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245B1 - 지침식 표시장치(pointer type indicating device) - Google Patents

지침식 표시장치(pointer type indic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245B1
KR100231245B1 KR1019960062696A KR19960062696A KR100231245B1 KR 100231245 B1 KR100231245 B1 KR 100231245B1 KR 1019960062696 A KR1019960062696 A KR 1019960062696A KR 19960062696 A KR19960062696 A KR 19960062696A KR 100231245 B1 KR100231245 B1 KR 10023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ircuit board
light guide
guide plate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927A (ko
Inventor
가즈토 이우치
가즈유키 다케노우치
야스유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97004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a single ligh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1/00Indicating elements; Illumination thereof
    • G12B11/02Scales; D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부기구 및 조명광원이 회로기판을 매개로 하여 도광판에 집적 접속하고 지침 및 눈금을 밝게 조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지침식 표시장치.
본 지침식 표시장치는 표시될 정보에 대응하는 투광성 눈금이 제공되는 문자판, 문자판의 후면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조명광으로부터 전송된 조명광을 문자판의 전면의 전체영역으로 인도하는 도광판, 및 적어도 하나의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로패턴은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전기적 구성요소는 그 회로기판으로 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하여 동작된다. 전기적 구성요소는 회로기판을 매개로하여 도광판의 후면에 고정된다. 광 반사부재는 도광판에 대면하는 회로기판의 표면위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침식 표시장치
제1도는 지침식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지침식 표시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횡측 단면도.
제3도는 지침식 표시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측 단면도.
제4도는 도광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5도는 속도표시 기구 또는 표시기구를 나타내는 지침식 표시장치의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6도는 도광판내에서 조명광의 반사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반사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8도는 반사시트를 가진 도광판내의 조명광의 반사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제9도는 문자판과 도광판사이에 공간이 있는 속도표시 기구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10도는 문자판과 도광판 사이에 공간이 있는 도광판내의 조명광의 반사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제11도는 문자판의 후면에서 반사층을 가진 도광판내의 조명광의 반사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지침을 이용하여 계측값을 표시하기 위한 지침식 표시장치에 관련되고, 특히 전자장치를 결합시킨 향상된 구조의 지침식 표시장치에 관련된다.
[종래기술의 설명]
지금까지, 이러한 지침식 표시장치는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에서 잔여연료량을 표시하는 연료계, 냉각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냉각수온도계 내지 전지전압을 표시하는 전압계등을 표시하는 데에 이용되어 왔다. 또한, 복수의 표시기구를 채용하여 상기 다양한 복수의 계측값을 각각 표시하는 하나의 계기장치는 소위 콤비네이션 미터(combination meter)라고 불리우고, 널리 이용 되고 있다. 예로서, 일본국 특허공개(번호 5-319140, 이하 "제1종래장치"라고 한다)에는 이러한 콤비네이션 미터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제1종래장치는 그 전면에 형성된 잔여연료량, 속도, 엔진의 RPM, 냉각수 온도등과 같은 각각 표시할 항목에 대응하는 투광눈금부를 가진 문자판, 각각의 계측값을 위하여 제공되는 지침, 투광성수지제로 만들어진 도광판, 신호전송을 위한 배선을 갖춘 회로기판, 및 표시기의 지침을 구동시키는 내부기구를 포함한다.
도광판은 문자판의 후면상에 제공되고, 회로기판은 도광판의 후면내에서 제공된다.
문자판, 도광판 및 회로기판 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들은 이들 판과 기판을 관통한다. 상기 후면으로 부터 연장된 구동축들은 상기 구멍들을 통과하여 드러나있다. 구동축은 각각의 내부기구에 장착되어 있고 계측값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회전된다.
지침은 문자판의 전면으로 부터 나온 구동축에 장착된다. 그래서, 지침은 각각의 내부기구에 의하여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계측값에 대응하는 각각의 회전각만큼 구동된다.
한편, 지침을 구동시키는 각각의 내부기구는 회로기판의 후면에 위치하고, 회로기판을 통하여 도광판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방식을 통하여, 각각의 내부기구와 회로기판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수행된다.
광원으로 부터 조명광은 도광판으로 도입되고, 문자판에 형성된 눈금 및 지침이 그 조명광에 의하여 조명된다. 도광판에 조명광을 제공하기 위한 광원은 모듈형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명한 내부기구에서 회로기판을 통하여 도광판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방식은 조명모듈과 회로기판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설명된 종래의 장치는 각각의 내부기구, 조명광원 또는 광원모듈이 도광판에 직접 접속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구성장치의 수를 줄이는 이점을 얻게 되고, 그래서 제공되는 장치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다.
하지만, 제1종래장치에 있어서, 조명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부재가 상당히 얇은 도광판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광판에 도입되는 광의 손실로 인하여 문자판 전체를 명확하고 균일하게 조명시키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제1종래장치에서의 문제점은 예를들어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51-11356의 마이크로필름 자료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이하, "제2종래장치"라한다)의 기술에 의하여 해결될 수도 있다.
특히, 제2종래장치는 도광판과 접촉되어 있고 그것의 후표면을 덮는 제2반사층과 문자의 형상이 제거된 제2반사층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광판에 도입된 조면광은 도광판의 전체영역으로 미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반사층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반사된다.
상기의 제1종래장치의 도광판에서, 구성장치로서의 상기 판자체의 강도를 보장하고 다른 구성장치와 접속하고 또는 만약 표시장치가 그 조명된 지침에 함께 설치된다면 조명광을 지침에게 인도하기 위하여 외주 내지 도광판에 요철부분이 형성 된다.
따라서, 만약 제2종래장치의 개시가 이 제1종래장치와 집합되도록 의도된다면, 그러한 요철부분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 상기의 반사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통상의 열전달 방법을 채용하는 것은 곤란하고, 그래서 반사층은 반사재료를 적용하기 위한 분사코팅방법 등과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만약 그러한 다른 타입의 적용방법이 채용된다면, 제조공정이 복합해지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낮추고 요구된 장치를 제조하는데 드는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낳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제조비용을 줄이는 지침식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각각의 내부기구 및 광원은 회로기판을 통하여 도광판과 결합되어 있고 눈금이 선명하게 조명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태양에 따르면, 광반사부재는 회로기판표면상에 제공되어 있고, 회로기판은 지침식 표시장치의 도광판과 대면하고 있다. 지침식 표시장치는 표시될 정보에 대응하는 투광눈금부와 함께 제공되는 문자판, 문자판의 앞부분에 근접하여 제공되는 지침, 문자판의 뒷부분에 근접하여 제공되고 광원으로 부터 문자판의 뒷부분의 전체영역에 조명광을 인도하기 위한 도광판, 적어도 하나의 회로패턴을 가지고 전기신호를 통신하기 위한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으로 부터 전송된 전기신호에 의하여 동작되고 회로기판을 통하여 도광판의 후면에 배치된 전기적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지침식 표시장치는 광반사부재가 고반사 인쇄층이고 회로기판상에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지침식 표시장치는 광반사부재가 회로기판과는 무관하게 얇은 시트형 부재인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지침식 표시장치는 광반사부재가 백색반사면으로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지침식 표시장치는 주름진 반사영역이 광반사부재와 대면하는 도광판 위에서 제공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지침식 표시장치는 문자판이 판형의 투광부재로 형성된 도광부재, 도광부재의 전면위에 형성되고 지침식 표시장치의 전체영역을 덮는 광반사층, 및 광반사층의 전면위에 형성되고 투광가능하도록 형성된 눈금부와 함께 제공되는 불투광층으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광 반사층은 조명광의 일부가 눈금부쪽을 향하는 문자판의 뒷부분으로 부터 통과되도록 허락하고, 문자판의 후면쪽을 향하는 즉 다른 눈금부를 향하는 조명광의 나머지 부분을 반사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지침식 표시장치는 광반사층이 백색계열의 투광재료로 구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지침식 표시장치는 문자판 및 도광판이 서로간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소정의 거리로 분리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지침식 표시장치는 제2광반사부재가 도광부재의 후면상에서 제2광반사부재위에 형성된 눈금부와 대응하는 투광창을 가진 도광부재와 접촉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지침식 표시장치는 회로기판이 유연성 회로기판으로 형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지침식 표시장치는 회로기판을 위한 접촉부가 전기적 구성요소와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하여 회로기판의 후면상에서 제공되고, 플랜지가 회로기판의 후면에전기적 구성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돌출되고, 전기적 구성요소의 접촉부가 회로기판과 각각의 플랜지 사이에 유지되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고, 그리하여 전기 접속이 전기적 구성요소의 고정과 동시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판, 회로기판 및 전기적 구성요소는 이 순서로서 문자판의 후면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장치를 따라서 장치의 후면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전기적 구성요소는 회로기판을 통하여 도광판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도광판, 회로기판 및 전기적 구성요소는 전기적 구성요소의 설치를 통하여 어느 하나를 다른 것 위에 놓아두는 방식으로써 고정된다.
도광판에 대면하는 회로기판의 표면에는 광반사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언급한 고정된 상태로 광반사부재는 도광판의 후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전방을 향하여 도광판으로 도입된 조명광을 반사시킨다.
더 나아가, 회로기판은 평판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광반사부재는 이러한 회로기판상에서 제공될 수 있고, 그래서, 제조단계가 매우 용이하고, 제조생산률이 향상되고, 지침형 장치가 낮은 제조비용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반사부재는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태양과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회로기판상의 고반사 인쇄층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광반사층은 고반사 인쇄층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언급한 열 전달방법에 의하여 광 반사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래서 지침식 표시장치의 제조단계가 용이하고 생산률도 향상될 수 있다. 이 형성방식에 따르면, 광반사부재는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광반사부재는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언급된 시트형 부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광반사부재를 시트형 부재로 형성하므로써, 광 반사부재에 접착테이프를 이용하거나 접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래서 지침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가 용이하고 생산률도 증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광반사부재의 표면은 예로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설명된 것처럼 백색반사표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광반사부재의 표면, 즉 반사표면을 백색 반사표면으로 형성하므로써, 문자판에 제공된 눈금은 광반사부재의 표면색의 영향으로 흰색으로 조명될 수 있다. 그래서, 눈금의 인식이 매우 향상될 것이다.
더 나아가, 주름진 영역이 도광판의 표면에 제공되고, 그것은 본 발명의 실시태양과 관련하여 상기 언급한 것처럼 상기 구조를 가진 광반사부재에 대면하고 있다. 이러한 주름진 영역의 기능은 도입된 조명광을 확산 및 반사시키는 광확산표면으로서의 역할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주름진 반사영역은 도광판의 표면위에서 재공되기 때문에, 주름진 반사영역에 도달한, 도광판의 후면을 향하는 조명광의 일부는 전방을 향하여 반사 및 확산될 것이고, 그래서 문자판 전체가 균일하고 밝게 조명될 것이다.
더 나아가, 다른 구성에서는 광반사층이 문자판의 일부를 형성하는 도광부재와 불투광 부재사이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의 광 반사층은 예로서 그 층의 표면에 도달된 조명광을 동시에 전송 및 반사시키는 백색계열의 물질등으로 이루어진 반사층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반사층에 의하여 눈금쪽으로 향하는 조명광의 일부는 광반사층의 내부를 통하여 통과한 후에 눈금에 도달한다. 한편, 눈금으로 향하지 않는 조명광의 다른 부분은 그 이하에 존재하는 불투광층으로 인하여 그 광 반사층에 의하여 반사되고, 그 다음에 상기 언급된 것처럼 후면, 즉 회로기판의 광반사층으로 향한다. 그래서, 눈금 및 전체 문자판은 동시에 밝게 조명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판 및 도광판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소정의 거리로써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그 공간의 굴절률이 문자판의 도광부재 또는 도광판의 굴절률과 다르기 때문에, 조명광은 그 공간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되고, 그렇지 않으면 주변영역 내지 그 공간, 도광부재 및 도광판을 향하여 그 입사각과 무관하게 진행해 나간다. 더 나아가, 도광부재의 후면에 의하여 반사된 후 회로기판쪽으로 그 공간에서 진행하여 가는 조명광은 그 공간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때에, 그러한 반사된 조명관은 다시 도광부재의 후면쪽으로 진행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에, 한번 반사된 후 조명광의 다음 반사까지의 진행거리는 짧아지고,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균일한 조명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광 반사층은 도광부재의 전면위에 형성되고, 제2광-반사층은 도광부재의 후면위에 그와 접촉하여 제공된다. 또한, 투광창은 문자판내에 형성된 눈금에 대응하여 제2광-반사층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문자판으로 향하여 진행하는 조명광의 일부는 회로기판의 광 반사부재에 의하여 반사된 후에, 제2광 반사부재내에 제공되는 투광창을 통과하고, 눈금에 도달한다. 한편 조명광의 다른 부분은 제2광 반사부재에 의하여 반사되고 다시 회로기판을 향하여 진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서, 눈금을 조명시키는 데에 사용되지 않은 조명광의 다른 부분은 회로기판쪽으로 정효과적으로 다시 반사되고, 조명효율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설명한 것처럼 이 구조의 회로기판은 예를 들면 유연성 회로기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연성 회로기판은 유연성을 가진 얇은 판부재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광 반사부재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고, 유연성 회로기판은 도광판 위에서 용이하게 처리되고 부착된다. 더나아가 유연성 회로기판은 도광판의 후면위에서 요철 부분의 형상과 용이하게 부합될 수 있고, 그러한 요철부분은 도광판의 후면위로부터 도출한 전기적 구성요소 및 다른 부재에 의해서 형성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회로기판의 후면위에 형성되는 접촉부는 전기적 구성요소와의 전기 접속을 위하여 제공된다. 한편, 돌출된 플랜지는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전방측에 형성된다.
또한, 전기적 구성요소가 회로기판상에 설치되는 경우에,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접촉부는 플랜지와 회로기판의 접촉부사이에 삽입되고, 그 플랜지와 회로기판은 강하게 고정된다.
그래서,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접촉은 회로기판에 의하여 샌드위치 식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돌출된 플랜지는 강하게 유지 및 고정되기 때문에, 전기적 구성요소의 회로기판과의 전기 접속은 전기적 구성요소의 설치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지침식 표시장치(이하" 표시장치"라고 한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도는 표시장치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표시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횡측단면도이고, 제3도는 그것의 종측 단면도이다. 다음의 설명은 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루어질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문자판(10)은 표시장치의 전면에 제공되고, 이 판(10)은 횡측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상부(이 도면에서는 윗부분)가 외부방향으로 휘어진 변형된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문자판(10)은 그 주변을 둘러싸는 끝판(60)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장착용 돌출부(60a,60b)쌍은 끝판(6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제공된다.
문자판(10)의 전방측에는 전면판(61)이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전면판(61)은 끝판(60)위에 장착되고, 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외부입사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판 및 전면판(61)에 의하여 둘러쌓인 내부공간을 덮고 밀봉한다. 한편, 문자판(10)의 전면에는 표시될 정보에 대응하는 투광성 눈금을 장착하기 위한 구멍 및 다른 부재가 제공된다.
특히, 구멍(101a,101b)은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문자판(10)의 전면 위에 형성된다. 더나아가, 다양한 정보(즉, 차량이 주행한 거리에 관련되는 정보를 도시하기 위한 거리 정보 표시창 즉 주행기록계기창(12), 점멸표시창(13), 자동변속차량의 시프트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시프트 위치표시창(14), 경고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경고표시창(15)등의 표시값을 지정하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눈금부(11)가 제공된다.
주목할 것은 흑색계열(예, 흑색)의 판(10)으로 구성되고 조명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불투광층(다음에 설명함)은 문자판(10)의 전면에 제공된다.
눈금부(11)는 도면의 좌측으로 부터 우측으로 잔여연료량을 표시하기 위한 연료눈금(11a), 주행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속도눈금(11b), 엔진회전수를 표시하기 위한 RPM눈금(11c), 냉각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냉각수 온도눈금(11d)과 같은 표시될 표시타입에 따르는 복수의 다양한 눈금으로 구성된다.
주목할 것은, 눈금(11a 내지 11d)은 투광성 눈금, 즉 문자판(10)상에 제공되는 불투광층에 펀치된 문자들로 형성된다. 이들 눈금은 후방측으로 부터 조명광에 의하여 조명된다.
거리정보 표시창(12)은 속도눈금(11b)아래 위치에서 형성되고, 거리표시의 기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디지털 세그먼트로 구성된 복수의 숫자형의 거리정보를 표시한다.
점멸 표시창(13)은 횡방향으로 문자판(10)의 중앙위쪽 위치에 형성되고, 점멸 시스템의 동작에 따라서 문자판이 후측에 제공되는 점멸전구(도시되지 않음)로 부터의 플래쉬 광을 표시한다.
시프트 위치 표시창(14)은 횡방향으로 문자판의 중앙부분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창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창은 쉬프팅 동작에 따라서 문자판(10)의 후측에 제공되는 시프트 위치 표시전구(후에 설명됨)은 턴온/턴오프에 대응하여 조명된다.
경고표시창(15)은 상기 설명된 엔진 RPM눈금(11a) 아래위치에서 형성되고, 이 표시창(15)은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문자판의 후측에 제공되는 경고전구(후에 설명됨)에 의하여 조명된다.
다음에는 표시장치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도광판(20)은 문자판의 후측에 제공된다. 이 도광판(20)은 아크릴 수지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판 등과 같은 투광성 수지재료로 만들어진다. 특히, 이 도광판(20)은 제4도에 도시된 구조를 가진다.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이 도광판(20)은 문자판(1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판상부재로 형성된다. 보강리브(20a)는 도광판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광판의 평면을 보호하도록 도광판의 외주부분에 제공된다. 또한, 축구멍(21), 조명전구 삽입구멍(22a,22b), 시프트 위치 조명기 설치부(23), 경고조명기 설치구멍(24), 거리정보 표시기 장착구멍(25), 및 표시기 기구장착을 위한 장착구멍(26a 내지 26d)이 도광판(20)의 평판부에 제공된다(다음에 설명함).
복수의 축구멍(21)은 각각의 표시기의 기구의 구동축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고 각각의 표시기의 기구에 의하여 표시될 측정값의 다양한 타입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특히, 축구멍(21a)은 잔여연료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의 기구를 위하여 제공되고, 축구멍(21b)은 주행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의 기구를 위하여 제공되고, 축구멍(21c)은 엔진 RPM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의 기구를 위하여 제공되고, 축구멍(21d)은 냉각수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의 기구를 위하여 제공된다. 또한, 축구멍(21)은 도광판(20)을 통하여 진행하는 조명광이 조명광을 도입하기 위하여 다음에 설명되는 각각의 지침을 향하도록 하기 위한 광전송 부재로서 기능한다. 그래서, 각각의 축구멍(21)은 도광판의 평면으로 부터 수직하게 돌출한 원통부를 가진다.
조명전구 삽입구멍(22a, 22b)은 횡방향으로 도광판(20)의 상부 및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조명전구 삽입구멍(22a)은 잔여연료 표시눈금(11a) 및 속도표시눈금(11b)에 각각 대응하는 눈금영역(20A,20B)사이의 상부에 형성된다.
조명전구 삽입구멍(22b)은 엔진 RPM 표시눈금(11c) 및 냉각수 온도 표시눈금 (11c)에 각 대응하는 눈금영역(20A, 20B)사이의 상부에 형성된다.
시프트 위치 조명기 설치부(23)는 시프트 위치 조명기가 설치되는 위치의 영역으로 구성되고, 통상의 폭을 가지고 도광판(20)의 중앙부에 제공된다.
경고 조명기 설치구멍(24)은 경고 조명기가 설치되는 부분에 의해서 제공되고 엔진 RPM 표시눈금(11c)에 대응하는 눈금영역(20c)의 아래의 도광판(20)의 하부에 제공된다.
거리 정보표시기 설치구멍(25)은 거리표시기의 표시(도시되지 않음)가 보일 수 있는 창으로 형성되고, 차량 속도 표시눈금(11b)에 대응하는 눈금영역(20B)아래에 도광판(20)의 하부에 제공된다.
장착구멍(26a 내지 26d)는 다음에 설명된 지기기의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나사구멍으로 형성된다.
또한, 눈금영역(20A 내지 20B)은 주름처리 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주름영역으로 형성된다 주름처리 단계는 부재표면에 작은 주름진 부분의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처리로서의 의미이고, 예로써 가죽 또는 천 표면과 같은 주름 패턴, 무작위적으로 분포된 점과 같은 주름 부분을 가진 모래형 패턴,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띠로 구성된 교차띠 패턴등이 있다.
더나아가, 주름영역은 입사광을 확산 및 반사시키는 광 확산/반사표면으로서 제공된다.
그래서, 도광판(20)에서의 조명광처럼, 영역(20A 내지 20B)에서 반사된 조명광의 일부는 상방향으로 또는 상부표면측으로 향하도록 확산되고, 한편 영역(20A 내지 20B)과 다른 영역에서 반사된 조명광의 일부는 나머지 일부는 멀리 진행해 버린다. 주목할 것은 눈금영역(20A 내지 20B)의 주름영역은 상기 타입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조명광을 확산 및 반사하는 작은 주름부분을 가지는 한은 어떠한 타입의 주름영역도 가능하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도광판(20)은 문자판(10)의 후측에 인접하여 끝판(60)위에 장착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은 그 회로기판(30)이 도광판(20)과 접촉하고 도광판(20)의 전체영역을 덮도록 도광판(20)의 후면상에 제공된다.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은 유연성을 가진 얇은막 부재로 만들어진 유연성 회로기판으로 형성되고, 도광판(20)의 후면상에서 이중면 접착테이프 내지 투광성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다.
또한, 예로서 백색 페인트로서 구성된 고반사 인쇄층은 도광판(20)에 대면하는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의 표면상에서 광반사부재로서 인쇄시키므로써 제공된다. 고반사 인쇄층은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상에서 페인트 층의 열전달과 같은 열스탬프 인쇄처리 내지 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형성된다.
더나아가, 상기 설명한 것처럼,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은 평판부재로 형성된다. 그래서, 고 반사 인쇄층을 형성시키는 처리에서, 고반사 인쇄층이 인쇄될 대상이 평판이므로 그 처리단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조생산률이 증가하고, 장치는 적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표시기(40)의 기구는 각각의 표시기가 문자판의 눈금(11a 내지 11b)에 대응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표시기(40)의 기구에는 잔여연료눈금(11a)에 대응하는 연료표시기(41)기구, 속도눈금(11b)에 대응하는 속도표시기(42)기구, 엔진 RPM눈금(11c)에 대응하는 엔진 RPM표시기(43)기구, 및 냉각수 온도눈금(11d)에 대응하는 냉각수온도 표시기(44)기구가 포함된다. 이러한 표시기(41 내지 44)의 기구에는 대응하는 정보표시기가 제공되고, 자체에 포함된 회전지침축을 위한 각각의 내부기구(41a 내지 44a) 및 대응하는 눈금(11a 내지 11d)을 표시하기 위한 각각의 지침(41b 내지 41d)으로 구성된다(제1도참조).
내부기구(41a 내지 44a)는 프린트 배선 회로기판(30)의 후면에 위치하고 설치부재(41c 내지 44c)를 통하여 각각의 설치구멍(26a 내지 26d)로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에 의하여, 각각의 내부기구(41a 내지 44a)와 프린트 배선 회로기판(30)사이에 전기접속이 동시에 제공된다. 내부기구(41a 내지 44a)의 고정과 함께, 내부기구(41a 내지 44a)에 제공된 지침축은 문자판(10) 도광판(20) 및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에 제공된 구멍을 관통하여 그 후면으로부터 나와있다. 한편, 지침(41b 내지 44b)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문자판(10)의 후면의 공간에서 각각의 축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지침(41b 내지 44b)은 내부기구(41a 내지 44a)의 지침축에 장착되고,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을 통하여 내부기구(41a 내지 44a)에게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서 표시될 각각의 정보에 대응하는 회전각 위치로 회전된다. 예를 들면,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속도표시기 기구(42)에 대하여 L형 단면을 가진 형상으로 휘어진 플랜지(42c) 및 L형 단면을 가진 형상에의 접속종단(42d)은 내부기구(42a)의 전방부에 제공된다. 더욱이, 접속종단(42d)은 플랜지(42c)에 의하여 프린트 배선회로기판에 대향하여 유지되고, 플랜지(42c)는 나사(42e)에 의하여 도광판(20)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기구(42a)가 설치되고, 동시에 종단접속(42d)와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 사이에 즉, 내부기구(42a)와 프린트 배선기판사이(30)에 전기 접속이 제공된다.
그래서, 상기 설명된 구조에 따르면, 내부기구(42a)의 접촉점으로 기능하는 접속종단(42d)은 내부기구(42a)의 장착부가 되는 플랜지(42c)와 프린트 배선기판(30)사이에 위치되고, 그 다음에 플랜지(42c)와 프린트 배선기판(30)은 나사(42e)에 의하여 유지 및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기구(42a)와 프린트 배선기판(30)사이에의 전기 접속은 내부기구(42a)의 장착과 함께 제공된다.
한편, 지침(42b)은 도광판(20)의 축구멍(21b)을 관통하여 뻗어나온 지침축(42f)상으로 전방측으로 부터 장착되고, 문자판(10)의 전면으로 부터 노출되어 있다. 그래서, 지침(42b)은 문자판(10)의 전면의 근처에 있고,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을 통하여 내부기구(42a)에 제공되는 전기 신호, 즉 속도정보를 표시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서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회전각 위치로 회전 및 위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조명기구(50)는 표시장치의 내부에서 눈금(11a 내지 11d), 지침(41b 및 44b), 시프트 위치 표시기 창(14) 및 경고표시기 창(15)를 조명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조명기구(50)는 눈금(11a 내지 11d) 및 지침(41b 내지 44b)를 조명시키기 위한 조명기구(51,52), 시프트 위치 표시기 창(14)을 조명시키기 위한 시프트 위치 표시기(54) 및 경고표시기 창(15)을 조명시키기 위한 경고표시기(55)로 구성된다.
조명기구(51,52)는 커넥터케이스(53)에 담겨 있다. 이러한 전구는 도광판 (20)의 상부에 제공되고 조명전구 구멍(22a,22b)으로 삽입된다. 그래서 조명기구 (51,52)가 이러한 상태에서 턴온되는 때에, 조명전구(51,52)로부터 방사된 조명광은 원통형 표면의 조명전구 구멍(22a,22b)의 끝부분으로부터 도광판(20)으로 도입되고, 도광판(20)내에서 반복적으로 반사된다. 그래서 그것은 도광판 (20)의 전체영역으로 전파된다. 더나아가, 문자판(10)에 제공되는 투광눈금부(11)는 도광판 (20)내에서 전파된 조명광에 의하여 조명된다.
또한, 커넥터 케이스(53)에 대응하는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의 각각의 부분은 커넥터 케이스(53)의 후면을 따라 휘어지고, 그 후면과 접촉되도록 유지된다. 조명전구(51,52)는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 및 커넥터 케이스(53)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전구(51,52)의 설치와 동시에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과 함께 그 설치된 때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시프트 위치 조명기(54)는 시스프 위치 표시전구(54a) 및 램프케이스(54b)로 제2도와 같이 구성되고, 통상의 문자판(10)폭으로 문자판(10)의 중앙부에 제공된다.
경고조명기(55)는 또한 경고전구(55a), 시스프 위치 표시전구(54a) 및 램프케이스(54b)로 구성되고, 문자판(10)내에서 엔진속도 표시눈금(11c) 아래에서 도광판(20)의 하부에 제공된다.
이제 상기의 구조를 가진 표시장치의 도광판(20)내부에서의 조명상태를 설명한다. 제6도는 도광판(20)내의 조명광의 반사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그것은 문자판(10), 도광판(20) 및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의 단면도로서 도시된다.
도시된 것처럼, 문자판(10)은 아크릴 수지판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판 등과 같은 투광성 수지재료로 구성된 평판도광부재, 도광부재(10a)의 전면을 덮는 불투광층(10b) 및 도광부재(10a)와 불투광층(10b)사이에 형성된 광반사층(10c)로 구성된다.
불투광층(10b)은 예로서 펀치된 문자. 즉, 인쇄되지 않은 영역에 의하여 형성된 눈금부(11)을 포함하는 흑색페인트로 구성된 인쇄층으로 형성된다. 광반사층(10c)은 연백색과 같은 백색계열의 투광재료로 만들어진 인쇄층으로 형성된다. 백생 인쇄층(30a)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도광판(20)과 면하는 프린트 배선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서,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조명광(Lx)은 조명전구(51, 52)로부터 도광판(20)으로 도입되고, 문자판(10)(광 반사층(10c)) 및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백색인쇄층(30a))과 함께 경계면에서 반복적 반사에 의하여 도광판(20)내로 전파된다.
이러한 상태로, 백색인쇄층(30a)는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조명광(Lx)를 위한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에 대면되는 도광판(20)의 후면의 반사는 매우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광 반사층(10c)은 문자판(10)상에 형성된다. 이 광 반사층(10c)은 연백색의 투광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광 반사층(10c)은 그 표면상으로 입사하는 조명광을 반사 및 전송시킬 수 있는 반사층으로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조명광의 일부는 광반사층(10c)내부를 통과한 후 눈금부(11)에 도달한다. 한편, 눈금부(11)이외의 영역에 도달한 조명광의 다른 부분은 광반사층(10c)와 불투광층(10b)사이의 경계에서 반사된 후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의 백색인쇄층(30a)쪽으로 다시 반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설명한 구조에 따라서, 도광판(20)내에서 뒤쪽으로 전파되는 조명광을 그 전면쪽으로 향하여 다시 반사시키는 백색인쇄층이 제공되기 때문에, 문자판(10)의 전체영역 내지 눈금부(11)의 전체영역을 밝게 조명시킬 수 있다. 또한, 문자판(10)의 면에 형성된 눈금부(11)는 밝게 조명되고, 동시에 문자판의 전체영역이 밝게 조명된다.
광 반사부재, 즉 상기 설명된 구조의 백색인쇄층은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의 표면위에 인쇄된 층이 있다. 그것은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의 중요부분을 형성한다. 하지만, 광반사부재는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과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반사부재는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과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제7도는 광반사부재가 독립적인 광반사시트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채용된 광반사시트의 정면도이다. 이 도에 도시된 것처럼, 광반사시트는 상기 설명된 도광판(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 시트형 부재로 형성된다. 시트(70)의 표면은 고반사율을 가진 백색과 같은 색으로 형성된다. 이 광반사시트(70)에는 제4도에 언급된 것처럼 도광판(20)과 같은 다양한 전기적 구성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이 제공된다. 특히, 도광판(20)의 축구멍(21)에 대응하여 구멍(71), 조명전구(22a,22b)에 대응하여 구멍(72a,72b), 경고 표시기 설치구멍(24)에 대응하여 구멍(74) 및 거리정보 표시기 설치구멍(25)에 대응하여 구멍(75)이 제공된다.
또한, 도광판(20)으 눈금영역(20A 내지 20D), 즉 조명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가진 주름 영역은 도광판에 대면한 광반사시트(70)의 표면위에, 또는 제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된 문자판(10)의 눈금부(11)의 잔여연료눈금(11a) 및 냉각수 온도눈금(11d)에 각각 대응하는 영역(70A 내지 70D) 위에 위치한다. 더 나아가, 광반사시트(70) 및 상기 설명된 눈금영역(20A 내지 20D)은 입사광을 반사 및 확산시키도록 서로 함께 작동하고, 그 반사 및 확산된 조명광을 문자판(10)쪽으로 향하게 한다(제8도의 단면도 참조). 더 나아가, 그 확산된 광은 문자판(10)의 광반사층(10c)을 통과한 후 잔여연료눈금(11a)에 도달하고, 그 잔여연료눈금(11a)은 불투광 층(10b)를 제거하므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잔여연료눈금은 확산된 광에 의하여 조명되고, 그래서 잔여연료눈금은 균일하게 조명 된다.
한편, 눈금영역(10A)이외의 영역에 입사한 조명광(Lx)은 고 반사표면을 가진 반사시트(70)에 의하여 반사되고, 조명전구구멍(22a,22b)으로 부터 전파되어 나간다. 이러한 조명광은 도광판(20)내에서 반복적으로 반사되고, 도광판(20)의 전체영역으로 전파된다.
그래서, 상기 설명된 구조에 따라서, 도광판(20)에 제공되는 확산/반사영역 내지 눈금부분(20A 내지 20D) 및 도광판(20)의 후표면에 제공되는 광 반사시트(70)는 문자판(10)의 대응하는 눈금부(11)쪽으로의 입사광을 반사 및 확산시키도록 함께 작동한다. 한편, 상기와 다른 영역에 입사한 조명광의 나머지 부분은 광반사층 (70)에 의하여 전반사되고, 도광판(20)내에서 조명전구(22a,22b)로부터 전파되어 나간다. 그래서, 눈금부(11)는 균일하고 밝게 조명되고 동시에 문자판(10)의 전체영역 또는 밝게 조명된다.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서, 유연성 기판은 프린트 배선회로 기판(30)내에서 이용되었다. 하지만 유연성을 갖지 않는 경화성 회로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유연성 기판이 프린트 배선회로기판에 사용되는 경우에, 프린트 배선회로기판은 도광판(20)의 후면에 요철평판에 용이하게 채용되고, 요철평판은 커넥터 케이스 (53), 시프트 이동 조명기(54)와 같은 전기적 구성요소 및 다른 부재에 의하여 도광판의 후면으로 부터 돌출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구조에서, 문자판(10) 및 도광판(20)은 서로 접촉되도록 제공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표시기 장치의 두께가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 문자판(10) 및 도광판(20)은 그들만이 공간을 만들도록 서로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분리되어 있다. 제9도는 이러한 타입의 구성을 나타내는 속도 표시기 기구(42)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문자판(10), 도광판(20)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 및 내부기구(42a)와 지침(42b)를 포함하는 속도표시기 기구(42)는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조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구조와 제5도의 구조사이의 차이점은 제10도의 단면도에 도시된 것처럼 문자판(10) 내지 도광부재(10a)는 거리(h)만큼 도광판(20)의 전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래서, 문자판(10)이 거리(h)만큼 도광판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공간(sp)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공간(sp)의 굴절률은 도광부재(10a)의 굴절률과 다르기 때문에, 조송관(Lx)은 공간(sp)과 도광판(20)와도광부재(10a)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면(ED1 내지 ED4)에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입삭각에 따라서 전반사 또는 일부반사 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조명광(Lx)의 일부는 전반사되어 공간(sp)과 도광판(20)과, 도광부재(10a)와 같은 인접영역으로 전파된다. 한편, 조명광의 다른 부분은 공간(sp)과 도광판(20)과 도광부재(10a)내로 반복적으로 반사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르면, 광 반사층(10c)의 후면(ED1), 공간(sp)과 도광판 (20)과 도광부재(10a)사이에서의 경계면(ED2,ED3) 및 백색인쇄층(30a)의 표면(ED4) 모두는 조명광(Lx)에 대한 반사면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제5도의 구조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서 조명광이 경계면(ED2,ED3)에 반사되는 경우에, 반사의 횟수가 제5도의 경우보다 많아지고, 그 반사들 사이의 조명광의 진행거리는 짧아지고, 그래서 조명광은 문자판(10)의 끝부분까지 전파되어 본 실시예에서 균일한 조명이 더욱 향상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광 반사층(10c)의 후면 및 도광부재(10a)의 후면은 반사면으로서 이용된다. 하지만, 반사층은 도광부재(10a)의 후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제11도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반사층으로서 이용하기 위한 도광부재 (10a)의 후면 상에 제2백색인쇄층(10d)이 제공된다. 제2백색인쇄층(10d)은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상의 백색 인쇄층(30a)에 제공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광부재(10a)의 평판표면상에 열스탬핑, 열전달 또는 스크린 프린팅 같은 처리에 의하여 제공되는 불투광 반사부재로 구동된다.
더 나아가, 문자판(10)의 눈금부(11)에 대응하는 창부분(10d1)은 제2백색인쇄층 (10d)의 인쇄되지 않은 영역(10d)에 의하여 제공된다. 그래서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으로 부터 전파하는 조명광(Lx)의 일부는 창부분(10d1)을 통과하고 눈금부(11)에 도달한다. 다른 조명광(Lx)은 제2백색인쇄층(10d)의 반사면 즉 경계면 (ED2)에 의하여 전반사 되고, 프린트 배선회로기판(30)쪽으로 향하여 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횟수는 균일한 조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반사들 사이에 조명광의 진행거리를 짧게 하므로써 증가된다. 눈금부(11)를 조명시키는데 이용되지 않은 조명광(Lx)은 정효과적으로 제2백색인쇄층에 의하여 프린트 배선회로기판 쪽으로 다시 반사되기 때문에, 광효율은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다음의 같은 이점이 있다.
광 반사부재는 도광판에 대면하는 평면형 회로기판의 평면에서 제공되고, 그 광 반사부재는 도광판으로 도입되는 조명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때문에, 전체 문자판은 밝게 조명되고 광 반사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가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생산율이 증가되고, 장치의 제조비용이 낮아진다.
광 반사부재는 고 반사형 인쇄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열전달 방법으로 광반사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래서 장치의 제조단계가 용이하고 생산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반사부재는 더욱 얇아질 수 있다.
광 반사부재는 또한 시트형 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테이프 내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광반사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래서 장치의 제조단계가 용이하고 생산율이 향상될 수 있다.
광 반사부재의 표면 또는 반사면은 백색반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문자판에 제공된 눈금은 광 반사부재의 표면색의 효과에 의하여 백색으로 조명되고, 따라서 눈금의 인식이 향상된다.
확산/반사영역은 도광판의 표면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그러한 도광판의 표면상에 충돌하는 조명광은 확산 상태로 반사되고, 그래서 전체 문자판은 밝고 균일하게 조명될 수 있다.
눈금에 도달한 조명광은 광 반사층의 내부를 통하여 전파하도록 만들어 지기 때문에, 그 눈금부에 도달하지 않은 다른 조명광은 광 반사층 뒤의 불투광층을 제공하므로써 반사되고, 상기 설명한 것처럼 후방측으로 또는 회로기판이 광반사층 쪽으로 향하도록 만들어진다. 그래서 눈금부는 밝게 조명되고, 동시에 전체 문자판도 그렇게 된다.
문자판 및 도광판은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그들 사이에 공간을 만들기 때문에, 조명광의 다음 반사까지의 진행거리는 짧아지고 그래서 반사 횟수가 증가된다. 그래서 더욱 균일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눈금부에 대응하는 투과창을 가지는 제2반사부재는 눈금부를 조명시키는데 이용되지 않은 조명광이 정효과적으로 회로기판 쪽으로 반사되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조명광의 조명효과가 더욱 증가한다.
회로기판은 유연성을 가진 얇은 판형부재의 유연성 회로기판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광반사 부재의 형성은 용이하고, 회로기판의 처리공정은 그것을 도광판에 접착시키는 경우에 더욱 용이하게 된다. 더 나아가 그 회로기판은 도광판의 후면에 제공되는 요철부분의 형상에 용이하게 적용되고 그 요철부분은 전기적 구성요소는 및 다른 부재에 의하여 도광판의 후면으로 부터 돌출된다.
전기적 구성요소의 접촉부가 회로기판과 전기적 구성요소의 플랜지 즉 장착부 사이에 삽입 되기 때문에, 그리고 플랜지와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접속이 그들의 고저을 확실히 하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전기접속은 전기적 구성요소의 설치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6)

  1. 표시 정보에 대응하는 투광성 눈금이 제공되는 문자판; 상기 문자판의 전면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하나의 지침; 상기 문자판의 후면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명광원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문자판의 전면의 전체영역으로 인도하기 위한 도광판;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하여 동작하고, 상기 회로기판을 매개로하여 상기 도광판의 후면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 및 상기 도광판에 대면하는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상에 제공되는 광반사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 부재는 상기 회로기판상에 형성되는 고반사 인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 부재는 상기 회로기판과는 별개의 시트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 부재는 백색반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5.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름진 반사영역이 상기 광반사 부재에 대면하는 도광판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6.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은, 판형의 투광재료로 형성된 도광부재; 상기 도광부재의 전면상에 형성되고 그것의 전체영역을 덮으며, 상기 문자판의 후면으로부터 눈금부 쪽으로 전파하는 조명광을 통과시키도록 허락하고 상기 눈금부 이외의 부분 쪽으로 전파하는 저명광을 후방으로 반사키시는 광반사층; 투광성의 눈금부를 제외한 상기 광반사층의 전면상에 형성된 불투광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층은 백색계열의 투광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 및 도광판은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공간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재의 후면상에 그것과 접촉하여 제공되고 상기 눈금부에 대응하는 투광창을 가진 제2광반사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10.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유연성 회로 기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11.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측 위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와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한 상기 회로기판의 접촉점; 상기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측에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를 장착시키기 위한 플랜지;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전기적 접속이 전기적 구성요소의 설치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접촉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재의 후면상에 그것과 접촉하여 제공되고 상기 눈금부에 대응하는 투광창을 가진 제2광반사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유연성 회로 기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유연성 회로 기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측 위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와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한 상기 회로기판의 접촉점; 상기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측에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를 장착시키기 위한 플랜지;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전기적 접속이 전기적 구성요소의 설치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접촉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측 위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와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한 상기 회로기판의 접촉점; 상기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측에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를 장착시키기 위한 플랜지;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전기적 접속이 전기적 구성요소의 설치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접촉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표시장치.
KR1019960062696A 1995-12-07 1996-12-07 지침식 표시장치(pointer type indicating device) KR100231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18952 1995-12-07
JP31895295A JP3156836B2 (ja) 1995-12-07 1995-12-07 指針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927A KR970047927A (ko) 1997-07-26
KR100231245B1 true KR100231245B1 (ko) 1999-11-15

Family

ID=1810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696A KR100231245B1 (ko) 1995-12-07 1996-12-07 지침식 표시장치(pointer type indicating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70549A (ko)
EP (1) EP0777108B1 (ko)
JP (1) JP3156836B2 (ko)
KR (1) KR100231245B1 (ko)
DE (1) DE6961623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1029B1 (fr) * 1997-03-24 1999-06-04 Magneti Marelli France Tableau de bord pour vehicules automobiles comprenant un afficheur a aiguille et un afficheur electro-optique
FR2765167B1 (fr) * 1997-06-27 1999-08-20 Afe Plasturgie Tableau de commande de vehicule comportant des moyens d'eclairage
DE19806118A1 (de) * 1998-02-14 1999-08-19 Bosch Gmbh Robert Wellenantriebsvorrichtung
JPH11311546A (ja) * 1998-04-28 1999-11-09 Kansei Corp 計器装置の照明ランプ取付構造
US6213614B1 (en) * 1999-11-10 2001-04-10 Illinois Tool Works Inc. Cooktop intensity indicator dial
JP3305297B2 (ja) * 2000-06-30 2002-07-22 日本精機株式会社 指針式計器
US6447131B1 (en) * 2000-08-28 2002-09-10 Delphi Technologies, Inc. No-adhesive applique for vehicle instrument cluster
JP3782731B2 (ja) * 2001-12-27 2006-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器
WO2004033999A1 (ja) * 2002-09-20 2004-04-22 Yazaki Corporation 文字板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led表示素子、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ムーブメントモジュール、コネクタ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メータ
DE10303308A1 (de) * 2003-01-28 2004-08-19 Siemens Ag Kombiinstrument
TWI293097B (en) 2003-07-11 2008-02-01 Hon Hai Prec Ind Co Ltd Illuminated logo unit
EP1589265B1 (de) * 2004-04-19 2006-10-04 Delphi Technologies, Inc. Beleuchtungseinrichtung
US7607808B2 (en) * 2004-06-16 2009-10-2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Instrument panel housing with light diffuser
JP4615931B2 (ja) * 2004-08-18 2011-01-19 矢崎総業株式会社 指針
US7374323B1 (en) * 2005-07-28 2008-05-20 Yazaki North America, Inc. Self-illumination applique system and method
JP4872126B2 (ja) * 2006-11-09 2012-02-08 日本精機株式会社 計器装置
US7724129B2 (en) * 2007-03-07 2010-05-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Multiple color pointer for a gauge or instrument
EP2340182A1 (fr) 2008-10-22 2011-07-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Dispositif d'affich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FR2974639B1 (fr) * 2011-04-30 2016-12-09 Johnson Controls Automotive Electronics Sas Dispositif d'affich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JP5835559B2 (ja) * 2011-08-24 2015-12-24 日本精機株式会社 指針式表示装置
CN104870233B (zh) * 2012-11-13 2018-06-08 江森自控科技公司 被照亮的车辆内部部件
KR101798518B1 (ko) * 2015-12-09 2017-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입체 조명 계기판
DE102016124173A1 (de) * 2015-12-22 2017-06-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Kombinationsanzeigeinstrument
KR101783232B1 (ko) * 2016-10-04 2017-10-23 문수미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RU2718686C1 (ru) * 2019-07-09 2020-04-1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АЯ АВИАРЕМОНТНАЯ КОМПАНИЯ" Панель освещения приборов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4054A (ko) *
FR2220963A1 (en) * 1973-03-09 1974-10-04 Behar Alfred Printed cct arrangement for standby lighting - has wiring replaced by printed cct. which may be covered by polished reflecting surface
JPS5111356A (ja) * 1974-07-18 1976-01-29 Victor Company Of Japan Hikakudohenchohashingofukuchokairo
JPS613010A (ja) * 1984-06-16 1986-01-09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用計器における表示の指示装置
US4714983A (en) * 1985-06-10 1987-12-22 Motorola, Inc. Uniform emission backlight
DE3904656A1 (de) * 1989-02-16 1990-08-23 Vdo Schindling Zeigerinstrument
JPH05319140A (ja) * 1992-05-15 1993-12-03 Nippon Seiki Co Ltd 計器装置
FR2703008B1 (fr) * 1993-03-25 1995-06-16 Jaeger Tableau de bord de faible epaisseur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4325128C2 (de) * 1993-07-27 1997-12-18 Mannesmann Vdo Ag Anzeigeeinrichtung
US5458082A (en) * 1994-03-24 1995-10-17 Delco Electronics Corp. Tip to tail illuminated pointer
US5703612A (en) * 1995-01-20 1997-12-30 Nu-Tech & Engineering, Inc. Illuminated pointer for an analog gauge and related method of use and manufacture
DE19630734C2 (de) * 1995-07-31 2001-01-25 Toyoda Gosei Kk LED-Anzeige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16238T2 (de) 2002-05-16
EP0777108B1 (en) 2001-10-24
EP0777108A1 (en) 1997-06-04
DE69616238D1 (de) 2001-11-29
JP3156836B2 (ja) 2001-04-16
JPH09159493A (ja) 1997-06-20
KR970047927A (ko) 1997-07-26
US6070549A (en) 200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245B1 (ko) 지침식 표시장치(pointer type indicating device)
US7744230B2 (en) Backlighting device
US6267072B1 (en) Indicating instrument
EP0140350A2 (en) Liquid crystal panel display device
JP5083498B2 (ja) 照明装置
JP2004233466A (ja) 車両用表示装置
JP4534095B2 (ja) 液晶表示装置
JP2011047790A (ja) 表示装置
JP2008097901A (ja) 照明装置
JP5239698B2 (ja) 車両用計器
JP2003014503A (ja) 指針式計器
JP2008544464A (ja) 反射防止被膜を有する薄型ダッシュパネル
JP4597605B2 (ja) 計器装置の照明構造
JP4228273B2 (ja) 照明装置
JP2004106662A (ja) 車両用表示装置
JP4199383B2 (ja) 計器用表示装置
JP2002107185A (ja) 計器装置の指針
JP5815249B2 (ja) 指針ユニット及び指針計器
JP5627481B2 (ja) 指針部材、指針ユニット、及び、指針計器
JP3301520B2 (ja) 指針式表示装置
JPH10142008A (ja) 車両用計器装置
JP3638728B2 (ja) 偏平ライトガイド盤
JP3601057B2 (ja) 表示装置
JPH0566519U (ja) 計器の照明装置
JPH10160520A (ja) 計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