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930B1 - 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930B1
KR100236930B1 KR1019970031846A KR19970031846A KR100236930B1 KR 100236930 B1 KR100236930 B1 KR 100236930B1 KR 1019970031846 A KR1019970031846 A KR 1019970031846A KR 19970031846 A KR19970031846 A KR 19970031846A KR 100236930 B1 KR100236930 B1 KR 100236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recording
user
contents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433A (ko
Inventor
김신배
민건동
최용욱
송윤섭
허엽
기정국
김종윤
방지원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70031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930B1/ko
Publication of KR19990009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1Conversation recor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udio recordings in general
    • H04M2203/301Management of recor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도중에 통화내용의 녹음이나 메모가 필요할 때마다 통화내용을 녹음한 후에 이를 재청취할 수 있도록 한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주파수공용통신 단말기, 차세대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 및 발신전용 단말기 등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사용자가 통화내용 녹음기능을 가진 별도의 단말기를 구입하기 않고서도 통화내용 녹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교환기 내부나 교환기와 연결하여 녹음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통화하는 도중에 통화내용의 녹음이 필요하여 통화내용의 녹음을 요청하면 통화내용을 녹음한 후에 이를 재청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이동중에 통화할 경우에 사용자에게 큰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이용됨.

Description

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METHOD TO RECORD CONVERSATION ON TELECOMMUNICATION LIN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주파수공용통신(TRS) 단말기, 개인휴대통신(PCS) 단말기, 차세대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및 발신전용(CT-2) 단말기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도중에 통화내용의 녹음이나 메모가 필요할 때마다 통화내용을 녹음한 후에 이를 재청취할 수 있도록 한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선 전화기의 자동응답장치에서 통화내용을 녹음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고, 통화내용을 녹음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면 통화내용이 단말장치에 녹음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가 통화내용을 녹음하기 위해서는 각 사용자가 통화내용 녹음기능을 가진 자동응답장치를 전화기에 별도로 설치하거나, 통화내용 녹음기능을 가진 유선 전화기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다른 종래 기술로는 LG 정보통신주식회사에서 개발한 통화내용 저장기능을 가진 이동 단말기가 있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내용을 녹음할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특수 버튼을 눌러 통화내용을 녹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른 종래 기술은 이동 단말기에 통화내용을 녹음하기 위한 메모리를 많이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통화내용 녹음시간에 제한을 받을 수 있고, 이동 단말기의 밧데리를 빼거나 밧데리가 모두 소모되었을 경우에 녹음된 통화내용이 모두 지워지며, 통화내용의 녹음을 원하는 모든 사용자가 통화내용 녹음기능을 가진 이동 단말기를 새로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종래 기술은 통화내용의 녹음을 원하는 모든 사용자가 통화내용 녹음기능을 가진 단말기를 별도로 구입하여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가 통화내용 녹음기능을 가진 단말기를 구입하기 않고서도 통화내용 녹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주파수공용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 차세대이동통신 단말기 및 발신전용 단말기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사용자가 통화내용 녹음기능을 가진 별도의 단말기를 구입하기 않고서도 통화내용 녹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교환기 내부나 교환기와 연결하여 녹음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통화하는 도중에 통화내용의 녹음이 필요하여 통화내용의 녹음을 요청하면 통화내용을 녹음한 후에 이를 재청취할 수 있도록 한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화내용 녹음장치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화내용 녹음장치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호처리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녹음내용 확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11 : 기지국
12 : 교환기 13 : 통화내용 녹음장치
20 : 교환기 정합장치 21 : 호처리 및 제어장치
22 : 운용자 정합장치 23 : 디스크 제어장치
24 : 하드디스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화내용 녹음장치에 적용되는 통화내용 녹음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화내용 녹음서비스에 등록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가 통화하는 도중에 제1 소정의 버튼을 눌러 교환 시스템으로 통화내용의 녹음시작을 요청하면 상기 교환 시스템은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로 녹음시작을 명령하는 제 2 단계;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는 해당 가입자에 대한 통화내용 저장영역중 통화내용의 녹음을 계속할 수 있는 잔여영역이 남아있는지를 조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조사 결과, 잔여영역이 남아있지 않으면 녹음불가를 상기 교환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잔여영역이 남아있으면 통화내용의 녹음을 시작하는 동시에 녹음시작을 상기 교환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 4 단계; 상기 사용자가 통화하는 도중에 통화내용의 녹음정지를 요청하면 통화내용의 녹음을 정지하는 제 5 단계; 및 통화종료 후에 상기 사용자의 녹음내용 청취, 보존 또는 삭제 요청에 따라 녹음내용을 읽어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녹음내용을 보존 또는 삭제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제 5 단계 수행 후,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에 상기 사용자의 저장영역이 남아 있는 한 한번의 통화중에 상기 제 2 단계 내지 제 5 단계를 상기 사용자의 요청 횟수만큼 반복 수행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화내용 녹음장치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예시도로서, 이동통신에서의 통화내용 녹음서비스를 위하여 이동통신 교환기(12)에 통화내용 녹음장치(13)를 연동시킨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녹음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10), 이동통신 기지국(11), 이동통신 교환기(12) 및 통화내용 녹음장치(13)로 이루어지는데, 이동 단말기(10)로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를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이동통신 교환기(12)의 호처리 기능이 후술되는 도 3 과 같이 일부 변경되며, 통화내용 녹음장치(13)가 이동통신 교환기(12)에 연동되어 설치된다. 사용자는 통화내용의 녹음을 원할 때는 "*+센드(SEND)"를 눌러 통화내용의 녹음을 요청하고, 통화내용의 녹음정지를 원할 때는 "#+센드(SEND)"를 눌러 통화내용의 녹음정지를 요청한다. 이때, 이동통신 교환기(12)는 "*"와 "#"을 검출하여 통화녹음 시작명령 및 통화녹음 정지명령을 통화내용 녹음장치(13)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녹음장치(13)은 이동통신 교환기(12)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12)와는 별도로 구축되어 이동통신 교환기(12)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통화 도중에 통화내용의 녹음을 원하면 특수 버튼을 누른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의 경우에는 "*+센드"를 누른다. 그러면, 통화내용 녹음장치(13)는 "녹음시작" 또는 "삐"음을 이동통신 교환기(1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들려주므로써 통화내용의 녹음이 시작됨을 알린다. 한편, 사용자는 통화내용의 녹음정지를 원하면 다른 특수 버튼을 누른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의 경우에는 "#+센드"를 누른다. 그러면, 통화내용 녹음장치(13)는 "녹음정지" 또는 "삐삐"음을 이동통신 교환기(1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들려주므로써 통화내용의 녹음이 정지됨을 알린다.
통화내용 녹음장치(13)는 서비스 가입자마다 저장영역을 마련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의 통화내용을 저장한다. 사용자는 통화 도중에 수차례에 걸쳐서 통화내용을 저장 및 정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가 종료된 후에 통화내용을 확인하고 싶으면 특수 버튼(예를들어 이동통신의 경우에는 "*90+센드")을 눌러 통화내용 녹음장치(13)에 접속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 다음에 안내방송에 따라 통화내용 확인, 통화내용 삭제 및 통화내용 보존 등의 메뉴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화내용 녹음장치의 구성예시도이다.
이동통신 교환기(12)와 통화내용 녹음장치(13) 사이는 교환기 정합장치(20)에 의해 T1 또는 E1으로 정합되고, 신호방식은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channel)를 사용한다.
호처리 및 제어장치(21)는 이동통신 교환기(12)로부터 명령을 수신받아 이 명령이 통화내용 녹음명령인지 녹음정지명령인지를 분석하여 각 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기(12)에 수신확인 응답(ACK)을 보내고, 디스크 제어장치(23)를 제어하여 통화내용 녹음 및 녹음정지가 수행되도록 한다.
운용자 정합장치(22)는 통화내용 녹음장치(13)의 운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운용자의 명령으로는 통화내용 녹음장치의 내부통계, 내부상태, 내부 프로세스의 상태 등을 파악하거나 녹음시간의 조절, 녹음내용의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크 제어장치(23)는 호처리 및 제어장치(21)와 운용자 정합장치(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통화내용을 저장하거나 통화내용을 읽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드디스크(24)는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장치로 활용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호처리 흐름도이다.
통화내용 녹음서비스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통화를 시작하여(31) 통화하는 도중에(32) "*+센드"를 눌러 이동통신 교환기(12)로 통화내용의 녹음시작을 요청하면(33) 이동통신 교환기(12)는 "*"을 검출하고 사용자가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가입자인지를 검사하여 녹음서비스 가입자가 아니면 서비스불가를 안내방송으로 통보하고 녹음서비스 가입자이면 통화내용 녹음장치(13)로 녹음시작을 명령한다.
통화내용 녹음장치(13)는 해당 가입자에 대한 통화내용 저장영역중 통화내용의 녹음을 계속할 수 있는 잔여영역이 남아있는지를 조사하여(35) 잔여영역이 남아있지 않으면 녹음불가를 이동통신 교환기(12)로 통보하고(36), 이동통신 교환기(12)는 통화채널을 통하여 가입자에게 녹음불가를 통보한다(37). 만약, 잔여영역이 남아있으면 통화내용의 녹음을 시작하는 동시에(38) 녹음시작을 이동통신 교환기(12)로 통보하고(39), 이동통신 교환기(12)는 통화채널을 통하여 가입자에게 녹음시작을 통보한다(40). 이때, 녹음시작 통보는 안내방송음(녹음시작) 또는 "삐"음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사용자가 "#+센드"를 눌러 이동통신 교환기(12)로 통화내용의 녹음정지를 요청하면(41) 이동통신 교환기(12)는 "#"을 검출하여 통화내용 녹음장치(13)로 녹음정지를 명령한다(42). 이 명령에 따라 통화내용 녹음장치(13)는 통화내용의 녹음을 정지하는 동시에(43) 이동통신 교환기(12)로 녹음정지를 통보하고(44), 이동통신 교환기(12)는 통화채널을 통하여 가입자에게 녹음정지를 통보한다(45). 이때, 녹음정지 통보는 안내방송음(녹음정지) 또는 "삐삐"음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할당된 통화내용 저장영역의 잔여영역이 남아있는 한은 한번의 통화 도중에 여러번에 걸쳐서 통화내용의 녹음 및 녹음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대방 통화자에 의해 통화가 종료된 후에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지 않고 이동통신 교환기(12)로 녹음내용 청취 및 삭제를 요청하면(47) 이동통신 교환기(12)는 통화내용 녹음장치(13)로 녹음내용 청취 또는 삭제를 명령한다(48). 이 명령에 따라 통화내용 녹음장치(13)는 바로 전에 녹음한 통화내용을 읽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교환기(12)를 통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녹음내용을 삭제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교환기(12)를 통하여 녹음내용 삭제를 사용자에게 통보한다(49,50,51).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녹음내용 확인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녹음된 통화내용을 확인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통화내용을 녹음하면서 정상적인 통화를 수행한 후에(61 내지 64) 상대방 통화자가 통화를 종료한 상태에서(65) 사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엔드(END) 버튼을 누르지 않아 한쪽의 종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이동통신 교환기(12)는 통화내용 녹음장치(13)에 사용자를 접속시키고, 사용자가 일정 시간내에 종료신호를 입력하면 바로 종료한다(66). 통화내용 녹음장치(13)는 사용자가 접속되면 녹음된 통화내용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71) 없으면 "녹음된 통화내용이 없습니다."와 같은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종료하며, 녹음된 통화내용이 있으면 "N개의 통화가 녹음되어 있습니다. 청취를 원하는 번호를 눌러주십시요."와 같은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녹음된 통화내용의 개수와 녹음일시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번호에 대한 녹음내용을 읽어 출력한 후에(72) "녹음내용 삭제는 1번, 녹음내용 보존은 2번"과 같은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번호에 따라 녹음내용을 삭제하거나 보존한 후에(73,74) 다른 녹음내용의 청취를 원하는지를 안내방송으로 문의한다.
둘째,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고 엔드 버튼을 누른 후에 "*90+센드"를 눌러(67) 통화내용 녹음장치(13)에 다시 접속하여(68)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내용 녹음장치(13)로 전화를 걸면, 통화내용 녹음장치(13)는 "안녕하십니까? 통화내용 녹음서비스입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요."와 같은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한 후에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69) 비밀번호가 시스템에서 가지고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70) 일치하지 않으면 "잘못누르셨습니다."와 같은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비밀번호를 재입력하도록 하고 3회 초과시에는 "비밀번호를 확인후 다시 걸어주십시요."와 같은 안내방송을 내보내며, 두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녹음된 통화내용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71) 없으면 "녹음된 통화내용이 없습니다."와 같은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종료하며, 녹음된 통화내용이 있으면 "N개의 통화가 녹음되어 있습니다. 청취를 원하는 번호를 눌러주십시요."와 같은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녹음된 통화내용의 개수와 녹음일시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번호에 대한 녹음내용을 읽어 출력한 후에(72) "녹음내용 삭제는 1번, 녹음내용 보존은 2번"과 같은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번호에 따라 녹음내용을 삭제하거나 보존한 후에(73,74) 다른 녹음내용의 청취를 원하는지를 안내방송으로 문의한다.
상기와 같은 일실시예는 통화내용 녹음서비스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이고,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녹음서비스는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 개인통신시스템, 차세대이동통신 시스템 및 발신전용 통신시스템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부가장치를 부착하지 않고서도 모든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통화 도중에 필기도구의 도움없이 통화내용을 쉽게 메모할 수 있으며, 특히 이동중에 통화할 경우에 사용자에게 큰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할당된 통화내용 저장영역의 잔여영역이 남아있는 한은 한번의 통화 도중에 여러 번에 걸쳐서 통화내용의 녹음 및 녹음정지를 반복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통화내용 녹음장치에 적용되는 통화내용 녹음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화내용 녹음서비스에 등록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가 통화하는 도중에 제1 소정의 버튼을 눌러 교환 시스템으로 통화내용의 녹음시작을 요청하면 상기 교환 시스템은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로 녹음시작을 명령하는 제 2 단계;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는 해당 가입자에 대한 통화내용 저장영역중 통화내용의 녹음을 계속할 수 있는 잔여영역이 남아있는지를 조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조사 결과, 잔여영역이 남아있지 않으면 녹음불가를 상기 교환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잔여영역이 남아있으면 통화내용의 녹음을 시작하는 동시에 녹음시작을 상기 교환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 4 단계;
    상기 사용자가 통화하는 도중에 통화내용의 녹음정지를 요청하면 통화내용의 녹음을 정지하는 제 5 단계; 및
    통화종료 후에 상기 사용자의 녹음내용 청취, 보존 또는 삭제 요청에 따라 녹음내용을 읽어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녹음내용을 보존 또는 삭제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 수행 후,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에 상기 사용자의 저장영역이 남아 있는 한 한번의 통화중에 상기 제 2 단계 내지 제 5 단계를 상기 사용자의 요청 횟수만큼 반복 수행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통화하는 도중에 제2 소정의 버튼을 눌러 상기 교환 시스템으로 통화내용의 녹음정지를 요청하면 상기 교환 시스템은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로 녹음정지를 명령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는 통화내용의 녹음을 정지하는 동시에 상기 교환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녹음정지를 통보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통화내용을 녹음하면서 통화를 수행한 후에 상대방 통화자가 통화를 종료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엔드(END)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상기 교환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를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에 접속시키는 제 8 단계;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고 엔드 버튼을 누른 후에 제3 소정의 버튼을 눌러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에 접속하여 안내방송에 따라 비밀번호를 확인받는 제 9 단계; 및
    상기 제 8 단계나 제 9 단계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접속되면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는 녹음된 통화내용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녹음된 통화내용이 없으면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종료하며, 녹음된 통화내용이 있으면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녹음된 통화내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번호에 대한 녹음내용을 읽어 출력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통화내용 녹음장치는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번호에 따라 녹음내용을 삭제하거나 보존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KR1019970031846A 1997-07-09 1997-07-09 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KR100236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846A KR100236930B1 (ko) 1997-07-09 1997-07-09 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846A KR100236930B1 (ko) 1997-07-09 1997-07-09 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433A KR19990009433A (ko) 1999-02-05
KR100236930B1 true KR100236930B1 (ko) 2000-01-15

Family

ID=1951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846A KR100236930B1 (ko) 1997-07-09 1997-07-09 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559A (ko) * 1998-08-21 2000-03-15 윤종용 사설교환시스템의 통화 내용 녹음방법
KR100682139B1 (ko) * 1999-08-07 2007-02-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이동 단말을 이용한 녹음 서비스 방법
KR100372325B1 (ko) * 2000-07-20 2003-02-17 주식회사 탑엔지니어링 선택적 녹음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10138B1 (ko) * 2000-08-25 2007-04-23 (주) 엘지텔레콤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0710137B1 (ko) * 2000-08-25 2007-04-23 (주) 엘지텔레콤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 내용 전송 방법
KR100700600B1 (ko) * 2000-12-30 2007-03-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 내용 서비스 방법
KR102370230B1 (ko) * 2015-08-27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416A (ko) * 1993-05-31 1994-12-10 김광호 키폰시스템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방법
KR950007377A (ko) * 1993-08-28 1995-03-21 최기호 음성우편장치의 통화음성신호 녹음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416A (ko) * 1993-05-31 1994-12-10 김광호 키폰시스템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방법
KR950007377A (ko) * 1993-08-28 1995-03-21 최기호 음성우편장치의 통화음성신호 녹음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433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44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answering service of portable telephone in a base station unit
US20060066445A1 (en) Emergency contac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KR100236930B1 (ko) 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JP2006270257A (ja) 電話装置
JPH0257751B2 (ko)
KR20010103836A (ko) 전화망과 이동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별로 음성안내를들려주는 방식 및 시스템
JPH04335746A (ja) 留守番機能付き電話機
KR100218701B1 (ko) 자동응답기의 특정인을 위한 응답메세지 전송방법
KR970000673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 메시지입력 및 송출제어방법
KR200267227Y1 (ko) 음성녹음장치를 관리하는 키폰 시스템
KR100407135B1 (ko)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888926B2 (en) Extension telephone answering device and system employing same
JP3307171B2 (ja) 音声蓄積装置
JP3429237B2 (ja) 通信端末装置
JP2812224B2 (ja) メモリ発呼式電話装置
JP3449251B2 (ja) 携帯電話機
KR20020053501A (ko) 인터넷 서버를 이용한 화상단말기의 자동응답 장치 및 방법
JPH0834505B2 (ja) 留守番電話装置の呼び出し先変更方法
JPS6218858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4306947A (ja) 音声蓄積装置
KR920001684B1 (ko) 키폰시스템의 음성안내 서비스방법
JP2000115847A (ja) 留守番電話機能付きコードレス電話機における発信者番号通知方法
JP3568176B2 (ja) 呼び返しサービス自動発呼機能付き電話装置
JPH10210189A (ja) 電話装置
JP2848374B2 (ja) 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