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794B1 -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794B1
KR100235794B1 KR1019950006914A KR19950006914A KR100235794B1 KR 100235794 B1 KR100235794 B1 KR 100235794B1 KR 1019950006914 A KR1019950006914 A KR 1019950006914A KR 19950006914 A KR19950006914 A KR 19950006914A KR 100235794 B1 KR100235794 B1 KR 100235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distillation
cleaning
hydrocarbon
clean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594A (ko
Inventor
히데유키 도히
히로시 사쿠라이
쓰토무 다카시마
Original Assignee
사이카와 겐조오
니뽄 세키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카와 겐조오, 니뽄 세키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이카와 겐조오
Publication of KR95003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8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94High foam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20Industrial or commercial equipment, e.g. reactors, tubes or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22Electronic devices, e.g. PCBs or semicondu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더러움 및 유용성 더러움의 어느 것에도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내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세정력, 산화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저하되지 않고, 또 값싼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a) 특정의 증류성상을 가진 탄화수소 1∼99중량%, (b) 특정의 비점을 가지고, 또 비투전율이 4.0 이상의 극성화합물 1∼99중량%, (c) 특정의 비점을 가진 산화방지제 5ppm∼1중량%, 바람직하기는 5∼1000ppm으로 이루어지고, (a)성분과 (b)성분과의 혼합물의 비투전율이 2.5∼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은 자동차, 기계, 전자, 전기기기 등의 부품의 세정에 사용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것들의 제조공정에서 달라붙는 기계유, 그리스 및 땜납 플럭스(flux) 등에 의한 더러움의 세정에 적합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속이나 플라스틱의 부품에 달라붙는 유지(油脂)나 먼지 등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세정에 있어서는 트리클로로에탄 등의 저비점 할로겐계 용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트리클로로에탄 등의 휘발성 할로겐계 용제의 대부분은 대기중의 오존을 파괴하거나 인체에 대한 독성을 갖기 때문에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이 사회적으로 고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것들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트리클로로에탄 등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수계(水系)세정제 혹은 탄화수소로 대표되는 비수계(非水系) 세정제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수계 세정제는 불연성이고, 또한 수용성의 더러움에 대하여 높은 세정력을 나타내는 등의 특징이 있지만, 유용성(油容性)의 더러움에 대하여는 비수계 세정제에 비하여 세정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세정공정의 다단계화나 리사이클 사용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결점을 가진다.
한편, 탄화수소계 세정제는, 유용성의 더러움에 대하여 높은 세정력을 나타내고, 또 증류재생에 의해 용이하게 리사이클 사용이 가능하다는 등의 특징을 가지나, 수용성의 더러움을 포함하는 계에 있어서는 용해력이 떨어진다. 게다가 공업적인 세정의 분야에 있어서는, 피세정물에 부착된 더러움으로서는 수용성 물질과 유용성 물질의 양자(兩者)로 된 것이 많다. 예를 들면, 땜납플럭스나 그리스 등은 그 자체가 수용성 물질과 유용성 물질로 된 것이며, 또 공장내에서 수용성 및 유용성의 절삭유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등은 피세정물에 달라붙는 더러움은 이들의 혼합물이 된다.
이와 같은 사정에서, 예를 들면 땜납 플럭스에 대한 세정제로서, 리모넨 등의 탄화수소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세정제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고가의 계면활성제는 탄화수소에 비하여 대단히 높은 비점을 가지기 때문에, 세정이 끝난 용제를 증류에 의해 재생하면, 계면활성제는 더러움과 함께 증류잔사로 잔류하고, 그 결과 계면활성제의 회수가 곤란하게 되어 처리코스트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 글리콜 에테르류나 에스테르류 등으로 된 세정제도 제안되어 있다. 이것들은 어느 정도의 세정력은 있으나, 탄화수소계 세정제에 비하여 가격이 높고 또 산화안정성이나 열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장기에 걸쳐 사용하면 세정제의 열화(劣化)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 값싸고, 또한 장기간 사용하여도 세정력, 산화안정성, 열안정성이 저하되지 않고 또 수용성 및 유용성의 양쪽의 더러움에 대하여 우수한 세정력을 가진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a) 증류시험에서 5% 유출온도(留出溫度)가 150℃ 이상, 95% 유출온도가 250℃ 이하이고, 또 5% 유출온도와 95% 유출온도와의 온도차가 45℃ 이내인 탄화수소 1∼99중량%,
(b) 비점이 상기 (a) 성분의 증류시험에서 95% 유출온도 이하이며, 또 비투전율이 4.0 이상인 극성화합물 1∼99중량%, 및
(c) 비점이 상기 (b) 성분의 극성화합물의 증류시험에서 5% 유출온도 이상인 산화방지제 5ppm∼1중량%, 바람직하게는 5∼1000ppm으로 이루어지고, (a)성분과 (b)성분과의 혼합물의 비투전율이 2.5∼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 성분이 탄소수 5∼12인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R은 수소 또는 탄화수소잔기, m은 0∼3의 정수, n은 1∼6의 정수, R'는 수소 또는 아실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a) 성분의 탄화수소는 불포화탄화수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방향족탄화수소, 지방족탄화수소, 지환족탄화수소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가 있다. 단일 화합물인 탄화수소를 채용할 수도 있으나 가격이나 입수의 용이성 등의 점에서 탄화수소 혼합물, 예를 들면 증류에 의한 유분(留分)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환경문제나 인체에의 영향을 고려하면, 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a) 성분의 탄화수소로서 바람직한 것은, 하기와 같은 각종 류분이다.
(1) 석유를 증류정제하여 얻어지는 등유류분(留分),
(2) 등유류분 중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Ni-W촉매 등의 수소첨가용 금속촉매에 의해 핵수소첨가한 후, 증류정제하여 얻어지는 탄화수소류분,
(3) 등유류분 중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Ni-W촉매 등의 수소첨가용 금속촉매에 의해 핵수소첨가한 후, 모렉스 등에 의한 분자체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분리하고, 증류정제하여 얻어지는 노르말파라핀류분,
(4) 등유류분 중의 방향족 탄화수소에 대하여, Ni-W촉매 등의 수소첨가용 금속촉매에 의해 핵수소첨가한 후, 모렉스법 등에 의한 분자체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노르말 파라핀을 분리 제거한 라피네이트로서의 고나프텐 함유 탄화수소를, 증류 정제하여 얻어지는 탄화수소류분,
(5) 고옥탄가 가솔린을 얻기 위하여 나프타 등의 석유류분을 개질하여 얻어지는 개질유 또는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등을 얻기 위하여 나프타 및 부탄 등의 석유류를 열분해하여 얻어지는 열분해 부생유를 수소첨가하고, 또 유기용제 추출법에 의해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BTX)을 추출 제거한 라피네이트로서의 고나프텐함유 탄화수소를 증류정제하여 얻어지는 나프텐계 탄화수소류분,
(6) 고옥탄가 가솔린을 얻기 위하여 나프타 등의 석유류분을 개질하여 얻어지는 개질유, 또는 에틸렌이나 프로필렌등을 얻기 위하여 나프타 및 부탄 등의 석유류를 열분해하여 얻어지는 열분해 부생유를 수소첨가하고, 또 유기용제 추출법에 의해 BTX를 추출제거한 라피네이트로서의 고이소파라핀 함유 탄화수소를 증류정제하여 얻어지는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류분,
(7) 프로필렌, 부텐 및 이소부텐 등의 저급올레핀을 인산이나 염화알루미늄 등의 산촉매로 중합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수소첨가물을 증류정제하여 얻어지는 지방족 탄화수소류분,
(8) 장쇄 올레핀에 의한 벤젠 및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알킬레이션으로 얻은 알킬레이트를 증류하여 얻어지는 알킬벤젠류분.
이들 유분(留分)으로부터 적절히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이것들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a)성분의 탄화수소는 증류시험에서 5% 유출온도가 150℃이상, 95% 유출온도가 250℃ 이하이며, 5% 유출온도와 95% 유출온도와의 온도차가 45℃ 이내인 것이 필요하다. 5% 유출온도가 150℃보다 낮은 때는 인화점이 낮게되어 취급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95% 유출온도가 250℃보다 높게 되면, 세정후의 용제를 건조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5% 유출온도와 90% 유출온도의 온도차가 45℃보다 크게되면, 세정이 끝난 용제를 증류에 의해 재생할 때, 용제의 조성변화를 일으키기 쉽다. 즉, 반복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중질분 또는 경질분이 점차로 많아지고, 그 결과 세정제의 성질이 변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상기 (a) 성분의 탄화수소가 단일 화합물일 때는 5% 유출온도와 95% 유출온도와의 온도차는 매우 작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증류시험은 JIS K0066-78(화학제품의 증류시험방법)에 준거하여 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용성 더러움에 대한 세정제 조성물의 용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b) 성분으로서, 비점이 상기 (a) 성분의 증류시험에서의 95% 유출온도 이하이며, 또 비투전율이 4.0이상인 극성화합물, 바람직하기는 상기식 (1)로 표시되는 탄소수가 5∼12인 극성화합물을 첨가한다.
극성화합물은 산소, 유황, 질소 등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 예를 들면, 함산소화합물, 함유황화합물, 함질소화합물 등으로써, 바람직하기는 세정제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거나, 또는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극성기 함유 유기용제이다.
여기서, 식 (1)의 R는 수소 또는 탄화수소잔기를 나타내지만, 탄화수소잔기로서는, 방향족기, 포화지방족기 또는 포화치환족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포화지방족기 또는 포화지환족기이며, 구체적으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시클로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등이다.
식 (1)의 극성화합물은, 수용성 더러움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것 외에, 인체에 대한 안전성의 점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식 (1)에서 탄소수는 5∼12이지만, 탄소수가 5미만의 극성화합물은 비점이 너무 낮고, 한편, 탄소수가 12를 넘는 극성화합물은 비점이 반대로 너무 높기 때문에 모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식 (1)에서 나타내는 극성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펜틸알코올, 헥실알코올, 헵틸알코올, 옥틸알코올, 노닐알코올, 데실알코올 등의 각종 알코올류; 초산펜틸, 초산헥실, 프로피온산부틸, 프로피온산펜틸, 프로피온산헥실, 낙산프로필, 낙산부틸, 낙산펜틸, 낙산헥실,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3-메틸-3-메톡시부탄올,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세정제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상기 (a) 성분의 탄화수소가 1∼99중량% 및 (b)성분의 극성화합물 1∼99중량%이다.
그러나, 세정제 조성물에서 극성화합물의 혼합비율을 너무 높게 하면, 유용성 더러움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되는 것, 및 최적의 혼합비율이 존재하며, 그 비율은 극성화합물의 종류에 의존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탄화수소 및 극성화합물의 혼합에 있어서 극성화합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혼합후의 세정력을 예지(豫知)하는 지침이 되는 기준을 여러가지 검토한 결과 상기 (a) 성분의 탄화수소와 (b) 성분의 극성화합물과의 혼합물의 비투전율이 세정력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판명되였다. 즉, 비투전율이 2.5∼4.8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얻은 세정제 조성물은 땜납 플럭스나 그리스로 대표된다. 수용성 물질과 유용성 물질의 양쪽을 함유하는 혼합 더러움에 대하여 높은 세정력을 나타내며, 열처리유 등의 유성계 더러움에 대하여도 탄화수소계 세정제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나타낸다. 비투전율이 2.5 미만의 경우에는 극성화합물의 첨가효과는 거의 볼 수 없으며, 또 한편 4.8을 넘는 경우에는 얻은 세정제조성물은 탄화수소 단독의 경우에 비하여 유성계 더러움에 대한 세정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상기 (a) 성분의 탄화수소와 (b) 성분의 극성화합물의 혼합비율은 양자의 혼합물의 비투전율의 값이 2.5∼4.8의 범위가 되도록 정하면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비투전율은 25℃에서 주파수 50Hz를 사용하며 JIS C 2101(전기절연유 시험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또, 상기 (b) 성분의 극성화합물로서는 비투전율이 4.0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비투전율이 4.0 미만의 극성화합물을 사용하고, (a)성분이 탄화수소와 (b)성분의 극성화합물의 혼합물의 비투전율을 상기 2.5∼4.8의 범위로 하기 위하여는 (b)성분의 혼합비율을 높게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은 얻어지는 세정제 조성물의 산화안정성이나 가격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세정제의 리사이클을 용이하게 하고 또 값싸게 행하기 위하여 증류에 의한 재생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상기 (b)성분의 극성화합물은 상기 (a)성분의 탄화수소의 증류시험에서의 95% 유출온도 이하의 비점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비점을 가지는 것이라면, 단증류조작에 의하여 실용상의 성능이 저하되는 일없이 재생을 행할 수가 있다.
즉, 재생을 위한 증류조작에 있어서, 더러움의 원인물질이 농축됨과 동시에 증류가마의 액중의 온도는 상승한다. 상기 (b)성분의 극성화합물이 상기 (a)성분의 탄화수소의 95% 유출온도를 넘는 고비점을 가질 때는 극성화합물도 동시에 농축되며, 그 결과, 증류가마의 액중의 극성화합물이 고농도로 되어 더러움의 원인물질의 농도에 따라 상승한 고온도 하에서 극성화합물은 열분해 등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따라서, 상기 (a)성분의 탄화수소의 95% 유출온도를 넘는 고비점을 가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식(1)으로 나타내는 극성화합물에서 적절히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b) 성분의 극성화합물은 화학구조상 산화열화(劣)化)를 일으키기기 쉬우나, 산화열화의 생성물은 피세정물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또, 다량의 과산화물이 생성한 경우에는 폭발의 위험성도 생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산화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c)성분으로서 산화방지제를 배합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첨가하는 산화방지제는 공지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비점이 상기 (b)성분의 증류시험에서 5% 유출온도 이상의 비점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산화방지제가 상기 (b)성분의 극성화합물의 5% 유출온도 미만의 비점을 가진 경우에는 증류에 의한 재생을 반복함에 따라, 산화방지제의 세정제 조성물에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며, 산화방지제 자체의 피세정물에 대한 영향이 무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b) 성분의 극성화합물이 단일 화합물일 때는 산화방지제의 비점은 극성화합물이 비점 이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산화방지제로서는 각종의 플라스틱, 윤활유 등에 사용되는 산화방지제이면,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한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 6-디-tert-부틸-p-크레졸(BHT), 2, 6-디-tert-부틸페놀, p-tert-부틸아니졸, tert-부틸히드록시아니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중에서, 적절히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이것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첨가량은 상기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5ppm∼1중량%, 바람직하기는 5∼1000ppm의 범위이다. 5ppm 미만에서는 효과가 확인되지 않으며, 한편 1중량%, 바람직하기는 1000ppm를 넘으면, 세정후 피세정물에 잔류하여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a) 성분이 탄화수소 (b)성분의 극성화합물 및 (c)성분의 산화방지제의 3성분으로 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임의이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상기 식(1)로 나타내는 것 이외의 극성화합물, 혹은 산화방지제 이외의 첨가제 등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3성분의 배합성분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방법으로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는, 세정제 조성물의 조제시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세정제로서 사용하기 직전 또는 사용중에 세정조나 세정액 탱크에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세정제에 산화방지제를 고농도로 용해한 마스터 배치를 준비하고, 소정량의 마스터 배치를 세정조나 세정액 탱크내에 첨가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의해 세정을 할 경우에는 종래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침지, 스프레이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침지에 의한 세정을 행할 때는 교반, 요동, 초음파, 액중 분사 등의 물리적 수단을 병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감압상태에서 증발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감압하에서의 증기세정도 가능하다. 감압하에서 증기세정을 할 경우에는 증기온도가 160℃ 이하로 될 수 있는 압력을 사용하는 것이 세정제의 열열화(熱劣化)를 방지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각종의 방법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또 2종류 이상의 세정방법을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물, 이소프로필 알코올 혹은 퍼플루오로카본 이외의 세정제를 사용하는 세정, 행굼 또는 건조시스템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에 사용한 후, 간편한 증류조작인 단증류에 의해 재생하여 반복 사용할 수가 있는 점에 큰 특징을 가진다. 즉, 분류(分留)조작 등에 의해 각 성분으로 분리하고, 이것을 재차 소정의 비율로 배합한 후에 재사용한다고 하는 복잡한 조작은 불필요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이와 같은 분류조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단증류란, 재생대상액에서 단지 경질분, 중질분 또는 그 양쪽을 제거하는 증류조작을 말한다. 증류탑은, 통상 1개이지만, 필요에 따라 복수개 사용할 수도 있다. 증류조작에 의한 재생에 있어서는, 증기온도가 160℃이하로 될 수 있는 조작압력을 사용하는 것이 세정제 성분의 열열화(熱劣化)를 막는데 바람직하다.
또, 분립체(粉粒體)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행하는 여과에 의한 재생도, 단독으로 또는 증류재생과 겸해서 사용할 수가 있다.
[실시예 1]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탄화수소 1의 조제]
원유의 증류로부터 얻은 등유류분을 Ni-W촉매를 사용하여 핵수소를 첨가하고, 얻어진 생성물에서, 5Å의 세공을 갖는 합성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모렉스법에 의해 n-파라핀류를 분리하고, 또 정밀증류를 행하여, 증류시험에서 5% 유출온도가 177℃, 95% 유출온도가 188℃의 탄화수소 1을 얻었다.
[탄화수소 2의 조제]
인산촉매를 사용하여 벌크 애시드 법에 의해 제조한 프로필렌의 올리고머를 정밀증류하고, 증류범위가 169∼192℃의 유분을 얻었다. 이 유분을 Pd-Al2O3촉매를 사용하여 수소첨가하고, 또 정밀증류함으로써 증류시험에서의 5% 유출온도가 210℃, 95% 유출온도가 230℃의 탄화수소 2를 얻었다.
[탄화수소 3의 조제]
이소부텐, 부텐-1 및 부텐-2의 합계량 40%를 함유하는 스펜트 B-B유분을 원료로 하고, 염화알루미늄 촉매를 사용하여 올리고머리제이션을 행하여 얻은 유분을 수소첨가한 후, 정밀증류함으로써 5% 유출온도가 175℃, 95% 유출온도가 187℃의 탄화수소 3을 얻었다.
[평가 A : 열처리유의 세정]
15×70㎜의 강판을 열처리유(상품명 : 유닉엔치 MT-300, 니혼세끼유(주)제)에 침지하고 끌어올린 후 1일간 방치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세정액을 채운 1ℓ의 비커 중에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면서 액온 25℃에서 1분간 시험편을 침지하고, 끌어올려 건조한 후, 목시에 의한 판정을 하였다. 판정기준은 아래와 같다(이하 같음).
○ : 얼룩이 없는 것
△ : 1cm2미만의 얼룩이 있는 것
× : 1cm2이상의 얼룩이 있는 것
[평가 B : 그리스의 세정 1]
15×70㎜의 강판에 그리스(상품명 : 에피녹크그리스 AP2, (니혼세끼유(주)제)를 균일하게 칠하여 (1㎠당 약 0.36㎎) 시험편으로 하였다. 세정액을 채운 1ℓ의 톨비이커 중에 자석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액온 25℃에서 10분간 시험편을 침지하고, 끌어올려 건조한 후, 목시에 의한 판정을 하였다.
[평가 C : 그리스의 세정 2]
15×70㎜의 강판에 그리스(상품명 : 다후니-EPONEX EP-1, 슛고오쿄오산(주)제)를 균일하게 칠하여 (1㎠당 약 0.36㎎) 시험편으로 하였다. 세정액을 채운 1ℓ의 톨비이커 중에 자석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액온 25℃에서 5분간 시험편을 침지하고, 끌어올려 건조한 후, 목시에 의한 판정을 하였다.
[평가 D : 열처리유의 세정]
15×70㎜의 강판상에 1g의 땜납(상품명 : 야니하이리 RH-60B, 후지고오긴고오교오(주)제)을 납땜인두로 용착시켜 시험편으로 하였다.
세정액을 채운 1ℓ의 톨비이커 중에 자석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액온 25℃에서 5분간 시험편을 침지하고, 끌어올려 건조한 후 목시에 의한 판정을 하였다.
[평가 E : 반복세정]
평가 D에 사용한 세정제 조성물을 빛을 차단한 용기에 넣어 60℃의 일정온도에 보지한 상태에서, 유리제의 취입관에서 1ℓ/min이 속도로 공기를 8일간 취입()한 후, 세정액으로서 사용하였다. 또 은판(30×60㎜)을 미리 열처리유(상품명 : 유닉엔치 MT 300, 니혼세끼유(주)제)에 침지하고, 끌어올린 후 1일간 방치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상기 세정액을 채운 1ℓ의 톨비이커 중에 자석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액온 25℃에서 1분간 시험편을 침지하고, 끌어올려 건조한 후, 목시에 의한 판정을 하였다.
[실시예 1∼6, 비교예 1∼3]
표 1에 나타낸 (a)성분과 (b)성분이 혼합비율(중량부)로 각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3을 제외한 다른 모든 세정제 조성물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낸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였다. 산화방지제의 첨가량은 모두 (a)성분과 (b)성분이 합계중량에 대하여 50ppm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제한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평가 A∼E의 방법으로 실험을 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냈다.
또, 평가 B에 의한 세정평가에 사용한 실시예 1의 세정제 조성물에 대하여, 단증류에 의해 재생회수를 하였다. 회수된 액의 조성을 조사하였더니 사용전과 거의 같은 조성의 세정제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표 1]
DPGME : 디프로필렌클리콜모노메틸에테르
DPGPE :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BHT : 2, 6-디-tert-부틸-p-크레졸
BHA : tert-부틸히드록시아니졸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유용성 더러움에 대한 용해력에서 탄화수소계 세정제와 같은 성능을 가지며, 땜납 플럭스나 그리스로 대표되는 수용성 물질과 유용성 물질과의 혼합 더러움에 대하여서도 높은 세정력을 나타낸다. 또 간편한 증류재생조작인 단증류에 의하여 용이하게 세정액의 재생을 행할 수가 있으며, 또 극성화합물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탄화수소계 세정제와 동등이상의 산화안정성을 나타낸다.

Claims (5)

  1. (a) 증류시험에서의 5% 유출온도가 150℃이상, 95% 유출온도가 250℃이하이며, 또 5% 유출온도와 95% 유출온도와의 온도차가 45℃이내인 탄화수소 1∼99중량%,
    (b) 비점이 상기 (a) 성분의 증류시험에서의 95% 유출온도 이하이며, 또 비투전율이 4.0이상인 극성화합물 1∼99중량%, 및
    (c) 비점이 상기 (b) 성분의 극성화합물의 증류시험에서의 5% 유출온도 이상인 산화방지제가 (a) 성분과 (b)성분의 합계에 대하여 0.0005∼1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고, (a)성분과 (b)성분과의 혼합물의 비투전율이 2.5∼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성분이 탄소수 5∼12인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
    상기 식(1)에서, R는 수소 또는 탄화수소잔기, m는 0∼3의 정수, n는 1∼6의 정수, R'는 수소 또는 아실기를 나타낸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인 탄화수소는, 방향족탄화수소, 지방족탄화수소, 지환족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인 극성화합물은 함산소화합물, 함유황화합물 및 함질소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극성기함유 유기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성분인 산화방지제의 비율이 0.0005∼0.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19950006914A 1994-03-30 1995-03-29 세정제 조성물 KR100235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84021A JPH07268391A (ja) 1994-03-30 1994-03-30 洗浄剤組成物
JP94-84021 1994-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594A KR950032594A (ko) 1995-12-22
KR100235794B1 true KR100235794B1 (ko) 1999-12-15

Family

ID=1381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914A KR100235794B1 (ko) 1994-03-30 1995-03-29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68391A (ko)
KR (1) KR100235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0265B2 (ja) * 2004-07-06 2011-06-29 東ソー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洗浄システム
JP2008303313A (ja) * 2007-06-08 2008-12-18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ケーブルクリーナー
JP2009120650A (ja) * 2007-11-12 2009-06-04 Japan Energy Corp ウレタン洗浄液組成物
WO2018051716A1 (ja) * 2016-09-15 2018-03-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溶剤の精製方法および有機溶剤の精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68391A (ja) 1995-10-17
KR950032594A (ko) 199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05933B (zh) 一种溶剂型清洗剂及其制备方法
US3167514A (en) Compositions for cleaning machinery and electrical equipment
JPH0248034B2 (ko)
US5611869A (en) Refinery vessel cleaning treatment
KR100235794B1 (ko) 세정제 조성물
JP2002518583A (ja) 重油除去剤
WO2001034744A1 (en) Heavy oil remover
US6197734B1 (en) High wax content heavy oil remover
WO2001034740A1 (en) Heavy oil remover
CA1330925C (en) Cleansing composition
US5792278A (en) Process for cleaning inks from various surfaces including printing plates
JP2013180244A (ja) エマルションの解乳化方法、並びに、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20010092129A (ko) 파울링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EP0864643B1 (en) Compositions to remove oily substances from substrates amd their use
KR20100073018A (ko) 고점도 금속 가공유용 세정 조성물
KR970001232B1 (ko) 세정제 조성물
KR20150125094A (ko) 자동차 세정용 조성물
JPH06128592A (ja) ワックス溶解組成物
JP2001137792A (ja) 洗浄方法
JPH073291A (ja) 洗浄材
JPH0394082A (ja) 洗浄剤組成物
JPH06122897A (ja) 脱脂洗浄剤
KR20020043262A (ko) 세정 조성물
JPH0543893A (ja) 精密部品用洗浄剤組成物
JPH06184599A (ja) 難燃性炭化水素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