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993B1 - 시이트 벨트 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 Google Patents

시이트 벨트 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993B1
KR100233993B1 KR1019930000535A KR930000535A KR100233993B1 KR 100233993 B1 KR100233993 B1 KR 100233993B1 KR 1019930000535 A KR1019930000535 A KR 1019930000535A KR 930000535 A KR930000535 A KR 930000535A KR 100233993 B1 KR100233993 B1 KR 10023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operation member
release position
inertial body
ine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바아토코펫키이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쥬이치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39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pivotally connect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44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pivotally connect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uckles (AREA)

Abstract

관성에 의한 조작부재의 해제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함은 물론, 조작감을 양호하게 하며, 또, 버클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버클장치(10)에 하향으로의 큰 가속도가 작용하면, 관성체(15)의 무게중심(G)에 상향으로 관성력(F1)이 작용하여, 관성체(15)가 제2지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동저지부(15a)가 제2돌출부(12b)의 축벽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버클장치(10)에 상향으로의 큰 감속도가 작용하면, 조작부재(12)의 무게중심 및 관성체(15)의 무게중심(G)에 하향으로의 큰 관성력(F2), (F3)이 작용하므로, 조작부재(12) 및 관성체(15)가 하가운동을 한다.
제1구멍(15C)의 상단이 제1지축(16)에 맞닿으면, 관성체(15)의 그 이상의 하강운동이 저지되고, 또 단부(12c)가 이동저지부(15a)의 상단면에 접촉하면, 관성체(15)를 매개체로 하여 조작부재(12)는 그 이상의 하강운동이 저지되고, 조작부재(12)는 해제위치까지는 하강운동을 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제1도는 본발명에 의한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식적을 표시하는 것으로, (a)도는 평상시에서의 비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b)도는 평상시에서의 조작부재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2도는 본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a)도는 큰 가속도가 조작부재의 해제위치로의 이동방향으로 작용했을때의 관성체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b)도는 소정의 감속도가, 조작부재의 작동위치로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했을 때의 조작부재 및 관성체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1도와 동일한 도면이다.
제4도는 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2도와 동일한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1도와 동일한 도면이다.
제6도는 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2도와 동일한 도면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1도와 동일한 도면이다.
제8도는 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2도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클장치 (11) : 버클하우징
(12) : 조작부재 (12a) : 제1돌출부
(12b) : 제2돌출부 (12c) : 단부
(13) : 제1스토퍼 (14) : 제2스토퍼
(15) : 관성체(제어부재) (15a) : 이동저지부
(15c) : 제1구멍 (15d) : 제2구멍
(16) : 제1지축 (17) : 제2지축
(18) : 압축스프링 (19) : 회전저지부재
(19a) : 제1접촉면 (19b) : 제2접촉면
(20) : 회전저지부재 (20a) : 톱니
(21) : 스토퍼 (21a) : 제1오목부
(21b) : 제2오목부 (21c) : 바닥
(21d) : 측벽 G : 관성체의 무게중심
본 발명은, 자동차나 기타 교통기관의 좌석에 부착되며, 차량의 충돌 등의 이상 사태에 의한 급감속시에 탑승자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기위하여, 텅이 결합되어 있는 버클을 차체쪽으로 당겨서 시이트벨트를 죄는 프리텐셔너를 구비한 시이트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를 비롯한 각종 교통기관의 좌석에는, 차량충돌등의 긴급사태 발생시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시이트벨트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시이트벨트에 부착된 텅과 이 텅이 결합되는 버클장치로 구성되며, 이들 텅과 버클장치를 결합 또는 해제하므로써, 시이트벨트의 착용이나 또는 벗는 것을 간단히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는, 시이트벨트가 리트랙터의 권취리일에 비교적 약한 권취력으로 감기도록 되어 있는데, 그 경우에 리트랙터의 권취력은 비교적 약하며, 평상시에는 시이트벨트를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고, 시이트벨트의 착용시에는 탑승자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의 충돌등의 차량의 급감속시에 권취리일의 시이트벨트가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잠기도록 하여, 탑승자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는, 급감속에 의한 권취리일의 회전이 잠길 때, 시이트벨트의 감김에 있어서, 실제로는 시이트벨트가 약간 풀리게 된다.
그리고, 시이트벨트는 비교적 느슨하게 착용되므로, 평상시의 착용상태에서는 시이트벨트에 약간의 여유가 있으며, 탑승자의 관성력에 의해 시이트벨트가 당겨지기 때문에, 시이트벨트는 약간 신장하게 된다.
이들 시이트벨트의 인출, 여유 및 신장에 의해 급감속시에 탑승자는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탑승자를 확실하게 구속보호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종래로부터 프리텐셔너를 설치한 시이트벨트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며, 급감속시에 이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여 버클장치를 끌어당겨서 시이트벨트를 죄어주므로써, 탑승자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리텐셔너로는, 급감속시에 반응가스를 발생시키며, 발생한 반응가스에 의해 피스톤을 작동시켜서 시이트밸트를 죄어주는 프리텐셔너가 개발되어 있다.
반응가스에 의해 작동되는 프리텐셔너는 비교적 간단히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 신속하게 응답하여 시이트벨트를 신속하게 죄어준다.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는 스프링을 사용한 것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프리텐셔너에 있어서는, 작동시에 버클장치를 급속하게 소정량 끌어당기게 되므로, 버클장치에는 먼저 프리텐셔너를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큰 가속도가 작용되며, 버클장치의 소정량 이동 후에 큰 감속도가 작용하게 된다.
이때문에, 버클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텅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부재가, 그 관성에 의해 해제방향으로 이동하여 텅과의 결합이 해제될 염려가 있다.
그래서, 프리텐셔너의 작동시에 버클장치에 큰 감속도가 작용했을 때, 조작부재가 관성에 의해 해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텅과 버클장치의 래치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벨트시스템의 벨트자물쇠가 일본국 특개평 3-208752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벨트자물쇠는, 중간부가 하우징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레버의 한쪽끝에 보상질량체를 형성하고, 레버의 다른쪽 끝을 조작부재에 상대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시켜서, 큰 감속도가 작용하여, 관성에 의해 조작부재가 해제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이 조작부재에 관성질량체의 작용에 의한 관성력을 레버를 매개체로 하여, 조작부재에 작용하는 관성력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의 힘을 조작부재에 작용시켜서, 조작부재의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프리텐셔너의 작동시에 텅과 버클장치의 결합의 해제를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안전벨트시스템의 벨트자물쇠에 있어서는, 보상질량체의 작용에 의한 관성력에 의해 조작부재의 관성력에 대향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보상질량체의 질량을 크게 해야만 한다.
따라서, 벨트자물쇠의 중량이 무거워지게 된다.
또, 보상질량체의 질량을 작게 할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는 레버비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보상질량체쪽의 레버의 길이를 길게 해야만 한다.
따라서, 벨트자물쇠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보상질량체의 질량을 크게 하거나 또는 보상질량체쪽의 레버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에, 레버가 조작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의 조작부재의 해제조작시에 이 보상질량체를 요동시켜야만 하며, 따라서 비교적 큰 조작력이 필요하게 되어, 조작접촉이 무거워지며, 조작감이 좋지않게 된다.
또, 질량이 큰 보상질량체를 요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레버를 지지하는 지축 및 레버의 다른쪽 끝과 조작부재와의 연결부의 강도가 어느 정도 있어야만 하며, 레버와 지축과의 사이의 상대회전 및 레버의 다른 쪽 끝과 조작부재와의 사이의 상대운동이 원활하면서도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가공 및 조립의 정밀도를 향상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 보상질량체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한 힘을, 조작부재에서 이 조작부재의 관성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단순히 작용시키고 있을 뿐이므로, 조작부재의 해제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저지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프리텐셔너의 작동시에, 관성에 의한 조작부재의 해제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저지함은 물론, 더욱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조작감이 좋은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평상시에는 비해제위치를 유지하며, 조작시에는 해제위치로 이동하여 텅과 래치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부재를 적어도 구비하여,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한 차량의 급감속시에 프리텐셔너에 의해 급속도로 일정 거리만큼 당겨지도록 되어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의 버클장치에 있어서, 관성체가, 상기한 조작부재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허용위치와 상기한 조작부재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또, 그 관성체는 평상시에는 상기한 이동허용위치에서 지지되며, 상기한 프리텐셔너의 작동시에는 상기한 관성체가 그 관성력에 의해 상기한 이동저지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조작부재가 버클하우징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한 관성체는 회전가능한 상태로 상기한 버클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한 관성체가 상기한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관성력이 상기한 조작부재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했을때, 상기한 이동저지위치로 회전하여 상기한 조작부재와 결합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저지부(15a)가 있으며, 상기한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관성력이 상기한 관성체에 상기한 조작부재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방향으로 작용했을때, 상기한 조작부재가 그 관성력에 의해 상가한 해제위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이동저지부가 상기한 스토퍼와 결합하므로써, 상기한 조작부재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시이트벨트장치의 버클장치에 있어서는, 프리텐셔너의 작동시에, 먼저 관성체의 관성력이 조작부재의 해체위치로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이 관성력에 의해 관성체가 이동저지위치로 설정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조작부재에 관성력이 조작부재의 해제위치로의 이동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조작부재는 이 관성력에 의해 해제위치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 조작부재는 관성체에 의해 해제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해제위치까지 이동하지는 않는다.
이것에 의해서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여 버클장치가 급속도로 당겨질 때, 조작부재가 해제위치방향으로 이동하여, 텅과 버클장치의 래치부재와의 결합이 실수에 의해 해제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도의 (a) 및 (b)에 표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버클장치(10)는, 버클하우징(11)에, 버클장치(10)의 래치부재(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와 텅(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기구의 일부인 조작부재(12)가 수용되어 있다.
또, 버클하우징(11)에는, 상하 한쌍의 스토퍼(13), (14)가 상하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조작부재(12)는, 이들 스토퍼(13), (14)의 사이에서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부재(12)는, 예컨대, 스프링 등의 힘을 가하는 부재(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의해 항상 윗쪽으로 밀려있으며, 평상시에는 제1도의 (a)에 표시하듯이, 조작부재(12)는 상부의 스토퍼(13)에 맞닿아 있다.
이 조작부재(12)에서 스토퍼(13)가 맞닿는 위치는, 조작부재(12)가 래치부재와 텅과의 결합을 해제하지않는 비해제위치로 되어 있다.
또, 조작부재(12)를 힘을 가하는 부재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 누르면 제1도의 (b)에 표시하듯이, 조작부재(12)는 아래쪽의 스토퍼(14)에 맞닿는다.
이 조작부재(12)에서의 스토퍼(14)와 맞닿는 위치는, 조작부재(12)가 래치부재와 텅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위치로 되어 있다.
조작부재(12)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돌출부(12a), (12b)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서, 우측의 제2돌출부 (12b)의 안쪽의 소정위치에는, 단부(段部)(1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버클하우징(11)에는, 조작부재(12)의 아래쪽에 조작부재(12)의 관성에 의한 해제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관성체(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관성체(15)는, 윗쪽으로 연장된 이동저지부(15a),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스프링수용부(15b) 및 관성체(15)의 무게중심(G)을 사이에 두고 소정의 위치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제1 및 제2구멍(15c), (15d)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저지부(15a)는 조작부재(12)의 한쌍의 돌출부(12a), (12b)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폭은, 이동저지부(15a)가 제1도의 (a) 및 (b)에 표시하는 윗쪽으로 향한 상태에서는, 우측의 돌출부(12b)의 단부 (12c)에 맞닿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재(12)가 제1도 b에 표시하는 해제위치로 이동했을 때, 이동저지부 (15a)의 선단이 단부(12c)에 맞닿지않으며, 한쌍의 돌출부(12a), (12b) 사이에서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 a에는, 이동저지부 (15a)의 선단이,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한쌍의 돌출부(12a), (12b)사이의 안쪽으로 삽입된 위치로 되도록 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이동저지부(15a)의 선단이 한쌍의 돌출부(12a), (12b)사이의 외측(도면에서는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작부재(12)의 통상의 해제동작을 확실하게 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도 a에 표시하듯이, 이동저지부(15a)를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및 제2구멍(15c), (15d)에는, 각각 버클하우징(11)에 고정된 제1 및 제2지축(16), (17)이 삽입되어 있으며, 스프링수용부(15b)와 버클하우징(11)과의 사이에, 압축스프링(18)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관성체(15)는 압축스프링(18)의 스프링장력에 의해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밀리고 있다.
그리고, 제1도 (a)에 표시하는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제1지축(16)에 제1구멍(15c)의 상부우측이 맞닿게 되며, 제2지축(17)에는 제2구멍(15d)의 하단이 맞닿게 되어, 관성체(15)는 그 이상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고, 또, 관성체(15)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관성체(15)는, 압축스프링(18)의 미는 힘에 의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모멘트를 극복하고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모멘트가 작용했을 때,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저지부(15a)는 윗쪽을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버클장치(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제1도 (a)에 표시하듯이, 조작부재(12)는 비해제위치에서 저지되며, 관성체(15)는, 이동저지부(15a)가 윗쪽을 향하도록 되어 있고,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위치로 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시이트벨트를 착용하기 위해서, 텅과 래치부재가 결합된다.
탱과 래치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 조작부재(1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제1도 b에 표시하듯이, 이동저지부(15a)의 선단이 한쌍의 돌출부(12a)(12b)사이에서 깊이 삽입되고, 조작부재(12)는 해제위치로 된다.
이것에 의해, 텅과 래치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차량의 충돌등에 의해,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는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여 버클장치(10)를 도면에서의 아래쪽으로 신속하게 끌어당겨서 시이트벨트를 죄면, 버클장치(10)에는 아래쪽으로의 큰 가속도가 작용한다.
버클장치(10)에 아래쪽으로의 가속도가 작용하면, 조작부재(12)의 무게중심(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과 관성체(15)의 무게중심(G)에는 윗쪽으로의 큰 관성력이 작용한다.
그런데, 제2도 (a)에 표시하듯이, 조작부재(12)는 상부의 스토퍼(13)와 맞닿고 있으므로 상승운동은 하지않고, 최초위치를 유지한다.
그리고, 관성체(15)의 무게중심(G)에는 상방으로의 큰 관성력(F1)이 작용하고, 이 관성력(F1)에 의해 관성체(15)에는 제2지축(17)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모멘트가 작용한다.
이 때문에, 관성체(15)는 압축스프링(18)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제2지축(17)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저지부(15a)의 선단우각부(先端右角部)가 제2돌출부(12b)의 측벽과 맞닿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프리텐셔너에 의해 버클장치(10)가 더욱 아래쪽으로 소정량 당겨져서 이동가능한 거리만큼 이동한 후, 버클장치(10)의 이동이 종료되면, 버클장치(10)에는 윗쪽으로 큰 감속도가 작용한다.
이 큰 감속도에 의해 조작부재(12)의 무게중심 및 관성체(15)의 무게중심(G)에는, 제2도 (b)에 표시하듯이, 각각 큰 하향으로의 관성력(F2), (F3)이 작용한다.
이들 관성력(F2), (F3)에 의해 조작부재 (12)가 해제위치를 향해서 하강운동을 하며, 동시에, 관성체(15)도 하강운동을 하게 된다.
제2도에 표시하듯이, 관성체(15)는, 그 하강운동에 의해 제1구멍(15c)의 상단우각부가 제1지축(16)에 맞닿게 되므로, 그 이상의 하강운동이 저지된다.
그 경우에, 관성체(15)에 작용하는 관성력(F3)에 의해 관성체(1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제1구멍(15c)의 측면이 제1지축 (16)에 맞닿게 되므로, 관성체(15)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고, 관성체(15)는 조작부재(12)의 단부(12c)와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한편, 조작부재(12)는, 그 하강운동에 의해 단부(12c)가 이동저지부 (15a)의상단면에 맞닿으므로, 관성체(15)를 매개체로하여, 그 이상의 하강운동이 저지된다.
이렇게 하여, 조작부재(12)가 해체위치까지 하강운동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처음에, 버클장치(10)에 하향으로 큰 가속도가 작용한 후, 계속해서 상향으로 큰 감속도가 작용하여, 그 조작부재(12)에, 이 조작부재(12)가 해제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큰 관성력(F2)이 작용하여도, 조작부재(12)의 관성이동에 의한 텅과 래치부재와의 결합의 해제가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된다.
버클장치(10)의 이러한 일련의 운동이 종료되고, 조작부재(12)및 관성체(15)에 작용하는 큰 관성력이 해소되면, 조작부재(12)가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은 힘을 가하는 부재에 의해 상승운동을 하여 초기위치의 비해제위치로 이동함과 함께, 관성체(15)가 압축스프링(18)에 의해 상승운동을 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렇게 하여, 버클장치(10)는, 제1도 (a)에 표시하는 평상시의 상태, 즉, 중립위치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버클장치(10)에 있어서는, 예컨대,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여 버클장치(10)가 급속하게 당겨졌을 때, 관성에 의해 조작부재(12)가 텅과 래치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여도, 조작부재(12)의 해제위치로의 이동이 확실하게 저지되어, 텅과 래치부재와의 결합이 실수에 의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여 버클장치를 급속하게 당긴다 하더라도, 시이트벨트장치는 그 기능을 충분히 발취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1도 및 제2도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상기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구멍(15c)과 제1지축(16)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제2지축(17)이 삽입되는 제2구멍(15d)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타원형의 제2구멍(15d)은 제3도 (a)에 표시하는 이동저지부(15a)가 상방으로 향하는 평상시의 상태에 있어서, 좌상으로부터 우하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그 경사각은 제3도 (b)에 표시하듯이, 관성체(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저지부(15a)의 선단우측이 제2돌출부(12b)의 측면에 맞닿았을 때, 상하방향으로 향하게 되는 경사각, 즉 관성체(15)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가능한 회전각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성체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하방돌출부(15e)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하방 돌출부(15e)의 하단부는 경사면(15f), (15g)으로 된 첨단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버클하우징(11)에는, 이 하방돌출부(15e)아래에 회전저지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저지부재(19)는 상하방향으로의 위치가 다르며, 하방돌출부(15e)의 하단이 맞닿는 제 1 및 제2접촉면(19a), (19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 1 및 제 2접촉면(19a), (19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 1 및 제 2접촉면(19a), (19b) 사이의 단부는 경사면(19e)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 a에 표시하는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제2구멍(17)의 하단에 제2지축(17)이 위치하게 되어, 관성체(15)의 상승운동을 규제하며, 하방돌출부(15e)의 선단이 제1접촉면(19a)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관성체(15)의 하강운동을 규제하고 있다.
제1 및 제2접촉면(19a), (19b)의 상하방향으로의 거리는, 제2구멍(17)의 축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설정되거나 또는 제2구멍(17)의 축방향으로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저지부재(19)의 경사면(19e)의 경사각은, 관성체(15)가 회전하여 이동저지부(15a)가 제2돌출부(12b)의 측면에 접촉했을 때의 하방 돌출부(15e)의 선단의 경사면(15f)과 평행하게 되는 경사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압축스프링(18)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밀리고 있는데, 그 경우에, 이동저지부(15a)의 측면이 조작부재(12)의 제1돌출부 (12a)의 측면에 맞닿게 하여, 그 이상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관성체(15)의 무게중심(G)은, 제2지축(17)에 대해서 압축스프링(18)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버클장치(10)는, 상기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작동한다.
즉, 제3도 (a)에 표시하는 버클장치(10)의 평상시의 상태에서, 텅과 래치부재가 결합되는데, 이 텅과 래치부재는 제3도 b에 표시하듯이, 조작부재(12)를 해제위치로 하강운동시킴으로서, 그들의 결합이 해제된다.
또, 버클장치 (10)에 처음에 하향으로의 가속도가 작용한 후, 상향으로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제4도 (a)및 (b)에 표시하듯이, 조작부재(12) 및 관성체 (15)는 상기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작용된다.
이 경우에는, 소정의 가속도가 하향으로 작용하면, 관성체(15)는 제2지축(17)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이동저지부(15a)의 선단이 제2돌출부(12b)의 측벽에 맞닿게 된다.
제4도 (a)에서 알 수 있듯이, 관성체(15)가 이와 같이 회전한 상태에서는, 하방돌출부(15e)의 선단이 제1접촉면(19a)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되며, 제2구멍(15d)이 상하방향을 향하여, 관성체(15)가 쉽게 하강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향으로의 가속도에 의한 버클장치(10)의 하강운동이 종료되면, 상향으로의 큰 감속도가 버클장치(10)에 작용하는데, 이 감속도에 의해 제4도 (b)에 표시하듯이 조작부재(12) 및 관성체(15)는 상기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하강운동을 한다.
그리고, 관성체(15)는, 그 하방돌출부(15e)의 선단이 제2접촉면(19b)에 접촉함과 동시에 경사면(15f)이 회전저지부재(19)의 경사면 (19c)에 면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관성체(15)의 그 이상의 하강운동이 저지되며, 관성체(15)에 작용하는 관성력(F3) 및 압축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관성력(1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관성체(15)의 경사면 (15f)이 회전저지부재(19)의 경사면 (19c)에 맞닿고 있으므로, 관성체(15)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저지된다.
한편, 조작부재(12)는 그 하강운동에 의해 제2돌출부(12b)의 단부(12c)가 이동저지부(15a)의 선단에 맞닿으므로 조작부재(12)는 관성체 (15)를 매개체로 하여 더 이상의 하강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조작부재(12)가 해제위치로 이동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텅과 래치부재의 결합이 실수로 해제되는 일은 없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3도 및 제4도와 동일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19)의 회전저지부재 대신에 (20)의 회전저지부재를 사용하는 점만다를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제5도 및 제6도에 각각 표시하듯이, 이 회전저지부재(20)는 하방돌출부(15e)와의 대향면이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호면에는, 하방 돌출부(15e)의 첨단부가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원호면은, 제2지축(17)을 중심으로 한 원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5도 (a)에 표시하는 평상시의 상태에선 압축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관성체(15)가 약간 상승하여, 제2구멍(15d)의 하단이 제2지축(17)에 맞닿게 되며, 하방돌출부(15e)의 첨단부가 톱니(20q)로부터 약간 멀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도 상기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작용이 다른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제6도 (b)에 표시하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향으로의 큰 감속도가 버클장치910)에 작용했을 때, 제6도 (b)에 표시하듯이, 조작부재(12) 및 관성체(15)는 상기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하강운동을 한다.
그리고, 관성체(15)는 그 하방돌출부(15e)의 첨단부가 원호면의 톱니(20a)와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관성체(15)의 그 이상의 하강운동이 저지된다.
그 경우에, 하방돌출부(15e)의 첨단부와 원호면의 톱니(20a)와의 결합에 의해 관성력(F3)및 압축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한 관성체(15)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한편, 조작부재(12)는, 그 하강운동에 의해 제2돌출부(12b)의 단부(12c)가 이동저지부(15a)의 선단에 맞닿으므로, 조작부재(12)는 관성체(15)를 매개체로 하여 더 이상의 하강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조작부재(12)가 해제위치로 이동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서 텅과 래치부재와의 결합이 실수에 의해 해제되는 일은 방지된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도면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관성체(15) 및 제1, 제2지축 (16), (17)이 각각 버클하우징(11)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관성체(15) 및 제1, 제2지축(16), (17)은, 조작부재(12)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관성체(15)의 이동저지부(15a)가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하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이동저지부(15a)가 결합하여 조작부재(12)의 해제위치로의 하강운동을 저지하는 단부(12c)가 조작부재(12)에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버클하우징(11)에 설치된 스토퍼(21)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7도 (a)에 표시하듯이, 스토퍼(21)는, 바닥이 비교적 깊은 제1오목부(21a)와 바닥이 비교적 앝은 제2오목부(21b)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경우에, 제2오목부(21b)의 바닥(21c)이 상기한 실시예의 단부(12c)와 맞대면하며, 제2오목부(21b)의 측벽(21d)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재의 제2돌출부(12b)의 관성체(15)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이동저지부(15a)가 맞닿는 측벽과 대면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버클장치의 작용도,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버클장치의 작용과 거의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어느경우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차량의 충돌등이 발생하여 프리텐셔너에 의해 버클장치(10)가 신속하게 당겨질때, 관성체(15)가 조작부재(12)에 이 조작부재(12)의 해제위치로의 이동에 대향하도록 결합하므로, 조작부재(12)의 해제위치로의 이동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텅과 버클장치(10)의 래치부재와의 결합이 실수에 의해 해제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관성체(15)가 단순하게 회전하여 조작부재(12)의 해제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조작부재(12)와 결합하도록 하여 이 조작부재(12)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그 질량을 그 만큼 크게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버클장치를 소형경량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재(12)와 관성체(15)를 단지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관성체(15)는 프리텐셔너의 작동시에만 조작부재(12)와 결합하게 되므로, 평상시의 상태에서의 조작부재의 해제조작시에는 관성체(15)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부재(12)의 조작시에는 그만큼 큰 조작력이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작접촉력이 가벼워지면서 조작감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 등으로 프리텐셔너에 의해 버클장치가 급속도로 당겨질때에도 조작부재의 해제위치로의 이동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텅과 버클장치의 래치부재와의 결합이 실수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관성체가 단순하게 회전하여 조작부재의 해제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조작부재와 결합하도록 하여 조작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그 질량을 그만큼 크게 할 필요는 없고, 따라서, 버클장치를 소형경량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재와 관성체를 단지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될뿐만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평상시의 상태에서의 조작부재의 해제조작시에는 관성체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조작부재의 조작시에는 그만큼 큼 조작력이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조작접촉력이 가벼워지면서 조작감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Claims (3)

  1. 평상시에는 비해제위치를 유지하며, 조작시에는 해제위치로 이동하여 텅과 래치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부재를 적어도 구비하여, 차량의 충돌등에 의한 차량의 급감속시에 프리텐셔너에 의해 급속도로 일정거리만큼 당겨지도록 되어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의 버클장치에 있어서, 관성체(15)가 상기한 조작부재(12)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허용장치와 상기한 조작부재(12)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저지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또, 그 관성체(15)는, 평상시에는 상기한 이동허용위치에서 저지되며, 상기한 프리텐셔너의 작동시에는 상기한 관성체(15)가 그 관성력에 의해 상기한 이동저지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작부재(12)는 버클하우징(11)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한 관성체(15)는 회전가능한 상태로 상기한 버클하우징(11)에 설치되고, 상기한 관성체(15)가 상기한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관성력이 상기한 조작부재(12)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했을때, 상기한 이동저지위치로 회전하여 상기한 조작부재(12)와 결합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저지부(15a)가 있으며, 상기한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관성력이 상기한 관성체(15)에 상기한 조작부재(12)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했을 때, 상기한 이동저지부(15a)가 상기한 조작부재(12)와 결합가능한 위치로 설정된 후, 관성력이 상기한 조작부재(12)에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방향으로 작용했을 때, 상기한 조작부재(12)가 그 관성력에 의해 상기한 해제위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이동저지부(15a)와 결합하므로써, 상기한 조작부재(12)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작부재(12)가 버클하우징(11)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한 관성체(15)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상기한 조작부재(12)에 설치되고, 상기한 관성체(15)가 상기한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관성력이 상기한 조작부재(12)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했을 때, 상기한 이동저지위치로 회전하여 버클하우징(11)에 설치된 스토퍼(13)와 결합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저지부(15a)가 있으며, 상기한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관성력이 상기한 관성체(15)에 상기한 조작부재(12)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했을 때, 상기한 이동저지부(15a)가 상기한 스토퍼(13)와 결합가능한 위치로 설정된 후, 관성력이 상기한 조작부재(12)에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방향으로 작용했을 때, 상기한 조작부재(12)가 그 관성력에 의해 상기한 해제위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이동저지부(15a)가 상기한 스토퍼(13)와 결합하므로써, 상기한 조작부재(12)의 상기한 해제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KR1019930000535A 1992-02-19 1993-01-16 시이트 벨트 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KR100233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31974 1992-02-19
JP03197492A JP3375088B2 (ja) 1992-02-19 1992-02-19 シートベルト装置におけるバック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3993B1 true KR100233993B1 (ko) 1999-12-15

Family

ID=1234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535A KR100233993B1 (ko) 1992-02-19 1993-01-16 시이트 벨트 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73612A (ko)
JP (1) JP3375088B2 (ko)
KR (1) KR100233993B1 (ko)
DE (1) DE4305179A1 (ko)
FR (1) FR2687965B1 (ko)
GB (1) GB2264329B (ko)
IT (1) IT12636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8480A1 (en) * 1992-10-09 1994-04-28 Autoliv Development Ab A safety belt buckle
JPH0870912A (ja) * 1994-09-06 1996-03-19 Takata Kk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のバックル装置
DE19502416A1 (de) * 1995-01-26 1996-08-01 Trw Repa Gmbh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US5704099A (en) * 1995-10-05 1998-01-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buckle with inertia locking mechanism
US5833634A (en) * 1995-11-09 1998-11-10 Uromed Corporation Tissue examination
GB9614623D0 (en) * 1996-07-11 1996-09-04 Alliedsignal Ltd Buckle
DE29613690U1 (de) * 1996-08-07 1996-12-05 Trw Repa Gmbh Gurtstrafferfester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DE19732071A1 (de) * 1997-07-25 1998-03-12 Daimler Benz Ag Gurtschloß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US7323003B2 (en) * 2004-02-13 2008-01-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entering intravascular filters and devices and methods for deploying and retrieving intravascular filters
US7370393B2 (en) * 2004-09-20 2008-05-13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MX2007013210A (es) * 2005-04-27 2008-01-16 Autoliv Dev Hebilla de cinturon de seguridad amortiguadora de choques.
WO2006127375A1 (en) * 2005-05-26 2006-11-30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3200A (en) * 1954-09-14 1958-12-09 Miller Joshua Latch ejection type, quick attachment and release
GB1038619A (en) * 1965-06-25 1966-08-10 Alnwick Invest Ltd Buckle for a safety belt
US3481009A (en) * 1967-07-13 1969-12-02 Firestone Tire & Rubber Co Seat belt buckle
NO155871C (no) * 1985-03-28 1987-06-17 Loyd S Industri As Laas for sikkerhetsbelter og lignende.
GB2202264B (en) * 1987-02-10 1991-04-2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belt buckle
GB2214970B (en) * 1988-02-10 1992-06-10 Gen Engineer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belt buckle
DE3835508A1 (de) * 1988-10-19 1990-05-03 Autoliv Kolb Gmbh & Co Schloss fuer ein kraftfahrzeug-sicherheitsgurtsystem
GB2227513B (en) * 1988-11-08 1993-02-10 Gen Engineer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belt buckle
GB8904205D0 (en) * 1989-02-23 1989-04-05 Bsrd Ltd Seat belt buckle
US5163207A (en) * 1989-03-15 1992-11-17 Autoflug Gmbh & Co. Fahrzeugtechnik Shock proof buckle for safety belts
DE4021974A1 (de) * 1990-07-10 1992-01-16 Autoflug Gmbh Sicherheitsgurtverschluss mit schocksicherung
DE59009070D1 (de) * 1990-11-15 1995-06-14 Trw Repa Gmbh Schloss für Sicherheitsgurtsysteme in Fahrzeugen.
DE9202526U1 (ko) * 1992-02-27 1992-04-16 Autoliv Development Ab, Vaargaarda, 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303225D0 (en) 1993-04-07
US5373612A (en) 1994-12-20
GB2264329A (en) 1993-08-25
JP3375088B2 (ja) 2003-02-10
GB2264329B (en) 1995-04-19
ITMI930329A1 (it) 1993-08-20
FR2687965B1 (fr) 1994-09-16
IT1263616B (it) 1996-08-27
DE4305179A1 (ko) 1993-08-26
ITMI930329A0 (it) 1993-02-19
JPH05229400A (ja) 1993-09-07
FR2687965A1 (fr) 199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576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0233993B1 (ko) 시이트 벨트 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US4619418A (en) Self-locking belt reel-in mechanism for safety belts
US5054171A (en) Buckle device
EP1717115A2 (en) Seatbelt retractor and seatbelt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US8403423B2 (en) Method of limiting a load applied on a seat belt in an emergency
EP1211147A2 (en) Seatbelt retractor
KR100225766B1 (ko)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JPH04283150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5660347A (en) Safety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tensioning mechanism of a safety belt system, including audible actuation indication
JP3809007B2 (ja) バックル
JPH0572612U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4809926A (en) Webbing retractor
JP2001001863A (ja) 車の安全ベルト用のベルトリトラクターと力制限器との組立体
JPH08133011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20050247811A1 (en) Belt retractor having a pretensioning drive
JPH037243Y2 (ko)
JP2000153751A (ja) シートベルト支持装置
EP0542204B2 (en) Webbing retractor
KR100835934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US6889930B2 (en) Seatbelt retractor of an automobile
KR100468923B1 (ko)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JPH0747239Y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7329379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WO2020209251A1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