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223B1 -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223B1
KR100234223B1 KR1019970049168A KR19970049168A KR100234223B1 KR 100234223 B1 KR100234223 B1 KR 100234223B1 KR 1019970049168 A KR1019970049168 A KR 1019970049168A KR 19970049168 A KR19970049168 A KR 19970049168A KR 100234223 B1 KR100234223 B1 KR 100234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
unit
track
tracking error
err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854A (ko
Inventor
배홍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4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223B1/ko
Priority to CN98810283A priority patent/CN1276901A/zh
Priority to JP2000514264A priority patent/JP2001518675A/ja
Priority to PCT/KR1998/000279 priority patent/WO1999017282A1/en
Priority to EP98944321A priority patent/EP1023720A1/en
Publication of KR19990026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16Seeking data on the record carrier for preparing an access to a specific address
    • G11B2020/10925Seeking data on the record carrier for preparing an access to a specific address involving an inter-layer jump, i.e. changing from one recording layer to anoth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광픽업 유니트를 디스크상의 목표 트랙 위치로 점프시키는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랙 점프 동작에 대한 안정 또는 불안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트랙 점프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트랙 점프가 과점프 상태인지, 또는 점프 부족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점프 상태 검출부(160)와, 디스크 각각의 특성에 대응하여 정해진 가속 및 감속 시간의 표준치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표준치는 각 트랙 점프의 종류마다 그 표준적인 트랙킹 에러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 레벨과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피크치와의 비를 나타낸 메모리(165)를 구비하여 보다 정밀한 트랙점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
본 발명은 광디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광픽업 유니트를 디스크상의 소정 트랙(track) 위치로 점프(jump)시키는 트랙점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광디스크 시스템은 디스크에 새겨진 정보를 레이져빔에 의해 비접촉으로 재생하고, 이를 디지탈 신호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써, 이러한 광디스크 시스템의 주요한 특징중의 하나는 디스크상의 재생 위치를 랜덤(random)하게 억세스(access)할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광디스크 시스템에서는 이와같은 점을 이용하여 소정의 곡이 수록된 트랙을 재생하는 도중에라도, 다른곡에 대한 재생을 지시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지시 신호에 대응하는 곡이 수록된 트랙의 시작 위치를 곧바로 탐색하여 재생할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통상 트랙 탐색 기능이라고 하는데, 트랙 탐색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트랙 점프 장치로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트랙 점프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디스크상의 정보를 레이져빔에 의해 독출한후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픽업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트랙 탐색을 수행하는 트랙 점프 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도 1에서, 디스크(10)에는 트랙을 따라 소정의 정보열이 기록되어 있는데, 광픽업 유니트(20)는 이러한 디스크(10)의 트랙상에 대물렌즈(21)에 의해 집광된 레이져빔을 방사한후, 디스크(10)의 트랙으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광을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함으로서, 디스크상에 수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디스크상에 수록된 정보를 독출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디스크(10)는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며, 광픽업 유니트(20)는 회전하는 디스크의 트랙을 트레이스(trace)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를 보면, 에러 검출부(30)는 광픽업 유니트(20)가 디스크(10)의 트랙을 트레이스하지 않고 한 트랙을 횡단할때마다 이에 대응하는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카운터(40)는 에러 검출부(3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수를 카운트하여 마이콤(50)에 제공하며, 마이콤(50)은 카운트값에 의거하여 광픽업 유니트(20)의 횡단 거리를 알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디스크 시스템이 일반 재생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에라도, 디스크(10)상의 소정 위치로 광픽업 유니트(20)를 점프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콤(50)은 구동부(60)를 제어하여 광픽업 유니트(20)를 소정 위치로 점프시키고, 광픽업 유니트(20)가 디스크(10)의 트랙을 횡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카운트값을 참조하여 점프 위치를 판별한후, 광픽업 유니트(20)가 지시된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트랙 점프 동작을 완료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구동부(60)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터와 모터 구동 장치 및 광픽업 유니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기구적 메카니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이콤(50)에서 모터 구동 장치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면 모터 구동부가 모터에 전압을 인가하고, 이에 따라 모터는 회전하게 되며 모터의 회전력은 결국 기구적 메카니즘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광픽업 유니트를 이송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트랙 점프를 위하여 모터 구동부에서 모터에 전압을 제공하는 경우, 실질적으로는 광픽업 유니트가 지시된 소정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전압을 제공하는게 아니라, 광픽업 유니트가 지시된 소정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전압 제공을 차단하고, 이후에는 관성에 의한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광픽업 유니트가 이송되도록 한다.
즉, 마이콤 내부의 메모리에는 각 점프 거리에 대응한 전압 제공 시간이 테이블화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이때, 점프 거리에 대응한 전압 제공 시간 테이블은 모터의 관성력까지도 고려되어 작성된것으로, 통상 실험 등을 통하여 결정된 테이블이다. 따라서 트랙 점프시 마이콤은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되,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에 의거하여 점프 거리에 대응한 전압 제공 시간동안에만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트랙 점프를 수행한다 할지라도, 정밀한 트랙 점프를 수행하기는 힘들며, 예를들어 과점프 또는 점프 부족 현상이 발생될수 있는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음이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트랙 점프 수행 도중에, 만에 하나라도 시스템이 불안정하게 되면, 트랙 점프를 정밀하게 수행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종래에는 실질적으로 시스템의 불안정 상태를 무시하고 트랙 점프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정밀한 트랙 점프를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한편, 디스크의 신호면은 휘어짐과 요철이 없는 경우가 이상적이지만, 휘어짐과 요철이 없는 디스크를 제조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또한 휘어짐의 정도 및 요철의 정도도 각 디스크 마다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트랙점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디스크마다 휘어짐이나 요철 정도가 약간씩 차이가 있는데 반해, 트랙점프는 디스크 각각에 대한 고유의 특성을 고려함에 없이 단지 테이블로 작성된 점프 거리에 대응한 전압 제공 시간에 의거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정밀한 트랙 점프를 수행할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디스크의 고유 특성과,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트랙 점프를 수행하되, 트랙 점프 완료후에 점프 완료 상태를 검출하여 트랙 점프가 정밀하게 이루어 졌는지를 파악하고, 이점을 활용함으로서, 보다 정밀한 트랙 점프를 수행할수 트랙점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픽업 유니트를 디스크상의 목표 트랙 위치로 점프시키는 트랙점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광픽업 유니트의 레이저빔이 상기 디스크의 트랙 중심을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트랙킹 에러 신호 생성부;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반전 또는 비반전시켜 출력하는 비반전/반전부; 상기 비반전/반전부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피크치를 홀딩시켜 출력하는 피크 홀드부; 상기 피크 홀드부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피크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피크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기준 레벨을 출력하는 기준 레벨 제공부; 상기 비반전/반전부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가 피크치에 도달한후 하강하는 도중에 상기 기준 레벨과 일치할때마다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츨력하는 비교부;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를 기설정된 비교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트랙 점프 수행도중에는 상기 트랙 점프 동작이 안정 또는 불안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트랙 점프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트랙 점프가 과점프 상태인지, 또는 점프 부족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점프 상태 검출부; 상기 광픽업 유니트를 구동하여 트랙 점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광픽업 유니트가 상기 목표 트랙으로 점프되도록 하는 점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고, 트랙 점프가 완료되면 상기 점프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점프 상태 검출부에 제공하는 점프신호 생성부; 상기 디스크 각각의 특성에 대응하여 정해진 가속 및 감속 시간의 표준치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표준치는 각 트랙 점프의 종류마다 그 표준적인 트랙킹 에러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 레벨과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피크치와의 비를 나타낸 메모리; 상기 점프 상태 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비교부의 출력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표준치에 의거하여, 상기 광픽업 유니트가 목표 트랙으로 점프하도록 상기 점프 신호 생성부를 제어하는 마이콤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광픽업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트랙 탐색을 수행하는 종래 기술의 트랙 점프 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랙 점프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크 105 : 광픽업 유니트
110 : 트랙킹 에러 신호 생성부 115 : 위상보상부
120 : 비반전/반전부 125 : 피크 홀드부
130 : 기준레벨제공부 135 : 비교부
140 : 점프신호생성부 145 : 스위칭부
150 : 마이콤 155 : 구동부
160 : 점프상태검출부 165 : 메모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랙 점프 장치가 도시된다.
도 3에서, 참조번호 100은 디스크이고, 참조번호 105는 광픽업 유니트로서, 광픽업 유니트(105)는 디스크(100)의 트랙상에 레이져빔을 입사한후 반사되어 오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작용을 한다.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부(110)는 광픽업 유니트(105)에서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에 의거하여, 광픽업 유니트(105)의 레이저빔이 디스크(100)의 트랙 중심을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며, 특히, 트랙 점프를 위해 광픽업 유니트(105)가 디스크(100)의 트랙을 가로지를 경우, 소정의 사인(sine)파 형태의 트랙킹 에러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위상 보상부(115)는 트랙킹 서보 수행시에 트랙킹에러신호의 위상을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트랙 점프시에는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기능 블럭이다.
한편, 비반전/반전부(120)는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부(11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반전 또는 비반전시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트랙 점프가 디스크의 내주부에서 외주부측으로 행해지거나(정방향 점프), 또는 이와는 반대로 디스크의 외주부에서 내주부으로 행해질 때(역방향 점프), 트랙 점프 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측의 에러량이 먼저 증대하는 트랙킹 에러 신호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피크 홀드부(125)는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피크치를 홀딩(holding)시켜 기준 레벨 제공부(130)에 제공하고, 기준 레벨 제공부(130)는 피크 홀드부(125)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피크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피크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기준 레벨을 출력하며, 비교부(135)는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가 피크치에 도달한후 하강하는 도중에 기준 레벨과 일치할때마다 하이 신호를 마이콤(150)에 제공한다.
점프신호 생성부(140)는 마이콤(150)의 제어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점프 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스위칭부(145)에 제공하는 한편, 스위칭부(145)의 스위칭 작용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칭부(145)는 점프 신호 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작용을 하되, 위상 보상부(115)에서 출력되는 신호나, 점프 신호 생성부(130)에서 출력되는 정방향/역방향 점프 신호를 선택하여 구동부(155)에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구동부(155)는 스위칭부(145)에서 선택한 신호에 의거하여 광픽업 유니트(105)를 구동함으로서, 트랙킹 서보나 트랙 점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참조 번호 160 는 점프 상태 검출부로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점프 신호 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트랙 점프 완료후, 점프 상태가 과점프 상태인지, 점프 부족 상태인지, 또는 트랙킹 서보가 불안정한 상태인지를 판별하여 마이콤(150)에 전달해주는 작용을 한다. 마이콤(150)은 트랙 점프시에 상황에 맞게 시스템의 전반적인 것을 제어하는 작용을 하고, 마이콤(150)에 접속된 메모리(165)에는 디스크 각각의 특성에 대응하여 정해진 가속 및 감속 시간의 표준치가 저장되며, 여기에서 표준치는 각 트랙 점프의 종류마다 그 표준적인 트랙킹 에러 신호에 있어서의 기준 레벨과 피크치와의 비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점프 상태 검출부(160)는,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최고 및 최저 피크치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부(200), 피크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된 최고 피크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소정의 하이(high) 비교 레벨을 생성하는 비교 레벨 생성부(210), 피크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된 최저 피크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소정의 로우(low) 비교 레벨을 생성하는 비교 레벨 생성부(220), 비반전/반전부(120)의 트랙킹 에러 신호와 하이 비교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부(230), 비반전/반전부(120)의 트랙킹 에러 신호와 로우 비교 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부(240), 비교부(230)의 출력과 비교부(240)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마이콤(150)에 제공하는 오아 게이트(250), 비교부(230)의 출력이 입력단에 접속되고, 점프신호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클럭단에 입력되며, 마이콤(150)에 출력단의 접속된 D플립플롭(260), 비교부(240)의 출력이 입력단에 접속되고, 점프신호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클럭단에 입력되며, 마이콤(150)에 출력단의 접속된 D플립플롭(270)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트랙점프장치에 대한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목표 트랙이 결정되면, 마이콤(150)은 점프신호생성부(14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부(11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반전 또는 비반전시키도록 비반전/반전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예를들어 목표 트랙이 현재의 위치에서 정방향 측(디스크의 외주부측)에 위치하면 점프신호생성부(140)는 정방향 점프 신호를 생성하고, 목표 트랙이 현재의 위치에서 역방향 측(디스크의 내주부측)에 위치하면 점프신호생성부(140)는 역방향 점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 더불어, 점프신호생성부(140)는 스위칭부(145)를 제어하는 한편, 점프 종료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스위칭부(145)는 점프신호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부(155)와 점프신호생성부(140)를 접속시키고, 이에따라 점프신호 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점프신호는 구동부(155)에 제공된다. 구동부(155)는 점프신호생성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점프신호에 의거하여 광픽업 유니트(105)를 구동하여, 광픽업 유니트(105)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점프되도록 한다.
광픽업 유니트(105)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점프로 인하여,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부(110)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발생하는데, 이때, 트랙 점프로 인하여 발생된 트랙킹 에러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사인파 형태를 띄게 될 것이다. 비반전/반전부(120)는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부(11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비반전 혹은 반전시켜 출력하는데, 여기에서, 예를들어 광픽업 유니트(105)가 정방향 트랙 점프를 수행할 경우, 비반전/반전부(120)는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부(11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비반전시켜 출력하고, 광픽업 유니트(105)가 역방향 트랙 점프를 수행할 경우, 비반전/반전부(120)는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부(11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한다. 물론, 비반전/반전부(120)가 트랙킹 에러 신호를 비반전/반전하도록 제어하는 작용을 하는 것은 마이콤(150)이다.
한편, 피크 홀드부(125)는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피크치를 홀딩시켜 기준 레벨 제공부(130)에 제공하고, 기준 레벨 제공부(130)는 마이콤(150)의 제어에 의해 피크 홀드부(125)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피크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피크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기준 레벨을 출력한다. 이때, 기준 레벨 제공부(130)에서 출력하는 기준 레벨은 마이콤(150)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것이다. 즉, 마이콤(150)에 접속된 메모리(165)에는 디스크 각각의 특성에 대응하여 정해진 가속 및 감속 시간의 표준치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치는 각 트랙 점프의 종류마다 그 표준적인 트랙킹 에러 신호에 있어서의 기준 레벨과 피크치와의 비를 나타낸 것으로, 마이콤(150)은 메모리(165)에 저장된 표준치에 의거하여 기준 레벨 제공부(130)에서 소정의 기준 레벨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비교부(135)는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가 피크치에 도달한후 하강하는 도중에 기준 레벨과 일치할때마다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마이콤(150)에 제공하며, 마이콤(150)은 비교부(135)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트랙점프의 가속 및 감속 시간을 결정한후, 결정된 가속 및 감속 시간에 대응되게 트랙점프가 수행되도록 점프신호생성부(140)를 제어한다.
한편,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는 피크 검출부(200)에 제공되고, 피크 검출부(200)는 입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최고 및 최저 피크치를 검출한후, 최고 피크치에 대응하는 신호는 비교 레벨 생성부(210)에 제공하고, 최저 피크치에 대응하는 신호는 비교 레벨 생성부(220)에 제공한다.
비교 레벨 생성부(210)는 피크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된 최고 피크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소정의 하이 비교 레벨 신호를 생성하고, 비교 레벨 생성부(220)는 피크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된 최저 피크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소정의 로우 비교 레벨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하이 비교 레벨 및 로우 비교 레벨은, 실질적으로 점프 완료후에 과점프 상태인지 점프 부족 상태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 레벨로서 작용하며, 점프 수행도중에라도, 트랙킹 서보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 레벨로서 작용한다.
즉, 점프 수행도중에 시스템 에러가 발생되면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거나 또는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하이 비교 레벨 신호보다 높아지거나 로우 비교 레벨 신호보다 낮아지게 되면, 트랙 점프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비교부(230)는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과 비교 레벨 생성부(210)에서 출력되는 하이 비교 레벨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하이 비교 레벨 신호의 레벨보다 높아지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부(240)는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과 비교 레벨 생성부(220)에서 출력되는 로우 비교 레벨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로우 비교 레벨 신호의 레벨보다 낮아지면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오아 게이트(250)는 비교부(230) 및 비교부(240)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하이 비교 레벨 신호의 레벨보다 높아지거나, 로우 비교 레벨 신호의 레벨보다 낮아지면 하이 상태 신호를 마이콤(150)에 출력하고, 마이콤(150)은 오아 게이트(250)에서 하이 상태 신호가 입력되면 시스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후, 점프 신호 생성부(140)를 제어하여 트랙 점프를 잠시 중단시킴으로서, 시스템을 안정화 시키고, 소정의 시간이 흐르고 나면 다시 트랙 점프가 재개되도록 한다.
한편, 비교부(230)의 출력은 D플립 플롭(260)의 입력단에 제공되고, 비교부(240)의 출력은 D플립 플롭(270)의 입력단에 제공된다. 또한 D플립 플롭(260) 및 D플립 플롭(270)의 클럭단에는 점프신호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제공된다.
따라서, 마이콤(150)의 제어에 의해 트랙 점프가 완료되면, 점프 신호 생성부(140)는 스위칭부(145)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점프 신호 생성부(140)에서 출력한 제어 신호는 스위칭부(145)에 제공되는 한편, D플립플롭(260) 및 D플립 플롭(270)의 클럭단에도 각각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점프신호생성부(140)의 제어 신호는 두가지 작용, 즉 스위칭부(145)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신호로써 작용하고 및 점프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로써 작용한다는 점을 알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트랙 점프가 시작되면, 점프신호생성부(140)의 제어 신호가 로우 상태로 되었다가, 트랙 점프가 완료되었을 때, 제어 신호가 하이 상태로 변환되도록 한후에, 스위칭부(145)는 로우 상태의 제어 신호에서, 구동부(155)와 점프신호생성부(140)를 접속시키고, 하이 상태의 제어 신호에서 위상 보상부(115)와 점프신호생성부(140)를 접속시키도록 하며, D플립플롭(260) 및 D플립 플롭(270)은 제어 신호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서 인에이블 되도록 한다면, 점프신호생성부(140)의 제어 신호는 스위칭을 제어하는 신호 및 점프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로써 작용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D플립 플롭(260) 및 D플립플롭(270)의 클럭단에 트랙 점프종료시 발생된 점프 신호 생성부(140)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D플립 플롭(260) 및 D플립플롭(270)은 각각 대응되는 비교부(230) 및 비교부(240)의 출력을 마이콤(150)에 제공한다.
따라서, 마이콤(150)은 트랙 점프 종료후에 과점프가 이루어졌는지 또는 점프 부족 상태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별할수 있게 되며, 과점프 또는 점프 부족 상태가 발생되면, 시스템을 제어하여 광픽업 유니트(105)가 목표 트랙에 올바르게 도달할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크의 고유 특성에 따른 트랙 점프 파라메타를 메모리에 저장한후 이를 활용하여 트랙 점프를 수행하고, 또한 트랙 점프 도중에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체크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트랙 점프가 수행되도록 하며, 트랙 점프 완료후에 과점프 또는 점프 부족 상태를 검출한후, 광픽업 유니트가 목표 트랙에 보다 정확하게 도착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정밀하고 안정된 트랙 점프를 수행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광픽업 유니트를 디스크상의 목표 트랙 위치로 점프시키는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광픽업 유니트의 레이저빔이 상기 디스크의 트랙 중심을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트랙킹 에러 신호 생성부(110);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부(11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반전 또는 비반전시켜 출력하는 비반전/반전부(120);
    상기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피크치를 홀딩(holding)시켜 출력하는 피크 홀드부(125);
    상기 피크 홀드부(125)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피크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피크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기준 레벨을 출력하는 기준 레벨 제공부(130);
    상기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가 피크치에 도달한후 하강하는 도중에 상기 기준 레벨과 일치할때마다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츨력하는 비교부(135);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를 기설정된 비교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트랙 점프 수행도중에는 상기 트랙 점프 동작이 안정 또는 불안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트랙 점프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트랙 점프가 과점프 상태인지, 또는 점프 부족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점프 상태 검출부(160);
    상기 광픽업 유니트를 구동하여 트랙 점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155);
    상기 광픽업 유니트가 상기 목표 트랙으로 점프되도록 하는 점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고, 트랙 점프가 완료되면 상기 점프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점프 상태 검출부(160)에 제공하는 점프신호 생성부(140);
    상기 디스크 각각의 특성에 대응하여 정해진 가속 및 감속 시간의 표준치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표준치는 각 트랙 점프의 종류마다 그 표준적인 트랙킹 에러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 레벨과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피크치와의 비를 나타낸 메모리(165);
    상기 점프 상태 검출부(160)의 출력과, 상기 비교부(135)의 출력 및 상기 메모리(165)에 저장된 상기 표준치에 의거하여, 상기 광픽업 유니트가 목표 트랙으로 점프하도록 상기 점프 신호 생성부(140)를 제어하는 마이콤(150)을 구비하여 구성한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 상태 검출부(160)는:
    상기 비반전/반전부(120)에서 출력되는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최고 및 최저 피크치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부(200);
    상기 피크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된 최고 피크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소정의 하이 비교 레벨을 생성하는 제 1 비교 레벨 생성부(210);
    상기 피크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된 최저 피크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소정의 로우 비교 레벨을 생성하는 제 2 비교 레벨 생성부(220);
    상기 비반전/반전부(120)의 트랙킹 에러 신호와 상기 하이 비교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가 상기 하이 비교 레벨보다 높으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비교부(230);
    상기 비반전/반전부(120)의 트랙킹 에러 신호와 상기 로우 비교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가 상기 로우 비교 레벨보다 낮으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비교부(240);
    상기 제 1 비교부(230)의 출력과, 상기 제 2 비교부(240)의 출력을 논리합함으로서, 상기 트랙 점프 동작에 대한 안정 또는 불안정을 판별하여 상기 마이콤(150)에 제공하는 오아 게이트(250);
    상기 제 1 비교부(230)의 출력이 입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점프신호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클럭단에 입력되어, 상기 트랙 점프가 완료된 후에 상기 트랙 점프가 과점프 상태인지를 상기 마이콤(150)에 전달해주는 제 1 D플립플롭(260),
    비교부(140)의 출력이 입력단에 접속되고, 점프신호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클럭단에 입력되어, 상기 트랙 점프가 완료된 후에 상기 트랙 점프가 점프 부족 상태인지를, 상기 마이콤(150)에 전달해주는 제 2 D플립플롭(270)으로 구성된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
KR1019970049168A 1997-09-26 1997-09-26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 KR100234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168A KR100234223B1 (ko) 1997-09-26 1997-09-26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
CN98810283A CN1276901A (zh) 1997-09-26 1998-09-11 控制光盘系统轨道搜索的方法和装置
JP2000514264A JP2001518675A (ja) 1997-09-26 1998-09-11 光ディスクシステムのトラック探索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PCT/KR1998/000279 WO1999017282A1 (en) 1997-09-26 1998-09-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rack search of an optical disc system
EP98944321A EP1023720A1 (en) 1997-09-26 1998-09-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rack search of an optical disc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168A KR100234223B1 (ko) 1997-09-26 1997-09-26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854A KR19990026854A (ko) 1999-04-15
KR100234223B1 true KR100234223B1 (ko) 2000-01-15

Family

ID=1952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168A KR100234223B1 (ko) 1997-09-26 1997-09-26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2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854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1897A (en) Optical disk apparatus
JP2008529197A (ja) 光学データメディア検出技術
EP0111010B1 (en) Optical disc reproducer
KR100234223B1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장치
CN101079277B (zh) 焦距偏离检测装置及利用该装置的光盘装置
JP3649282B2 (ja) ディスク装置及びフォーカシングサーボの起動方法
KR930006350B1 (ko) 디스크형 기록 캐리어 판독 장치
JP3145109B2 (ja) データトラックを計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897889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트랙 점핑 제어 방법
US6990048B2 (en) Track jump control apparatus and track jump method
KR100622184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트랙서치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35343A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제어방법
JP2000020975A (ja) 光ディスク装置
KR970001925B1 (ko) 멀티디스크플레이어에서의 디스크판별장치 및 방법
JP2000163856A (ja) 光ディスク駆動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0131447B1 (ko) 광디스크 재생장치에서 광픽업의 트랙점프 제어회로 및 방법
KR100332751B1 (ko) 광자기디스크의재생방법
JPH0722771Y2 (ja) 光デイスクプレ−ヤ
JP2576422B2 (ja) 光ディスク情報再生装置
KR20020087664A (ko) 광디스크장치의 슬레드 학습을 통한 고속 억세스방법
KR100200814B1 (ko) 트래킹 인입제어장치 및 방법
JP2000339709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523913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におけるトラック線速度検出方法
JP2731403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4280987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