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360B1 - 후드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후드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360B1
KR100227360B1 KR1019950047807A KR19950047807A KR100227360B1 KR 100227360 B1 KR100227360 B1 KR 100227360B1 KR 1019950047807 A KR1019950047807 A KR 1019950047807A KR 19950047807 A KR19950047807 A KR 19950047807A KR 100227360 B1 KR100227360 B1 KR 100227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wire
drum
driving means
driv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1578A (ko
Inventor
김윤창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360B1/ko
Publication of KR97004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1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적석에도 쉽게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후드의 안쪽과 전면패널의 상부면에 2절 링크의 양끝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이것의 관절부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동시에 자체 회전량 조절이 가능한 구동수단과 기어치합된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의 끝단을 연결하여, 구동수단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와이어를 잡아당기거나 풀리게 하여, 운전석에서 스위치 작동만으로 후드 개폐가 가능한 후드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후드 자동 개폐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수단 11,22 : 기어부
20 : 드럼 21 : 와이어
30 : 2절 링크 31 : 관절부
40 : 후드 50 : 측면패널
본 발명은 후드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면패널의 상부면과 후드의 안쪽면에 각각 2절 링크의 각 끝단을 힌지고정하고, 이 2절 링크의 관절부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동시에 자체 회전량 조절이 가능한 구동수단과 치합된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의 끝단을 연결하여, 드럼과 치합된 구동수단이 정역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풀림/감김으로 후드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후드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 후드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크래쉬 패드의 저부에 설치된 후드 오픈 핸들을 잡아당겨 전면패널의 랫치가 후드의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되게 하고, 이어 후드를 일정한 높이까지 들어올린 후 전면패널로부터 지지대를 들어 올려 그 끝단이 후드패널의 안쪽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게 하여 후드를 개방시켰다.
본 발명은 목적은 운전석에도 쉽게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후드의 안쪽과 측면패널의 상부면에 2절 링크의 양끝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이것의 관절부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동시에 자체 회전량 조절이 가능한 구동수단과 기어치합된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의 끝단을 연결하여, 구동수단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와이어를 잡아당기거나 풀리게 하여, 운전석에서 스위치 작동만으로 후드 개폐가 가능한 후드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동시에 자체 회전량 조절이 가능한 구동수단(10)과, 와이어(21)가 감겨져 있으면서 상기 구동수단(10)과 기어치합되어 연동되는 드럼(20)과, 후드(40)의 저면 및 측면패널(50)의 상부면에 각각 일단이 힌지고정된 2절 링크(3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2절 링크(30)는 관절부(31)에 상기 와이어(21)의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구동수단(10)이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힌지고정된 양단을 잇는 직선형태로 펼쳐지면서 후드(4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수단(10)은 서보모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절 링크(30)는 관절부(31)를 중심으로 후드(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40은 후드를, 50은 후드의 한쪽 테두리부가 고정설치되는 측면패널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정역회전되면서 회전량 조절이 가능한 구동수단(10)과, 와이어(21)가 감겨져 있으면서 이것(10)과 기어 치합된 드럼(20)과, 관절부(31)에 상기 와이어(21)가 고정된 2절 링크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구동수단(10)을 구동시킴에 따라 와이어(21)가 드럼(20)에 감기면서 상기 2절 링크(30)를 펼쳐지게 하여 상기 후드(40)를 운전석에서도 쉽게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10)은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면서 그 회전되는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서브모터가 이용되며, 이것(10)의 축에는 기어부(11)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구동수단(10)의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량은 후술하는 와이어(21)가 2절 링크(30)를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상태의 각도량을 조절하여 미리 셋팅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10)은 후드(40)를 닫는 경우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정방향회전으로 감겨진 드럼(20)의 와이어(21)를 적절하게 풀어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동수단(10)은 상기 측면패널(50)의 앞쪽으로 설치되어,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일정한 범위내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정해진 범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는 정지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어부(11)에는 후술하는 드럼(20)의 기어부(11)와 치합되어 연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드럼(20)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와이어(21)가 감겨져 있다. 또한, 상기 드럼(20)의 상부면에는 기어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럼(20)은 상기 구동수단(10)과 나란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각 기어부(11),(22)가 서로 치합연동되게 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1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드럼(20)은 이것(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와이어(21)를 풀어주거나 감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드럼(20)의 외주면에 감겨진 와이어(21)의 다른 일단에는 2절 관절(30)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2절 링크(3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두개의 관절이 하나의 관절부(31)를 공유하면서 양 끝단에는 후드(40)의 안쪽면과 측면패널(50)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2절 링크(30)은 상기 와이어(21)가 관절부(31)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드럼(20)에 와이어(21)가 점차적으로 감기게 되면 와이어(21)의 장력을 받아 관절부(31)가 전방으로 잡아당겨지면서 펼쳐지게 된다.
특히, 상기 2절 링크(30)은 그 관절부(31)가 상기 측면패널(50)상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여, 상기 후드(40)가 개폐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관절부(31)가 그 양끝단보다 안쪽, 즉 후드(40)의 힌지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10)이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이것(10)과 치합연동된 드럼(2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여기(20)에 감겨진 와이어(21)가 상기 관절부(21)를 전면으로 잡아당기게 되어 상기 2절 링크(30)은 앞으로 펼쳐지게 되면서 이것(30)의 일단과 힌지고정된 후드(4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개방된 후드(40)를 닫기 위해서는 개방된 후드(40)의 선단을 잡아 일정한 외력을 가하면서 운전석의 역방향회전 스위치(미도시됨)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2절 링크(30)의 관절부(31)는 다시 안쪽으로 접혀지면서 후드(40)가 아랫방향으로 접혀지게 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10)이 작동되어 상기 와이어(21)를 다시 드럼(29)에 감기면서 닫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수단(10)의 기어부(11)가 맞물림이 해재되는 것을 이용하여 후드(4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후드(40)를 닫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동수단(10)은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그 기어부(11)가 상기 드럼(20)의 기어부(22)와의 맞물림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하고, 상기 드럼(20)의 내부에는 구동수단(20)의 구동으로 풀려진 와이어(21)가 다시 감겨질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미도시됨)을 내장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드(40)를 아래로 내림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10)의 기어부(11)가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이면서 기어치합된 상기 드럼(20)의 기어부(22)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드럼(20)에 감겨진 와이어(21)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다시 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2절 링크(30)은 후드(40)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면서 닫혀진 상태로 놓여짐에 따라 원래대로 접혀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수단과 드럼간에 기어부가 치합연동됨에 따라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를 이용하여, 후드 및 측면패널에 설치된 2절 관절을 작동시켜, 후드를 개폐할 수 있게 함으로써, 후드의 개폐에 따른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정역회전이 가능한 동시에 자체 회전량 조절이 가능한 구동수단(10)과, 와이어(21)가 감겨져 있으면서 상기 구동수단(10)과 기어치합되어 연동되는 드럼(20)과, 후드(40)의 저면 및 측면패널(50)의 상부면에 각각 일단이 힌지고정된 2절 링크(3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2절 링크(30)는 관절부(31)에 상기 와이어(21)의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구동수단(10)이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힌지고정된 양단을 잇는 직선형태로 펼쳐지면서 후드(4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자동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0)은 서보모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자동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절 링크(30)는 관절부(31)를 중심으로 후드(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자동 개폐장치.
KR1019950047807A 1995-12-08 1995-12-08 후드 자동 개폐장치 KR100227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807A KR100227360B1 (ko) 1995-12-08 1995-12-08 후드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807A KR100227360B1 (ko) 1995-12-08 1995-12-08 후드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578A KR970041578A (ko) 1997-07-24
KR100227360B1 true KR100227360B1 (ko) 1999-11-01

Family

ID=1943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7807A KR100227360B1 (ko) 1995-12-08 1995-12-08 후드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145B1 (ko) * 2002-07-03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 각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145B1 (ko) * 2002-07-03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 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578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8722B2 (en) Spa cover lifter
KR101378726B1 (ko) 측면윈도우 롤러블라인드
JP2621129B2 (ja) 洗濯機のドア開閉装置
EP0816150B1 (en) Motorized sun screen for covering a vehicle window
US4997021A (en) Collapsible awning
JP2006516693A (ja) ヒンジ
CN107620432B (zh) 一种全自动遮阳蓬
KR100227360B1 (ko) 후드 자동 개폐장치
JP4171893B2 (ja) 少なくとも1個のリッドと2個の被覆装置を備えた開放可能な車両ルーフ
JPH0420817B2 (ko)
KR20020019366A (ko) 차량 부설용 출몰식 우산
KR102004942B1 (ko) 가변형 구조의 주차천막 장치
JP3619789B2 (ja) 日除け装置の開閉操作機構
KR20190082649A (ko) 접이식 어닝(Awning)의 개폐작동장치
KR200244033Y1 (ko)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JP4087525B2 (ja) 縦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EP0368405A2 (en) Electrically operated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KR0139471B1 (ko) 차량용 시이트 높이 조절장치
JPH01288214A (ja) カーテン開閉装置
JPS6231516A (ja) 自動車の開閉屋根装置
JPH0437199Y2 (ko)
JPH0424387A (ja) シャッタの引上力調整装置と引上力調整治具
JPS638514Y2 (ko)
KR200330126Y1 (ko) 휠체어 카 리프트장치
KR200153924Y1 (ko)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