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278B1 - 다기능 중장비 - Google Patents

다기능 중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278B1
KR100226278B1 KR1019970006819A KR19970006819A KR100226278B1 KR 100226278 B1 KR100226278 B1 KR 100226278B1 KR 1019970006819 A KR1019970006819 A KR 1019970006819A KR 19970006819 A KR19970006819 A KR 19970006819A KR 100226278 B1 KR100226278 B1 KR 10022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case
heavy equipment
rotatably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9659A (ko
Inventor
장선오
Original Assignee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니헬샴
Priority to KR1019970006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278B1/ko
Priority to CN97108750A priority patent/CN1191917A/zh
Priority to JP9365828A priority patent/JPH10245867A/ja
Priority to DE19757383A priority patent/DE19757383A1/de
Publication of KR1998006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2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making embankments; for back-filling
    • E02F5/223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making embankments; for back-filling for back-filling
    • E02F5/22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making embankments; for back-filling for back-filling with means for processing the soil, e.g. screening belts, separators; Padd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E02F3/964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of several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1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with the axis being horizontal and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trav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ith telescopic dipper-arm or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7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ejecting or other unload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78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with rotating digging elements
    • E02F3/783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with rotating digging elements having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2Conveying equipment mounted on a dredger
    • E02F7/026Conveying equipment mounted on a dredger mounted on machines equipped with dipper- or bucket-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Shovel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중장비에 관한 것으로, 하부주행체 상방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 소정형상의 운전실이 장착되는 하부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 상면 소정위치에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에 버킷이 장착되는 소정형상의 작업장치와, 상기 하부프레임 전면부에 구동수단 구동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피파쇄물을 흡입 및 파쇄후 이송수단 구동으로 상기 하부프레임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크러셔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중장비
본 발명은 다기능 중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건설장비에 장착되는 굴삭기, 도우저 및 크러셔(CRUSHER)각각의 기능을 갖는 작업장치의 복합적인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의 복합적인 작업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중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도우저 및 크러셔 등의 건설중장비는 단일 기능을 갖는 작업장치를 각각 구비하게 되어 일정한 작업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복합적인 작업을 수행할수 없게 되는 것이다.
즉 굴삭기는 굴삭 및 상차작업을 주로 하게 되며, 작업장치의 선회시 하부주행체에 대해 상부선회체 전체가 회전하게 되어 필요이상의 동력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암의 하단부에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어태치먼트를 탈장착하는 도중에 값비싼 건설중장비를 정지시켜야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도우저는 블레이드의 앵글 및 틸팅조작으로 주로 평지에서의 정지작업 및 분배작업을 하게 되어 복합작업을 요구하는 경우에 장비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크러셔는 작업장 소정위치에 작업장치가 고정되어 채석장에서 채취되는 석재 및 폐콘크리트 등을 파쇄하여 배출시키는 작업을 주로 하게되어, 장비의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이 단일기능을 갖는 장비가 갖게 되는 비효율성을 감안하여 복합적인 장비를 제품화하지 못하는 가장 큰 장애요인은, 굴삭기, 도우저, 및 크러셔 기능을 갖는 작업장치를 복합화 하는 경우 장비의 중량화, 작업장치의 균형분 문제, 작업장치의 조잡화를 초래하게 되며, 이로인해 작업장치의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건설장비에 장착되는 굴삭기, 도우저 및 크러셔 각각의 기능을 갖는 작업장치의 복합적인 구성으로 일정한 작업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복합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중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장비에 굴삭기, 도우저 및 크러셔 기능을 갖는 각각의 작업장치를 장착하여 유저에게 제품 구입시 경제적인 부담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중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조건에 따라 작업장치단을 선택적으로 회전 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동력손실됨을 최소화 하며, 작업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중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중장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중장비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중장비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중장비에서 파쇄물을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주행체 2 : 하부프레임
3 : 운전실 4 : 엔진실
5 : 작업장치 6 : 회전부재
7 : 붐실린더 8 : 붐
9 : 버킷 10 : 아암
11 : 아암실린더 12 : 버킷실린더
13 : 제1아암부재 14 : 유압실린더
15 : 제2아암부재 16 : 블레이드
19 : 이송수단 20 : 크러셔
21 : 스크류형 스윙죠 22 : 케이스
23 : 제1벨트컨베이어 24 : 제2벨트컨베이어
25 : 제3벨트컨베이어 26 : 입구
27 : 출구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주행체 상방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 소정형상의 운전실이 장착되는 하부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 소정위치에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에 버킷이 장착되는 소정 형상의 작업장치와, 상기 하부프레임 전면부에 구동수단 구동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피파쇄물을 흡입 및 파쇄 후 이송수단 구동으로 상기 하부프레임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크러셔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장비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운전실은 상기 하분프레임의 상면 전방측 중앙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작업장치는 상기 운전실 후방으로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 소정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붐과, 일단이 상기 붐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버킷에 고정되어 작업조건에 따라 길이 조정되는 소정형상의 아암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아암은 상기 붐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정형상의 제1아암부재와, 상기 제1아암부재에 대해 신장 및 수축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아암부재에 내설되는 유압실린더 구동으로 상기 작업장치의 작업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제2아암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크러셔는 상기 블레이드 내측 소정위치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시 피파쇄물을 흡입 및 파쇄 하게 되는 스크류형 스윙죠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닥트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크러셔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크러셔 구동에 의해 파쇄되는 파쇄물을 상기 케이스안으로 이송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파쇄물을 상기 케이스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2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케이스 후방에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파쇄물을 케이스로부터 배출시키는 제3벨트컨베이어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중장비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중장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중장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중장비에서 파쇄들을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의 개략도이다.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무한궤도형 하부주행체(1)의 상방에 플레이트 형상의 하부프레임(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하부프레임(2)상면 전방측 중앙에 소정형상의 운전실(3)이 장착되며, 운전실(3)후방으로 하부프레임(2)상면에 각종 유압부품, 연료탱크 및 엔진이 장착되는 엔진실(4)이 형성된다.
전술한 엔진실(4) 상측에 미도시된 선회장치에 의해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부재(6)를 장착하며, 회전부재(6)상에 전술한 선회장치 구동시 회전되어 굴삭기 기능을 하게되는 작업장치(5)를 일체형으로 장착하되, 작업장치(5)는 회전 부재(6)상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붐실린더(7)구동으로 회동하는 붐(8)과, 일단이 붐(8)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아암실린더(11)구동으로 회동하며 타단이 버킷실린더(12)구동으로 회동하는 버킷(9)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아암(10)을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아암(10)은 붐(8)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아암실린더(11)에 의해 구동하는 소정형상의 제1아암부재(13)와, 제1아암부재(13)에 대해 신장 및 수축되도록 결합되며 전술한 제1아암부재(13)에 내설되는 유압실린더(14) 구동으로 선택적으로 길이 조정되어 전술한 작업장치(5)의 작업범위를 조정하는 제2아암부재(15)를 구비한다.
전술한 하부프레임(2) 전면부에 도우저 기능을 하게 되는 소정형상의 블레이드(16)를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하되, 전술한 구동수단은 일단이 블레이드(16)배면 소정위치에 장착되며, 타단이 전술한 하부프레임(2)상측에 각각 장착되어 신자 및 수축하는 틸팅실린더(17)와 앵글실린더(18)를 구비한다.
전술한 블레이드(16) 소정위치에 작업장에서 돌출되는 피파쇄물을 흡입 및 파쇄후 이송수단(19) 구동으로 상기 하부프레임(2)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크러셔(20)를 장착하되, 전술한 크러셔(20)는 블레이드(16) 내측 소정위치에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시 피파쇄물을 흡입 및 파쇄 하게 되는 스크류형 스윙죠(21)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전술한 이송수단(19)은 하부프레임(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입구(26) 및 출구(27)측이 개방된 닥트 형상의 케이스(22)와, 전술한 스크류형 스윙죠(21)와 케이스22)의 입구(26) 사이에 미도시된 구동수단 구동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전술한 스크류형 스윙죠(21) 구동에 의해 파쇄되는 파쇄물을 케이스(22) 안으로 이송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23)와, 전술한 케이스(22) 내측에 미도시된 구동수단 구동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벨트컨베이어(23)로부터 이송되는 파쇄물을 전술한 케이스(22)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2벨트컨베이어(24)와, 전술한 케이스(22) 후방에 전술한 제2벨트컨베이어(24)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파쇄물을 케이스(22)의 출구(27)를 통해 배출시키는 제3벨트컨베이어(25)를 구비한다.
위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중장비의 사용됨을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굴삭기 기능을 하게 되는 작업장치(5)가 미도시된 선회장치 구동으로 하부주행체(1)상측에 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부프레임(2)에 대해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즉 버킷(9)을 이용한 굴삭 및 상차작업시 작업물이 중량인 경우에는 작업장치(5)가 장비의 전방측에서 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며, 작업물이 경량인 경우에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술한 선회장치 구동으로 작업장치(5)를 소정각도만큼 회전시켜 장비의 측방 또는 후방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장치(5)가 장비의 전방에 위치하게 될 때에 버킷(9)의 작업범위는 가변조정 될 수 있다. 즉 붐(8)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아암부재(13)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아암부재(15)가 전술한 제1아암부재(13)내측에 형성되는 유압실린더(14)구동으로 선택적으로 신장 및 수축 조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프레임(2)전방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도우저 기능을 갖게되는 블레이드(16)를 이용하여 토양의 정지작업 및 분배박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술한 블레이드(16)내측 소정위치에 미도시된 구동수단 구동으로 회전되도록 장착된 크러셔(20)의 스크류형 스윙죠(21)의 회전에 의해 작업장에서 돌출되는 돌, 폐콘크리트, 나무조각등이 블레이드(16)내측으로 흡입되어 파쇄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스크류형 스윙죠(21)의 회전에 의해 파쇄되는 파쇄물은 스크류형 스윙죠(21)와 하부프레임(2)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케이스(22)의 입구(26)측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제1벨트컨베이어(23)를 통해 케이스(22) 내측으로 이송되어지며, 전술한 제1벨트컨에어(23)를 통해 이송되는 파쇄물은 케이스(22)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벨트컨베이어(24)구동에 의해 케이스(22)후방측으로 이송되어지며, 케이스(22) 후방측으로 이송되는 파쇄물은 케이스(22)후방 내측에 전술한 제2벨트컨베이어(24)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약 2배 정도)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벨트컨베이어(25) 구동에 의해 케이스(22)의 출구(27)를 통해 장비의 후방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중장비는, 단일 건설장비에 장착되는 굴삭기, 도우저 및 크러셔 각각의 기능을 갖는 작업장치의 복합적인 구성으로 일정한 작업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복합적인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단일의 장비에 굴삭기, 도우저 및 크러셔 기능을 갖는 각각의 작업장치를 장착하여 작업형태에 따라 별도의 중장비를 따로 따로 구입해야 되는 이중부담을 줄여 유저에게 제품 구입시 경제적인 부담감을 줄이는 이점과, 작업조건에 따라 작업장치만을 좌우양측으로 선회시켜 불필요한 동력 손실됨을 최소화하며 이와 동시에 작업속도를 증가시키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6)

  1. 하부주행체 상방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 소정형상의 운전실이 장착되는 하부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 소정위치에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에 버킷이 장착되는 소정형상의 작업장치와, 상기 하부프레임 전면부에 구동수단 구동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피파쇄물을 흡입 및 파쇄후 이송수단 구동으로 상기 하부프레임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크러셔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장비.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 전방측 중앙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장비.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는 상기 운전실 후방으로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 소정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붐과, 일단이 상기 붐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버킷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작업조건에 따라 길이 조정되는 소정형상의 아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장비.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붐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정형상의 제1아암부재와, 상기 제1아암부재에 대해 신장 및 수축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아암부재에 내설되는 유합실린더 구동으로 상기 작업장치의 작업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제2아암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장비.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닥트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크러셔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크러셔 구동에 의해 파쇄되는 파쇄들을 상기 케이스안으로 이송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파쇄물을 상기 케이스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2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케이스 후방에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파쇄물을 케이스로부터 배출시키는 제3벨트컨베이어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장비.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크러셔는 상기 블레이드 내측 소정위치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시 피파쇄물을 흡입 및 파쇄 하게 되는 스크류형 스윙죠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장비.
KR1019970006819A 1997-02-28 1997-02-28 다기능 중장비 KR100226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819A KR100226278B1 (ko) 1997-02-28 1997-02-28 다기능 중장비
CN97108750A CN1191917A (zh) 1997-02-28 1997-12-19 多功能重型设备
JP9365828A JPH10245867A (ja) 1997-02-28 1997-12-22 多機能重装備
DE19757383A DE19757383A1 (de) 1997-02-28 1997-12-22 Universelles schweres Gerä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819A KR100226278B1 (ko) 1997-02-28 1997-02-28 다기능 중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659A KR19980069659A (ko) 1998-10-26
KR100226278B1 true KR100226278B1 (ko) 1999-10-15

Family

ID=1949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819A KR100226278B1 (ko) 1997-02-28 1997-02-28 다기능 중장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0245867A (ko)
KR (1) KR100226278B1 (ko)
CN (1) CN1191917A (ko)
DE (1) DE197573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2539A1 (en) * 2003-01-09 2004-07-29 Kwan Ho Kim Disposable ear plug
KR101246819B1 (ko) 2010-11-24 2013-03-26 진성토건 주식회사 자립식 시트파일 인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429B1 (ko) * 1999-05-29 2003-09-29 안기하 다기능 농기계 동력차량
CN101008182B (zh) * 2007-01-24 2010-09-29 郑州宇通重工有限公司 多功能轮胎式推土机
GB0710157D0 (en) * 2007-05-26 2007-07-04 Bamford Excavators Ltd Method of operating a working machine
CN101381996B (zh) * 2008-10-20 2011-08-24 郑明法 一种改进型装载机
CN102717444B (zh) * 2012-06-28 2015-10-21 吴晓骥 一种全自动移动型关节式矿山切石机
CN104404990A (zh) * 2014-10-30 2015-03-11 山东冠县鲁牛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伸缩臂的轮式挖掘机
CN104386420B (zh) * 2014-11-17 2016-09-28 山东能源重装集团泰装工程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刮板机的煤渣清理装置
CN105818112A (zh) * 2015-01-22 2016-08-03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动力装置、电动工具及电动工具系统
CN108770393A (zh) * 2018-06-21 2018-11-09 安徽省中日农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梯田开垦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2539A1 (en) * 2003-01-09 2004-07-29 Kwan Ho Kim Disposable ear plug
KR101246819B1 (ko) 2010-11-24 2013-03-26 진성토건 주식회사 자립식 시트파일 인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659A (ko) 1998-10-26
JPH10245867A (ja) 1998-09-14
DE19757383A1 (de) 1998-09-03
CN1191917A (zh) 199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6278B1 (ko) 다기능 중장비
US8042753B2 (en) Mobile crusher
US4607799A (en) Mobile stone crusher
US6915972B2 (en) Mobile jaw crusher assembly
US5485689A (en) Bucket crusher
US20040050985A1 (en) Mobile impact crusher assembly
WO1995016826A1 (en) Convertible road planing or cold recycling
US20040050987A1 (en) Mobile jaw crusher assembly
AU2019422012A1 (en) Bucket-wheel emergency dredging device
US20020178622A1 (en) Snow removal apparatus
JP2001121022A (ja) 自走式粉砕処理装置
JP3904878B2 (ja) 樹枝粉砕機
JP3761045B2 (ja) 2軸剪断形破砕機搭載移動式クラッシャ
CN209854793U (zh) 自动取料机和挖掘设备
GB2449953A (en) Self loading wood shredding attachment for excavator or crane
JPH11107545A (ja) コンクリート破砕機
KR200147279Y1 (ko) 굴삭기의 버킷
JP4088506B2 (ja) 自走式リサイクル機械
US3633292A (en) Self-propelled loader
FI3208386T3 (fi) Laite kappalesyöttötavaran käsittelyyn tarkoitetun laiteyksikön vastaanottamiseen ja käyttämiseen
JP2509060Y2 (ja) 自走式破砕機械
RU2006547C1 (ru) Снегоуборщик
JPH10258405A (ja) 樹木のチップ化方法および装置
JP3015107U (ja) 自走式破砕機
JP2000240032A (ja) 路肩切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