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370B1 -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370B1
KR100227370B1 KR1019950056280A KR19950056280A KR100227370B1 KR 100227370 B1 KR100227370 B1 KR 100227370B1 KR 1019950056280 A KR1019950056280 A KR 1019950056280A KR 19950056280 A KR19950056280 A KR 19950056280A KR 100227370 B1 KR100227370 B1 KR 100227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piston
piston rod
solenoid valv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223A (ko
Inventor
송호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56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370B1/ko
Publication of KR97003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accumulating utilisable energy, e.g. compress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2Activ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가,감속시나 제동시 또는 선회시 쇽업소버의 높이를 능동제어하여 안정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쇽업소버(10)에 피스톤(20)을 설치하고, 피스톤(20)에 피스톤 로드(21)를 형성하며, 피스톤 로드(21) 및 쇽업소버(10)에 플랜지(30)(40)를 형성하여 이들 플랜지(30)(40) 사이에 현가 스프링(50)을 설치하고, 플랜지(30)상에 실린더(60)를 설치하며, 또한 피스톤 로드(21)를 실린더(60)내에 위치시켜 피스톤 로드(21)의 상단에 피스톤(22)을 형성하고, 피스톤(22)의 하부에 스프링(70)을 설치하며, 아울러 실린더(60)의 상부 양측에 솔레노이드 밸브(80)(90)를 연결하고, 솔레노이드 밸브(80)에 유압탱크(100)를 연결하며, 유압탱크(100)에 다이어프램식 스위치(110)를 연결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90)에 유압탱크(120)를 연결하고, 유압탱크(100)(120)를 유압펌프(130)에 각기 연결하며, 한편 유압펌프(130)와 다이어프램식 스위치(110) 사이의 관로를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연결하고, 솔레노이드 밸브(80)(90)에 컨트롤 유니트(140)를 연결하며, 컨트롤 유니트(140)에는 밸런스 센서, 속도감지센서, 원심력 센서를 각기 연결하여 컨트롤 유니트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
제1도는 본 발명 쇽업소버의 능동제어를 위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쇽업소버 20,22 : 피스톤
21 : 피스톤 로드 30,40 : 플랜지
50,70 : 스프링 60 : 실린더
80,90 : 솔레노이드 밸브 100,120 : 유압탱크
110 : 다이어프램식 스위치 130 : 유압펌프
140 : 컨트롤 유니트
본 발명은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가,감속시나 제동시 또는 선회시 쇽업소버의 높이를 능동제어하여 안정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차량 주행시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차체를 일정한 높이로 탄력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차량의 주행상태에서 가,감속 또는 제동시나 선회시 차체에 로울링이 발생하므로 승차감을 해치고 안정감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가,감속이나 제동시 또는 선회시 차체의 로울링 등을 해소하고, 아울러 안정된 주행과 함께 승차감을 대폭 개선하는,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쇽업소버를 중공체로 하여 그 상단 내부에 피스톤을 설치하고, 피스톤에 피스톤 로드를 형성하며, 또한 피스톤 로드의 상단 및 쇽업소버의 상단부에 플랜지를 각기 형성하여 이들 플랜지 사이에 역원추형의 현가 스프링을 구성한다.
상기 플랜지상에 실린더를 설치하고 피스톤 로드를 실린더내에 위치시켜 피스톤 로드의 상단에 피스톤을 형성하며, 피스톤의 하부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의 상부 양측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각기 연결하고, 솔레노이드 밸브에 유압탱크를 연결하며, 유압탱크에 다이어프램식 스위치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솔레노이드 밸브에 유압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유압탱크를 유압펌프에 각기 연결하며, 또한 유압펌프와 다이어프램식 스위치 사이의 관로를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컨트롤 유니트를 연결하고, 컨트롤 유니트에는 밸런스 센서, 속도감지센서, 원심력 센서를 각기 연결하여 컨트롤 유니트에 감지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쇽업소버의 능동제어를 위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과 같이, 쇽업소버(10)를 중공체로 하여 그 상단 내부에 피스톤(20)을 설치하고, 피스톤(20)에 피스톤 로드(21)를 형성하며, 또한 피스톤 로드(21)의 상단 및 쇽업소버(10)의 상단부에 플랜지(30)(40)를 각기 형성하여 이들 플랜지(30)(40) 사이에 역원추형의 현가 스프링(50)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플랜지(30)상에 실린더(60)를 설치하고, 피스톤 로드(21)를 실린더(60)내에 위치시켜 피스톤 로드(21)의 상단에 피스톤(22)을 형성하며, 피스톤(22)의 하부에 스프링(70)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60)의 상부 양측에 솔레노이드 밸브(80)(90)를 각기 연결하고, 솔레노이드 밸브(80)에 유압탱크(100)를 연결하며, 유압탱크(100)에 다이어프램식 스위치(110)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솔레노이드 밸브(90)에 유압탱크(120)를 연결하고, 상기 유압탱크(100)(120)를 유압펌프(130)에 각기 연결하며, 또한 유압펌프(130)와 다이어프램식 스위치(110) 사이의 관로를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80)(90)에 컨트롤 유니트(140)를 연결하고, 컨트롤 유니트(140)에는 밸런스 센서, 속도감지센서, 원심력 센서를 각기 연결하여 컨트롤 유니트에 감지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도와 같이, 차량의 주행시 밸런스 센서, 속도감지센서, 원심력 센서로부터 컨트롤 유니트(140)에 감지신호가 각기 인가된다.
여기서 차량의 가,감속이나 급제동시 또는 선회시 차체에 기울어짐이나 로울링이 발생하고, 이 경우 컨트롤 유니트(140)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80)(90)로부터 실린더(60)내에 유압이 공급되며, 아울러 실린더(60)에 공급되는 가변유압에 의해 피스톤 로드(21)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현가 스프링(50)(70)을 능동적으로 압축,신장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쇽업소버를 능동적으로 압축,신장시킴으로써 차체의 흔들림이나 기울어짐 또는 로울링을 해소시켜 안정된 주행과 함께 승차감을 대폭 개선하는 잇점을 갖는다.

Claims (1)

  1. 중공체의 쇽업소버에 설치되고 양단에 피스톤을 포함하는 피스톤 로드; 쇽업소버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갖고 설치된 플랜지; 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상방의 플랜지에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의 상측 피스톤이 포함된 실린더;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된 유압탱크; 유압탱크에 연결된 유압펌프; 일측 유압탱크 및 유압펌프 사이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식 스위치;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고 밸런스 센서, 속도감지센서, 원심력 센서가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쇽업소버의 구동력을 능동적으로 결정하는 컨트롤 유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
KR1019950056280A 1995-12-26 1995-12-26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 KR100227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6280A KR100227370B1 (ko) 1995-12-26 1995-12-26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6280A KR100227370B1 (ko) 1995-12-26 1995-12-26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223A KR970034223A (ko) 1997-07-22
KR100227370B1 true KR100227370B1 (ko) 1999-11-01

Family

ID=1944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6280A KR100227370B1 (ko) 1995-12-26 1995-12-26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3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223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9966A (en) Actively controlled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with improved damping characteristics
US5149131A (en) Hydraulic damping device for vehicles
JPS60234015A (ja) 車両のばね装置の硬さ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EP0249227B1 (en) Actively controlled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with mutually independent hydraulic systems having mutually different damping characteristics for improving response characteristics in active suspension control
US4867476A (en) Shock absorber unit
US4900056A (en) Hydraulic cylinder assembly for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and actively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utilizing same
US4856815A (en)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KR950017279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S59137206A (ja) 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100227370B1 (ko) 능동제어를 위한 차량용 쇽업소버
JPH048246B2 (ko)
JPS5934908A (ja) ハイドロニユ−マチツク懸架装置
JPH06183240A (ja) 車両の揺動減衰装置
JP2506331B2 (ja) 能動制御型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970034277A (ko) 2단스프링 상수 가변식 전자제어 현가장치
JPS6240204B2 (ko)
JP2503240B2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JP2619047B2 (ja) サスペンションの圧力制御装置
JPS61202908A (ja) 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3000253B2 (ja) 車両用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S6220325Y2 (ko)
JP2591671Y2 (ja) 車両用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717526Y2 (ja) 流体圧式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
JPH06171337A (ja) 車両用懸架装置
JPH0454710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