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790B1 - 팩스 통신에서의 정보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팩스 통신에서의 정보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790B1
KR100227790B1 KR1019960065756A KR19960065756A KR100227790B1 KR 100227790 B1 KR100227790 B1 KR 100227790B1 KR 1019960065756 A KR1019960065756 A KR 1019960065756A KR 19960065756 A KR19960065756 A KR 19960065756A KR 100227790 B1 KR100227790 B1 KR 10022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x
protection module
calling
plain tex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280A (ko
Inventor
박응기
손기욱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60065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79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1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transmission or protocol signal prior to or subsequent to the image data transmission, e.g. in digital identification signal [DIS], in non standard setup [NSS] or in non standard field [NS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a telephone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스 정보를 주고 받으려는 통신 당사자가 팩스 보호 모듈의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서로 자유로이 팩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발신측의 팩스 보호 모듈에서 암호문 혹은 평문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발신측 팩스 보호 모듈에서 발신측의 팩스 보호 모듈에서 선택하여 전송한 암호문 혹은 평문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사용자들은 보다 편리하게 통신하고자 하는 모든 사용자와 팩스 보호 모듈의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팩스 전문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팩스 통신에서의 정보 송수신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팩스 통신에서의 정보 송수신 방법
본 발명은 팩스를 통해 전달되는 팩스 전문의 화상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팩스 정보 보호 모듈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발신측의 팩스 정보 보호 모듈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 전문을 암호문 혹은 평문 형태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는 방법과 발신측에서 전송한 팩스 전문이 암호문이든지 혹은 평문이든지에 관계없이 착신측의 팩스 정보 보호 모듈이 발신측에서 보낸 것을 자동으로 암호문 혹은 평문을 구분하여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팩스 통신은 공중 전화 통신망 혹은 전용선을 통하여 통신 당사자끼리 팩스를 통하여 팩스 전문을 서로 주고 받았다. 이러한 경우 전송되는 팩스의 화상 정보가 통신 당사자가 아닌 제 3 자에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팩스의 전문을 보호하는 팩스 보호 모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팩스 보호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팩스 보호 모듈을 가진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팩스의 화상 정보를 안전하고 자유롭게 주고 받게 되었다. 이 경우 정보를 주고 받으려는 발신측과 착신측 모두가 팩스 보호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야만 사로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팩스 보호 모듈이 있는 사용자가 팩스 보호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사용자들과 통신을 할 경우는 통신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 고가의 팩스 장치와 팩스 보호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면서도 모든 사람과 통신이 자유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서로 팩스 전문을 주고 받기 위해서는 양측이 모두 팩스 보호 모듈을 사용하든지 아니면 양측 모두 팩스 보호 모듈을 제거한 후 사용하여야만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팩스 보호 모듈을 필요에 따라 설치 혹은 제거하는 것은 단지 발신측에서만 가능하며, 착신측 사용자는 발신측 사용자가 팩스 보호 모듈의 사용 여부를 사전에 알려주지 않으면 착신측의 팩스 보호 모듈을 설치해야 할지 혹은 제거해야 할지 판단할 수 없다. 이러한 방식은 실세계에서 사용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종래의 통신 방법으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항상 상존하게 되고,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피해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의 낭비와 사용자의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반 팩스에서 사용하는 팩스의 통신 프로토콜 중 비표준 기능(비표준 설비(Non-Standard Facilities; NSF), 비표준 설비 설정(Non-Standard Facilities Setup; NSS))을 이용하여 팩스 정보를 주고 받으려는 통신 당사자가 팩스 보호 모듈의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서로 자유로이 팩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발신측의 팩스 보호 모듈에서 전송하려는 팩스 전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든지 혹은 평문으로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착신측 팩스 보호 모듈에서는 발신측의 팩스 보호 모듈에서 선택하여 전송한 암호문 혹은 평문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측의 선택 및 착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의 보유 유무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 정보를 암호문 혹은 평문 형태로 선택하여 착신측 팩스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암호문 혹은 평문으로 선택하여 송신한 화상 정보를 착신측 팩스 장치에서 암호문과 평문을 선택하여 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팩스의 화상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팩스 통신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의 처리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측의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신측 팩스 장치 20 : 발신측 팩스 보호 모듈
30 : 통신망(공중 전화망 혹은 팩스 전용망)
40 : 수신측 팩스 보호 모듈 50 : 수신측 팩스 장치
본 발명에서는 발신측 사용자는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 화상 정보를 암호문으로 혹은 평문으로 전달하는 것을 착신측 팩스 장치에 알리기 위해 발신측 팩스 장치의 키패드를 통하여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후에 암호문과 평문을 나타내는 특수 문자(암호문 통신 시는 착신측의 전화번호 뒤에 *, 평문 통신 시는 착신측의 전화번호 뒤에 #을 입력)를 입력하면, 암호문 전송 혹은 평문 전송을 나타내는 특수 문자와 발실측 책스 장치에 발신측 팩스 장치내에 팩스 보호 모듈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정보를 이용하여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착신측 팩스 장치로부터 비표준 설비 프레임을 수신한 후 착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하며, 착신측은 자신의 팩스 장치의 내부에 팩스 보호 모듈의 존재 여부를 발신측 팩스 장치에 알리는 정보를 이용하여 비표준 설비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발신측 팩스로 전송하고, 발신측 팩스로부터 전송된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분석하여 발신측에 팩스 보호 모듈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고 발신측 팩스 장치가 팩스 화상 정보를 암호문으로 전송하는지 아니면 평문으로 전송하는지를 파악하여 착신측 팩스 장치는 발신측 팩스에서 전송한 팩스 화상 정보와 같도록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신하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팩스의 화상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팩스 통신 구성도이다. 그 구성은 발신측의 팩스 장치(10), 발신측의 팩스 화상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발신측 팩스 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팩스 보호 모듈(20), 공중 전화망 혹은 팩스 전용망(30), 발신측에서 전송한 팩스 화상 정보를 그대로 복원하기 위하여 착신측 팩스 장치에 존재하는 팩스 보호 모듈(40) 및 착신측의 팩스 장치(50)의 5가지로 구성된다.
일반 팩스장치(10, 50)는 기능상 주사부와 모뎀부로 구성되며, 주사부의 기능은 발신측 팩스 장치의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원고를 읽어들여 팩스의 코딩 방법으로 화상 정보를 코딩하거나, 발신측 팩스 장치가 전송한 팩스 화상 정보를 착신측 팩스 장치의 모뎀부에 의해 수신한 정보를 발신측 사용자가 전송한 원고와 같게 복원한다. 모뎀부의 기능은 발신측 팩스 장치에 있어서 주사부를 통해 코딩된 정보를 착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착신측 팩스 장치에 있어서 모뎀부는 발신측 팩스장치가 송신한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착신측 팩스 장치의 주사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팩스 보호 모듈은 팩스 장치의 주사부와 모뎀부 사이에 정합되어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는 주사부에서 코딩된 팩스 화상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들여 사용자의 송신 유형에 따라 암호문 혹은 평문으로 만들어 모뎀부로 전달하며, 착신측 팩시밀리 장치내의 팩스 보호 모듈은 발신측 팩스 장치의 모뎀부를 통해 수신한 발신측, 팩스 장치의 암호화된 정보를 원래대로 복원하여 주사부로 넘겨주거나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전송한 평문 정보를 착신측 팩스 장치의 모뎀부가 수신하여 팩스 보호 모듈로 입력하면 팩스 보호 모듈은 평문 정보를 그대로 주사부로 넘겨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의 처리 흐름도로서, 발신측 사용자의 선택 및 착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의 보유 유무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 화상 정보를 암호문 혹은 평문 형태로 선택하여 착신측 팩스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발신측의 처리 흐름도이다. 발신측 사용자는 자신이 송신할 팩스 원고를 암호문으로 보낼 것인지 아니면 평문으로 보낼 것인지 결정한 후 발신측 팩스 장치에 존재하는 키패드를 통하여 통신을 원하는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암호문 통신 혹은 평문 통신을 나타내는 특수 문자를 입력한다(201). 이때 암호문 통신시는 착신측의 전화번호 뒤에 "*", 평문 통신시는 착신측의 전화번호 뒤에 "#"을 입력한다. 착신측으로부터 비표준 설비 프레임을 수신하고(202), 수신한 비표준 설비 프레임이 착신측에 팩스 보호 모듈이 없는 일반 팩스 장치에서 송신한 비표준 설비 프레임인지 아니면 팩스 보호 모듈이 내장된 착신측 팩스 장치에서 송신한 것인지 판단한다(203). 수신한 비표준 설비 프레임이 팩스 보호 모듈이 내장된 착신측 팩스 장치가 송신한 프레임이면 발신측 사용자가 암호문 통신을 원하는지 아니면 평문 통신을 원하는지 키패드를 통해 입력한 특수 문자를 보고 판단한다(204). 만약 발신측 사용자가 팩스 보호 모듈에 존재하는 암호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문 통신을 원할 경우 착신측이 수신하는 팩스 화상 정보가 암호문인 것을 알 수 있도록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구성하여(205) 생성한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착신측 팩스장치로 전송하고(206), 팩스의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의 화상 정보를 팩스 보호 모듈에 존재하는 암호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한다(207). 만약 상기 단계(204)에서 발신측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 화상 정보를 팩스 보호 모듈을 통해 암호화하지 않고 평문으로 착신측과 통신을 원하면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팩스 화상 정보를 평문으로 전송함을 착신측 팩스 장치에 알리는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구성하여(208) 착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하고(209), 팩스의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발신측이 전송한 팩스 화상 정보를 암호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지 않고 평문으로 착신측 팩스로 송신한다(210). 만약 상기 단계(203)에서 수신한 비표준 설비 프레임이 착신측에 팩스 보호 모듈이 없는 일반 팩스 장치에서 송신한 비표준 설비 프레임이면 발신측 팩스장치는 팩스 보호 모듈이 없는 일반 팩스 장치에서 사용하는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생성하여 생성한 비표준설비 설정 프레임을 착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한다(211). 발신측 사용자가 암호문 통신을 원하는지 아니면 평문 통신을 원하는지를 상기 과정에서 발신측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신 입력 특수 문자를 통해 판단한다(212). 판단 결과 평문 통신을 원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팩스의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발신측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 화상 정보를 암호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지 않고 평문으로 착신측 팩스로 전송한다(210). 판단 결과 발신측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입력한 특수 문자가 암호문 통신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발신측 팩스 장치에 내장된 팩스 보호 모듈을 통해 전송하자 하는 팩스 화상 정보를 발신측 팩스로 전송하더라도 착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이 없기 때문에 착신측 팩스 장치는 팩스 화상 정보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고 에러를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 발신측 팩스 장치는 발신측 팩스 화상 정보를 보내기 전에 미리 착신측 팩스 장치로 회선 단락 신호를 전송하고(213), 회선을 단락시킨 후(214) 회선단락 이유를 발신측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팩스 용지 혹은 표시창에 표시하여 준다(215).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측 처리 흐름도로서, 발신측 팩스 장치가 암호문 혹은 평문으로 선택하여 송신한 팩스 화상 정보를 착신측 팩스 장치가 암호문과 평문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신하기 위한 착신측의 처리도이다. 착신측 팩스 장치는 착신측 팩스 장치의 내부에 팩스 보호 모듈의 보유 여부에 따라(301) 다르게 동작하는데, 만약 착신측 팩스 장치가 팩스 보호 모듈을 보유하고 있으면 발신측 팩스 장치에게 착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이 존재함을 알리는 비표준 설비 프레임을 생성하여 발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한다(302). 만약 착신측 팩스 장치가 팩스 보호 모듈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착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이 없음을 알리는 비표준 설비 프레임을 생성하여 발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한다(303). 비표준 설비 프레임을 발신측으로 전송한 후 발신측 팩스로부터 수신한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수신하고(304), 수신한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점검하여 발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이 내장되어 있는지 혹은 발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이 없는지 판단한다(305). 만약 수신한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이 팩스 보호 모듈이 없는 일반 팩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이면 팩스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발신측 팩스 장치가 전송한 팩스 화상 정보를 평문으로 수신한다(309). 만약 상기 과정에서 발신측으로부터 수신한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점검하여 팩스 보호 모듈을 가진 팩스 장치가 전송한 것으로 판단되면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평문으로 전송한 것인지 아니면 암호문으로 전송한 것인지 판단한다(306). 판단 결과 평문 통신이면 팩스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발신측 팩스에서 전송한 팩스 화상 정보를 평문으로 수신한다(309). 만약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팩스 화상 정보를 팩스 보호 모듈에 존재하는 암호 알고리즘을 통하여 암호화하여 전송한 것이면 착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307). 만약 점검 결과 착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이 존재하면 팩스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전송한 암호화된 발신측의 팩스 화상 정보를 착신측 팩스 보호 모듈내에 있는 암호 알고리즘을 통해 복호화하여 수신한다(308). 상기 과정에서 착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이 없으면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전송한 팩스 화상 정보가 암호화된 것이기 때문에 팩스 보호 모듈이 없는 착신측 팩스 장치에서는 발신측이 전송한 팩스 화상 정보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착신측 팩스 장치가 발신측이 전송한 팩스 화상 정보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회선 단락 신호를 발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하고(310) 회선을 단락하며(311) 회선을 단락시킨 이유를 착신측 팩스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팩스 용지 혹은 팩스 장치의 표시창에 출력한다(312).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팩스 보호 모듈이 통신 하고자 하는 양측 모두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는 발신측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 화상 정보를 암호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통신하거나 또는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고 평문으로 통신하고, 양측에 모두 팩스 보호 모듈이 없는 경우는 일반 팩스 통신과 마찬가지로 평문으로 통신한다. 또한, 착신측에만 팩스 보호 모듈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는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일반 팩스 장치가 팩스 화상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착신측 팩스 장치는 암호 알고리즘을 통하지 않고 평문으로 수신하며, 발신측 팩스 장치에만 팩스 보호 모듈이 존재할 경우 발신측 팩스 장치는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 화상 정보를 평문으로 전송하여 착신측 팩스 장치가 평문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들은 보다 편리하게 통신하고자 하는 모든 사용자와 팩스 보호 모듈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팩스 전문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훌륭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발신측의 선택 및 착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의 보호 유무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 정보를 암호문 혹은 평문 형태로 선택하여 착신측 팩스 장치로 송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암호문 혹은 평문으로 선택하여 송신한 화상 정보를 착식측 팩스 장치에서 암호문과 평문을 선택하여 수신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단계는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팩스 보호 모듈의 보호 유무에 따라 착신측으로 암호문 혹은 평문으로 정보를 송신할 것인지 송신유형을 결정한 후 착신측의 전화번호와 함께 송신 유형에 따라 특수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의 전화번호와 송신 유형에 따른 특수 문자를 입력한 후 착신측으로부터 비표준 설비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비표준 설비 프레임을 검사하여 착신측 팩스 장치의 유형을 알아내는 단계와, 상기비표준 설비 프레임의 검사 결과 팩스 보호 모듈이 내장된 착신측 팩스 장치가 송신한 프레임일 경우 발신측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 유형을 입력된 특수 문자를 이용해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특수 문자를 이용해 통신 유형을 판단한 결롸 발신측에서 아호문 통신을 원할 경우 암호문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착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하고 팩스의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팩스 정보를 암호화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특수 문자를 이용해 통신 유형을 판단한 결과 발신측에서 평문 통신을 원할 경우 평문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착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하고 팩스의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발신측이 전송한 팩스 정보를 평문으로 착신측 팩스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표준 설비 프레임의 검사 결과 착신측의 일반 팩스 장치에서 송신한 것일 경우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일반 팩스 장치에서 사용하는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생성하여 착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 팩스 장치로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전송한 후 발신측에서 원하는 통신 유형을 입력된 특수 문자를 통해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에서 원하는 통신 유형의 판단 결과 평문 통신을 원할 경우 팩스의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발신측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팩스 정보를 평문으로 착신측 팩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에서 원하는 통신 유형의 판단 결과 발신측에서 암호문 통신을 원할 경우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착신측 팩스 장치로 회선 단락 신호를 전송하여 회선을 단락시킨 후 회선 단락 이유를 발신측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 통신에서의 정보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발신측 팩스 장치가 암호문 혹은 평문으로 선택하여 송신한 팩스 화상 정보를 착신측 팩스 장치가 사용자의 개입없이 암호문과 평문으로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신하기 위하여 착신측 팩스 장치 내부에 팩스 보호 모듈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팩스 보호 모듈 존재 여부의 검사 결과 팩스 보호 모듈을 보유하고 있으면 팩스 보호 모듈이 존재함을 알리는 비표준 설비 프레임을 생성하여 발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팩스 보호 모듈 존재 여부의 검사 결과 팩스 보호 모듈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팩스 보호 모듈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비표준 설비 프레임을 생성하여 발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비표준 설비 프레임을 발신측으로 전송한 후 발신측 팩스로부터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을 수신하고 검사하여 발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이 내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의 검사 결과 일반 팩스 장치에서 전송된 프레임이면 팩스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발신측 팩스 장치가 전송한 팩스 정보를 평문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표준 설비 설정 프레임의 검사 결과 팩스 보호 모듈을 가진 팩스 장치에서 전송된 프레임이면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의 전송 유형을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의 전송 유형의 검사 결과 평문 통신이면 팩스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발신측 팩스에서 전송한 팩스 정보를 평문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의 전송 유형의 검사 결과 암호화 통신이면 착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보호 모듈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 팩스 장치에 팩스 모듈이 존재하는지의 검사 결과 팩스 보호 모듈이 존재하면 팩스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면서 발신측 팩스 장치에서 전송한 암호화된 팩스 정보를 복호화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팩스 장치에 팩스 모듈이 존재하는지의 검사 결과 팩스 보호 모듈이 존재하지 않으면 회선 단락 신호를 발신측 팩스 장치로 전송하고 회선을 단락하여 회선을 단락시킨 이유를 착신측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 통신에서의 정보 송수신 방법.
KR1019960065756A 1996-12-14 1996-12-14 팩스 통신에서의 정보 송수신 방법 KR10022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756A KR100227790B1 (ko) 1996-12-14 1996-12-14 팩스 통신에서의 정보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756A KR100227790B1 (ko) 1996-12-14 1996-12-14 팩스 통신에서의 정보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280A KR19980047280A (ko) 1998-09-15
KR100227790B1 true KR100227790B1 (ko) 1999-11-01

Family

ID=1948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756A KR100227790B1 (ko) 1996-12-14 1996-12-14 팩스 통신에서의 정보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138A (ko) * 2002-04-03 2002-05-04 주식회사 컴섹 암호키 교환 방식의 팩시밀리용 암호단말기의 구성
KR100742323B1 (ko) * 2004-01-20 2007-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정규화 팩스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팩스데이터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280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3497A (ko) 팩시밀리용 전자 메일 변환 장치
CN100568801C (zh) 通过交换加密信息经网络安全传输数据的方法和对应装置
US6963419B2 (en) Facsimile apparatus and facsimile communication method
JPH07162692A (ja) 暗号通信方法および暗号通信のための端末装置
US7072062B2 (en) Server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287674B1 (ko) 통신방법
KR100227790B1 (ko) 팩스 통신에서의 정보 송수신 방법
JPH10200519A (ja) 通信端末装置
JP2007096580A (ja) Fax通信システム
JPH07250249A (ja) 通信機器
JP2002300411A (ja) 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JP3016686U (ja)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
JPH0370430B2 (ko)
JP377959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75880A (ja) 送達原稿秘匿方法
JPH10247904A (ja) 暗号化通信方法
JPH07170255A (ja) 暗号機能付通信装置
JPS6028359A (ja) 情報送信装置及び情報受信装置
JPH0913984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暗号通信方法
JPH10191069A (ja) 暗号通信端末装置
JPH0420074A (ja) 盗聴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34436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01642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810286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3347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