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442B1 -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442B1
KR100236442B1 KR1019970067409A KR19970067409A KR100236442B1 KR 100236442 B1 KR100236442 B1 KR 100236442B1 KR 1019970067409 A KR1019970067409 A KR 1019970067409A KR 19970067409 A KR19970067409 A KR 19970067409A KR 100236442 B1 KR100236442 B1 KR 10023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tilt
forklift
stat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8650A (ko
Inventor
이덕형
김규성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1997006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4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4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4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2Masts; Guides; Chains incli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기게차에 적재된 화물을 내릴 때 한번의 버튼조작으로 뒤로 기울여진 마스트를 수평으로 자동이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스트를 앞/뒤기울임 및 수평제어하여 화물을 싣고 이동하거나 하역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마스트수평정지동작을 수행하도록 입력하기 위한 마스트수평정지동작버튼; 상기 동작버튼의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현재의 틸트센서값을 읽어서 현재 마스트의 기울임상태를 파악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을 제어하여 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유압발생부; 및 상기 마스트의 현재 기울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틸트센서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는 한번의 버튼조작으로 뒤로 기울여진 마스트를 수평으로 자동제어함으로써 지게차의 하역작업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본 발명은 기게차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적하기 위해서 마스트를 틸팅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게차에 적재된 화물을 내릴 때 한번의 버튼조작으로 뒤로 기울여진 마스트를 수평으로 자동이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역작업에 주로 이용되는 장비가 지게차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수행되는 대부분의 작업이 화물을 들고 내리는 리프팅작업이다. 기게차는 화물을 적재시 마스트를 앞으로 기울여 화물을 적재한 후, 마스트를 뒤로 기울여 주행하고, 화물을 내릴 경우에는 마스트를 수평으로 조작하여 원하는 위치에 화물을 내려놓게 된다.
이러한 수평작업시 기존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조작레버(10)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유압조절밸브(20)를 조절하여 마스트(30)를 수평으로 구동시켰다. 이와 같이 기존의 장치는 유압조절밸브(20)가 조작레버(10)의 의해 조작되는 기계식의 수동조작식이었으므로 자동화를 구현할 수 없었을 뿐만아니라, 정확도가 떨어지고 마스트수평조작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기게차에 적재된 화물을 내릴 때 한번의 버튼조작으로 뒤로 기울여진 마스트를 수평으로 자동이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마스트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틸트센서를 이용한 마스트의 기울임상태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0 : 마스트수평정지동작버튼 50 : 제어부
60 : 유압발생부 61 : 유압모터
62 : 방향밸브 70 : 틸트센서
71 : 제 1센서 72 : 제 2센서
73 : 상한검출용센서 80 : 틸트실린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는 마스트를 앞/뒤기울임 및 수평제어하여 화물을 싣고 이동하거나 하역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마스트수평정지동작을 수행하도록 입력하기 위한 마스트수평정지동작버튼; 상기 동작버튼의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현재의 틸트센서값을 읽어서 현재 마스트의 기울임상태를 파악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을 제어하여 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유압발생부; 및 상기 마스트의 현재 기울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틸트센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장치는 마스트수평정지동작버튼(40) 및, 이 동작버튼의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현재의 틸트센서값을 읽어서 현재 마스트(30)의 기울임상태를 파악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을 제어하여 마스트(30)를 구동하는 유압발생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발생부(60)는 회전을 통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61)와, 유압방향을 제어하여 마스트(30)를 앞기울임이나 뒤기울임 또는 수평상태로 전환하게 하는 방향밸브(6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장치는 마스트(30)의 현재 기울임상태를 감지하여 전술한 제어부(5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틸트센서(70)도 구비하고 있다. 이 틸트센서(7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틸트센서를 이용하여 마스트의 기울임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는 바와 같이, 틸트센서는 마스트를 기울임구동하는 틸트실린더(80)의 이동방향과 대략 수직하게 소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한쌍의 제 1,제 2센서(71,7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제 2센서(71,72)의 온/오프(On/Off)에 따라 마스트의 앞/뒤기울여짐 및 수평상태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 1센서(71) 및 제 2센서(72)가 모두 온(On)되었을 경우에는 수평상태를 나타내고, 제 1센서(71)가 온되고 제 2센서(72)가 오프일 경우에는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제 1센서(71)가 오프되고 제 2센서(72)가 온일 때에는 뒤기울어짐상태를 표시하고, 제 1,제 2센서(71,72) 모두가 오프일 때에는 앞 또는 뒤기울임상태로, 이때에는 전의 센서검출데이터를 참조하여 두 센서중 최종에 온으로 검출된 센서를 탐색하여 현재의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이때, 제 1센서(71)가 온이었으면 앞기울임상태를, 반면에 제 2센서(72)가 온이었으면 뒤기울임상태로 파악된다.
도면에서 점선의 직사각형은 틸트실린더(80)의 이동구역을 나타낸 것으로, 이동구역의 최상단과 접해서 실린더의 상한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상한검출용센서(73)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제 1,제 2센서(71,72) 및 상한검출용센서(73)는 마이크로스위치, 즉 접점스위치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 이하부터는 도 4 및 전도면들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초기화된 상태에서 수평정지동작버튼(40)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이를 판단하여 작동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제 1,제 2센서(71,72)의 값들을 읽어들이게 된다.(단계100,101,102) 이 읽어들인 제 1,제 2센서(71,72)의 값들이 모두 0일때, 즉 모두 오프인 상태에는 과거의 최종상태, 즉 최종센서값을 검사한다.(단계103,104) 검사한 최종센서값이 제 1센서(71)가 온이면 앞기울임상태를 나타내고, 제 2센서(72)가 온이면 뒤기울임상태를 나타내게 된다.(단계105,106) 이때, 앞기울임상태로 파악되면 제어부(50)는 방향밸브(62)를 마스트뒤기울임위치로 천이하게 되고, 뒤기울임상태로 파악되면 제어부(50)는 방향밸브(62)를 마스트앞기울임위치로 천이하게 된다.(단계107,108) 이와 같이 천이한 후 단계102으로 피드백하게 된다.
한편, 단계102에서 읽어들인 제 1,제 2센서(71,72)값이 모두 온일 경우에는 정지위치로 방향밸브(62)를 천이시킨 후 동작을 정지하게 된다.(단계109,110,111)
또한, 단계102에서 읽어들인 제 1,제 2센서(71,72)값이 제 1센서(71)만 온인 경우에는 제어부(50)는 현재 마스트(30)의 상태를 앞기울여짐상태로 파악하게 된다. 따라서, 방향밸브(62)를 천이하여 마스트뒤기울임위치로 전환하여 마스트(30)를 구동한 후 단계102으로 피드백하게 된다.(단계112,107) 반면에, 읽어들인 제 1,제 2센서값중 제 2센서(72)만 온인 경우에는 제어부(50)는 현재 마스트의 상태를 뒤기울여짐상태로 파악하고, 마스트앞기울임위치로 방향밸브(62)를 천이하여 마스트(30)를 구동한 후 단계102으로 되돌아가 전 단계를 피드백하게 된다.(단계113,108)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는 기게차에 적재된 화물을 내릴 때 한번의 버튼조작으로 뒤로 기울여진 마스트를 수평으로 자동제어함으로써 지게차의 하역작업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마스트를 앞/뒤기울임 및 수평제어하여 화물을 싣고 이동하거나 하역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마스트수평정지동작을 수행하도록 입력하기 위한 마스트수평정지동작버튼;
    상기 동작버튼의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현재의 틸트센서값을 읽어서 현재 마스트의 기울임상태를 파악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을 제어하여 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유압발생부; 및
    상기 마스트의 현재 기울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틸트센서를 포함하는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발생부는 회전을 통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와, 유압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마스트를 앞기울임이나 뒤기울임 또는 수평상태로 전환하게 하는 방향밸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센서는 상기 마스트를 기울임구동하는 틸트실린더의 이동방향과 대략 수직하게 소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한쌍의 제 1,제 2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 입력된 틸트센서값 중 제 1,제 2센서가 모두 온인 경우에는 방향밸브를 정지위치로 천이하고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 입력된 틸트센서값 중 제 1센서만 온인 경우에는 현재 마스트상태를 앞기울여짐상태로 파악하고 마스트뒤기울임상태로 방향밸브를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 입력된 틸트센서값 중 제 2센서만 온인 경우에는 현재 마스트상태를 뒤기울여짐상태로 파악하고 마스트앞기울임상태로 방향밸브를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KR1019970067409A 1997-12-10 1997-12-10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KR10023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409A KR100236442B1 (ko) 1997-12-10 1997-12-10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409A KR100236442B1 (ko) 1997-12-10 1997-12-10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650A KR19990048650A (ko) 1999-07-05
KR100236442B1 true KR100236442B1 (ko) 1999-12-15

Family

ID=1952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409A KR100236442B1 (ko) 1997-12-10 1997-12-10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209A1 (ko) * 2013-12-30 2015-07-09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209A1 (ko) * 2013-12-30 2015-07-09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05873849A (zh) * 2013-12-30 2016-08-17 株式会社斗山 叉车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10155646B2 (en) 2013-12-30 2018-12-18 Doosan Corporation Forklift includ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orklift
CN105873849B (zh) * 2013-12-30 2019-08-23 株式会社斗山 叉车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650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453B1 (ko) 포오크리프트의 제어장치
KR100236442B1 (ko) 지게차마스트수평정지제어장치
JP2570824B2 (ja) 無人車の手動運転切換装置
JP2000109299A (ja) カウンタバランス型フォ−クリフトの荷役装置
KR100230500B1 (ko) 포크리프트의 포크틸트동작 자동정지 장치
KR100269726B1 (ko) 포크리프트의 하역제어장치
KR20180009875A (ko) 지게차의 마스트 기울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72552A (ko) 지게차용 마스트 자동 레벨링 방법 및 장치
KR102575437B1 (ko) 지게차 안전 운전 지원 장치
KR102367114B1 (ko) 부하물 낙하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H08119596A (ja) 荷役車両の荷役装置
JP2004231335A (ja) 高所作業車のブーム作動制御装置
JP2005082287A (ja) フォークの自動旋回装置
JP3602006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シリンダの制御装置
KR19990009764U (ko) 전동지게차의 자동 리프트제어장치
JPH05238688A (ja) フォークリフトの制御装置
JPH0776499A (ja) フォークリフトの制御装置
JP2006143425A (ja) フォークリフト
JPH0761793A (ja) フォークリフトの制御装置
JP3957269B2 (ja) 荷役車両
JPH0716978Y2 (ja) 荷役車両の負荷表示装置
JP2729452B2 (ja) プッシュプル付き荷役車両の制御装置
JP2002274795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制御装置
JPH10330095A (ja) フォ−クリフトのティルト制御装置
JP2000169099A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チルト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