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627B1 - 전자동 탈수 세탁기 - Google Patents

전자동 탈수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627B1
KR100228627B1 KR1019960034363A KR19960034363A KR100228627B1 KR 100228627 B1 KR100228627 B1 KR 100228627B1 KR 1019960034363 A KR1019960034363 A KR 1019960034363A KR 19960034363 A KR19960034363 A KR 19960034363A KR 100228627 B1 KR100228627 B1 KR 100228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dewatering
attachment plate
dewater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133A (ko
Inventor
미찌아끼 이다
미찌유끼 다까기
기하찌로오 다나까
슈지 아이따
다모쯔 시까모리
히로시 오오스기
도시야스 가마노
유즈루 미야노
이사오 히야마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1090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569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8836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4099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7001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겸 탈수조(5)는 스테인레스 강판제로 하고, 내경은 외부 프레임(1)의 크기에 대해 83이상으로 하고, 세탁겸 탈수조(5) 저부에 유체 평형기(32)를 설치하고, 탈수기의 세탁겸 탈수조(5)의 회전수를 900r/min1100r/min의 범위로 설정하고, 설치시의 수평 설치를 확실히 하기 위해 수준기를 구비하고, 본체 용적에 대한 세탁겸 탈수조(5)의 유효 용적의 비율을 20

Description

전자동 탈수 세탁기
본 발명은 전자동 탈수 세탁기의 콤팩트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 전달계를 지지하는 부착판을 강화하여 세탁 용량에 대해 세탁기 본체 용적을 저감하는 콤팩트 전자동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표준 용량 전자동 탈수 세탁기는, 세탁 용량이 6.0(JIS 표준 시험포)이고, 세탁기 본체의 외부 프레임 크기는 폭깊이가 560560 580580이며, 조작부 높이(세탁조 내의 의류에 접근하는 경우, 초과할 필요가 있는 본체 높이)는 860890의 범위에 있고, 또 세탁겸 탈수조의 유효 용적(회전 날개의 부분을 제외하고, 높이 방향은 정격 용량 시의 정격 수위)은 4451 L의 범위에 있다. 여기서, 상기의 폭, 깊이, 조작부 높이를 곱한 전체 용적에 대한 세탁겸 탈수조의 유효 용적이 점유하는 비율(용적비)은 14.719.1로 되어 있다.
또, 표준 용량보다 큰 대용량의 전자동 세탁기는, 7의 경우, 세탁기 본체는 외부 프레임 크기가 폭 600602(실질로는 580), 깊이가 600580, 조작부 높이가 906960의 치수이며, 세탁에 기여하고 있는 유효 용적(회전 날개의 체적은 제외함)은 6660.5 L이고, 본체 용적에 점유하는 유효 용적의 용적비는 19.119.9로 되어 있다. 또, .8이상의 세탁 용량의 것에서는 외부 프레임 크기가 폭깊이 640640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 시대의 흐름으로서,더러워진 다음에 씻는다고 하는 시대에서입고 난 다음에 씻는다고 하는 시대로 되어, 세탁기의 용량은 증대되는 경향에 있고, 대형 물품 빨래 등의 필요에 맞추어 점점 대용량화의 경향에 있다.
한편, 현재의 일반적인 전자동 탈수 세탁기엣는 동력 전달계를 외조(外槽)에 고정하는 부착판을 판금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가공성형하고 있다. 이때, 이 부착판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53-72781호 공보의 제1도에도 있는 것처럼 길이 방향 치수에 대해 그 횡방향 치수가 상당히 작은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클러치나 모터가 설치되어 있었다.
게다가, 일본국 특허 공개 평6-210097호 공보에서는 장방형의 부착판에 있어서의 강성의 이방성에 착안하고 있다. 이 부착판은 절곡에 의한 각부가 길이 방향 전체에 뻗어있는 절곡부를 갖고 있으며, 그 결과, 길이 방향 강성에 대해 그 횡방향(직교 방향)의 강성이 낮아져, 이방성을 갖고 있다.
그래서, 상기 공보의 탈수 세탁기에서는 장방형의 별도 부재를 사용하여, 횡방향의 강성을 보강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즉, 별도 부재의 길이 방향 부착판의 상기 횡방향에 따르도록 조합해줌으로써 주착판의 횡방향 강성을 보강하고 있다.
종래, 수하 방진 지지(垂下 防振 支持)의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는,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조 저부에 구동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판(4')은 세탁겸 탈수조(5')를 내포하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외조(14')의 저부에 배치되어 있고, 외조 저부에 있는 리브나 보스 등에 나사 등으로 체결되어 있다.
또 , 부착판(4')은 세탁겸 탈수조(5')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13')를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부착판(4')에는 세탁겸 탈수용 모터(15')와 클러치 기구부(16')가 고정된다. 세탁겸 탈수용 모터(15')의 출력축(15a')에는 구동 풀리(17a)가 고정되어 있으며, 클러치 기구부(16')의 입력축(16a')에는 종동 풀리(18')가 고정되고, 양 풀리(17',18')는 전달 벨트(19')에 의해 연결된다. 클러치 기구부(16')는 그 내부에 세탁 구동과 탈수 구동을 절환하는 클러치나 감속 기구를 구비하고, 그 이중 출력축(16b')은 부착판(4') 및 외조(14')를 관통하여 외조(14')내로 돌출하고, 외측 축에는 세탁겸 탈수조(5')가 결합되고, 내측 축에는 회전 날개(7')가 결합되어 있다.
제24도는 제23도의 저부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판(4')은 외조(14')의 중앙을 횡방향으로 횡단하는 바와 같은 대략 장방 형상이고, 부착판(4')의 외주부를 나사로 외조(14')와 체결하고 있다.
세탁겸 탈수조(5')가 구동 장치(13')에 의해 구동될 때에 발생하는 진동은 클러치 기구부(16')를 거쳐 부착판(4')으로부터 외조(14')의 저부로 전달되는 것과, 부착판(4')으로부터 현수봉(2')을 거쳐 외부 프레임(1')에 전달되는 것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소음이 발생한다.
또, 이와 같이 이방성을 갖고 있는 구조의 경우에는 외조 저부에 있어서의 부착판(4')이 배치되는 방향의 강성과 그 수직 방향으로의 강성에 커다란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외조 저부에서 강성의 평형을 맞추기가 어려운 상태이며, 따라서 진동이 발생하면, 외조(14')의 진동 회전을 증대시키는 원인으로도 되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가정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설치 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며, 세탁기에 맞추어 설치 공간을 크게 취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또, 최근의 집합 주택에서는 세탁기의 물 누설, 결로 등에 의한 마루면의 보호를 위해 방수 팬을 설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외부 프레임 크기가 540540를 초과하면, 방수 팬에 따라서는 설치할 수 없는 것도 있기 때문에, 외부 프레임 하부에 플라스틱제의 기부를 장착하고, 방수 팬에 수납되는 부분의 크기를 540이하로 하는 노력이 행해지고 있으나, 외부 프레임 크기에 대해 다리부를 갖는 기부 부분이 작게 되기 때문에 안전성이나 의장성에 문제가 있었다.
한편, 세탁겸 탈수조의 유효 용적을 줄이고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것도 생각 될 수 있으나, 세탁물 움직임의 저하에 의한 세정 성능의 저하, 세탁 얼룩의 증대등, 기본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용돌이식 전자동 세탁기의 경우, 욕비(溶比; 세탁물 1를 씻는데 필요한 물)는 8 L/이상 확보해 둘 필요가 있다(표준 용량 6에서는 48 L, 7에서는 56 L).
또, 필요 용량을 확보하여 콤팩트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의 부착판에 있어서의 강성의 이방성을 해결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제13도를 이용하여 이 강성의 이방성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서는 부착판(4')이 절곡 등의 작용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높은 강성을 갖고, 그 횡방향으로 낮은 강성을 갖고 있다.
이때, 내용물에 불균형이 있는 상태에서 클러치 기구(16)의 축을 거쳐 부착판(4')에 지지되는 세탁겸 탈수조가 회전하면, 이 세탁겸 탈수조는 부착판의 길이 방향 단축을 갖고 횡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 궤적을 그리며 진동 회전한다.
또, 이에 수반하여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도 타원 궤적의 진동 회전 진동 궤적을 그린다.
특히, 장래를 향한 세탁 용량의 대용량화는 이 부착판 강성의 이방성에 의한 진동 회전의 문제를 심각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대용량화는 이 진동 회전을 증대시킬 가능성이 크고, 부착판의 강성을 높게 하지 않으면 아니되지만, 종래의 부착판이나 이것을 보강하는 별도 부재를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없거나, 부착판 및 보강 부재의 대형화나 중량의 증대를 초래한다.
게다가, 부착판에는 클러치나 모터 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반드시 보강 부재를 적절히 설치할수 있다고는 장담할 수가 없다.
만약, 타원 궤적을 그리는 진동 회전이 커지고, 또한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원 궤적의 단축이 언밸런스 스위치(31)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진동 회전하면, 언밸런스 스위치(31)가 작동하지 않고 진동 과다인 채로 회전을 계속한다고 하는 가능성도 있다.
또, 세탁겸 탈수조에 평형 링(6')을 구비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서는 세탁겸 탈수조가 부착판의 강성의 이방성에 의해 타원 궤적을 그리며 진동 회전할 때, 평형 링(6') 내의 작동 유체가 세탁겸 탈수조 내의 내용물의 치우침에 의한 불균형과 평형을 이룬 상태로부터 더욱 이동해 버린다. 이때, 이 이동량은 타원 궤적의 장축과 단축 방향에서 상이하다.
이 상태를 제14도에 도시한다. 평형 링(6')에 있어서는, 작동 유체는 원심력에 의해 항상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자유 표면을 형성한다.
제14도에 있어서, 세탁겸 탈수조 또는 세탁겸 탈수조의 중심이 타원 궤적의 장축 방향 점 a에 있을 때, 회전 중심은 내조(內槽) 중심으로부터 더욱 외측으로 이동하고, 작동 유체는 불균형과는 세탁겸 탈수조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으로 더욱 이동한다.
한편, 세탁겸 탈수조 또는 세탁겸 탈수조의 중심이 타원 궤적의 단축 방향 점 b에 있을 때, 회전 중심의 세탁겸 탈수조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의 이동량은 장축 방향 점 a에 있을 때보다 작으므로 작아진다. 이 때문에, 작동 유체의 불균형과 세탁겸 탈수조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작동 유체의 양도 적어진다.
따라서, 세탁겸 탈수조가 부착판의 강성의 이방성에 의해 타원 궤적을 그리며 진동 회전함으로써, 평형 링(6')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또, 외조에 체결된 상태에서 강성의 대칭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외조 저부는 부착판의 비대칭성을 보충하는 강성을 갖는 형상이 필요하게 되고, 이 형상의 설계 제작에는 상당한 수고를 필요로 한다.
게다가, 부착판과 외조의 체결이 외조의 일부에 한정되어 행해지는 것에 의해서도 부착판 또는 외조 저면의 강성에 이방성이 생기고, 상술한 바와 같은 진동회전 진동 궤적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 외조는 한쪽의 단부면이 밀폐되어 저부로 되는 통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때, 부착판과 외조의 체결이 저면의 중앙 부근(진동 모드 상의 볼록한 위치 부근)에서 행해지면, 진동원인 클러치, 모터 등의 동력 전달계의 진동이 부착판을 거쳐 외조의 저부에 전달되고, 외조 저부를 가진(加振)한다. 그 결과,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조는 그 형상과 어울려 스피커적 역할을 하고, 소음원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의 다른 과제로서, 대략 장방 형상이고 또한 외조 저부의 일부만을 덮는 바와 같은 형상의 강판제 부착판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강판제의 부착판과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제의 외조에서는 재료가 갖는 강성도 다르기 때문에, 외조 저부의 부착판으로 덮여지지 않는 부분에서의 형상이나, 리브 등을 설치함으로써 강성의 이방향성을 작게 하도록 하고 있었다. 또, 대략 장방 형상의 강판제의 부착판에 있어서는 프레스에 의한 성형 가공성 등의 문제에 의해 요철이 적은 단순한 면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없었던 것을 들 수가 있다.
또, 부착판의 형상을 대략 사각 형상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는, 외부 프레임의 상부 네모서리로부터 현수되는 현수봉을 지지하기 위한 현수 부재가 일체가 아닌 별도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수 부재와 부착판을 나사 등에 의해 체결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진다든지, 현수 부재를 일체로 갖고 있는 것이라도 강도 부족 등의 문제가 있고, 현수 부재의 위치는 부착판의 일 반면과 동일 높이밖에 없고, 그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 유효 용적을 지키면서 콤팩트화를 달성하고, 설치성과 사용 상황이 좋은 전자동 탈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축에 수직인 면 내에서 이축에 대칭인 강성을 갖는 부착판을 경량화한 구조에 있어서 실현하고, 세탁 용량의 대형화나 그에 따른 세탁겸 탈수조의 대직경화에 의해 부착판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형 링을 구비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 부착판을 그 강성에 이방성이 없는 구조로 함으로써, 이 이방성에 기초해서 생기는 타원 궤적을 그리는 내조의 진동 회전을 저감하고, 평형 링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 및 탈수 운전 시에 외조의 쓰러짐이 적고, 현수 부재를 일체로 형성한 고강성의 부착판을 갖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지제의 외조와 콘덴서, 모터 등의 충전부를 부착판에 의해 차단하는 구조에 의해, 안전성이 높은 전자동 탈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세탁기의 저부로부터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세탁겸 탈수조의 종단면도.
제4(a)도는 세탁기의 사시도.
제4(b)도는 세탁기의 횡단면도.
제5도는 탈수 시의 외조의 진동 회전 특성도.
제6도는 회전 날개의 직경을 크게 함에 따른 진동 회전 저감 효과도.
제7도는 탈수 기동 시의 진동 회전 저감 효과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착판을 구비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의 종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세탁기의 저부로부터의 사시도.
제10도는 제8도의 부착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사용되는 부착판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사용되는 부착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3도는 종래의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사용되는 부착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4도는 진동 회전 궤적과 유체 평형기의 작동 유체 단면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
제15도는 타원의 진동 회전 궤적과 언밸런스 스위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외조의 스피커적 역할을 설명하는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부착판을 구비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의 저부로부터의 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의 부착판 부착부의 종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부착판의 평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a-a 단면도.
제21도는 제19도의 b-b 단면도.
제22도는 제19도의 c-c 단면도.
제23도는 종래의 수하 방진 지지의 전자동 탈수 세탁기의 종단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세탁기의 저부로부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프레임 2 : 현수봉
3 : 방진 스프링 4 : 외조
5 : 세탁겸 탈수조 6 : 평형 링
7 : 회전 날개 10 : 구동 장치
11 : 부착판 11a : 현수 부재
15 : 세탁겸 탈수용 모터 16 : 클러치 기구
17 : 전달 기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세탁겸 탈수조의 유효 용적은 세정 성능, 세탁 얼룩, 천 손상 등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욕비는 8 L/이상을 확보하는 동시에, 용적비를 20이상으로 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이하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세탁겸 탈수조는 두께가 얇고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는 스테인레스 강판제로 하고, 내경은 외부 프레임 크기에 대해 83이상으로 하여 대직경화 한다.
또, 탈수 시의 외조의 공진 진동을 저감하고, 외부 프레임과 외조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세탁시에 발생하는 의류의 언밸런스 량을 최소로 억제하기 때문에, 평형 교반 효과를 최적화 한다.
방진 지지부의 감쇄량 상승, 스프링 정수 저감, 탈수 기동 가속 특성을 높이는 동시에 세탁겸 탈수조 저부에 유체 평형기를 설치한다.
탈수 회전수는 1100r/min 이하로 설정한다.
설치 시의 수평 설치를 확실히 하기 위해 수준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필요 유효 용적을 지키면서 콤팩트화를 달성하고, 설치성과 사용 상황이 좋은 전자동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 시의 3개의 공진 진동 중, 발생 언밸런스 량 저감과 구조적인 진동 억제에 의해 일차, 이차 공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탈수 회전수를 1100r/min으로 해줌으로써, 삼차의 공진 진동을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하부 평형기를 설치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진동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수준기를 설치함으로써, 이상하게 기울어진 설치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목적은, 내부 기구부의 구성은 저부 중앙에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원형 형상으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부착판의 형상이 대략 원형이라 함은 상면 또는 하면에서 본 외형이 대략 원형을 하고 있으면 된다.
이때, 상기 부착판은 직선 부분을 포함한 대략 원형 형상이라도 좋다.
또, 상기 부착판이 직선에 의해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 예를 들어 대략 육각 형상, 대략 팔각 형상, 또는 그 이상의 각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때, 대략 육각 형상, 대략 팔각 형상이라 함은 엄밀한 각각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부에 둥근 부분을 갖고 있다던지, 절결부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 상기의 목적은 저부 중앙에 회전 날개를 갖는 세탁겸 탈수조와, 이 세탁 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회전 날개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지지하여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과, 상기 외조를 현수봉을 거쳐 지지하는 외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을 대략 사각 형상으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부착판은 종횡 각 방향의 치수를 거의 같게 해도 좋다.
또, 상기 부착판의 형상을,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및 좌우로 각각 대칭인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부착판은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및 좌우로 거의 같은 강성을 가져도 좋다.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원형 형상이고, 상기 외조 저부 전면을 덮도록 해도 좋다.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원형 형상이고, 중앙부에 타원 형상의 압출부를 갖고, 또한 상기 압출부 중앙에 긴 원 형상의 압출부를 가져도 좋다.
또,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원형 형상이고, 중앙부에 타원 형상의 압출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압출부 중앙에 긴 원 형상의 압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긴 원형상의 압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압출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외조 저부와 상기 부착판과의 고정부를 상기 대략 타원 형상의 압출부의 더욱 외측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설치해도 좋다.
상술한 각 수단을 채용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상기 외조 저부 전면을 덮는 원형 형상이고, 또한 상기 부착판의 외주부 네모서리에 상기 부착판과 일체로 성형된 현수 부재를 갖고, 상기 현수 부재의 수하 방진 지지되는 면을 구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때, 상기 현수 부재는 상기 외조 저부를 내포하도록 상기 부착판의 상방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 현수 부재는 상기 현수봉의 방진 스프링과 접촉하는 면이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 현수 부재는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 현수 부재는 상기 외조 측벽에 형성되는 리브나 보스 등을 받기 위해 평면부를 가져도 좋다.
상술한 각 수단을 채용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외주를 전체 둘레의 상측으로 절곡한 원형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부착판은 일체 성형에 의해 만드는 것이 제조상 바람직하다.
또, 상기 부착판의 외형 치수는 상기 외조 저부의 외형 치수보다 크더라도 좋다.
또, 상기 부착판의 외형은 상기 현수 부재의 부착 구멍을 각각 인접한 것 끼리 이어 형성된 사각 형상보다 외측에 위치해도 좋다.
또, 상기 목적은 저부 중앙에 회전 날개를 갖는 세탁겸 탈수조와, 이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회전 날개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지지하여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과, 상기 외조를 현수봉을 거쳐 지지하는 외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은 이 부착판의 외주부 네모서리에 상기 부착판과 일체로 성형된 현수 부재를 갖고, 이 현수 부재는 상기 외조 저부를 내포하도록 상기 부착판의 상방에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또, 상기의 목적은 저부 중앙에 회전 날개를 갖는 세탁겸 탈수조와, 이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회전 날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여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과, 상기 외조를 현수봉을 거쳐 지지하는 외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의 종횡 각 방향의 치수를 거의 같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부착판의 형상을 이 부착판이 고정되는 상기 외조의 중심을 통과하는 종축 및 횡축에 대해 각각 대칭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의 목적은, 내부 기구부의 구성은 저부 중앙에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은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축에 대칭인 강성을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사용되는 부착판을 내조의 회전축에 수직인 면 내에서 이 회전축에 대칭인 강성을 갖도록 상술한 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한 구조로 해도 좋다. 또, 이때, 상술한 각 수단에서 규정한 형상은 반드시 엄밀한 형상일 필요는 없고, 절결부, 구멍부, 각부의 둥근 부분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 기구부의 구성은 저부 중앙에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의 외주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나사 구멍을 갖는 동시에, 상기 나사 구멍이 배치된 위치보다 내측의 상부에 오목부와, 이 오목부 내이며 상기 부착판의 중심부를 포함하는 위치의 하면에 클러치를 설치하기 위한 원형 오목부와, 이 원형 오목부 옆에 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또 하나의 원형 오목부와, 2개의 상기 원형 오목부를 잇는 선에 수직으로 상기 부착판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선을 따르도록 상기 오목부에 상기 외주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상술한 각 수단에 있어서, 부착판의 형상을 대략 원형 혹은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나, 종축 및 횡축에 대해 대칭 구조로 하는 것은 부착판의 구조를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축에 수직인 면 내에서 이 회전축에 대칭인 강성을 갖도록 한다. 이에 따라, 내조의 타원 궤도를 그리는 진동 회전을 저감할 수 있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한다. 게다가, 별도 부재를 사용해서 보강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일체 성형품으로서 프레스 가공 등을 이용해서 가공하면, 부착판의 가공 및 전자동 탈수 세탁기로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또, 강성의 균등화에 맞추어 부착판에 설치된느 클러치 및 모터, 부착판의 둘레에 배치되는 배관 등과의 위치적인 간섭에 대해 수고를 끼치는 일이 없어진다. 그 때문에, 이들 각 부재 또는 부품의 배치를 위한 설계에 요하는 시간, 또는 설계 변경 등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자동 탈수 세탁기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세탁겸 탈수조의 타원 궤도를 그리는 진동 회전을 저감함으로써, 세탁겸 탈수조에 설치되는 평형 링의 작동 유체가 세탁겸 탈수조 내의 내용물의 치우침, 즉, 불균형과의 평형을 취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평형 링의 기능을 해치는 일은 없다.
또, 부착판의 형상을 대략 원형 혹은 대략 사각형 또는 종축 및 횡축에 대해 대칭 구조로 하고, 외조와의 고정(체결)을 둘레 방향으로 균등화하면, 부착판의 고정에 따라 생기는 강성의 이방성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부착판의 외조와의 고정(체결)을 외조 저부에 생기는 진동 모드의 마디부의 위치에서 행하면, 진동원인 클러치, 모터 등의 동력 전달계의 진동이 부착판을 거쳐 외조의 저부에 전달되고, 외조 저부를 가진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 부착판에 압출부, 즉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부착판에 구성되는 요철은 부착 후의 강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클러치부가 모터를 설치하는 2개의 오목부를 잇는 선에 수직으로 이 부착판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선을 따르도록 외주부로부터 내측으로 내어 달린 압출부, 즉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부착판의 강성의 이방성을 없게 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를 세탁 용량 7을 대표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가 도시되어 있으며, 강판제이고 또한 상자 형상의 외부 프레임(1) 내에는 현수봉(2) 및 방진 스프링(3)에 의해 합성수지제의 외조(4)가 방진 지지되어 있다.
외조(4)의 측벽에는 현수봉(2) 및 방진 스프링(3)을 부착하는 리브(4a)를 형성하고 있다.
외조(4) 내에는 횡단면 형상이 거의 원형이고, 또한 스테인레스제의 세탁겸 탈수조(5)를 설치하고 있다.
세탁겸 탈수조(5)의 상단에는 합성수지제의 평형 링(6)을 나사(24)에 의해 부착하고, 세탁겸 탈수조(5) 내의 측벽에는 다수의 탈수공(5a)을 설치하고, 세탁겸 탈수조(5)의 내저 중앙에는 후술하는 대형의 회전 날개(7)를 장착하는 오목부(5b)를 형성하고 있다.
외조(4)의 상단에는 외조(4)와 세탁겸 탈수조(5) 사이에 세탁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제의 조 덮개(8)를 고정하고 있다.
외조(4)의 외조부에는 배수 장치(9)와, 회전 날개(7) 및 세탁겸 탈수조(5)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10)가 강판제의 부착판(11)을 거쳐 부착되어 있다.
부착판(11)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나사 등에 의해 외조(4)의 외저부에 고정하고 있다.
배수 장치(9)는 외조(4)의 내저부에 연결된 배수 밸브(12)와, 이 배수 밸브(12)에 연결된 배수 호스(13)를 구비하고 있다.
배수 밸브(12)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12c)에 의해 부착판(11)에 부착된다. 배수 호스(13)는 외부 프레임(1)의 측벽 하부 혹은 PP 기부(18)에 설치된 구멍(14)을 통해 외부 프레임(1) 밖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동 장치(10)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겸 탈수용 모터(15)와, 클러치 기구(16)와, 세탁겸 탈수용 모터(15)의 회전을 클러치 기구(16)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17)를 구비하고 있다.
세탁겸 탈수용 모터(15)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15a)에 의해 부착판(11)에 고정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16)는 내부에 세탁과 탈수를 절환하는 클러치 스프링, 감속 기구 등을 갖고, 세탁 시에는 세탁겸 탈수용 모터(15)의 회전을 감속 기구를 거쳐 회전 날개(7)에 전달한다.
탈수 시에는 클러치 스프링이 절환에 의해 세탁겸 탈수용 모터(15)의 회전을 중공축(19) 및 플랜지(21)를 거쳐 세탁겸 탈수조(5)에 전달한다.
전달 기구(17)는 세탁겸 탈수용 모터(15)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 풀리(17a)와, 클러치 기구(16)의 하방에 배치된 종동 풀리(17b)와, 구동 풀리(17a) 및 종동 풀리(17b)에 감겨진 벨트(17c)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세탁 시, 세탁용 모터(15)의 회전은 구동 풀리(17a), 벨트(17c) 및 종동 풀리(17b)를 거쳐 클러치 기구(16)에 전달된다.
클러치 기구(16)는 내부에 감속 기구를 갖고 있으며, 종동 풀리(17b)의 회전을 감속하여 회전 날개(7)에 전달한다. 회전 날개(7)의 회전수는 120150 rpm 정도이다.
탈수 시에 있어서는, 종동 풀리(17b)의 회전을 클러치 기구(16)의 내부에 구비한 클러치 스프링의 절환에 의해 중공축(19), 플랜지(21)를 거쳐 세탁겸 탈수조(5)에 전달시킨다.
이때, 클러치 기구(16) 내의 감속 기구는 거치지 않고, 세탁겸 탈수조(5)의 회전수는 종동 풀리(17b)와 같게 9001100 rpm 으로 일방 회전한다.
세탁겸 탈수조(5)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링(23), 동체판(22), 저부판(25)의 각각이 스테인레스 강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저부판(25)은 플랜지부를 갖는 대략 원반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부 링(23)과 함께 단부면 외주부플 동체판(22)에 상하로부터 말아서 코오킹하여 체결하고 있다.
세탁겸 탈수조(5) 내의 정격 용량에 대한 회전 날개(7)의 부분을 제외한 유효 용적(높이 방향은 정격 용량 시의 규정 수위까지)은 정격 용량 7의 경우 56 L 이상 필요하기 때문에, 내경 466, 규정 수위 355로 하고, 60 L로 설정한다.
이때,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의 본체 용적을 본체 용적 (V)=W(본체폭)D(본체 깊이)H(조작 높이)로 표현했을 때, 유효 용적/본체 용적을 용적비라 하고, 7의 경우, 외부 프레임의 폭, 깊이를 6용량과 같은 560560로 설정하고, 본체 용적(V)=560560885/106=277.5 L, 용적비=20.2로 된다.
용적비는 크면 클수록 쓸모 없는 공간이 없고, 콤팩트하다고 말할 수 있다.
요즈음, 의류의 출입, 조작성을 좋게 하기 위해 조작 높이(H)를 낮게 하도록 되어 가고 있다.
의류의 출입 작업 난이도의 실험으로부터, 조작부 높이(H)는 850900사이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H=885로 설정하였다. D'는 방수 팬에 대응하기 위한 외형이 작아지는 부분이며, D'=540로 하고 있다.
세탁겸 탈수조(5) 내의 유효 용적을 작게 하는 것도 콤팩트화의 방법이지만, 세정 성능, 세탁 얼룩, 천 손상 등 기본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용돌이식 세탁기의 경우, 욕비(세탁물 1를 씻는데 필요한 물의 양)는 8 L/이상 필요하며, 콤팩트 대용량화에는 어떻게 외조(4)와 외부 프레임(1)의 직경 방향의 갭(g) 및 외조(4)의 상하 방향의 간극을 작게 하는 가가 포인트로 된다. 전자동 탈수 세탁기는 4개의 현수봉(2) 및 방진 스프링(3)에 의해 외조(4)를 현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조(4)가 진동하는 탈수 시의 움직임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제5도에 탈수 시의 진동 회전 특성을 도시한다. 세탁겸 탈수조(5)가 진동을 시작하면, 먼저 50100r/min에서의 일차 공진, 200300r/min에서의 이차 공진, 15001800에서의 삼차 공진이 대표적인 진동 특성이지만, 여기서 삼차 공진에 대해서는 탈수 회전수를 1100r/min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회피할 수 있다. 일차, 이차 공진을 작게 하는 데에는 세탁 시의 발생 언밸런스 량의 저감, 구조적인 억제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필요 탈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탈수 회전수를 900r/min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발생 언밸런스 량의 저감 방법으로서, 세탁 도중 혹은 최후에 마련하는 세탁몰 풀림을 위한 평형 교반의 수류의 최적화, 회전 날개(7)의 직경을 종래의 Ø340에서 Ø375로 높이고, 세탁겸 탈수조(5)의 내경 Ø466에 대한 직경 비율을 0.8 전후로 상승시켜, 세탁물 움직임을 좋게 하고, 평형 수류의 효과를 더욱 끌어낸다.
또, 평형 수류는 복수 종류로 설정하고, 세탁 용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절환하여 운전함으로써 보다 최적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게다가, 세정 공정 후의 중간 탈수에서의 의류의 세탁겸 탈수조(5) 내벽으로의 달라붙음을 재빨리 풀기 위해, 헹굼 공정 중에, 규정 수위보다 낮은 수위에서 일정 시간 교반 운전하는 공정을 집어 넣어줌으로써, 평형 효과를 더욱 높일 수가 있다.
한편, 정격 용량 부근에서는 세탁물 량이 많기 때문에, 탈수 시에 가벼운 의류가 조 내부에서 튀어 나갈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하면서 평형 교반을 실행하도록 하고, 세탁물을 끌어들이면서 평형을 취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세탁겸 탈수조(5)를 깊게 하지 않고, 내부 용적을 최대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높이 방향의 저감에 기여할 수가 있다.
물에 뜨는 의류에 대해서는, 세탁겸 탈수조(5)의 내경에 거의 동등한 대략 원판 형상의 캡을 평형 링 아래에 고정하면, 의류의 튀어 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부하가 적고, 수위를 최고 수위로 수동 설정한 경우에는, 물 비산량이 증대하고, 세탁수가 세탁기 밖으로 튀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의 조건을 판별하고, 수류를 약하게 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세탁겸 탈수조(5)를 깊게 하지 않고, 내부 용적을 최대한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회전 날개 중앙에는 회전에 따라서 10전후, 상하 이동하는 진동자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세탁물의 상하의 교체를 촉진하고, 세탁물의 얽힘을 방지하며, 평형 효과를 향상시킨다.
진동 억제로서는, 현수봉(2)의 감쇄량, 상승, 방진 스프링(3)의 스프링 정수저감, 탈수 기동 가속 특성 상승 등의 이외에, 종래 세탁겸 탈수조(5)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던 평형 링(6) 이외에, 하부에도 하부 평형기(32)를 설치하고, 유체 평형기의 효과를 높이고, 이차 공진 시의 진동 회전(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한 각 변위)을 억제함으로써 상하 진동도 저감할 수가 있다.
한편, 탈수 운전 중에 덮개를 연 경우, 안전을 위해 세탁겸 탈수조(5)의 회전을 재빨리 정지할 필요가 있으며, 브레이크를 거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때, 세탁겸 탈수조(5)의 회전이 급격히 멈춰지기 때문에, 현수봉으로 현수되어 있는 부분이 상방으로 튀어 오르는 현상을 일으킨다.
이때, 하부 평형기(32)는 추의 작용을 하고, 튀어 오르는 양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의 치수의 감축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내용에 의해, 수하 방진 지지하고 있는 외조의 수평 방향, 상하 방향의 공진 진폭을 저감할 수 있고, 제4(b)도에서 도시하는 외조와 외부 프레임의 간극(g)을 종래의 외부 프레임 크기 580의 것에서 10감소시키는 (3828)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제1도에서 도시하는 1 치수도 최소화가 도모되고, 7용량 세탁기의 종래의 외부 프레임 크기 600602 (580)600580로부터 560560로 작게 하는 동시에 의류 투입구까지의 높이도 종래의 906960로부터 885로 콤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었다.
여기서, 제6도는 탈수 기동시의 외조(4)의 최대 진폭(일차 공진)에 대한 회전 날개 직경의 평형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 제7도에서는 종래 제품과 본 실시예 제품에 있어서의 발생 확률 95를 커버하는 탈수 기동 시의 외조 진동 회전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전자동 탈수 세탁기의 경우, 설치 조건도 문제로 되고 있다. 즉, 현수봉(2)에 의한 방진 지지를 위해 수평 설치되지 않는 경우는 외조(4)가 있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된다.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는 탈수 시 세탁물의 치우침이 발생하고, 진동 회전이 커진 경우, 규정 이상의 진동 회전을 방지하는 안전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 조건이 나쁘고, 외조(4)의 치우침이 안전 스위치 방향이면, 간극이 작아지고, 작은 진동 회전에서도 간단하게 탈수 정지가 일어나 버리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준기도 상면 덮개(20) 내에 설치하고, 설치 조건의 변동도 방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탈수 기동 시의 진동 회전량을 저감함으로써 세탁겸 탈수조(5)의 필요 유효 용적을 확보하고, 세탁기의 본체 용적의 용적비를 20이상으로 취함으로써 외부 프레임 크기를 종래의 600602600580로부터 560560로 하고, 의류 투입구 높이도 906960로부터 885로 저감할 수가 있어, 설치성과 조작성이 뛰어난 콤팩트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8이상급의 용량에 있어서도, 외부 프레임 크기를 640640610610로 하고, 종래의 7과 동등한 외부 프레임 크기로 한 경우, 세탁겸 탈수조(5)의 내경은 외부 프레임 크기비 83의 510이고 유효 용적을 68 L로 하고, 회전 날개 직경을 405, 조작 높이를 900로 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착판을 구비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주 요소인 부착판 구조와 세탁기의 기본 구성 요소만에 대해 기재하고, 그 이외의 요소 예를 들어 패널 스위치 등은 생략하고 도시하지 않는다. 제9도는 이 세탁기의 하면도이다. 제10도는 부착판 요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탈수 세탁기는 외부 프레임(1)과 이 외부 프레임(1)에 현수봉(2)을 거쳐 탄성 지지되어 있는 합성수지제의 외조(4), 이 외조(4)에 내포되는 세탁겸 탈수조(5)를 구비하고 있다. 세탁겸 탈수조(5)는 그 저부 중앙에 회전 날개(7)를 내장하고, 상방의 개구부에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평형 링(6)을 갖는다. 이 세탁겸 탈수조(5)는 플랜지(21)에 의해 중공축(19)에 지지되고, 이 플랜지(21)는 클러치 기구(16)에 의해 지탱되고 있다. 이 클러치 기구(16) 및 세탁겸 탈수용 모터(15)는 부착판(11)에 의해 외조(4)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 밖에, 이 부착판(11)에는 콘덴서(30), 세탁겸 탈수조(5)와 클러치 기구(16) 사이의 토오크 전달을 행하는 풀리벨트계(17)를 지지한다.
세탁 시에는 회전 날개(7)가, 탈수 시에는 세탁겸 탈수조(5)가 세탁겸 탈수용 모터(15)에 의해 풀리벨트계(17)를 거쳐 클러치 기구(16)를 경유해 회전 구동된다. 또, 덮개 스위치를 겸하는 언밸런스 스위치(31)와 전기적 회로 및 브레이크로 구성되는 안전 기구를 가지며, 회전 시 진동이 클 때에는 외조(4) 언밸런스 스위치(31)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안전 기구가 작동하여 회전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곡 특성에 의해 강성 보강된 부착판(11)은 외조(4)의 저부를 전면 덮는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하고, 세탁겸 탈수용 모터(15) 등의 장착을 위한 형상도 중앙의 클러치 기구(16)의 클러치 축에 대해 대칭인 절곡 특성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클러치 축에 대한 모터 장착의 직각 방향도 동일한 대칭의 절곡 특성을 갖는 구성으로 하여 보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부착판(11)을 클러치 축(또는 내조의 회전축)에 수직인 면 내에서 이 축에 대칭인 강성을 갖는 바와 같은 절곡 특성 형상을 갖도록 하고 있다.
이 형상은 일체 성형의 프레스 가공이 가능한 형상이며, 그 결과 염가로 강성의 거의 대칭성(실용적으로는, 강성의 대소의 차가 10이내이면 좋다)이 얻어진다.
또, 이 강성의 대칭성에 의해, 회전 진동 주변 진동시의 진동 궤적이 원운동 궤적을 그리게 되고, 상기 유체 평형 링(6)의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잔류 언밸런스가 작은 저 진동의 세탁기가 달성된다. 또, 진동 회전이 원운동 궤적을 그리기 때문에, 규정 진폭치 이상으로 되면, 반드시 언밸런스 스위치(31)가 작동하게 되어, 진동 과대 상태에서의 운전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세탁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조(4)의 저부 전면을 덮는 대략 원형의 부착판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부착판(11)의 외조 저부로의 고정부인 체결 나사의 위치는 최대한 외조 외주 측으로 치우치고, 외주 저부의 진동 모드의 마디부로 되는 위치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모터 등의 진동원에서 외조(4)의 저부로의 진동 전달이 감소하고, 외조(4)로부터의 소음 발생이 저감된다. 이 예에서는 체결 나사 위치(40)는 외조 저부의 최대한 외주 측으로 되어 있으나, 외조 저부의 외주라면 외조 저부의 진동 모드의 마디부 그 자체로 되어, 소음 발생 저감에 의해 효과적이다.
또, 외조(4)의 저부 전면을 덮는 대략 원형의 부착판 형상으로 하면, 외부로부터 돌아 들어온 불길이 외조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화성이 뛰어난 세탁기로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조(4)를 외부 프레임(1)으로부터 현수봉(2)을 거쳐 지지하고 있으나,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판(11)의 4방향을 외측으로 연장시키고, 부착판(11)을 직접 현수봉(2)을 거쳐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본래의 목적은 달성된다. 이 경우, 현수봉(2)을 부착하는 현수 부재(34)를 포함하여 강성 설계를 행하면, 양호한 진동 저감 효과를 가지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 세탁기를 얻을 수가 있을 것이다.
또, 부착판(11)은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조(4)의 저부를 감싸는 형상이라도 본래의 목적은 달성된다. 이 경우, 부착판(11)에 의한 외조(4)의 보유 지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조(4)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지금까지 도시된 실시예는 외조(4)와 부착판(11)과의 고정부를 둘레 방향으로 가능한 한 등간격(실시예에서는 12 군데)으로 설치하고자 하고 있다. 이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렇게 하는 쪽이 고정에 의한 부착판(11) 또는 외조(4) 저면에 있어서의 강성의 이방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부착판(11)이 외조(4)를 보유 지지하도록 된 구조에 있어서는 이 과제에 대해 보다 유효할 것이다.
또, 부착판(11)과 외조(4)와의 고정부는 상기한 외조 저면이 아니라 외조(4)의 외주에 설치되어도 좋다. 외조 저부의 진동 모드를 가진하지 않는다는 본래의 목적은 달성된다.
이상에 기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1. 강성의 등방화(等方化)와 진동 전달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2. 강성의 등방화에 의해, 진동이 진동 회전 궤적이 원운동 궤적을 그리며, 평형 링의 기능이 100유효하게 되고, 저 진동으로 소음이 작은 조용한 세탁기가 제공 가능해진다.
3. 강성의 등방화에 의해, 진동의 진동 회전 궤적이 원운동 궤적을 그리며, 언밸런스 스위치의 작동이 정확해지고, 과대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신뢰성이 높은 세탁기가 제공 가능해진다.
4. 진동 전달의 저감에 의해, 소음이 작은 조용한 세탁기가 제공 가능해진다.
5. 상술한 바와 같은 진동의 저감 효과에 의해, 내조와 외조, 외조와 외부 프레임의 각각의 간격을 작게 할 수가 있어, 세탁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부착판을 구비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를 제17도 내지 제22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부착판을 구비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의 하면을 도시하고 제18도는 제17도의 부착판 부착부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제19도는 제18도의 부착판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제20도는 제19도의 a-a 단면도를 도시하고, 제21도는 제19도의 b-b 단면도를 도시하고, 제22도는 제19도의 c-c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조(4)는 강판제의 부착판(11)에 내포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외조(4)와 강판제의 부착판(11)은 외조 저부에 배치된 나사 보스 등에 의해 나사 등으로 체결되어 있다.
제19도 내지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판(11)은 대략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외형 치수는 외조(4) 저부의 외형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 중앙에는 대략 타원형으로 압출된 구동부 부착부(11e)를 갖고 있고, 상기 구동부 부착부(11e)의 중앙 부분에는 대략 긴 원 형상의 구동부 수납부(11c)가 구동부 부착부(11e)로부터 한 단계 압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부 수납부(11c)의 대략 긴 원 형상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고강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부 수납부(11c)의 대략 긴 원형의 길이 방향 대해 수직 방향에도 구동부 수납부(11c)와 같은 방향으로 단차부를 갖는 압출부(11d)를 설치하여, 수직 방향의 고강성화를 도모한다. 이에 따라, 어떤 방향에 있어서도 고강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나아가서는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 중심에 대해 이방향성이 적은 강성이 얻어진다.
여기서, 구동부 수납부(11c)의 형상을 십자 형상으로 하는 것이라도 상기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은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 도시하는 대략 사각 형상의 기부에 있어서, 일반적인 프레스 성형으로 이를 행하는 경우에는 길이 방향과 그 수직 방향이 교차하는 부분에 재료를 꼭 맞게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분에 균열이 생겨 버리므로, 프레스 성형이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부착판(11)에서는 구동부 수납부(11c)와 그 수직 방향의 압출부(11d)를 별개로 구성하고, 압출 높이를 바꿔줌으로써 일반적인 프레스 성형에서의 가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대략 타원형의 구동부 부착부(11e)의 외주에는 외조(4)의 저부 외주에 배치되는 나사 보스에 부착판(11)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을 갖는 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면은 압출부(11d)로부터 더욱 구동부 수납부(11c)와 같은 방향으로 압출되어 있다.
또, 부착판(11)의 네모서리는 외조(4) 저부를 감싸도록 하여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이 상방으로 절곡된 부분의 선단부를 더욱 외측으로 절곡하고 있다.
이 부분에는 외부 프레임(1)의 네모서리로부터 현수되는 현수봉(2) 및 방진 스프링(3)을 받기 위한 구면부를 갖는 현수 부재(11a)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부착판(11)의 외주부에는 상방으로 향하는 입상부를 전체 둘레에 설치함으로써 부착판(11)의 외주부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형상과 같은 구성으로 해줌으로써, 고강성이고 또한 강성의 이방향성이 적은 부착판(11)을 적은 공정수로 용이하게 일반적인 프레스 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조(4) 저부와 부착판(11)과의 고정은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조(4) 저부의 외주 근방에 나사 보스를 설치하고, 강판제의 부착판(11)을 거쳐 나사에 의해 체결한다. 외조(4) 저부의 외주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나, 부착판(11) 전체로서 외조(4) 저부 전체를 덮어줌으로써, 부착판(11)으로부터의 진동이 외조(4)에 전달된 경우, 그 진동은 외조(4) 측벽과 저부로 분산되고, 외조 저부의 변형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방식과 비교한 경우, 외조(4)의 저부로의 진동 전달은 작아지게 된다.
또, 외조(4)의 저부만으로 받는 구조의 경우에는, 세탁 및 탈수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외조(4)가 클러치 기구부(16)의 축심에 대해 쓰러져 버린다. 이에 따라 세탁겸 탈수조(5)와 접촉해 버리게 된다. 이 때문에, 외조(4)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현수 부재(11a)의 상방에는 외조(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리브(4a)가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현수 부재(11a)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리브(4a)의 현수 부재(11a)에 맞닿는 부분에 나사 보스(4b)를 설치하고, 이것은 부착판(11)의 현수 부재(11a)를 거쳐 나사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현수 부재(11a)에 있어서는, 리브(4a) 및 나사 보스(4b)를 정확히 받기 위한 평면부(11b)를 구성해 줌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외조(4)를 받을 수가 있다.
상기 현수 부재(11a)에는 현수봉(2) 조립 시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현수봉(2)을 부착판(11)의 횡방향으로부터 부착할 수 있도록 슬릿(11g)이 설치되어 있다. 이 현수 부재(11a)의 기저부에는 현수 부재(11a)가 세탁 및 탈수 행정 시의 외조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힘에 의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오목부(11b)가 설치되어 있다.
또, 현수 부재(11a)의 형상을 대략 삼각 형상으로 하여, 현수 부재(11a)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강도 상승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판(11)은 외조(4) 저부를 내포하는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 강판제의 부착판(11)이 수지제의 외조(4)의 저부를 감싸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판(11)에 부착되어 있는 모터, 콘덴서 등의 전기 부품으로부터 실화된 경우를 고려하여야 하며, 이 경우에도 부착판(11)에 의해 그 피해가 최소한으로 억제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높은 세탁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탈수 기동 시의 진동 회전량을 저감함으로써, 세탁겸 탈수조의 필요 유효 용적을 확보하고, 세탁기의 본체 용적의 용적비를 20이상으로 취함으로써, 설치성과 조작성이 뛰어난 콤팩트한 전자동 탈수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보강을 위한 별도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부착판을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축에 수직인 면 내에서 이 회전축에 대칭인 강성을 갖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전자동 탈수 세탁기의 생산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강성의 이방성에 의해 생기는 타원 궤적을 그리는 진동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평형 링을 구비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효과를 얻는 동시에 평형 링의 기능을 해치는 일이 없으므로, 저 진동화 할 수가 있다.
또, 세탁 및 탈수 운전 시에 외조의 쓰러짐이 적고, 현수 부재를 일체로 형성한 고강성의 부착판을 갖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수지제의 외조와 콘덴서, 모터 등의 전기부를 부착판에 의해 차단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은 전자동 탈수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세탁겸 탈수조를 포함하는 내부 기구부를 외부 프레임 상단으로부터 수하 방진 지지하는 동시에, 외부 프레임 상면부에는 의류 투입구부 등을 갖는 상면 덮개를 부착한 구성의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 본체 용적에 대한 세탁겸 탈수조의 유효 용적의 비율을 20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내경을 Ø465Ø510로 하고, 상기 외부 프레임 크기를 560 560 610 610로 하여 의류 투입구까지의 높이를 900m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3. 세탁겸 탈수조를 포함하는 내부 기구부를 외부 프레임 상단으로부터 수하 방진 지지하는 동시에, 외부 프레임 상면부에는 의류 투입구부 등을 갖는 상면 덮개를 부착한 구성의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 폭 560 깊이 560 조작부 높이 885이하의 본체 용적에 대해 내경이 465이상이고 유효 용적 56 L 이상인 세탁겸 탈수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4. 세탁겸 탈수조를 포함하는 내부 기구부를 외부 프레임 상단으로부터 수하 방진 지지하는 동시에, 외부 프레임 상면부에는 의류 투입구부 등을 갖는 상면 덮개를 부착한 구성의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 폭 610 깊이 610 조작부 높이 900이하의 본체 용적에 대해, 내경이 510이상이고 유효 용적 68 L 이상인 세탁겸 탈수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5. 제3항에 있어서, 세탁 용량을 7.0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6. 제4항에 있어서, 세탁 용량을 8.0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7. 세탁겸 탈수조를 포함하는 내부 기구부를 외부 프레임 상단으로부터 수하 방진 지지하는 동시에, 외부 프레임 상면부에는 의류 투입구부 등을 갖는 상면 덮개를 부착한 구성의 전자동 탈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겸 탈수조는 스테인레스 강판제로 하고, 내경은 상기 외부 프레임 크기에 대해 83이상으로 하고, 상기 세탁겸 탈수조 저부에 유체 평형기를 설치하고, 탈수 시의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수를 900r/min1100r/min의 범위로 설정하고, 설치 시의 수평 설치를 확실히 하기 위해 수준기를 구비하고, 본체 용적에 대한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유효 용적의 비율을 20이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내부 기구부의 구성은 저부 중앙에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원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9. 제7항에 있어서, 내부 기구부의 구성은 저부 중앙에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원형 형상이고, 상기 외조 저부 전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10. 제7항에 있어서, 내부 기구부의 구성은 저부 중앙에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원형 형상이고, 중앙부에 타원 형상의 압출부를 갖고, 또한 상기 압출부 중앙에 긴 원 형상의 압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11. 제7항에 있어서, 내부 기구부의 구성은 저부 중앙에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원형 형상이고, 중앙부에 타원 형상의 압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긴 원 형상의 압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압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12. 제7항에 있어서, 내부 기구부의 구성은 저부 중앙에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상기 외조 저부 전면을 덮는 원형 형상이고, 또한 상기 부착판의 외주부 네모서리에 상기 부착판과 일체로 성형된 현수 부재를 갖고, 상기 현수 부재의 수하 방진 지지되는 면을 구면 형상으로 형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13. 제7항에 있어서, 내부 기구부의 구성은 저부 중앙에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의 형상은 외주를 전체 둘레의 상측으로 절곡한 원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14. 제7항에 있어서, 내부 기구부의 구성은 저부 중앙에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은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축에 대칭인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15. 제7항에 있어서, 내부 기구부의 구성은 저부 중앙에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조 저부에 고정되는 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고, 상기 부착판의 외주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나사 구멍을 갖는 동시에, 상기 나사 구멍이 배치된 위치보다 내측의 상부에 오목부와, 이 오목부 내이며 상기 부착판의 중심부를 포함하는 위치를 하면에 클러치를 설치하기 위한 원형 오목부와, 이 원형 오목부 옆에 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또 하나의 원형 오목부와, 2개의 상기 원형 오목부를 잇는 선에 수직으로 상기 부착판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선을 따르도록 상기 오목부에 상기 외주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탈수 세탁기.
KR1019960034363A 1995-08-21 1996-08-20 전자동 탈수 세탁기 KR100228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10909A JPH0956966A (ja) 1995-08-21 1995-08-21 全自動洗濯機
JP95-210909 1995-08-21
JP95-241248 1995-09-20
JP24124895 1995-09-20
JP7288365A JPH09140992A (ja) 1995-09-20 1995-11-07 全自動脱水洗濯機
JP95-288365 1995-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33A KR970011133A (ko) 1997-03-27
KR100228627B1 true KR100228627B1 (ko) 1999-11-01

Family

ID=2732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363A KR100228627B1 (ko) 1995-08-21 1996-08-20 전자동 탈수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28627B1 (ko)
CN (1) CN10709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9736B (zh) * 2015-03-26 2018-10-1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电机端盖和电机组件及具有其的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593A (ja) * 1986-05-21 1988-02-20 アレリックス・インコ−ポレイテッド L−フェニルアラニンおよびl−トリプトファンの製造方法
TW293854B (ko) * 1993-12-27 1996-12-21 Toshiba Co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33A (ko) 1997-03-27
CN1070951C (zh) 2001-09-12
CN1148646A (zh)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1035Y1 (ko) 드럼형 세탁기의 진동 및 소음 감소장치
US7310978B2 (en) Drum-type washing machine with elastic oil damper
US5657649A (en) Full-automatic washing machine having a vibration damping assembly
KR100228627B1 (ko) 전자동 탈수 세탁기
KR20040013994A (ko) 드럼세탁기용 방진구조체
US4007612A (en) Washing machine balance and suspension system
JP4577166B2 (ja) ドラム式洗濯機
US7454928B2 (en) Multi-component isolation damping system for a laundry washing machine
JPH08215477A (ja) 電気洗濯機の防振装置
JP200315949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8206388A (ja) 脱水洗濯機
KR970007695B1 (ko) 전기세탁기
JPH07241398A (ja) 脱水洗濯機
WO2018038009A1 (ja) 洗濯機
JPH09140992A (ja) 全自動脱水洗濯機
JP2658340B2 (ja) 脱水洗濯機
JP3183125B2 (ja) 全自動洗濯機
JPH0824474A (ja) 全自動洗濯機
JP2639089B2 (ja) 脱水洗濯機
JPH04325196A (ja) 洗濯機
KR19990045622A (ko) 세탁물 탈수장치
JP2003326082A (ja) 脱水洗濯機
JPH078677A (ja) 自動洗濯機の防振装置
KR0169351B1 (ko) 세탁기의 방진장치
JP2589623Y2 (ja) 脱水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