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972B1 - 무선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972B1
KR100228972B1 KR1019970704201A KR19970704201A KR100228972B1 KR 100228972 B1 KR100228972 B1 KR 100228972B1 KR 1019970704201 A KR1019970704201 A KR 1019970704201A KR 19970704201 A KR19970704201 A KR 19970704201A KR 100228972 B1 KR100228972 B1 KR 100228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ate
base station
signal
mobile station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사 가나다
히로시 이시까와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통신을 시작하려고 하는 이동국(a mobile station)은 통신 슬롯 할당 요청(a communication slot assignment request)을 기지국(a base station)에 트랜스버설 필터(a transversal filter)가 필요없을 정도로 느린 전송 속도로 보낸다. 기지국은 이 이동국에 통신 슬롯을 할당해주고 이 통신 슬롯 할당에 관한 정보를 이동국에 트랜스버설 필터가 필요없을 정도로 느린 전송 속도로 보낸다. 이동국은 할당받을 통신 슬롯으로 기지국에 트레이닝 시퀀스(a training sequence)를 고속으로 보낸다. 기지국은 그에 보유된 트레이닝 시퀀스와 실제로 수신된 신호로부터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an adaptive equalizing mechanism)을 사용하여 트랜스버설 필터의 최적 탭 이득(optimum tap gains)을 계산한다. 기지국은 최적 탭 이득을 이동국에 트랜스버설 필터가 필요없을 정도로 느린 전송 속도로 보낸다.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탭 이득을 트랜스버설 필터에 설정한다. 고속 통신이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시작된다.

Description

무선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RADIO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OBILE RADIO STATION AND BASE RADIO STATION}
먼저, TDMA-TDD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방법은 하나의 반송 주파수(one carrier frequency)를 시분할로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단말국들(stations)간에 행해지는 무선 통신(송수신)(radio(or wireless) communcation(transmission and reception))을 다루는 것이다. 본 방법의 일례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 BS는 하나의 반송 주파수를 정보 슬롯(an information slot) I와 기지국에서의 전송 슬롯 시퀀스(a transmitting slot sequence) TS와 기지국에서의 수신 슬롯 시퀀스(a receiving slot sequence) RS으로 시분할하여 사용한다. 이 정보 슬롯 I는 무선 이동국에 전송 슬롯 시퀀스 TS와 수신 슬롯 시퀀스 RS의 시작 타이밍(start timing)과 슬롯의 할당 상태 등을 알려주는데 사용된다. 또한, 전송 슬롯 시퀀스 TS는 기지국이 이동국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슬롯 시퀀스이고, 수신 슬롯 시퀀스 RS는 기지국이 이동국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슬롯 시퀀스이다. 이들 슬롯 시퀀스에서 슬롯의 수는 임의의 개수일 수 있지만, 도 5에서는 각 슬롯 시퀀스에 대해 4개의 슬롯이 도시되어 있다. 정보 슬롯 I와 전송 슬롯 시퀀스 TS와 수신 슬롯 시퀀스 RS를 포함하는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통신이 행해진다.
이제, 무선 이동국 MS#1이 무선 기지국 BS와 통신을 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먼저, 무선 기지국 MS#1은 기지국 BS가 전송한 정보 슬롯 I1을 수신하여(단계 1) 비어있는 통신 슬롯을 찾는다. 이 예에서 슬롯 #0는 비어있는 슬롯(an empty slot)이기 때문에, 이동국 MS#1은 수신 슬롯 시퀀스 RS내의 슬롯 #0에 의해 기지국에 통신 슬롯의 할당을 요청한다(단계 2). 이동국 MS#1이 보낼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비어있는 슬롯이 있는 경우에도, 보낼 데이터를 한번에 보내지는 않는다. 이것은 정보 슬롯 I1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이동국들이 슬롯 #0가 비어있는 슬롯이라는 것을 알고 있고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복수의 무선 이동국들이 동일 슬롯으로 슬롯 할당 요청을 보내기 때문이다. 기지국 BS가 이동국 MS#1이 전송한 통신 슬롯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그 수령(acceptance)은 정보 슬롯 I2에 의해 표시된다(단계 3).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 슬롯 I2에 슬롯 할당이 표시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무선 이동국 MS#1은 정보 슬롯 I2에서 비어 있는 슬롯을 찾아서 마찬가지로 할당 요청을 하게 된다.
통신 슬롯이 할당되었으면, 무선 이동국 MS#1은 할당된 슬롯(이 예에서는 통신 슬롯 #0)으로 보낼 데이터를 보내기 시작하거나 또는 수신할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한다(단계 4). 이 통신은 각각의 통신 슬롯의 끝에서 종료하게 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슬롯 할당 요청을 다시 수행할 수도 있다. 할당된 슬롯을 중단(cut off)하도록 하는 요청이 명시적으로 있을 때에만 통신이 종료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 BS이 무선 이동국 MS#2와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 BS는 통신 슬롯 #1이 무선 이동국 MS#2에 할당되어 있다는 것을 정보 슬롯 I1에 표시할 수 있다(단계 11. 슬롯 수는 임의의 개수일 수 있음). 무선 이동국 MS#2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식별 신호(identification signal)를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통신 슬롯으로 보내게 된다(단계 12). 이 식별(identification)이 되돌아오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이동국 MS#2는 무선 기지국 BS의 관할 구역을 벗어나게 된다(moved outside the range of the base radio station BS in charge). 무선 기지국 BS가 이 식별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무선 기지국 BS는 또다시 통신 슬롯 #1이 무선 이동국 MS#2에 할당되어 있다는 것을 정보 슬롯 I2에 표시하게 되며 통신 슬롯 #1을 통해 무선 이동국 MS#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13).
TDMA-TDD 방법의 데이터 통신의 일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행되지만 이는 여러 가지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이동국으로부터의 억세스 요청에 대해서만 슬롯 시퀀스가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무선 기지국이 무선 이동국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무선 이동국의 상태에 따라 무선 이동국으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송신과 수신 모두에 대해서 슬롯이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슬롯 번호를 할당받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송신과 수신에 대해 서로 다른 슬롯 번호가 할당될 수도 있고, 또는 전송 슬롯 시퀀스와 수신 슬롯 시퀀스의 각 슬롯이 개별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이들 이동국과 기지국의 수는 임의의 개수일 수 있으며, 기지국들간의 통신 방법은 임의의 방법일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에서는 복수의 무선 이동국들과의 통신이 하나의 반송 주파수에서 송신과 수신을 시분할함으로써 행해지지만, 상기한 일련의 동작들이 서로 다른 주파수의 반송파로 수행되도록 무선 기지국을 제공할 수도 있다. 게다가,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들은 이동국들 사이에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슬롯을) 호출(call)하기 위한 주파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주파수가 서로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부터는 무선 기지국과 무선 이동국이 보내는 데이터 (신호)에 대해서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서 이동국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장애물에 반사되고, 따라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사된 신호(a reflected signal) "a"와 직접 신호(a direct signal) "b"가 발생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장애물의 수는 많으며, 따라서 반사 경로가 많이 있게 되고 기지국에서 수신된 신호에 왜곡(distortion)이 일어나게 된다(다중 경로 전파(multipath propagation)). 다중 경로 전파에 의한 왜곡은 전송 속도가 느릴 때에는 그다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송 속도가 더 빨라지게 되면, 이전의 심볼(a previous symbol)이 현재의 심볼(a current symbol)에 영향을 미치는 심볼간 간섭(an intersymbol interference)이 일어나게 된다. 이 심볼간 간섭은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전송 속도의 증가를 가져오는 원인으로 된다. 그 다음에, 심볼간 간섭에 의해 야기된 신호 왜곡을 보상하는 기술로서 적응형 평활화 방법(an adaptive equalizing method)이 고안되었다. 이 방법은 수신기측에서의 신호 왜곡을 보정(correct)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은 탭으로 된 지연선 필터(a tapped delay-line filter)를 사용한다. 이 탭으로 된 지연선 필터(트랜스버설 필터라고도 함)는 선행단(a previous stage)에서 복조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탭으로 된 지연 회로(10)을 구비하며, 복수의 지연 회로(1)과 지연 회로(10)의 각 출력과 계수(탭 이득)을 곱하는 복수의 가변 이득 증폭기(3)과 가변 이득 증폭기(3)의 출력들을 가산하는 가산기(5)를 포함한다. 이 탭으로 된 지연선 필터의 각각의 가변 이득 증폭기(3)의 계수를 최적화함으로써, 의미있는 데이터(meaningful data)를 얻을 수 있다. 이들 계수의 계산 방법은 본 발명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기 때문에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계수들을 설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번은 실행해야 한다. 즉, 수신기측이 이미 알고 있는 데이터는 송신기측에 의해 보내지며, 이미 알고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얻은 계수들은 가변 이득 증폭기(3)에 설정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무선 전파 조건들(radio propagation conditions)이 변하게 되면(예를 들면, 이동 무선 기지국이 이동할 때), 상기한 계수들은 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계산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기지국이 데이터를 보내거나 또는 이동국이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에도, 알고 있는 데이터(known data)(이후부터는 이를 트레이닝 시퀀스(training sequence)라고 함)를 먼저 보내고 요망되는 데이터(desired data)는 그 다음에 보낼 필요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5-235792호의 도 7).
또한, 탭으로 된 지연선 필터의 가변 이득 증폭기(3)의 계수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이 기지국과 이동국 모두 내에 보유되어 있어야만 한다.
<발명의 요약>
이러한 제한은 주로 이동국이 이동을 하면서 통신을 행한다는 사실로부터 생긴다. 그러나, 특정 용도에서는 이동국이 이동을 하면서 통신을 수행하지만 항상 이러한 상황에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속 무선 LAN(high-speed wireless LAN)이 사무실내에 설치되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이동국에 대응하는 단말 장비는 자주 이동되지 않는 것이 요망되어 왔다. 그러나, 사무실에서는 장애물이 되는 사람이 이동하기 때문에 무선 전파(radio propagation)의 특성이 변하게 된다. 그러면 사람이 이동할 때마다 탭 이득이 갱신되어야만 하는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 그 이유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 빨라지게 되면 무선 전파 특성의 변동은 상대적으로 더 느려지게 되며(사람의 이동 속도는 빠르지 않음) 따라서 탭 이득을 갱신하지 않고도 하나의 통신 슬롯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그 결과 복수의 슬롯으로 통신을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데이터를 보낼 때마다 트레이닝 시퀀스를 보낼 필요가 없다는 것도 분명하다. 기지국과 이동국은 송신 및 수신용 안테나(antenna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의 위치가 동일하고 반송 주파수가 동일할 때에는 무선 전파 특성이 동일하게 되며, 따라서 기지국과 이동국 모두에 있어서 탭 이득의 계산이 필요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국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이동국내의 필요 자원(necessary resources)을 감소시키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국측의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an adaptive equalizing mechanism)을 제거함으로써 이동국의 크기를 줄여 전력 소모를 절감(save power consumption)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선 신호(radio signals)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하기 위한 이동국이 제공된다. 이동국은 제1 데이터 속도(data rate)와 제2 데이터 속도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a receiving means)을 가지고 있다. 제2 데이터 속도는 제1 데이터 속도보다 높다. 무선 이동국은 또한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수신 수단에 접속되며, 기지국으로부터 제2 데이터 속도로 수신한 신호에 대해 신호 보상(signal compensation)을 행하기 위한 적응형 필터(an adaptive filter), 제1 모드에서(in a first mode) 기지국으로부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되어온 파라메타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적응형 필터에 신호 보상 파라메타(signal compensation parameter)를 설정하고 파라메타를 설정한 이후의 제2 모드에서(in a second mode) 적응형 필터에 의해 보상된 기지국으로부터 제2 데이터 속도로 수신된 신호들을 무선 이동국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 수단(a control means)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무선 이동국에서는 파라메타를 게산할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동국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 수단은 통신 슬롯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기지국에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도록 전송 수단에 지시하게끔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수단은 신호 보상 파라메타의 계산을 위한 선정된 트레이닝 시퀀스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전송 수단에 지시하게끔 되어 있다.
게다가, 트레이닝 시퀀스의 전송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데이터 속도로 수신한 통신 슬롯의 할당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데이터 속도는 트레이닝 시퀀스의 데이터 속도이고, 제어 수단은 필요한 경우에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전송한 후에 제2 데이터 속도로 기지국에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전송 수단에 지시하게끔 되어 있다.
게다가, 제1 데이터 속도는 무선 전파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속도로 되게끔 되어 있다.
무선 이동국에 부가하여, 이하의 무선 기지국(base radio station)도 사용된다. 무선 기지국은 신호들을 무선 기지국에 제1 데이터 속도와 제2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제2 데이터 속도는 제1 데이터 속도보다 높다. 무선 기지국은 또한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수신 수단에 접속되며, 무선 이동국으로부터의 제2 데이터 속도의 신호들에 대해 신호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적응형 필터, 적응형 필터의 신호 보상 파라메타를 무선 이동국에 대해 최적화하여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적응형 필터에 설정하기 위한 적응형 평활화 수단(an adaptive equalizing means), 제1 모드에서 적응형 평활화 수단에 의해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최적화시킨 후에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갖는 신호를 대응하는 무선 이동국에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도록 전송 수단에 지시하고 제2 모드에서 파라메타를 전송한 후에 신호들을 제2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고 수신하도록 전송 및 수신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가지고 있다.
적응형 평활화 수단은 무선 이동국으로부터의 선정된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구동되게끔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수단은 무선 이동국에 통신 슬롯을 할당하고 할당을 위한 신호를 무선 이동국에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도록 전송 수단에 지시하게끔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수단은 적응형 평활화 수단에 의해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적응형 필터에 설정한 후에 무선 기지국이 적응형 필터에 의해 보상된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게끔 되어 있다.
게다가, 제1 데이터 속도는 무선 전파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속도이고 제2 데이터 속도는 트레이닝 시퀀스의 속도로 되게끔 되어 있다.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한 무선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이동국을 하나의 통신 시스템(one communication system)으로 쉽게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무선 이동국은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1) 적응형 필터 송신기(adaptive filter transmitter)의 파라메타를 갖는 신호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제1 데이터 속도로 수신하고,
2) 수신 단계에 응답하여, 적응형 필터에 파라메타를 설정하며,
3)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제2 데이터 속도로 수신되어 적응형 필터에 의해 보상된 신호를 처리함.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보다 높다.
상기한 무선 기지국은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1)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적응형 평활화 수단에 의해 최적화시키고,
2) 적응형 평활화 수단에 의해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적응형 필터에 설정하며,
3) 파라메타를 갖는 신호를 대응하는 이동국에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고,
4) 파라메타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 후에 신호를 제2 데이터 속도로 전송 및 수신함.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보다 높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radio communcatio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DMA-TDD(시분할 다중 액세스-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ime Division Duplexing)) 방법을 사용하여 고속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이동국의 부하(load)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기지국(a base radio station)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이동국(a mobile radio station)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3은 통신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요약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TDMA-TDD를 설명하기 위한 통신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다중 경로 전파(multipath propagation)에 의한 왜곡(distortion)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
도 7은 트랜스버설 필터(a transversal filter)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연 회로
3 : 가변 이득 증폭기(variable-gain amplifier)
5 : 가산기
10 : 탭으로 된 지연 회로(tapped delay circuit)
20 : 안테나
22 : 송신 수단
24 : 적응형 평활 메카니즘(adaptive equalizing mechanism)
26 : 수신 수단
28 : 트랜스버설 필터
30 :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
32, 34, 36 : 스위치
40 : 안테나
42 : 송신 수단
44 :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
46 : 수신 수단
48 : 트랜스버설 필터
50, 52, 54 : 스위치
본 발명의 주된 요점은 트랜스버설 필터(적응형 필터)의 최적 탭 이득(파라메타)를 이동국에서 계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동국내의 트랜스버설 필터에 최적 탭 이득이 설정되지 않으면 고속 데이터가 수신될 수 없다. 그래서, 최적 탭 이득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이 기지국내에 제공되고, 계산된 탭 이득이 이동국으로 보내지게 된다. 그러나, 탭 이득이 고속으로 보내지면, 이를 수신하는 이동국에서 이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다. 이것은 트랜스버설 필터의 탭 이득이 보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탭 이득의 전송은 최적 탭 이득이 설정되지 않은 트랜스버설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식별될 수 있도록 저속으로 행해져야만 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이하에 상세히 기술한다.
기지국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안테나(20)은 스위치(32)를 통해 전송 수단(22)와 수신 수단(26)에 접속되어 있다. 전송 수단(22)는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a base-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chanism, 30)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 수단(26)은 스위치(34)와 스위치(36)을 통해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an adaptive equalizing mechanism, 24)에 직접 접속되어 있거나 또는 수신 수단(26)은 스위치(34)와 적응형 필터인 트랜스버설 필터(28)과 스위치(36)을 통해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적응형 평활화 수단)(24)에 접속되어 있다.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24)는 제어 수단인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에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은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24)와 트랜스버설 필터(28)과 스위치(32, 34, 36)에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라인들(이들 중 몇 개는 도시안됨)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동국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안테나(40)은 스위치(50)을 통해 전송 수단(42)와 수신 수단(46)에 접속되어 있다. 전송 수단(42)는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44)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 수단(46)은 스위치(52)와 스위치(54)를 통해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44)에 직접 접속되어 있거나 또는 수신 수단(46)은 스위치(52)와 트랜스버설 필터(48)과 스위치(54)를 통해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44)에 접속되어 있다.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44)는 적응형 필터인 트랜스버설 필터(48)과 스위치(50, 52, 54)에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라인들(이들 중 몇 개는 도시안됨)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제부터, 상기한 이동국과 기지국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이동국이 통신을 시작하려고 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과 도 2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기지국 BS에서는,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이 도 3에서의 정보 슬롯 I1에 대한 데이터를 발생하여 이를 전송 수단(22)에 출력한다. 전송 수단(22)는 정보 슬롯 I1을 변조하여 이를 안테나(20)에서 방송하게 된다. 그러나, 탭 이득이 설정되지 않은 이동국도 이 정보 슬롯을 수신하기 때문에, 무선 전파 조건의 영향을 받도록 저 전송 속도(a low transmission speed)로 보내어진다. 이 저속은 단위 시간내에 적은 양의 정보를 의미한다. 기지국 통신 메카니즘(30)은 또한 이러한 속도를 제어한다.
통신을 시작하려고 하는 이동국 MS#1에서,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44)는 정보 슬롯 I1을 수신하기 위해 스위치(50)의 단자 c를 단자 b에 접속시키고, 수신 수단(46)은 수신된 신호를 복조한다. 이동국 통신 메카니즘(44)는 그 다음에 스위치(52, 54)의 단자 c를 단자 a에 각각 접속시켜 정보 슬롯 I1을 수신한다(단계 1). 정보 슬롯의 내용은 배경 기술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44)는 비어있는 통신 슬롯(여기서는 슬롯 #0)를 찾아서 통신 슬롯 할당 요청을 발생하고 이를 전송 수단(42)로 출력한다. 전송 수단(42)는 통신 슬롯 할당 요청을 변조하여 이를 안테나(40)을 통해 비어있는 통신 슬롯 #0 시기에 이를 출력한다(단계 2). (자연적으로 스위치(50)의 단자 c는 단자 a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슬롯 할당 요청은 또한 저 전송 속도로 전송되는데 그 이유는 기지국에서 트랜스버설 필터의 탭 이득이 설정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이 전송 슬롯 시퀀스(transmitting slot sequence) TS의 시기가 언제인지와 수신 슬롯 시퀀스(receiving slot sequence) RS의 시기가 언제인지를 알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정보 슬롯 I1이 출력되는 시기에 메카니즘(30)은 그 시기에 따라 스위치(32)를 스위칭한다. 수신 슬롯 시퀀스 RS 시기에, 스위치(32)의 단자 c는 단자 b에 접속된다. 이동국 MS#1이 전송한 슬롯 할당 요청은 그 다음에 수신 수단(26)에서 복조되어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에 공급된다. 즉, 이동국 MS#1이 보낸 슬롯 #0에 대해서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은 스위치(34, 36)의 단자 c를 단자 a에 접속시키고,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24)는 통신 슬롯 할당 요청에 관해서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다. 통신 슬롯 할당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은 그것이 이동국 MS#1으로부터의 통신 슬롯 할당 요청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신 내용을 분석한다. 기지국이 통신 슬롯 할당 요청에 대해 응답하는 경우에는, 이동국 MS#1에 통신 슬롯(여기서는 슬롯 #0)을 할당하고 이 할당을 포함하는 정보 슬롯 I2를 발생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안테나(20)에서 슬롯 I2를 방송한다(단계 3).
이동국 MS#1은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정보 슬롯 I2를 수신하여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44)에서 그 내용을 분석한다. 통신 슬롯의 할당이 이동국 MS#1에 대해 행해진 경우에는,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44)는 전송 수단(42)에 이동국과 기지국이 공유하는 선정된 트레이닝 시퀀스를 출력한다. 출력된 트레이닝 시퀀스는 전송 수단(42)에서 변조되어 통신 슬롯이 할당된 기지국의 수신 슬롯 시퀀스 RS에서 슬롯 #0의 기간 동안에 안테나(40)으로부터 방송된다(단계 4). 이 트레이닝 시퀀스는 기지국내의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24)에서 탭 이득을 계산하는데 사용되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따라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속 데이터 통신은 이 트레이닝(training)이 행해진 후에 수행되기 때문에, 트레이닝 시퀀스는 이 데이터 통신과 동일한 속도로 출력되어야만 한다.
기지국에서의 통신 슬롯 할당이 행해진 이후 그 슬롯의 시기 동안에,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은 스위치(32)의 단자 c를 단자 b에 접속시키고, 스위치(34, 36)의 단자 c는 단자 b에 접속시킨다. 또한,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은 트랜스버설 필터(28)과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24)에 안테나(20)과 스위치(32, 34)와 수신 수단(26)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시작하도록 지시한다. 즉,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24)는 다중 경로 전파에 의한 왜곡을 받은 이동국 MS#1으로부터의 트레이닝 시퀀스를 미리 그곳에 보유되어 있는 트레이닝 시퀀스와 비교하여 탭 이득이 최적이 되도록 탭 이득을 조정한다. 탭 이득이 최적이 되면,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24)의 동작이 종료되고, 트랜스버설 필터(28)에 설정된 탭 이득이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에 보내지게 된다.
이 계산된 탭 이득을 이동국 MS#1에 보내는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은 이동국 MS#1에 대해 통신 슬롯 할당이 행해진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정보 슬롯 I3를 발생한다. 정보 슬롯 I3는 그 다음에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안테나(20)으로부터 방송된다(단계 5). 정보 슬롯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저 전송 속도로 보내진다.
정보 슬롯 I3를 수신한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44)는 전송 슬롯 시퀀스의 통신 슬롯 #0에서 탭 이득을 수신할 준비를 한다. 수신 시기의 동작(the operation of the reception time)은 정보 슬롯의 수신과 동일하다. 그리고, 탭 이득을 포함하고 있는 신호는 전송 슬롯 시퀀스의 통신 슬롯 #0에서 수신된다(단계 6). 탭 이득을 수신한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44)는 이동국내의 트랜스버설 필터(48)의 가변 이득 증폭기(3, 도 6)에 탭 이득을 설정한다.
트랜스버설 필터(48)에 탭 이득이 설정된 후에, 기지국과 이동국 MS#1과의 통신은 고속으로 행해질 수 있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고속 데이터가 보내어졌을 때에도, 다중 경로 전파에 의한 왜곡이 이동국측의 트랜스버설 필터(48)로 제거될 수 있으며, 이동국으로부터 고속 데이터가 보내어졌을 때에도, 전송 경로에서의 왜곡이 기지국측의 트랜스버설 필터(28)로 제거될 수 있다. 정확히 말하면, 기지국에서는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은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 데이터가 탭 이득이 설정된 트랜스버설 필터(28)를 통과할 수 있도록 스위치(34, 36)의 단자 c를 단자 b에 접속시킨다. 이동국에서는 이동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44)는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 데이터가 탭 이득이 설정된 트랜스버설 필터(48)을 통과할 수 있도록 스위치(52, 54)의 단자 c를 단자 b에 접속시킨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도 4 참조):
1. 통신을 시작하려고 하는 이동국은 통신 슬롯 할당 요청을 기지국에 트랜스버설 필터가 필요없을 정도로 느린 전송 속도로 보낸다(단계 501).
2. 기지국은 이 이동국에 통신 슬롯을 할당하고 이 통신 슬롯 할당에 관한 정보를 이동국에 트랜스버설 필터가 필요없을 정도로 느린 전송 속도로 보낸다(단계 503).
3. 이동국은 할당된 통신 슬롯으로 기지국에 트레이닝 시퀀스를 고속으로 보낸다(단계 505).
4. 기지국은 그곳에 보유되어 있는 트레이닝 시퀀스와 실제로 수신된 신호로부터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에 의해 트랜스버설 필터의 최적 탭 이득을 계산한다(단계 507).
5. 기지국은 최적 탭 이득을 이동국에 트랜스버설 필터가 필요없을 정도로 느린 전송 속도로 보낸다(단계 509).
6. 이동국은 트랜스버설 필터에 기지국으로부터 보내온 탭 이득을 설정한다(단계 511).
7. 이동국과 기지국간에 고속 통신이 시작된다(단계 513).
복수의 이동국과 통신하는 경우에는, 각 이동국에서의 전파 특성(propagation characteristic)이 서로 다르며, 따라서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은 기지국에서의 수신 슬롯 시퀀스의 슬롯들에 각각 대응하는 탭 이득을 설정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기지국 통신 제어 메카니즘(30)은 각 슬롯의 탭 이득을 저장하기 위한 부분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는, 기지국이 이동국 MS#2와 통신을 시작하려고 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기지국 BS가 통신을 시작하려고 할 때에는, 기지국은 이동국 MS#2에 정보 슬롯 I1을 사용하여 통신 슬롯 할당(슬롯 #2)을 알려주게 된다(단계 10). 이동국 MS#2이 이 정보 슬롯 I1을 수신할 수 있을 때에는, 이동국은 트레이닝 시퀀스를 기지국에서의 수신 슬롯 시퀀스의 할당된 통신 슬롯 #2로 다음의 데이터가 보내지는 속도로(at a speed at which following data is sent) 보낸다(단계 11). 기지국의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24)는 이 트레이닝 시퀀스로부터 트랜스버설 필터의 최적 탭 이득을 계산한다.
그 다음 사이클의 정보 슬롯 I2에서, 통신 슬롯 할당이 변경되지는 않는다(단계 12). 그리고, 계산된 탭 이득은 기지국에서의 전송 슬롯 시퀀스의 통신 슬롯 #2로 무선 전파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속도로(at a speed at which it is not influenced by the radio propagation conditions) 보내진다(단계 13). 이동국 MS#2는 이들 탭 이득을 수신하여 이들을 트랜스버설 필터(48)에 설정한다. 설정한 후에는 고속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이동국은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을 구비하지 않고 기지국과 고속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단지 일례에 불과하며, 따라서 예를 들면 통신 슬롯은 수신 슬롯과 전송 슬롯에 대해 별도로 할당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전송 슬롯 시퀀스와 수신 슬롯 시퀀스의 슬롯의 수가 3개였지만, 임의의 개수일 수 있다. 게다가, 발명의 배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슬롯 할당 요청을 위한 통신 슬롯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반송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때에는, 이동국은 통신 슬롯을 갑자기 요청하기 위한 신호없이도 트레이닝 시퀀스를 보낼 수 있다. 그러나, 발명의 배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반송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트레이닝 시퀀스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주파수와 다른 반송 주파수를 이동국에 할당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국이 트레이닝 시퀀스를 갑자기 보내는 무의미한 경우가 있게 된다.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반송 주파수(즉, 트레이닝 시퀀스)가 통신 슬롯의 할당을 위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이동국은 트레이닝 시퀀스를 갑자기 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국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이동국에서의 필요한 자원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동국측의 적응형 평활화 메카니즘을 없앰으로써 이동국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전력 소모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31)

  1. 무선 신호(radio signals)를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base radio station)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이동국(mobile radio station)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제1 데이터 속도(a first data rate)와 제2 데이터 속도(a second data rate)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상기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보다 높음-,
    B) 상기 기지국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C)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해 신호 보상(signal compensation)을 수행하기 위한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
    D)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된 파라메타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응형 필터에 대해 신호 보상 파라메타(signal compensation parameter)를 설정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로 수신되며 상기 파라메타가 설정된 후에 상기 적응형 필터에 의해 보상된 신호를 상기 무선 이동국이 처리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무선 이동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송 수단에 통신 슬롯(communication slot)의 할당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무선 이동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송 수단에 상기 적응형 필터의 상기 파라메타의 계산을 위한 선정된 트레이닝 시퀀스(training sequence)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무선 이동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은 통신 슬롯의 할당을 위한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실행되는 무선 이동국.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의 데이터 속도이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송 수단에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를 전송한 후에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무선 이동국.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는 무선 전파 조건(radio propagation conditions)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속도인 무선 이동국.
  7. 무선 신호(radio signals)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이동국(mobile radio station)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base radio station)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제1 데이터 속도(a first data rate)와 제2 데이터 속도(a second data rate)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상기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보다 높음-,
    B)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C)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무선 이동국으로부터의 상기 제2 데이터 속도의 신호에 대해 신호 보상(signal compensation)을 수행하기 위한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
    D) 상기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무선 이동국에 대해 최적화시키고, 상기 적응형 필터에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설정하기 위한 적응형 평활화 수단(adaptive equalizing means),
    E) 상기 적응형 평활화 수단에 의해 상기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최적화한 후에 상기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갖는 신호를 상기 대응하는 무선 이동국에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 수단에 지시하고, 상기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갖는 상기 신호를 전송한 후에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로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도록 상기 전송 및 수신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무선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평활화 수단은 상기 무선 이동국으로부터 선정된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무선 기지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이동국에 통신 슬롯을 할당하고 이 할당을 위한 신호를 상기 무선 이동국에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 수단에 지시하는 무선 기지국.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적응형 평활화 수단에 의해 상기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상기 적응형 필터에 설정한 후에 상기 적응형 필터에 의해 보상된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이 처리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는 무선 전파 조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속도이고,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의 속도인 무선 기지국.
  12.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며 무선 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 간에 데이터의 통신이 수행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radio communication system)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동국은,
    A-1)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제1 데이터 속도(a first data rate)와 제2 데이터 속도(a second data rate)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상기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보다 높음-,
    A-2) 상기 무선 기지국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A-3)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로 수신된 신호에 대해 신호 보상(signal compensation)을 수행하기 위한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
    A-4)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된 파라메타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응형 필터에 파라메타를 설정하고, 상기 파라메타가 설정된 후에 상기 적응형 필터에 의해 보상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제2 데이터 속도의 신호를 상기 무선 이동국이 처리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B-1)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제1 데이터 속도(a first data rate)와 제2 데이터 속도(a second data rate)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B-2)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B-3)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무선 이동국으로부터의 상기 제2 데이터 속도의 신호에 대해 신호 보상(signal compensation)을 수행하기 위한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
    B-4) 상기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무선 이동국에 대해 최적화시키고,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상기 적응형 필터에 설정하기 위한 적응형 평활화 수단(adaptive equalizing means),
    B-5) 상기 적응형 평활화 수단에 의해 상기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최적화한 후에 상기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위한 신호를 상기 대응하는 무선 이동국에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 수단에 지시하고, 상기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갖는 상기 신호를 전송한 후에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로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도록 상기 전송 및 수신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동국의 상기 제어 수단은 통신 슬롯의 할당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이동국의 상기 전송 수단에 지시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이동국에 통신 슬롯을 할당하고 이 할당을 위한 신호를 상기 무선 이동국에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기지국의 상기 전송 수단에 지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동국의 상기 제어 수단은 선정된 트레이닝 시퀀스(training sequence)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이동국의 상기 전송 수단에 지시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상기 적응형 평활화 수단은 상기 무선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는 무선 전파 조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속도이고,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의 속도인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1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이동국(at least one mobile radio station)과, 제2 적응형 필터와 상기 제2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무선 이동국에 대해 최적화시키기 위한 적응형 평활화 수단(adaptive equalizing means)을 갖는 무선 기지국(base radio station)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radio communication system)에서 통신하는-상기 무선 이동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 간의 데이터 통신은 무선 신호(radio signal)에 의해 수행됨-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기지국의 상기 적응형 평활화 수단으로써 상기 제2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무선 이동국에 대해 최적화시키는 단계,
    B) 상기 적응형 평활화 수단에 의해 최적화된 상기 파라메타를 갖는 신호를상기 무선 기지국으로써 제1 데이터 속도로 상기 무선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파라메타를 갖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이동국으로써 상기 파라메타를 상기 제1 적응형 필터에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전송 단계 후에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써 제2 데이타 속도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보다 높음-,
    E) 상기 설정 단계 후에 상기 제1 적응형 필터에 의해 보상된 신호를 상기 무선 이동국으로써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F) 통신 슬롯의 할당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이동국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써 상기 무선 이동국에 상기 통신 슬롯을 할당하고, 이 할당을 위한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이동국으로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H) 선정된 트레이닝 시퀀스를 상기 무선 이동국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적화 단계는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할당을 위한 상기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통신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는 무선 전파 조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속도인 통신 방법.
  21. 무선 기지국과 통신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보상하기 위한 적응형 필터를 갖는 무선 이동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갖는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제1 데이터 속도로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파라메타를 상기 적응형 필터에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파라메타가 설정된 후 제2 데이터 속도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적응형 필터에 의해 보상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상기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보다 높음-
    를 포함하는 무선 이동국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D) 통신 슬롯의 할당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이동국 제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E) 상기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계산하기 위한 선정된 트레이닝 시퀀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이동국 제어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통신 슬롯의 할당을 위한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무선 이동국 제어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의 속도이고, 필요한 경우, 상기 무선 이동국은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를 전송한 후에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로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이동국 제어 방법.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는 무선 전파 조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속도인 무선 이동국 제어 방법.
  27.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이동국과 통신하고,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보상하기 위한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와 상기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무선 이동국에 대해 최적화시켜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상기 적응형 필터에 설정하기 위한 적응형 평활화 수단(adaptive equalizing means)을 갖는 무선 기지국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적응형 평활화 수단으로써 상기 적응형 필터의 파라메타를 최적화하는 단계,
    B) 상기 적응형 평활화 수단에 의해 최적화된 파라메타를 상기 적응형 필터에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파라메타를 갖는 신호를 대응하는 이동국에 제1 데이터 속도(at a first data rate)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파라메타를 갖는 상기 신호를 전송한 후에 제2 데이터 속도(at a second data rate)로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보다 높음-
    를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제어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단계는 선정된 트레이닝 시퀀스(a predetermined training sequence)를 상기 무선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무선 기지국 제어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E) 상기 무선 이동국에 통신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
    F) 상기 통신 슬롯의 할당을 위한 신호를 상기 무선 이동국에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제어 방법.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 상기 설정 단계 후에 상기 적응형 필터에 의해 보상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제어 방법.
  31.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속도는 무선 전파 조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속도이고,
    상기 제2 데이터 속도는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의 속도인 무선 기지국 제어 방법.
KR1019970704201A 1995-01-24 1995-10-12 무선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228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2795 1995-01-24
JP95-008727 1995-01-24
PCT/JP1995/002116 WO1996023362A1 (fr) 1995-01-24 1995-10-12 Systeme de communication radio comprenant un poste radio mobile et un poste radio de b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8972B1 true KR100228972B1 (ko) 1999-11-01

Family

ID=1170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201A KR100228972B1 (ko) 1995-01-24 1995-10-12 무선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793802A (ko)
KR (1) KR100228972B1 (ko)
CN (1) CN1096758C (ko)
AU (1) AU3673995A (ko)
CA (1) CA2206318A1 (ko)
HK (1) HK1006246A1 (ko)
HU (1) HU218533B (ko)
PL (1) PL321063A1 (ko)
TW (1) TW282601B (ko)
WO (1) WO1996023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3065B1 (en) 1998-10-30 2006-09-05 Broadcom Corporation Data packet fragmentation in a cable modem system
BR0011085A (pt) * 1999-05-31 2002-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elho e método para transmissão por portal em sistema de comunicação cdma
KR100383618B1 (ko) 2000-06-21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데이터율 제어 채널 단속적 전송 장치 및 방법
US7099384B1 (en) 2000-09-01 2006-08-29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division power assign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029629B2 (ja) * 2001-03-27 2008-0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通信機器、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158502B2 (en) * 2001-06-14 2007-01-02 Motorola, Inc. Slot cycle assignment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05810B1 (ko) * 2003-12-20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방법
GB0407341D0 (en) * 2004-03-31 2004-05-05 British Telecomm A communication system
US7684372B2 (en) 2004-05-04 2010-03-23 Ipwireless, Inc. Signaling MIMO allocations
US20080037411A1 (en) * 2004-05-14 2008-02-14 Nokia Corporation Variable filtering for radio evolu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8407A (en) * 1975-07-23 1976-08-31 Codex Corporation Fast start-up adaptive equalizer communication system using two data transmission rates
JPS63279623A (ja) * 1987-05-11 1988-11-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同一周波チャネル双方向無線伝送方式
JP2517003B2 (ja) * 1987-10-05 1996-07-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制御信号送受信方法
JPH0394525A (ja) * 1989-09-06 1991-04-19 Nec Corp 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5212803A (en) * 1990-09-06 1993-05-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for reducing equalizer usage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US5450442A (en) * 1990-11-02 1995-09-12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radio telephone apparatus having an equalizer selectively employed in the apparatus
JPH04207636A (ja) * 1990-11-30 1992-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伝送装置
US5231648A (en) * 1991-03-21 1993-07-27 Northern Telecom Limited Adaptive equalizer for digital cellular radio
JPH05235792A (ja) * 1992-02-18 1993-09-10 Fujitsu Ltd 適応等化器
FI92357C (fi) * 1992-10-12 1994-10-25 Nokia Mobile Phones Ltd Kanavakorjain kaksisuuntaise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21063A1 (en) 1997-11-24
HU218533B (hu) 2000-10-28
HK1006246A1 (en) 1999-02-19
WO1996023362A1 (fr) 1996-08-01
US5793802A (en) 1998-08-11
HUT77232A (hu) 1998-03-02
CN1173247A (zh) 1998-02-11
AU3673995A (en) 1996-08-14
TW282601B (ko) 1996-08-01
CN1096758C (zh) 2002-12-18
CA2206318A1 (en) 199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0762A (en) Frame structure having non-symmetrical slot assig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JP2520115B2 (ja) バ−ストモ−ド両方向無線通信方式
US6198928B1 (en) Handover method, and a cellular radio system
EP1185120A1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handover control method
US20060194542A1 (en) Radio terminal apparatus and reception operation control program thereof
GB2298338A (en) Optimising communications channel parameters
US20080051148A1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terminal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ption operation control program
US20060286945A1 (en) Inter-frequency handover for multiple antenn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EP2175572A2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228972B1 (ko) 무선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CA2272423C (en)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its open loop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0593186B1 (en) Channel equaliser for a telecommunication system
AU42915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s
JP2003134035A (ja) 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US9008596B2 (en) Method for regula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transmitting station, and transmitting station
JP2788788B2 (ja) 無線移動局と無線基地を含む無線通信システム
JPH0722670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1020594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H0728378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3117063B2 (ja) 移動通信方法
WO2001024403A1 (fr) Terminal de communication et procede de radiocommunication
WO2002019567A1 (fr) Station radio de base, procede de commande de directivite destine a une station radio de base, et programme
JPH0865222A (ja) 同一周波数チャネル時分割双方向伝送方式
JPH0226132A (ja) 移動無線通信装置
JPH03293825A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