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071B1 - 타임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 - Google Patents

타임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071B1
KR100226071B1 KR1019960051050A KR19960051050A KR100226071B1 KR 100226071 B1 KR100226071 B1 KR 100226071B1 KR 1019960051050 A KR1019960051050 A KR 1019960051050A KR 19960051050 A KR19960051050 A KR 19960051050A KR 100226071 B1 KR100226071 B1 KR 100226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ylinder
reverse gear
accelerator
buzz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498A (ko
Inventor
오영훈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0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08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pneuma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7Safety-related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진기어를 넣은 상태에서 클러치를 오픈시키고 악셀을 밟음으로써 차량이 바로 후진하여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코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타임 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조작시 후진기어를 넣은 상태에서 악셀페달을 작동시키면 바로 차량이 후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사고를 피하기 힘든 문제가 있어, 본 발명은 악셀패달을 에어실린더를 통해 악셀장치에 연결하되, 상기 에어실린더는 타이머를 통해 에어실린더 작동부와 연결하고, 상기 에어실린더 작동부에 부저를 연결하며, 상기 에어실린더 작동부 및 부저는 후진기어단에 접속되고, 상기 후진기어 일단은 후진기어를 통해 에어실린더 작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이 연결되는 구조를 추가구성함으로써, 후방물체를 식별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진기어를 넣고 바로 후진시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임 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
본 발명은 타임 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속장치 제어수단에 타임딜레이 수단을 첨가하여, 후진기어를 넣은 상태로 바로 후진시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토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속계통은 자동차가 가속할 때 순각적으로 다량의 연료를 공급하는 계통으로 연료를 보내는 방법이며 가속펌프를 사용하고 있다. 가속시에 다량의 연료가 필요한 이유는 가속시에 트로틀 밸브가 갑자가 열리기 때문에 연료지연의 현상이 일어나 혼합가스가 순간적으로 희박해져 출력이 저하하기 때문이며, 이것은 공기와 가솔린의 중량차에 의한 것으로 무거운 가솔린이 늦게 흡인되기 때문이다.
또한 가속펌프에는 트로틀 밸브와 함께 움직여서 피스톤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피스톤식과 흡기 매니폴드의 부압으로 다이어프램을 작동시키는 다이어프램식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피스톤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피스톤식 가속펌프는 뜨개실에 설치된 가속펌프 실린더, 피스톤(플렌저), 펌프 스프링 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트로틀 밸브와 연동하는 링크 기구로 피스톤이 상하로 움직여 펌프 작동을 한다. 가속계통의 유로에는 스틸볼과 시트에 의한 흡입밸브 및 토출밸브가 장치되어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악셀레터를 작동시키면 상기 가속펌프가 작동하여 가속이 이루어 지고, 악셀패달은 클러치패달 옆에 위치하며, 상기 클러치 패달은 엔진과 기어을 끊어주는 작용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을 하게 되면 최초 클러치 패달을 이용하여 엔진과 기어를 끊어준후, 변속래버를 이용하여 1단 내지는 후진기어를 엔진과 연결시켜 운행한다.
상기 변속장치의 일실시예를 도 1에 예시 하였는바, 변속레버(1) 하단은 요크축(2)과 연결되며, 요크축(2)에는 각각 요크(3)가 연결되어 있어, 변속레버(1)를 작동하면 요크(3)에 연결된 기어단이 엔진과 맞물리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클러치 패달을 갑자기 해제시키면 기어가 엔진에 급격히 물리면서 시동이 꺼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클러치를 서서히 해제하면서 동시에 악셀레터를 작동시키는 것이 시동을 꺼뜨리지 않고 운행할 수 있는 방법이며, 실제로 운전시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차량은 후진시에도 마찬가지로 후진기어를 넣고 클러치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바로 악셀레터를 밟기 때문에 차량은 바로 후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후방에 사람 내지는 소형 원동기차등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후진을 할 경우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대형차량의 경우에는 보이지 않는 후방면적이 많기 때문에 더욱 사고발생률이 높으며, 이를 보조하기 위해 멜로디가 나오는 경우가 있으나, 근본적으로 차량 조작시 악셀페달을 작동시키면 바로 차량이 후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사고를 피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진기어를 놓고 클러치를 해제한 상태에서 악셀레터를 조작하더라도 악셀레터가 바로 조작되지 않고 일정시간 후 조작되며 이 사이에 경고음이 출력되도록하여 후방에 있는 사람이나 원동기차가 피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고자 창안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변속기 조작기구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타임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변속레버 2: 요크축
3: 요크 4: 악셀패달
5: 에어실린더 6: 에어실린더 작동부
7: 부저 8: 전원공급단
9: 타이머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악셀레터에 에어실린더와 타이머 및 부저를 연결하고 상기 회로의 타단은 후진기어와 접속시켜 후진기어를 작동시 에어실린더를 일정시간동안 작동시켜 일정시간동안 악셀레터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그 시간동안 부저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간략 구성도로써, 악셀패달(4)을 에어실린더(5)를 통해 악셀장치에 연결하되, 상기 에어실린더(5)는 타이머(9)를 통해 에어실린더 작동부(6)와 연결하고, 상기 에어실린더 작동부(6)에 부저(7)를 연결하며, 상기 에어실린더 작동부(6) 및 부저(7)는 후진기어단(R)에 접속되고, 상기 후진기어 일단은 후진기어(R)를 통해 에어실린더 작동부(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8)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변속장치의 다른기어단 즉, 1단과 2단과 3단과 4단 및 5단을 작동시켰을 때는 에어실린더(5)를 작동시키지 않아 바로 정상적인 악셀작용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그러나 후진 기어를 작동시켰을 때에는 후진기어(R)가 전원공급장치(8)로부터 전원을 스위칭하면서 곧바로 부저(7)가 경보음을 출력하면서 동시에 에어실린더 작동부(6)가 에어실린더(5)를 작동시킨다.
이때 에어실린더 작동부(6)와 에어실린더(5) 사이에는 타이머(9)가 장착되 있기 때문에 타이머(9)에 지정된 시간동안만 에어실린더(5)가 작동되고 이후에는 에어실린더(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타이머(9)가 끊어버려 더 이상 에어실린더(9)가 작동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이때 악셀패달을 밟게 되면 에어실린더가 작동하는 시간동안 전혀 작동을 하지 않으므로 차량후방에 있는 사람이나 원동기차가 피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가속장치 제어수단에 타임딜레이 수단을 첨가하기 때문에, 후방물체를 식별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진기어를 넣고 바로 후진시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후진기어를 넣은 상태에서 클러치를 오픈시키고 악셀을 밟음으로써 차량이 바로 후진하여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1)

  1. 악셀패달(4)을 에어실린더(5)를 통해 악셀장치에 연결하되, 상기 에어실린더(5)는 타이머(9)를 통해 에어실린더 작동부(6)와 연결하고, 상기 에어실린더 작동부(6)에 부저(7)를 연결하며, 상기 에어실린더 작동부(6) 및 부저(7)는 후진기어단(R)에 접속되고, 상기 후진기어 일단은 후진기어(R)를 통해 에어실린더 작동부(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8)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
KR1019960051050A 1996-10-31 1996-10-31 타임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 KR100226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050A KR100226071B1 (ko) 1996-10-31 1996-10-31 타임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050A KR100226071B1 (ko) 1996-10-31 1996-10-31 타임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98A KR19980031498A (ko) 1998-07-25
KR100226071B1 true KR100226071B1 (ko) 2000-08-01

Family

ID=1948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050A KR100226071B1 (ko) 1996-10-31 1996-10-31 타임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0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326B1 (ko) * 2002-11-04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진경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98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6230A (en) Engine control apparatus
KR100226071B1 (ko) 타임딜레이 수단을 갖는 가속장치
US4291653A (en) Door car starter
US6064938A (en) Cruis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otive vehicle
KR0131577B1 (ko) 관성을 이용한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
KR0136741B1 (ko) 엔지시동 오프시 브레이크 부스터 진공작동 장치
JP2558937Y2 (ja) 車両のオートブレーキ装置
KR100273708B1 (ko) 차량정차시 엔진의 시동제어장치
KR970026654A (ko) 차량의 안전 브레이크 장치
JPH0960538A (ja)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装置
JP3752180B2 (ja) アイドルストップ装置
US2893368A (en) Starter control mechanism
KR20030092289A (ko) 차량용 공기압축기 및 이 공기압축기의 구동방법
JP2002097972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1301587A (ja) 制動力保持装置
KR100324664B1 (ko) 차량의 비상 정지장치
KR0113806Y1 (ko) 배기 브레이크 작동장치
JP3186932B2 (ja) 排気ブレーキ装置
JPS6067737A (ja) フユ−エルカツトシステム
KR960000301Y1 (ko) 차량의 브레이크페달 및 가속페달 동시 작동시 경보장치
JP2508711Y2 (ja) エキゾ―スト・ブレ―キ回路
JPH0520594Y2 (ko)
JP2924508B2 (ja) 排気ブレーキ解除時燃料噴射制御式ディーゼル機関
JP2003148606A (ja) 車両の制御装置
JP3475625B2 (ja) Pto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