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910B1 - 음극선관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및 그것을이용한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및 그것을이용한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910B1
KR100235910B1 KR1019970018797A KR19970018797A KR100235910B1 KR 100235910 B1 KR100235910 B1 KR 100235910B1 KR 1019970018797 A KR1019970018797 A KR 1019970018797A KR 19970018797 A KR19970018797 A KR 19970018797A KR 100235910 B1 KR100235910 B1 KR 10023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rame
shadow mask
flat member
ban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7028A (ko
Inventor
마유미 이시바시
준 아라야
다카미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가즈히로
Publication of KR97007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66Details of skirt or border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에 장력을 주고 프레임부재에 용접할시, 평면부재의 빔 선택영역에 있어서의 주름 및 파단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11)는, 다수의 빔 통과공이 소정 피치 및 패턴으로 배설된 빔 선택영역(12)과, 이것을 둘러싸는 제1밴드 틀부(14b)와, 다수의 연결부(14c)로 제1밴드 틀부(14b)의 외주에 접속된 제2밴드 틀부(14a)와, 제1및 제2밴드 틀부와 2개의 연결부로 둘러싸인 다수의 영역으로써, 다수의 공이 형성된 외측 영역(13a), (13b), (13c)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14c)는 그 폭을 서서히 넓어지도록 하여 제2밴드 틀부(14a)에 접속하고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섀 마스크용 평면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 페이스 타입의 컬러 음극선관(1)은 대략 평면상의 페이스 스크린면(3)을 가지는 유리 패널(2)을 구비하고 있다. 유리 패널(2)의 내측에는 섀도 마스크(9)의 프레임부재(7)를 지지하기 위한 패널 핀(5)이 설치되어 있다. 금속 프레임부재(7)에 붙은 섀도마스크(9)는 금속 프레임부재(7)의 외측에 용접된 판 용수철(8)이 패널 핀(5)에 계합함으로써, 유리패널(2)내의 소정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깔때기(6)의 네크부내에 설치된 전자총(도시하지 않음)에서 출사된 전자 빔(10)중, 프레임부재(7)에 붙은 섀도 마스크(9)의 빔 통과공을 통과한 것이, 유리 패널(2)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면(4)의 소정 스폿(spot)에 접한다.
음극선관의 동작중, 섀도 마스크(9)의 통과공이 뚫려있지 않은 부분에 충돌하는 전자빔에 의해 섀도 마스크(9)는 가열되어 팽창시킨다. 이 열팽창에 의해 섀도 마스크가 변형하면, 섀도 마스크(9)의 빔 통과공을 통과한 전자빔(10)이 형광체면(4)의 올바른 스폿에 접하지 않게 되고, 색편차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의 열팽창에 의한 섀도 마스크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섀도 마스크(9)는 미리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7)에 용접되어 있다.
섀도 마스크(9)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섀도 마스크(9)를 프레임부재(7)에 용접하기 위해, 종래는 제8도에 도시하는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21)를 사용했었다. 이 평면부재(21)는 다수의 슬롯형상 또는 환형상의 빔 통과공이 소정 피치 및 패턴으로 배설된 빔 선택영역(22)과, 이 영역을 둘러싸는 무공영역(23)을 가진다. 빔 선택영역 22)은 대략 장방형이고, 이 영역(22)이 섀도 마스크가 된다.
즉, 빔 선택영역(22)을 프레임부재(7)에 위치결정하고, 평면부재(21)의 4변, 즉 무공영역(23)을 외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21)의 빔 선택영역(22)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평면부재(21)를 프레임부재(7)에 용접한다. 그 후, 무공영역(23)을 프레임부재의 외주를 따라 잘라낸다. 이와 같이 하여, 섀도 마스크(9)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섀도 마스크(9)를 프레임부재(7)에 용접한 섀도 마스크 어셈블리, 즉 색 선택전극이 제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빔 선택영역(22)에는 다수의 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주위의 무공영역(23)에는 전혀 구명이 뚫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빔 선택영역(22)과 무공영역(23)과의 기계적강도의 차가 크다. 이 때문에, 평면부재(21)의 4변을 소정 힘으로 외측으로 끌어당길 때에, 빔 선택영역(22)과 무공영역(23)과의 기계적 변형량 즉 연신량이 상이하고, 그 결과 빔 선택영역(22)의 사각부분(제8도의 24)에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섀도 마스크가 되는 빔 선택영역(22) 내에 주름이 발생하면, 그 부분에 빔 통과공과 형광체면(4)상의 소정 스폿과의 대응관계가 무너져 색순도의 열화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평면부재(21)의 4변을 외측으로 끌어당길 때에, 빔 선택영역(22)과 무공영역(23)과의 경계부에서 평면부재(21)의 손상이 발생하기 쉽고, 그 결과 제조수율이 저하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평판 및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섀도 마스크(색 선택 전극)의 사시도.
제5a도, 제5b도는 연결부와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연결부의 폭을 원호를 그리도록 서서히 넓게 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가 이용되는 음극선관의 부분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컬러 음극선관 2 : 유리패널
3 : 페이스 스크린면 4 : 형광체면
5 : 패널 핀 6 : 깔때기
7 : 프레임 8 : 판 용수철
9 : 섀도 마스크 10 : 전자 빔
11 :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12 : 빔 선택영역
13a, 13b, 13c : 외측영역 14a : 제2밴드 틀부
14b : 제1밴드 틀부 14c : 연결부
17 : 색 선택전극 18 : 원호
20 : 슬롯공
본 발명에 의한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는, 다수의 빔 통과공이 소정의 피치 및 패턴으로 배설된 빔 선택 영역과, 상기 빔 선택영역을 둘러싸는 제1밴드 틀부와, 상기 제1밴드 틀부의 주위에 떨어져 위치하는 제2밴드 틀부와 상기 제1밴드 틀부의 외주와 상기 제2밴드 틀부의 내주를 다수개소로 접속하는 다수의 연결부와, 상기 제1및 제2밴드 틀부와 2개의 연결부로 둘러싸인 다수의 영역으로써,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외측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이 서서히 넓어지면서 상기 제2밴드 틀부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접속부가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제2밴드 틀부의 4변을 외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에 장력을 주고, 장력을 준 상기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상기 제1밴드틀부를 금속 프레임부재에 위치 결정하여 용접하고, 그 후, 상기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용접부분보다 외측의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섀도 마스크(어셈블리)를 얻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섀도 마스크 제조방법에 의하면, 빔 선택영역과 그 주위의 더미(dummy)공이 형성된 영역과의 인장강도가 대략 같게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평면부재에 장력을 부여해야 하는 4변을 외측으로 끌어당겼을 때에, 빔 선택영역의 변형량과 그 주위 영역의 변형량을 합할 수 있고, 이이 따라 빔 선택영역의 4귀퉁이의 주름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는 서서히 폭이 넓어지도록 하여 보강되므로,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제2밴드 틀부의 4변을 외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에 장력을 줄 때, 연결부와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로의 응력집중이 완화되며, 평면부재의 파단이 회피된다.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연결부의 폭은 직선적으로 넓어져도 되고, 원호 또는 모든 유사곡선에 따라 넓어져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및 제2밴드 틀부가 대략 장방형의 내주 및 외주를 가지고, 다수의 공이 형성된 장방형의 외측 코너 영역이 상기 제2밴드 틀부와 2개의 상기 연결부로 둘러싸여 있다. 혹은 상기 제1밴드 틀부가 대략 장방형의 내주 및 외주를 가지고, 상기 제2밴드 틀부가 대략 8각형의 내주 및 외주를 가지며, 다수의 공이 형성된 대략 삼각형의 외측 코너영역이 상기 제2밴드 틀부와 2개의 상기 연결부로 둘러싸여 있다. 이에 따라,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제2밴드 틀부의 4변을 외측으로 끌어당겨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에 장력을 줄 때, 대략 장방형의 빔 선택영역의 각 변의 중앙부와 양단부에서 장력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외측영역에 형성된 다수공의 직경이 상기 제1밴드 틀부 근방보다 상기 제2밴드 틀부 근방에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측영역에 소정의 피치로 배설하는 다수공을, 그 직경이 변화하도록 분포함으로써, 빔 선택영역의 전면에 의해 균일한 장력이 인가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11)의 평면도이다. 섀도마스크가 되는 빔 선택영역(12)은 대략 장방형이고, 빔 선택영역(12)을 둘러싸도록 제1밴드 틀부(14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외측에 제2밴드 틀부(14a)가 배치되며, 제1밴드 틀부(14b)와 제2밴드 틀부(14a)가 연결부(14c)에 의해 다수개소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밴드 틀부(14b)와 제2밴드 틀부(14a)와 연결부(14c)로 둘러싸인 다수의 외측영역(13a), (13b), (13c)에는 빔 선택영역(12)과 마찬가지로, 슬롯 형상 또는 환형상의 다수의 소공이 소정 피치 및 패턴으로 배설되어 있다. 빔 선택영역(12)의 소공은 전자 빔이 통과하는 공이다. 외측영역(13a), (13b), (13c)의 소공은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11)에 장력을 주고 프레임부재에 용접할 시에, 빔 선택영역(12)의 전체의 균일한 장력이 부여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어있다.
이와 같은 평면부재(11)의 제2밴드 틀부(14a)의 4변을 치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끼우고 외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평면부재(11)의 전면에 장력을 부여하고, 이 상태에서 제1밴드 틀부(14b)를 프레임부재(제4도의 7)에 위치결정하여 용접한다. 이 후, 프레임부재(7)의 외주를 따라 평면부재(11)의 용접부도다 외측의 부분, 즉 외측영역(13a), (13b), (13c), 연결부(14c), 및 제2밴드 틀부(14a)를 잘라낸다. 이와 같이 하여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7)와 섀도마스크(9)로 이루어지는 컬러 음극선관용의 섀도 마스크 어셈블리(색 선택 전극)(17)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색 선택 전극(17)은 제7도에 도시한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유리 패널(2)내에 장착된다.
외측영역(13a), (13b), (13c)은 평면부재(11)를 프레임부재(7)에 용접한 후는 절단되어 불필요해지지만, 평면부재(11)에 장력을 부여할 시에 섀도 마스크(9)가 되는 빔 선택영역(12)의 전면에 균일한 장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작용을 가진다. 이에 따라 빔 선택영역(12)(섀도 마스크(9))의 장력 불균형에 기인하는 주름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4c)와 제2밴드 틀부(14a)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연결부(14c)의 폭이 원호를 그리도록 서서히 넓어진다. 만약, 이와 같은 접속부의 보강이 없으면, 즉 연결부(14c)의 폭이 변화하지 않고 그대로 제2밴드 틀부(14a)에 접속된 경우는, 연결부(14c)를 외측으로 끌어당겼을 때에 연결부(14c)와 제2밴드 틀부(14a)와의 접속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이 부분에서 파단이 발생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14c)의 제2밴드 틀부(14a)와의 접속부가 상기와 같이 보강되어 있으므로 연결부(14c)와 제2밴드 틀부(14a)와의 접속부에의 응력집중이 완화된다. 그 결과, 평면부재(11)에 장력을 부여할 시에, 연결부(14c)와 제2밴드 틀부(14a)와의 접속부에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14c)의 폭을 원호를 따라 서서히 증가시킬 경우, 원호의 반경이 너무 작으면 접속부에의 응력집중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작다. 반대로 원호의 반경이 너무 크면, 외측영역의 본래의 목적인 빔 선택영역(12)의 전체에 균일한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손상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원호의 반경은 6mm로 했다. 또한, 형광체면(4)의 칫수는 약 260mm×330mm이고, 평면부재(11)의 외직경 칫수는 약 380mm×450mm로 했다. 평면부재(11)의 빔 선택영역(12)은 약 240mm×320mm, 제1및 제2밴드 틀부(14a), (14b) 및 연결부(14c)는 폭 약 10mm로 했다.
외측영역(13a), (13b), (13c)에 배설하는 구멍의 사이즈 및 피치는 외측 영역(13a), (13b), (13c)의 인장강도가 빔 선택영역(12)과 동등 혹은 약간 높아지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외측영역(13a)은 빔 선택영역(12)과 대략 동등한 인장강도로 하고, 외측영역(13b), (13c)은 내측(수직중심축(15)측)에서는 빔 선택영역(12)과 동등한 강도가 되도록, 외측에서는 빔 선택영역(12)보다 강도가 높아지도록 했다.
구체적으로는 빔 선택영역(12) 및 외측영역(13a)에서는 수직축(15)의 근방에서 수직방향의 공 피치를 약 0.29mm, 수직방향의 공 피치를 약 0.24mm로 하고, 공 사이즈를 약 0.25mm×0.05mm로 했다. 수평방향 양단에서 수직방향의 공 피치를 약 0.29mm, 수평 방향의 공 피치를 약 0.25mm로 하고, 공 사이즈를 약 0.25mm×0.06mm로 했다.
외측영역(13b), (13c)에서는 내측(수직중심축(15)측)에서 수직방향의 공 피치를 약 0.29mm, 수평방향의 공 피치를 약 0.24mm로 하고, 공 사이즈를 약 0.25mm×0.05mm로 했다. 외측에서 수직방향의 공 피치를 약 0.29mm, 수평방향의 공 피치를 0.24mm로 하고, 공 사이즈를 약 0.05mm×0.05mm로 했다.
연결부(14c)와 제2밴드 틀부(14a)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연결부(14c)의 폭을 원호를 그리도록 서서히 넓게하는 구체적 방법의 예를 제5a도 및 제5b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5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롯공(20)이 소정의 피치 및 패턴으로 배설되어 있다. 다만, 이들 도면은 슬롯공(20)의 사이즈 및 피치를 과장하여 그린다. 원호(18)에 따라 연결부(14c)의 폭을 서서히 넓힐 경우, 원호(18)와 각 슬롯공(20)의 수직 중심선(19)과의 교점에서 그 슬롯공(20)을 수평방향으로 컷트한다. 다만, 컷트된 후의 슬롯공의 수직방향의 칫수가 0.05mm미만인 경우, 그 슬롯공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5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14c)의 폭을 원호상으로 서서히 넓힐 수 있다. 제5b도에서 원호(18)의 우측이 연결부(14c)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11)를 이용한 바, 평면부재(11)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7)에 용접하는 공정에서의 불량율은 2%였다. 한편, 연결부(14c)가 그 폭을 서서히 넓히지 않고 그대로 제2밴드 틀부(14a)에 접속하는 평면부재(11)를 이용한 경우는 상기 공정의 불량율은 15%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호(18)의 반경을 6mm로 했는데, 음극선관의 사이즈등에 따라 적절한 반경을 선택한 필요가 있다. 평면부재의 사이즈나 주어지는 장력이 음극선관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연결부(14c)가 그 폭을 서서히 넓혀 제2밴드 틀부(14a)에 접속하는 부분의 형상은, 반드시 원호상일 필요는 없고, 다른 곡선형상이어도 된다. 혹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연결부(14c)의 폭이 넓어져도 된다.
제2도는 연결부(14c)의 제2밴드 틀부(14a)와의 접속부의 형상만이 제1도과 상이하다. 환언하면, 외측영역(13a), (13b), (13c)의 제2밴드 틀부(14a)와 접하는 코너부가 제1도에서는 R형상인데 대해, 제2도에서는 C컷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도의 경우도 연결부(14c)가 그 폭을 서서히 넓히도록 하여 제2밴드 틀부(14a)에 접속함으로써, 연결부(14c)의 제2밴드 틀부(14c)와의 접속부가 보강되고, 제1도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2]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11)의 평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제2밴드 틀부(14a)가 팔각형이고, 4귀퉁이의 외측영역(외측코너영역)(13c)이 대략 삼각형으로 되어 있는 점이다. 그 이외의 부분의 형상은 실시형태1과 같다.
제3도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11)를 이용한 경우도 제1도의 평면부재를 이용한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도의 평면부재(11)는 4변을 외측으로 끌어당길 시에, 제1도의 평면부재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평면부재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응력의 집중을 한층 완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평면부재의 코너부의 강도가 한층 높아지고, 평면부재가 파손되기 어려워짐과 동시에, 빔 선택영역(12)의 전면에 균일한 장력을 주는 것이 한층 용이해 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연결부(14c)가 그 폭을 원호를 따라 서서히 넓어지도록 제2밴드 틀부(14a)에 접속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원호이외의 곡선형상을 따라 혹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연결부(14c)의 폭을 서서히 넓혀도 된다.
[실시형태 3]
제6도에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1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의 평면부재(11)는 4귀퉁이 부분에는 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이 제1도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도 1에서의 다수의 소공이 형성된 외측 코너영역(13c)이 이 실시형태의 평면부재(11)에는 존재하지 않고, 제1및 제2밴드 틀부재(14b), (14a)가 4귀퉁이의 폭넓이의 연결부(14c)로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와 같이, 평면부재(11)의 4귀퉁이에는 구멍뚫림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4귀퉁이에 존재하는 구멍뚫림영역(외측영역13a, 13b)의 작용에 의해 이미 기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평면부재(11)도 연결부(14c)의 제2밴드 틀부재(14a)와의 접속부가 원호를 따라 서서히 넓어지고 있다. 즉 외측영역(13a), (13b)의 제2밴드 틀부재(14a)측의 코너부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이 평면부재의 4변을 외측으로 끌어당겨 장력을 부과할 때에, 외측영역(13a), (13b)의 제2밴드 틀부재(14a)측의 코너부로의 응력집중이 완화되며, 이 부분에 파단의 발생이 회피된다. 또한, 이 코너부의 형상은 원호에 한정되지 않고, 유사한 곡선, 또는 경사진 직선이어도 된다.
또한, 제3도에 도시한 제2실시형태와 본 실시형태를 조합해도 된다. 즉 제3도의 평면부재(11)에서, 4개의 대략 삼각형의 외측 코너부(13c)의 공을 제거함으로써, 구멍뚫림측 코너부(13c)를 없애고, 4귀퉁이 부분을 폭이 넓은 연결부재(14c)로 한다. 이 경우도, 제6도에 도시한 평면부재(11)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섀도 마스크용의 평면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에 위치결정하여 용접할 시에, 빔 통과공이 소정의 피치 및 패턴으로 설치된 빔 선택영역의 코너부 근방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평면부재에 장력을 줄 때에 외측의 밴드 틀부와 연결부와의 접속부에 집중하는 응력을 완화하여 이 부분에 있어서의 파단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13)

  1. 다수의 빔 통과공이 소정의 피치 및 패턴으로 배설된 빔 선택영역과, 상기 빔 선택영역을 둘러싸는 제1밴드 틀부와, 상기 제1밴드 틀부의 주위에 떨어져 위치하는 제2밴드 틀부와, 상기 제1밴드 틀부의 외주와 상기 제2밴드 틀부의 내주를 다수 개소로 접속하는 다수의 연결부와, 상기 제1및 제2밴드 틀부와 2개의 연결부로 둘러싸인 다수의 영역으로써 다수의 공이 형성된 외측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이 서서히 넓어지면서 상기 제2밴드 틀부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접속부가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이 직선적으로 서서히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이 원호 또는 그 유사곡선을 그리도록 서서히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밴드 틀부가 대략 장방형의 내주 및 외주를 가지고, 다수의 공이 형성된 장방형의 외측 코너 영역이 상기 제2밴드 틀부와 2개의 상기 연결부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 틀부가 대략 장방형의 내주 및 외주를 가지고, 상기 제2밴드 틀부가 대략 팔각형의 내주 및 외주를 가지며, 다수의 공이 형성된 대략 삼각형의 외측 코너영역이 상기 제2밴드 틀부와 2개의 상기 연결부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영역에 형성된 다수 공의 직경이 상기 제1밴드 틀부 근방보다 상기 제2밴드 틀부 근방에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7. 다수의 빔 통과공이 소정 피치 및 패턴으로 배설된 빔 선택영역과, 상기 빔 선택영역을 둘러써는 제1밴드 틀부와, 상기 제1밴드 틀부의 주위에 떨어져 위치하는 제2밴드 틀부와, 상기 제1밴드 틀부의 외주와 상기 제2밴드 틀부의 내주를 다수개소로 접속하는 다수의 연결부와, 상기 제1및 제2밴드 틀부와 2개의 연결부로 둘러싸인 다수의 영역으로써, 다수의 공이 형성된 외측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이 서서히 넓어지면서 상기 제2밴드 틀부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접속부가 보강되는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제2밴드 틀부의 4변을 외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새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에 장력을 주고, 장력을 준 상기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상기 제1밴드틀부를 금속 프레임부재에 위치결정하여 용접하고, 그 후, 상기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용접부분보다 외측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섀도 마스크를 얻은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이 직선적으로 서서히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이 원호 또는 그 유사곡선을 그리도록 서서히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밴드 틀부가 대략 장방형의 내주 및 외주를 가지고, 다수의 공이 형성된 장방형의 외측 코너영역이 상기 제2밴드 틀부와 2개의 상기 연결부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 틀부가 대략 장방형의 내주 및 외주를 가지고, 상기 제2밴드 틀부가 대략 팔각형의 내주 및 외주를 가지며, 다수의 공이 형성된 대략 삼각형의 외측 코너 영역이 상기 제2밴드 틀부와 2개의 상기 연결부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마스크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공의 직경이 상기 제1밴드 틀부 근방보다 상기 제2밴드 틀부 근방에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
  13. 다수의 빔 통과공이 소정 피치 및 패턴으로 배설된 빔 선택영역과, 상기 빔 선택영역을 둘러싸는 제1밴드 틀부와, 상기 제1밴드 틀부의 주위에 떨어져 위치하는 제2밴드 틀부와, 상기 제1밴드 틀부의 외주와 상기 제2밴드 틀부의 내주를 다수개소로 접속하는 다수의 연결부와, 상기 제1및 제2밴드 틀부와 2개의 연결부로 둘러싸인 다수의 영역으로써, 다수의 공이 형성된 외측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밴드 틀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이 서서히 넓어지면서 상기 제2밴드 틀부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접속부가 보강되는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제2밴드 틀부의 4변을 외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에 장력을 주고, 장력을 준 상기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의 상기 제1밴드 틀부를 금속 프레임부재에 위치결정하여 용접하고, 그 후, 상기 섀도마스크용 평면부재의 용접부분보다 외측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섀도 마스크를 얻고, 상기 섀도 마스크를 음극선관의 유리 패널의 내측에 부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KR1019970018797A 1996-05-15 1997-05-15 음극선관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및 그것을이용한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0235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19877 1996-05-15
JP11987796 1996-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7028A KR970077028A (ko) 1997-12-12
KR100235910B1 true KR100235910B1 (ko) 1999-12-15

Family

ID=1477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797A KR100235910B1 (ko) 1996-05-15 1997-05-15 음극선관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및 그것을이용한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28047A (ko)
EP (1) EP0813225B1 (ko)
KR (1) KR100235910B1 (ko)
CN (1) CN1104023C (ko)
CA (1) CA2205330A1 (ko)
DE (1) DE69723619T2 (ko)
MY (1) MY117457A (ko)
SG (1) SG60065A1 (ko)
TW (1) TW38591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764B1 (ko) * 1996-11-13 1999-08-02 구자홍 평면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 구조체
KR19990000255A (ko) * 1997-06-04 1999-01-15 손욱 멀티미디어용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224981B1 (ko) * 1997-07-23 1999-10-15 구자홍 평면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 구조체
KR100255273B1 (ko) * 1998-01-22 2000-05-01 손욱 새도우 마스크 및 그의 제조 방법
JP3458727B2 (ja) * 1998-10-30 2003-10-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JP2001196002A (ja) 2000-01-11 2001-07-19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CN100433231C (zh) * 2004-05-26 2008-11-12 东元奈米应材股份有限公司 场发射显示器聚焦网罩的制造方法及所制造的聚焦网罩
JP2006114302A (ja) * 2004-10-14 2006-04-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シャドウマスク
KR100739622B1 (ko) * 2005-04-08 2007-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CN113051688B (zh) * 2021-04-09 2022-04-19 中山大学 一种叶片叶型外形几何的计算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22277A (en) * 1983-09-30 1987-05-26 Kazimir Palac Tensed mask cathode ray tube
US4767962A (en) * 1986-07-02 1988-08-3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olor cathode ray tube and tensible shadow mask blank for use therein
JPH02503610A (ja) * 1987-05-18 1990-10-25 ゼニス、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張力のかかったマスクを有するブラウン管の製造工程およびその装置
US4950945A (en) * 1987-06-04 1990-08-2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ension mask securement means and process therefor
US4971590A (en) * 1987-12-02 1990-11-2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Process for improving the emissivity of a non-based tension shadow mask
US4900977A (en) * 1988-04-04 1990-02-13 Corning Incorporated Support system for flat CRT tension mask
US4891544A (en) * 1988-08-19 1990-01-02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Front assembly for a tension mask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pre-sized mask support structure
US4942333A (en) * 1988-12-05 1990-07-17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Shadow mask with border pattern
US5364340A (en) * 1989-01-25 1994-11-15 Coll Milton E Ureteral stent-catheter having varying internal diameter and method of use
JP3158297B2 (ja) * 1991-12-06 2001-04-23 ソニー株式会社 アパーチャーグリル
US5620127A (en) * 1995-05-15 1997-04-15 Mackenzie; Robert Foldable garment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05330A1 (en) 1997-11-15
CN1166689A (zh) 1997-12-03
MY117457A (en) 2004-06-30
US5928047A (en) 1999-07-27
EP0813225A3 (en) 2000-03-08
DE69723619T2 (de) 2004-06-09
EP0813225A2 (en) 1997-12-17
EP0813225B1 (en) 2003-07-23
SG60065A1 (en) 1999-02-22
CN1104023C (zh) 2003-03-26
DE69723619D1 (de) 2003-08-28
TW385913U (en) 2000-03-21
KR970077028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910B1 (ko) 음극선관의 섀도 마스크용 평면부재 및 그것을이용한 섀도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0213764B1 (ko) 평면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 구조체
KR100210566B1 (ko) 섀도우마스크 및 이를 가진 컬러음극선관
KR960001067B1 (ko) 타이바 폭의 등급이 개선된 새도우 마스크를 갖는 칼라 수상관
KR100344501B1 (ko) 샤도우 마스크 조립체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
KR100389540B1 (ko) 개선된 슬롯형상의 새도우마스크를 가지는 칼라 음극선관
JP3389055B2 (ja) 陰極線管のシャドウマスク用平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ャドウマスクの製造方法
KR100319048B1 (ko) 컬러 음극선관
KR100709239B1 (ko) 음극선관의 인장 마스크 지지용 프레임
KR100276354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553062B1 (ko) 컬러음극선관과 그 제조방법
KR10035424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209693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00418035B1 (ko) 개선된 새도우마스크를 가지는 평면 브라운관
JP2002025458A (ja) カラー受像管
US7227298B2 (en) Color picture 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228377Y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0166015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51856B1 (ko) 평면 음극선관용 프레임 어셈블리의 메인프레임 제조방법
KR100385210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WO2006046941A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tension mask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00011727A (ko) 섀도우마스크형컬러음극선관
KR20040041705A (ko) 컬러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5623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JP2001135225A (ja) 色選別電極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