금 및 전자총전극용 Fe-Cr-Ni 계 합금판
JPH1030155A (ja) プレス性の良好なFe−Ni合金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883030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
JPH05337560A (ja) 絞り成形性に優れたプレス加工用薄板
US6103394A (en) Thi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rectangular drawabili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3670232B2 (ja) 精密打抜き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2005028453A (ja) 熱間圧延用ロール及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10321

Effective date: 200207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30000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10321

Effective date: 200207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905

Effective date: 2004010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203005906;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905

Effective date: 20040109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303000431;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202

Effective date: 200504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303000431;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202

Effective date: 20050429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