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155B1 -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155B1
KR100229155B1 KR1019970049072A KR19970049072A KR100229155B1 KR 100229155 B1 KR100229155 B1 KR 100229155B1 KR 1019970049072 A KR1019970049072 A KR 1019970049072A KR 19970049072 A KR19970049072 A KR 19970049072A KR 100229155 B1 KR100229155 B1 KR 100229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guide rail
hood hinge
pane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780A (ko
Inventor
정정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70049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155B1/ko
Publication of KR1999002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암(22)과 하부암(24)으로 이루어져 후드패널(4)을 차체 바디(2)로부터 회동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20)에 있어서, 상기 후드힌지(20)의 하부암(24) 하단에 그 상단의 지지판(42)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42)으로부터 하향연장된 가이드판(44)이 그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판(44)으로부터 하향연장되어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갈라지는 체결판(4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브라켓(40)을 고정형성하고, 상기 브라켓(40)의 체결판(46)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는 복수개의 바퀴(48)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48)에 대응한 가이드레일(50)을 차체 바디(2)의 일측에 고정형성하되, 상기 가이드레일(50)은 차체 바디(2)의 일측에 고정형성하되, 상기 가이드레일(50)은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에 브라켓(40)의 가이드판(44)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홀(5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전방 끝단에는 전후로 이동되는 바퀴(48)를 정지시키는 스토퍼(5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후드패널을 차체 바디에 장착할 시 그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후드패널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다수회에 걸쳐 개폐된는 후드패널에 의해 후드힌지와 차체 바디의 고정부에 발생되는 전단하중에 의한 후드힌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바디와 후드패널의 후방 양측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후드패널을 차체 바디로부터 회동가능하게 하는 후드힌지의 장착구조를 간편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차량의 엔진룸 상단에는 후드가 구비되어 엔진룸을 보호하는 바, 차량의 주행중에 엔진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차량을 정지시키고, 후드를 열어 엔진을 점검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패널(4)은 후단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되어 구비되는 후드힌지(20)에 의해 차체 바디(2)로부터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드패널(4)의 후단 양측에 구비된 후드힌지(20)는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상부암(22)과 하부암(24)으로 이루어져 구비되되, 상기 상부암(22)은 후드패널(4)의 내측에 소정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형성되며, 상기 하부암(24)은 상부암(22)에 대응한 차체 바디(2)에 고정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 후드패널(4)의 선단 일측에는 차체 바디(2)의 선단 일측에 구비된 후드래치(10)에 의해 걸림되어 후드패널(4)을 록킹되게 하는 소정의 록킹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후드래치(10)의 일측에는 케이블(6)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6)의 타단의 차실내에 구비되어 있는 후드레버(8)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자동차의 후드패널은 상기 후드패널(4)을 개방할 시는 먼저, 운전자가 운전석 좌측 아래쪽에 장착되어 있는 후드레버(8)를 당겨 상기 후드래치(10)의 1차 록킹을 푼 후에 운전자나 작업자가 직접 후드패널(4)과 어퍼 프론트 패널(도시생략)의 사이로 손을 넣어 어퍼 프론트 패널의 전방부에 구비된 후드래치(10)의 해제레버를 위로 밀어 후드패널(4)의 2차록킹을 풀게 된다.
이후, 상기 후드패널(4)을 완전히 들어 올려 차체 바디(2)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후드지지대(12)를 후드패널(4)의 선단에 일측에 형성된 후드 구멍(미도시)에 확실하게 끼워 상기 후드패널(4)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패널(4)을 닫을 때에는 상기 후드지지대(12)를 후드 구멍에서 해제시켜 차체 바디(2)의 선단 일측에 고정시킨 후, 상기 후드패널(4)을 일정 높이에서 놓으면 상기 후드패널(4)의 자중에 의해 이 후드패널(4)이 록킹되어 완전하게 닫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차용 후드는 이 후드패널을 차체 바디에 장착할 시 후드힌지의 상부암은 후드패널에 소정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하고, 이 후드힌지의 하부암은 차체 바디의 일측에 고정하여 상기 후드패널 차체 바디에 고정하게 하는데, 상기 후드패널을 차체 바디에 후드힌지를 통해 고정할 시 후드패널의 중량으로 인해 이 후드패널을 후드힌지에 고정하는 작업이 어렵고, 번거롭게 되어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후드패널을 차체 바디로부터 회동가능하게 하는 후드힌지의 장착구조를 간편하게 구성하여 그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드패널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상부암과 하부암으로 이루어져 후드패널을 차체 바디로부터 회동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에 있어서, 상기 후드힌지의 하부암 하단에 그 상단의 지지판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하향연장된 가이드판이 그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판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갈라지는 체결판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브라켓을 고정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의 체결판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는 복수개의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에 대응한 가이드레일을 차체 바디의 일측에 고정형성하되, 상기 가이드레일은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에 브라켓의 가이드판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방 끝단에는 전후로 이동되는 바퀴를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힌지와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힌지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차체 바디 4 : 후드패널
6 : 케이블 8 : 후드레버
10 : 후드래치 12 : 후드지지대
20 : 후드힌지 22 : 상부암
24 : 하부암 40 : 브라켓
42 : 지지판 44 : 가이드판
46 : 체결판 48 : 바퀴
50 : 가이드레일 52 : 가이드홀
54 : 스토퍼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힌지와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힌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암(22)과 하부암(24)으로 이루어져 후드패널(4)을 차체 바디(2)로부터 회동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20)에 있어서, 상기 후드힌지(20)의 하부암(24) 하단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브라켓(40)을 통해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복수개의 바퀴(48)를 구비한다.
상기 후드힌지(20)의 하부암(24) 하단에 고정형성된 브라켓(40)은 그 상단이 후드힌지(20)의 하부암(24)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지지판(4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42)으로부터 하향연장된 가이드판(44)으로 부터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판(44)으로 부터 하향연장되어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두 갈래로 갈라져 그 사이에 바퀴(48)가 회전가능하게 힌지되는 체결판(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드힌지(20)의 하부암(24)에 구비된 브라켓(40)의 바퀴(48)에 대응한 가이드레일(50)을 차체 바디(2)의 일측에 고정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레일(50)은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가이드레일(50)에 삽입된 바퀴(48)의 브라켓(40)에 형성된 가이드판(44)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된 가이드홀(5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50)의 가이드홀(52)은 상기 브라켓(40)의 가이드판(44)에 대응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퀴(48)가 구비된 브라켓(40)이 가이드레일(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전방 끝단에는 전후로 이동되는 바퀴(48)를 정지시키는 스트퍼(54)가 소정의 고정수단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힌지의 조립시는 먼저, 차체 바디(2)의 일측에 가이드레일(50)을 고정형성하되, 이 가이드레일(50)의 가이드홀(52)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후드힌지(20)의 하부암(24) 하단에 바퀴(48)가 체결판(46)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브라켓(40)의 지지판(42)을 후드힌지(20)의 하부암(24) 일측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후드힌지(20)의 상부암(22)을 후드패널(4)의 내부 일측에 고정 형성한다.
이후, 상기 후드패널(4)의 바퀴(48)를 가이드레일(50)에 앞에서 뒤로 밀어 넣어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브라켓(40)의 가이드판(44)을 가이드레일(50)의 가이드홀(52)에 일치시켜 삽입한 후,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전방 끝단에 스토퍼(54)를 용접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그러면, 상기 후드패널(4)의 개방시는 운전자가 후드의 2차록킹을 푼 후에 상기 후드패널(4)을 어느정도의 높이로 들어 올리게 되면 이 후드패널(4)이 소정거리만큼 전진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후드패널(4)의 후단 양측에 구비된 후드힌지(20)의 바퀴(48)가 가이드레일(50)의 내측에서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드패널(4)도 소정량 전진이동되며, 이 바퀴(48)가 가이드레일(50)의 스토퍼(54)에 걸림되어 정지되면 상기 후드패널(4)의 전진이동도 멈추게 된다.
이 때, 상기 후드힌지(20)의 바퀴(48)가 가이드레일(50)의 내측에서 전후 이동시는 이 바퀴(48)를 후드힌지(20)의 하부암(24)에 고정시키는 브라켓(40)의 가이드판(44)이 가이드레일(50)의 가이드홀(52)을 따라 이동되므로 상기 후드패널(4)은 안정적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후, 운전자가 상기 후드패널(4)을 완전히 들어 올려 후드패널(4)의 선단에 형성된 후드 구멍에 후드지지대(12)를 끼워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후드패널(4)을 닫을 시에는 후드패널(4)을 지지하고 있던 후드지지대(12)를 제거한 후, 상기 후드패널(4)을 후방측으로 밀면서 소정의 높이가지 내린 후, 이 후드패널(4)을 놓으면 상기 후드패널(4)의 자중에 의해 후드가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는 후드패널의 후단 양측에 구비된 후드힌지의 장착구조를 간편하게 구성하여 그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후드패널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다수회에 걸쳐 개폐되는 후드패널에 의해 후드힌지와 차체 바디의 고정부에 발생되는 전단하중에 의한 후드힌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상부암(22)과 하부암(24)으로 이루어져 후드패널(4)을 차체 바디(2)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20)에 있어서, 상기 후드힌지(20)의 하부암(24) 하단에 그 상단의 지지판(42)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42)으로부터 하향연장되어 좌우측으로 대칭하게 갈라지는 체결판(4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브라켓(40)을 고정형성하고, 상기 브라켓(40)의 체결판(46)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되는 복수개의 바퀴(48)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48)에 대응한 가이드 레일(50)을 차체 바디(2)의 일측에 고정형성하되, 상기 가이드레일(50)은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에 브라켓(40)의 가이드판(44)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홀(5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전방 끝단에는 전후로 이동되는 바퀴(48)를 정지시키는 스토퍼(5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KR1019970049072A 1997-09-26 1997-09-26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KR100229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072A KR100229155B1 (ko) 1997-09-26 1997-09-26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072A KR100229155B1 (ko) 1997-09-26 1997-09-26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780A KR19990026780A (ko) 1999-04-15
KR100229155B1 true KR100229155B1 (ko) 1999-11-01

Family

ID=1952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072A KR100229155B1 (ko) 1997-09-26 1997-09-26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1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780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6109T2 (de) Fahrzeugtür und Montageverfahren der Fahrzeugtür
JP2004502889A (ja) 自動車用フードに用いるステーアセンブリ
US6832807B2 (en) Vehicle open roof apparatus
JP2020001429A (ja) 車両の側部構造
KR100229155B1 (ko)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US6616199B1 (en) Two stage latch for heavy duty engine cover
US5713501A (en) Automobile having spare tire carrier with lock mechanism including rear door bottom panel support
JP4433431B2 (ja) ウイング車両におけるウイング昇降用シリンダのシリンダーピン取付構造
JP3846394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0411030B1 (ko) 자동차 엔진후드의 스테이 장치
JP3760752B2 (ja) 車両の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構造
JP3967827B2 (ja) 車両用ドアの補強構造
JP4717190B2 (ja) あおり支持装置
KR100534280B1 (ko)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JPS6225922Y2 (ko)
KR100223554B1 (ko) 자동차 후드의 힌지구조
KR200220992Y1 (ko) 자동차 트렁크리드 열림 확장장치
JPS6137537Y2 (ko)
JP3433183B2 (ja) 自動車のドア
JPH0953359A (ja) キャビン車のドアオープンロック装置
JPH0131649Y2 (ko)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JP2002081234A (ja) 作業車両のドアロック装置
KR0132483Y1 (ko) 차량용 트렁크리드 및 휴엘리드의 릴리스레버구조
KR0135385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