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123B1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123B1
KR100227123B1 KR1019970058181A KR19970058181A KR100227123B1 KR 100227123 B1 KR100227123 B1 KR 100227123B1 KR 1019970058181 A KR1019970058181 A KR 1019970058181A KR 19970058181 A KR19970058181 A KR 19970058181A KR 100227123 B1 KR100227123 B1 KR 100227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nent
parts
polycarbonate res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454A (ko
Inventor
황진구
이승욱
Original Assignee
이영일
호남석유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일, 호남석유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일
Priority to KR101997005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12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약품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의 두께의존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강성 및 충격강도가 조화를 이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유동성 및 내약품성을 개선하고, 충격강도의 두께 의존성을 낮추기 위하여,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B)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배합하고, 이들 사이의 상용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C)반응성기가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성물의 강성 및 내열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무기충진재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배합으로 인한 충격강도의 저하를 막기 위하여 열가소성 탄성체 등의 고무성분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약품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의 두께의존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강성 및 충격강도가 조화를 이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충격강도,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성형수축율이 작기 때문에,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기, 전자분야, 정밀기계분야, 자동차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강산 및 강알칼리에 접촉시 쉽게 분해되어 내약품성이 약하며, 유동성이 떨어지고, 충격강도의 두께의존성이 크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가 지니는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아크릴 고무 등의 고무계열의 수지를 배합하거나(예를 들면, 한국특허 공고 제 91-7597호 및 한국특허 공개 94-14646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와의 얼로이(미국특허 제 3,130,177호, 제 4,218,544호, 제 4,472,554호, 제 4,515,921호, 제 4,522,979호, 제 4,526,926호, 제4,554,315호, 제 4,564,654호, 제 4,603,169호 등),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나일론 수지와의 얼로이(일본특허 공개 소 59-68368호)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얼로이의 물성은 구성 수지들 물성의 혼합법칙을 벗어나지 못하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나 나일론 수지가 갖는 약한 내약품성 등의 단점을 그대로 지니고 있으며, 유동성, 충격강도의 두께 의존성, 강성 등의 물성들이 조화를 이루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들에 있어서의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약품성과 유동성을 개선하고, 충격강도의 두께 의존성을 감소시키고, 강성과 충격강도가 조화를 이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B)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배합하고, 이들 사이의 상용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C)반응성기가 도입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내약품성과 유동성 및 충격강도의 두께 의존성을 개선할 수 있었으며, 여기에 (D)무기충진재를 배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강성과 내열성을 증대시킬 수 있었으며, 나아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무기충진재의 배합으로 인한 충격강도의 저하를 막기 위하여 (E)열가소성 탄성체 등의 고무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약품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의 두께 의존성이 낮으며, 강성과 충격강도가 조화를 이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발견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약품성 및 충격강도의 두께의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적절하게 혼합되어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들 사이의 상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반응성기가 도입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강성과 충격강도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무기충진재와 고무성분의 첨가량을 적절한 범위로 조절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성분들 :
(A) 질량평균분자량이 10,000~100,000의 범위에 있고, 용융지수가 2~25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0~70중량부;
(B) 용융지수가 0.5~60g/10분(230℃, 2.16㎏f)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용융지수가 0.01~20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와의 혼합물로서, 폴리에틸렌에 대한 폴리프로필렌의 중량비가 2~10의 범위에 있는 폴리올레핀 수지 20~70중량부;
(C) 폴리올레핀 수지에 극성기 또는 반응성기를 함유한 단량체가 그라프트되어 이루어진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10중량부;
(D) 무기충진재 1~25중량부; 및
(E) 열가소성 탄성체 1~25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A)성분으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질량평균분자량이 10,000~100,000, 바람직하게는 15,000~35,000의 범위에 있고, 용융지수가 2~25g/10분(300℃, 1.2㎏f), 바람직하게는 4~16g/10분(300℃, 1.2㎏f)의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한다. 전체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강성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열성 등이 우수해지고 낮은 성형수축율을 보이는 반면, 충격강도의 두께의존성이 커지고, 유동성이 저하되며, 내약품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0~7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5~65중량부의 함량으로 배합된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 증가에 따른 충격강도의 두께의존성 및, 유동성과 내약품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B)성분으로서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폴리에틸렌 수지와의 혼합물로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물 제조시 압출기 내에서의 유동성의 차이에 따른 최종 블렌드물의 형태학적인 구조 변화를 줄이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지수는 (A)성분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지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를 위하여, 용융지수가 0.5~60g/10분(230℃, 2.16㎏f), 바람직하게는 1.5~25g/10분(230℃, 2.16㎏f)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용융지수가 0.01~20g/10분(190℃, 2.16㎏f), 바람직하게는 0.1~10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가, 폴리에틸렌에 대한 폴리프로필렌의 중량비가 2~10, 바람직하게는 3~9로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구성된 폴리올레핀 수지는 20~7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5~65중량부의 함량으로 배합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나, 1~20몰%, 바람직하게는 6~18몰%의 에틸렌과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며, 공중합체 자체의 높은 충격강도, 및 혼합첨가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및 (E)성분으로서 첨가되는 열가소성 탄성체와의 높은 상용성을 고려하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틸렌 수지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나, 탄소수 3~10의 알파올레핀, 특히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과의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서, (A)성분과 (B)성분간의 상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C)성분으로서의 극성기 또는 반응성기가 도입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말레인산 무수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옥사졸린(oxazoline), 스티렌 등의 단량체가,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질량기준 0.1~7%, 바람직하게는 1~6%의 그라프트율로 그라프트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C)성분의 상용화 효과는 반응성기에 의한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의 화학적 반응 또는 물리적 친화성과, 반응성기가 그라프트되어 있는 폴리올레핀 사슬과 (B)폴리올레핀 수지와의 물리적 친화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통상의 그라프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즉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그라프트 반응 개시제 0.05~1.0중량부 및 반응성기를 가진 단량체 0.1~3.0중량부를 배합한 후,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훈련압출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라프트 반응 개시제로는 유기과산화물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릴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3-헥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제조된 (C)성분은 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7중량부의 함량으로 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완성된 수지 조성물의 강성 및 내열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D)성분으로서 무기충진재를 첨가한다. 무기충진재로는 탈크, 실리카, 유리섬유, 유리박편, 카본블랙, 황산칼륨, 탄산칼슘, 규산칼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석면, 활석, 점토, 운모, 석영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함량 증가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강성의 증가가 뚜렷한 탈크와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향은 탈크에 비해 유리섬유의 경우 현저한 증가를 볼 수 있으나,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강성과 충격강도 사이에의 적절한 조화를 위해서는 탈크나 유리섬유의 첨가량을 적절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D)성분으로서 탈크나 유리섬유 등의 무기충진재는 1~2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의 함량으로 배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탈크는 평균입도가 1~30㎛, 바람직하게는 5~10㎛인 것이며, 유리섬유는 직경이 10~30㎛이고, 길이가 3~10㎜, 바람직하게는 5~7㎜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B)폴리올레핀계 수지와 (D)무기충진재의 배합으로 인한 충격강도의 저하를 막기 위하여, 즉 강성과 충격강도 사이에의 적절한 조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E)성분으로서 열가소성 탄성체를 첨가한다. 열가소성 탄성체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장측쇄의 옥텐기에 의해 충격강도의 개선효과가 현저하고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강성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로는 옥텐 함량이 10~30%, 바람직하게는 23~25%이고, 용융지수가 0.5~8g/10분(190℃, 2.16㎏f)이며, 밀도가 0.868~ 0.885g/cc인 것(듀폰-다우 일레스토머사의 ENGAGE 시리즈)을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성과 충격강도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기충진재와 고무성분의 첨가량을 적절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E)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탄성체는 1~2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의 함량으로 배합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다음의 시험법에 의해 조성물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1) 용융지수 :
ASTM D-1238의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300℃, 1.2㎏f에서, 폴리에틸렌 수지는 190℃, 2.16㎏f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230℃, 2.16㎏f에서 측정하였으며,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250℃, 10㎏f에서 측정하였다.
(2) 굴곡탄성율 및 굴곡강도 :
ASTM D-790의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편규격은 12.7×127×6.4㎜이며, 시험조건에서 크로스헤드(Crosshead)의 속도는 28㎜/분이었다.
(3) Izod 충격강도 :
ASTM D-256의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충격강도의 두께 의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편규격(노치 있음)은 63.5×12.7×3㎜와 63.5×12.7×6㎜ 두가지 종류를 사용하였다.
(4) 내약품성 :
내약품성은 50×10×1㎜의 시편을 20℃에서 황산과 30%의 수산화암모늄 용액 100cc 중에 7일간 침적한 후, 외관 및 중량변화를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중량변화는 0~1.5%, 1.5~5%, 5~10%, 10~50%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각 ◎, ○, △, ×으로 표시하였고, 외관변화가 없을 경우는 n으로, 극소로 착색되었을 경우는 Ic로, 강하게 착색되었을 경우는 fc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5
(A)성분으로서 질량평균분자량이 23,000이고, 용융지수가 10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중량부에, (B)성분으로서 용융지수가 0.5, 1.5, 4, 8, 25g/10분(230℃, 2.16㎏f)이고, 에틸렌 함량이 6.2~6.9몰%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25중량부와, 용융지수가 0.35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 5중량부, (C)성분으로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5중량부, (D)성분으로서 평균직경이 7㎛인 탈크 10중량부, 및 (E)성분으로서 옥텐 함량이 25%이고, 용융지수가 0.5g/10분(190℃, 2.16㎏f)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10중량부를 배합한 후, 헨셀믹서로 3분간 혼합하여 압출기로 230~260℃에서 압출, 냉각, 고화시켜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의 물성을 상기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9
(A)성분으로서 질량평균분자량이 23,000이고, 용융지수가 10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각각 25, 35, 50, 55중량부에, (B)성분으로서 용융지수가 1.5g/10분(230℃, 2.16㎏f)이고, 에틸렌 함량이 6.8%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각각 45, 35, 20, 15중량부와, 용융지수가 0.35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 5중량부, (C)성분으로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5중량부, (D)성분으로서 평균직경이 7㎛인 탈크 10중량부, 및 (E)성분으로서 옥텐 함량이 25%이고, 용융지수가 0.5g/10분(190℃, 2.16㎏f)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10중량부를 배합한 후, 헨셀믹서로 3분간 혼합하여 압출기로 230~260℃에서 압출, 냉각, 고화시켜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의 물성을 상기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12
(A)성분으로서 질량평균분자량이 23,000이고, 용융지수가 10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중량부에, (B)성분으로서 용융지수가 1.5g/10분(230℃, 2.16㎏f)이고, 에틸렌 함량이 6.7%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각각 20, 23, 27중량부와, 용융지수가 0.35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 각각 10, 7, 3중량부, (C)성분으로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5중량부, (D)성분으로서 평균직경이 7㎛인 탈크 10중량부, 및 (E)성분으로서 옥텐 함량이 25%이고, 용융지수가 0.5g/10분(190℃, 2.16㎏f)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10중량부를 배합한 후, 헨셀믹서로 3분간 혼합하여 압출기로 230 ~ 260℃에서 압출, 냉각, 고화시켜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의 물성을 상기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17
(A)성분으로서 질량평균분자량이 23,000이고, 용융지수가 10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중량부에, (B)성분으로서 용융지수가 1.5g/10분(230℃, 2.16㎏f)이고, 에틸렌 함량이 6.8%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각각 29, 27, 23, 21, 20중량부와, 용융지수가 0.35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 5중량부, (C)성분으로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각각 1, 3, 7, 9, 10중량부, (D)성분으로서 평균직경이 7㎛인 탈크 10중량부, 및 (E)성분으로서 옥텐 함량이 25%이고, 용융지수가 0.5g/10분(190℃, 2.16㎏f)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10중량부를 배합한 후, 헨셀믹서로 3분간 혼합하여 압출기로 230~260℃에서 압출, 냉각, 고화시켜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의 물성을 상기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8~22
(A)성분으로서 질량평균분자량이 23,000이고, 용융지수가 10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중량부에, (B)성분으로서 용융지수가 1.5g/10분(230℃, 2.16㎏f)이고, 에틸렌 함량이 6.8%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각각 34, 30, 22, 20, 15중량부와, 용융지수가 0.35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 5중량부, (C)성분으로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5중량부, (D)성분으로서 평균직경이 7㎛인 탈크 각각 1, 5, 13, 15, 20중량부, 및 (E)성분으로서 옥텐 함량이 25%이고, 용융지수가 0.5g/10분(190℃, 2.16㎏f)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10중량부를 배합한 후, 헨셀믹서로 3분간 혼합하여 압출기로 230~260℃에서 압출, 냉각, 고화시켜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의 물성을 상기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3~27
(A)성분으로서 질량평균분자량이 23,000이고, 용융지수가 10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중량부에, (B)성분으로서 용융지수가 1.5g/10분(230℃, 2.16㎏f)이고, 에틸렌 함량이 6.8%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각각 34, 30, 25, 20, 15중량부와, 용융지수가 0.35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 5중량부, (C)성분으로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5중량부, (D)성분으로서 평균직경이 25㎛이고, 길이가 7㎜인 유리섬유 각각 1, 5, 10, 15, 20중량부, 및 (E)성분으로서 옥텐 함량이 25%이고, 용융지수가 0.5g/10분(190℃, 2.16㎏f)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10중량부를 배합한 후, 헨셀믹서로 3분간 혼합하여 압출기로 230~260℃에서 압출, 냉각, 고화시켜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의 물성을 상기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8~32
(A)성분으로서 질량평균분자량이 23,000이고, 용융지수가 10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중량부에, (B)성분으로서 용융지수가 1.5g/10분(230℃, 2.16㎏f)이고, 에틸렌 함량이 6.8%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각각 34, 30, 22, 20, 15중량부와, 용융지수가 0.35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 5중량부, (C)성분으로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5중량부, (D)성분으로서 평균직경이 7㎛인 탈크 10중량부, 및 (E)성분으로서 옥텐 함량이 25%이고, 용융지수가 0.5g/10분(190℃, 2.16㎏f)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각각 1, 5, 13, 15, 20중량부를 배합한 후, 헨셀믹서로 3분간 혼합하여 압출기로 230~260℃에서 압출, 냉각, 고화시켜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의 물성을 상기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A)성분으로서 질량평균분자량이 23,000이고, 용융지수가 10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B), (C), (D), (E) 성분들은 배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조성물의 물성은 상기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A)성분으로서 질량평균분자량이 23,000이고, 용융지수가 10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중량부에, (B)성분으로서 용융지수가 1.5g/10분(230℃, 2.16㎏f)이고, 에틸렌 함량이 6.8%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55중량부를 배합하고, (C), (D), (E) 성분들은 배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조성물의 물성은 상기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A)성분으로서 질량평균분자량이 23,000이고, 용융지수가 10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중량부에, (B)성분으로서 용융지수가 1.5g/10분(230℃, 2.16㎏f)이고, 에틸렌 함량이 6.8%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35중량부와, 용융지수가 0.35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 5중량부, (C)성분으로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5중량부, 및 (D)성분으로서 평균직경이 7㎛인 탈크 10중량부를 배합하고, (E)성분은 배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조성물의 물성은 상기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A)성분으로서 질량평균분자량이 23,000이고, 용융지수가 10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중량부에, (B)성분으로서 용융지수가 1.5g/10분(230℃, 2.16㎏f)이고, 에틸렌 함량이 6.8%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35중량부와, 용융지수가 0.35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 5중량부, (C)성분으로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5중량부, 및 (E)성분으로서 옥텐 함량이 25%이고, 용융지수가 0.5g/10분(190℃, 2.16㎏f)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10중량부를 배합하고, (D)성분은 배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조성물의 물성은 상기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중량부 용융지수(g/10분) Izod 충격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내약품성
A B* C D E 3㎜ 6㎜ 산성 염기성
실시예 1 45 25/5 5 10 10 43 47 45 568 19,800 n◎ n◎
2 45 25/5 5 10 10 55 58 58 576 20,600 n◎ n◎
3 45 25/5 5 10 10 78 50 50 571 20,500 n◎ n◎
4 45 25/5 5 10 10 108 39 36 574 20,300 n◎ n◎
5 45 25/5 5 10 10 230 28 25 575 21,000 n◎ n◎
6 25 45/5 5 10 10 57 43 40 534 19,100 n◎ n◎
7 35 35/5 5 10 10 55 51 47 561 20,100 n◎ n◎
8 50 20/5 5 10 10 56 65 60 632 21,500 n◎ n◎
9 55 15/5 5 10 10 54 72 69 670 22,100 Ic○ Ic○
10 45 20/10 5 10 10 53 65 64 564 20,100 n◎ n◎
11 45 23/7 5 10 10 54 62 60 570 20,300 n◎ n◎
12 45 27/3 5 10 10 57 55 55 580 20,900 n◎ n◎
13 45 29/5 1 10 10 49 50 48 574 20,200 n◎ n◎
14 45 27/5 3 10 10 52 56 53 575 20,300 n◎ n◎
15 45 23/5 7 10 10 65 58 57 575 20,500 n◎ n◎
16 45 21/5 9 10 10 70 57 54 570 20,400 n◎ n◎
17 45 20/5 10 10 10 81 55 52 565 20,000 n◎ n◎
18 45 34/5 5 1 10 55 75 70 530 18,400 n◎ n◎
19 45 30/5 5 5 10 56 64 62 551 19,200 n◎ n◎
20 45 22/5 5 13 10 59 53 51 588 21,000 n◎ n◎
21 45 20/5 5 15 10 62 45 40 601 24,400 n◎ n◎
22 45 15/5 5 20 10 65 40 35 665 27,700 n◎ n◎
23 45 34/5 5 1 10 58 63 59 583 19,200 n◎ n◎
24 45 30/5 5 5 10 57 42 37 625 25,700 n◎ n◎
25 45 25/5 5 10 10 55 36 36 835 35,000 n◎ n◎
26 45 20/5 5 15 10 52 24 23 920 49,000 n◎ n◎
27 45 15/5 5 20 10 58 20 18 1100 62,000 n◎ n◎
28 45 34/5 5 10 1 61 32 32 635 23,700 n◎ n◎
29 45 30/5 5 10 5 59 44 40 604 21,500 n◎ n◎
30 45 22/5 5 10 13 56 63 57 557 20,000 n◎ n◎
31 45 20/5 5 10 15 53 72 71 537 18,600 n◎ n◎
32 45 15/5 5 10 20 51 80 74 495 17,900 n◎ n◎
비교예 1 100 0 0 0 0 10** 78 47 796 20,100 fc× fc×
2 45 55/0 0 0 0 64 39 34 504 17,200 n◎ n◎
3 45 35/5 5 10 0 67 15 10 642 24,500 n◎ n◎
4 45 35/5 5 0 10 68 80 75 504 15,100 n◎ n◎
(주) * (B)성분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수지의 중량부로 나타내었다.** 용융지수의 측정조건은 300℃, 1.2㎏f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충격강도의 두께의존성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강성과 충격강도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 성분들 :
    (A) 질량평균분자량이 10,000~100,000의 범위에 있고, 용융지수가 2~25g/10분(300℃, 1.2㎏f)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0~70중량부;
    (B) 용융지수가 0.5~60g/10분(230℃, 2.16㎏f)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용융지수가 0.01~20g/10분(190℃, 2.16㎏f)인 폴리에틸렌 수지와의 혼합물로서, 폴리에틸렌에 대한 폴리프로필렌의 중량비가 2~10의 범위에 있는 폴리올레핀 수지 20~70중량부;
    (C) 폴리올레핀 수지에 극성기 또는 반응성기를 함유한 단량체가 그라프트되어 이루어진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10중량부;
    (D) 무기충진재 1~25중량부; 및
    (E) 열가소성 탄성체 1~25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B)성분 중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에틸렌 함량이 1~20몰%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C)성분으로서의 극성기 또는 반응성기가 도입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말레인산 무수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옥사졸린(oxazoline) 및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가 질량기준 0.1~7%의 그라프트율로 그라프트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D)성분으로서의 무기충진재는 평균입도가 1~30㎛인 탈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D)성분으로서의 무기충진재는 직경이 10~30㎛이고, 길이가 3~10㎜인 유리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E)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탄성체는, 옥텐 함량이 10~30%이고, 용융지수가 0.5~8g/10분(190℃, 2.16㎏f)이며, 밀도가 0.868~ 0.885g/cc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9970058181A 1997-11-05 1997-11-0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227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181A KR100227123B1 (ko) 1997-11-05 1997-11-0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181A KR100227123B1 (ko) 1997-11-05 1997-11-0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54A KR19990038454A (ko) 1999-06-05
KR100227123B1 true KR100227123B1 (ko) 1999-10-15

Family

ID=1952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181A KR100227123B1 (ko) 1997-11-05 1997-11-0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1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4328A (zh) * 2013-02-21 2014-08-27 第一毛织株式会社 具有优良冲击强度的导热聚碳酸酯树脂组合物
KR20150022368A (ko) 2013-08-23 2015-03-04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60075594A (ko) * 2013-11-22 2016-06-29 트린세오 유럽 게엠베하 폴리카보네이트 함유 조성물
US10066102B2 (en) 2013-11-22 2018-09-04 Trinseo Europe Gmbh Polycarbonate containing composition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4328A (zh) * 2013-02-21 2014-08-27 第一毛织株式会社 具有优良冲击强度的导热聚碳酸酯树脂组合物
KR20150022368A (ko) 2013-08-23 2015-03-04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60075594A (ko) * 2013-11-22 2016-06-29 트린세오 유럽 게엠베하 폴리카보네이트 함유 조성물
US9708488B2 (en) 2013-11-22 2017-07-18 Trinseo Europe Gmbh Polycarbonate containing compositions
KR101890500B1 (ko) * 2013-11-22 2018-08-21 트린세오 유럽 게엠베하 폴리카보네이트 함유 조성물
US10066102B2 (en) 2013-11-22 2018-09-04 Trinseo Europe Gmbh Polycarbonate containing compositions
US10550265B2 (en) 2013-11-22 2020-02-04 Trinseo Europe Gmbh Polycarbonate contain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54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8172B2 (en) Glass fiber reinforced propylene polymer graft composition
CA1156787A (en) Polybutylene modified masterbatches for impact resistant polypropylene
KR100196968B1 (ko)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올레핀계 고무 물질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블렌드
CA2087486C (en) Blends for enhancing properties of vinyl aromatic-conjugated diene block copolymers
EP0124879B1 (en) Acetal resin composition
KR100227123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H0559143B2 (ko)
KR100258892B1 (ko) 내충격성 수지조성물
JP3315425B2 (ja) 耐衝撃性グラフトコポリマー
KR100257835B1 (ko) 내충격성이우수한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KR100625306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0290079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자동차 범퍼 커버용 수지 조성물
JPS5816764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058446A (ja) 無機充填剤含有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DE4202108A1 (de) Schlagzaehe polymerlegierungen
WO2004029114A1 (ja) ゴム強化ビニル系樹脂、ゴム強化ビニル系樹脂の製造方法、ゴム強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960007315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EP043049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polymeric material
KR0182360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S6329897B2 (ko)
EP0582223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H082733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0615982A2 (en) Modified alpha-olefin polymer having tertiary carbon in side chain, and stretched film produced thereof
KR930004287B1 (ko) 나일론계 고강도 다성분 고분자 조성물
KR100224294B1 (ko) 염색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