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135B1 -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135B1
KR100407135B1 KR10-1999-0040479A KR19990040479A KR100407135B1 KR 100407135 B1 KR100407135 B1 KR 100407135B1 KR 19990040479 A KR19990040479 A KR 19990040479A KR 100407135 B1 KR100407135 B1 KR 10040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message
digital
user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302A (ko
Inventor
이행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135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1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dictation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udio recording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음성 메시지를 남긴 상대방이 다시 전화를 하는 경우, 자기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전화기 사용자가 들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디지털 전화시스템(10)과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으로 이루어진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10)은, 전화망(3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콜러 아이디를 검출하는 검출부(11); 상기 검출부(11)로부터 출력되는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음성사서함 이용여부에 따른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으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2); 상기 주제어부(1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으로 전달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은,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1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21); 상기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입력되는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음성사서함의 청취여부 및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 점검/송출하는 제어부(22); 상기 제어부(22)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램(23)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VMS(Voice Mai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Caller ID}
본 발명은 콜러(caller) 아이디(ID)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VMS; Voice Mail System)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 전화번호를 기억한 후, 상대방에서 전화를 한번 더 하면, 메시지를 읽었는지 점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를 들은 후 응답 메시지를 남긴 경우, 그 메시지를 상대방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사서함 시스템은 상대방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내용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화기 사용자가 통화중인 경우 및 부재중인 경우에는, 전화를 건 상대방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는 응답기능을 수행하며, 회사 또는 단체에서 상대방에게 전하고자 하는 회사소개 음성 메시지 송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와 같은 음성사서함 기능이 구비된 전화기 사용자가 부재중인 경우,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면,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 전화기 사용자가 부재중임을 상대방에게 알린다.
그리고, 음성사서함 시스템은 상대방에게 음성 메시지나 연락 전화번호를 남길 것인지의 여부를 묻고, 상대방이 음성 메시지를 남기는 경우 그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나중에 전화기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부재중이었던 전화기 사용자가 돌아온 이후, 자기의 전화기를 상대로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그 메시지를 들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음성사서함 기능은, 전화기 사용자가 통화중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으며, 전화기 사용자는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듣고 나서, 상대방에게 전화할 내용이 있는 경우,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은, 음성 메시지를 남긴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자기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전화기 사용자가 들었는지 확인할 수 없어서 답답하여 업무의 효율이 떨어지며, 전화 상대방에게 신뢰도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전화기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듣고 나서, 상대방에게 음성 메시지에 따른 응답을 급하게 전달해주어야 하는데, 상대방의 연락처를 모르거나, 기타 이유로 인하여 상대방과의 전화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응답 내용을 전달해줄 수 없어, 업무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음성 메시지를 남긴 상대방이 다시 전화를 하는 경우, 자기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전화기 사용자가 들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서, 전화기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듣고 나서, 상대방에게 음성 메시지에 따른 응답을 급하게 전달해주어야 하는데, 상대방의 연락처를 모르거나, 기타 이유로 인하여 상대방과의 전화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자기의 음성사서함에 응답 메시지를 녹음하고, 나중에 상대방이 다시 전화를 하였을 때, 그 응답 메시지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을 적용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을 적용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제어방법에서 상대방 청취확인 동작을 적용한 동작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청취/응답녹음 동작을 적용한 동작순서도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50 : 디지털 전화시스템 20 : 디지털 사서함
30, 70 : 전화망 60 : 아날로그 사서함
11, 51 : 검출부 12, 52 : 주제어부
13 : 디지털 인터페이스 53 :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62 : 톤 수신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디지털 전화시스템과 사서함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은,
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콜러 아이디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음성사서함 이용여부에 따른 사서함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주제어수단;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사서함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사서함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음성사서함의 청취여부 및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 점검/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콜러 아이디를 검출하여 해당 음성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에서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가 청취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에서 사용자가 이미 청취하였는지의 여부를 발신자에게 알리는 단계;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가 있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 점검하는 경우, 해당하는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음성 메시지가 있는 경우, 해당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고 청취 사실을 기록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녹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디지털 전화시스템(10)과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으로 이루어진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10)은,
전화망(3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콜러 아이디를 검출하는 검출부(11);
상기 검출부(11)로부터 출력되는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음성사서함 이용여부에 따른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으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2);
상기 주제어부(1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으로 전달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은,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1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21);
상기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입력되는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음성사서함의 청취여부 및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 점검/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22);
상기 제어부(22)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램(RAM; Read-Only Memory, 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외부의 전화망(30)으로부터 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10)의 검출부(11)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콜러 아이디)를 검출하여 출력하고, 주제어부(12)는 해당 전화기의 통화 상태 및 부재중 여부에 따라, 상대방으로부터 음성사서함 이용의 여부를 타진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검출부(11)로부터 출력되는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으로의 접속을 제어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13)는 상기 주제어부(1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의 인터페이스(21)는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1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2)로 출력한다.
제어부(22)는 상대방이 음성사서함을 이용하려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입력되는 해당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데, 콜러 아이디를 함께 저장하며, 그에 따라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음성사서함의 청취여부 및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 점검/송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2)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의 저장 및 재생 기능을 램(23)이 수행한다.
이하, 도 3, 도 4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22)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외부의 전화망(30)으로부터 전화를 건 상대방이 전화기 사용자의 부재중 또는 통화중으로 인하여 음성사서함으로 이용하는 경우, 콜러 아이디(S10)를 검출하고(S10), 해당 콜러 아이디에 의하여 기존에 녹음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단계(S20)에서 기존에 녹음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2)는 전화기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를 청취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
상기 단계(S30)에서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청취한 경우, 제어부(22)는 상대방에게 청취 사실을 알리도록 제어한다(S40).
그리고, 제어부(22)는 해당 음성 메시지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응답 메시지가 녹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50), 해당 응답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그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송출한다(S60).
그러나, 상기 단계(S50)에서 해당 응답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2)는 해당 메시지가 없음을 알리도록 제어한다(S80).
한편, 상기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를 청취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에서,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를 청취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2)는 청취하지 않았음을 상대방에게 알린다(S70).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상대방이 전화기 사용자가 자기의 음성 메시지를 청취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일단 메시지가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전화기 사용자가 자기의 음성사서함을 점검하는 경우(S100), 제어부(22)는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할 음성 메시지가 녹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10), 전달하여야 할 메시지가 있는 경우, 해당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S120).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음성 메시지를 청취했음을 기록한다(S130).
또, 사용자가 해당 음성 메시지에 대하여 응답 메시지를 녹음하고자 하는 경우(S140), 해당 응답 메시지를 녹음시킨다(S150).
상기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전화기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자기 음성사서함에 녹음시켜, 나중에 상대방이 재전화시에 그 내용을 들을 수 있도록한다.
한편,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이 디지털 방식이 아닌 아날로그 방식인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타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디지털 전화시스템(50)과 아날로그 사서함 시스템(60)으로 이루어진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50)은,
전화망(7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콜러 아이디를 검출하는 검출부(51);
상기 검출부(51)로부터 출력되는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음성사서함 이용여부에 따른 아날로그 사서함 시스템(60)으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주제어부(52);
상기 주제어부(5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아날로그 사서함 시스템(60)으로 전달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날로그 사서함 시스템(60)은,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5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61);
상기 인터페이스(61)를 통하여 입력되는 톤신호에서 콜러 아이디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톤 수신부(62);
상기 인터페이스(61)와 톤 수신부(6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사서함의 청취여부 및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 점검/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63);
상기 제어부(63)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램(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외부의 전화망(70)으로부터 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50)의 검출부(51)는 콜러 아이디를 검출하여 출력하고, 주제어부(52)는 해당 전화기의 통화 상태 및 부재중 여부에 따라, 상대방으로부터 음성사서함 이용의 여부를 타진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검출부(51)로부터 출력되는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60)으로의 접속을 제어한다.
아날로그 인터페이스(53)는 상기 주제어부(5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신호(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사서함 시스템(2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사서함 시스템(60)의 인터페이스(61)는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50)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톤 수신부(62)로 출력하고, 톤 수신부(62)는 그 신호를 입력받아 콜러 아이디 번호를 검출하여 제어부(63)로 출력한다.
제어부(63)는 상대방이 음성사서함을 이용하려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61)와 톤 수신부(62)를 통하여 입력되는 해당 음성 메시지를 콜러 아이디와 함께 저장하며, 저장된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음성사서함의 청취여부 및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 점검/송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3)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의 저장 및 재생 기능을 램(23)이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63)의 구체적인 동작은 상기 제1실시예의 제어부(22)의 동작과 같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아날로그 사서함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청취하였는지의 여부를 상대방이 확인할 수 있고,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가 남긴 경우, 그 응답 메시지를 상대방이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음성 메시지를 남긴 상대방이 다시 전화를 하는 경우, 자기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전화기 사용자가 들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대방으로 하여금 메시지 전달의 여부에 따른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전화기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듣고 나서, 상대방에게 음성 메시지에 따른 응답을 급하게 전달해주어야 하는데, 상대방의 연락처를 모르거나, 기타 이유로 인하여 상대방과의 전화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자기의 음성사서함에 응답 메시지를 녹음함으로써, 나중에 상대방이 다시 전화를 하였을 때, 그 응답 메시지를 들을 수 있도록 하여, 메시지 전달의 방법을 다양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디지털 전화시스템과 사서함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은,
    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콜러 아이디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음성사서함 이용여부에 따른 사서함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주제어수단;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사서함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사서함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콜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음성사서함의 청취여부 및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 점검/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함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지털 전화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톤신호인 경우,
    톤신호에서 콜러 아이디를 검출하는 톤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특징으로 하는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3.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콜러 아이디를 검출하여 해당 음성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에서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가 청취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에서 사용자가 이미 청취하였는지의 여부를 발신자에게 알리는 단계;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가 있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99-0040479A 1999-09-20 1999-09-20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0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479A KR100407135B1 (ko) 1999-09-20 1999-09-20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479A KR100407135B1 (ko) 1999-09-20 1999-09-20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02A KR20010028302A (ko) 2001-04-06
KR100407135B1 true KR100407135B1 (ko) 2003-11-28

Family

ID=1961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479A KR100407135B1 (ko) 1999-09-20 1999-09-20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724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로커스 포기 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756A (ja) * 1996-10-07 1998-04-28 Nec Eng Ltd 音声蓄積装置
KR19980050662A (ko) * 1996-12-21 1998-09-15 구자홍 페이저의 음성 사서함 청취 확인 방법
KR19990010310A (ko) * 1997-07-10 1999-02-18 최무용 무선호출 음성사서함(vms) 음성메시지 청취확인 서비스 방법
KR20000014706A (ko) * 1998-08-24 2000-03-15 윤종용 페이징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녹음 메시지청취확인통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756A (ja) * 1996-10-07 1998-04-28 Nec Eng Ltd 音声蓄積装置
KR19980050662A (ko) * 1996-12-21 1998-09-15 구자홍 페이저의 음성 사서함 청취 확인 방법
KR19990010310A (ko) * 1997-07-10 1999-02-18 최무용 무선호출 음성사서함(vms) 음성메시지 청취확인 서비스 방법
KR20000014706A (ko) * 1998-08-24 2000-03-15 윤종용 페이징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녹음 메시지청취확인통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02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6785B2 (en) Telephone services
KR100407135B1 (ko)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10102112A (ko) 호출자-id 및 우선순위 대상 목록에 따라 호를 처리하는전화 응답 디바이스
JPS62150A (ja) 留守番電話装置
JP3210937B2 (ja) 音声メール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音声メールサービス方法
KR920002207B1 (ko) 음성 우편장치의 송신자 선별 수신 제어방법
JP3307175B2 (ja) 音声蓄積装置
KR20000075219A (ko) 단말기에서의 안내 방송 서비스 방법
JPH082068B2 (ja) 自動応答機能付コールウエイテイング装置
JP3715770B2 (ja) 留守番電話機
JP315876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206053B2 (ja) 通信装置
JP3378380B2 (ja) 構内交換システム
JP3001032U (ja) 無音検出留守番電話装置
JPH07221910A (ja) メール蓄積装置
JPH05236111A (ja) ファクシミリ機能付き電話応答代行方式
JPH0234219B2 (ko)
JPH05316200A (ja) 留守番電話機
KR980013198A (ko) 자동 응답 전화기의 발신자 보존 기간 저장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KR20010018652A (ko) 국선의 호출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키폰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51169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배경음악 발생 방법
JP200032426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20000001056A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의 착신거부상태 알림방법
JP2001144849A (ja) 留守番電話装置および留守番電話装置における応答方法
JPS6281160A (ja) 電子計算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