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511B1 - 소 성장호르몬의 대량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소 성장호르몬의 대량 생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511B1
KR100225511B1 KR1019940040025A KR19940040025A KR100225511B1 KR 100225511 B1 KR100225511 B1 KR 100225511B1 KR 1019940040025 A KR1019940040025 A KR 1019940040025A KR 19940040025 A KR19940040025 A KR 19940040025A KR 100225511 B1 KR100225511 B1 KR 100225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hormone
bovine growth
gene
coli
expression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4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059A (ko
Inventor
김천형
조중명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4004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511B1/ko
Priority to NZ280764A priority patent/NZ280764A/en
Priority to BG100264A priority patent/BG64565B1/bg
Priority to JP34263295A priority patent/JP3234478B2/ja
Priority to CO95062000A priority patent/CO4480064A1/es
Priority to AU40768/95A priority patent/AU713218B2/en
Priority to ZA9511030A priority patent/ZA9511030B/xx
Priority to AR33489496A priority patent/AR000606A1/es
Priority to BR9600009A priority patent/BR9600009A/pt
Priority to TW085106241A priority patent/TW505694B/zh
Publication of KR96002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61Growth hormone [GH], i.e. somatotrop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830/00Vector systems having a special element relevant for transcription
    • C12N2830/36Vector systems having a special element relevant for transcription being a transcription termination e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말단부분의 염기서열이 그에 코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변화없이 변형된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와 상기 유전자의 3'-말단에 연결된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 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이에 의해 형질전환된 대장균 및 이를 이용하여 높은 수율로 소 성장호르몬을 제조하는 방법을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 성장 호르몬의 대량 생산 방법
제1도는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 부분과 이를 변형시킨 염기서열을 비교한 것이다.
제2도는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에 변형된 유전자 염기서열을, 3' 말단뒤에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접합하는 전략 및 이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5' 말단에 변형된 유전자 및 3' 말단뒤에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접합한 후 소 성장 호르몬 유전자를 발현시켜 SDS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젤 전기영동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소 성장호르몬의 발현율을 덴시토미터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 성장호르몬의 5'-말단 유전자의 일부를 아미노산 변화없이 변형시키고 또한 소 성장 호르몬의 3'-말단뒤에 trpA 전이 터미네이터 유전자를 결합시킴으로써 소 성장호르몬만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선출원(대한민국 특허출원 제86-11712호)된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유전자의 5'-말단 부분에 코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변환없이 그 염기서열만을 무작위로 변화시키는 시발체(primer)를 합성한 뒤 이를 이용하여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대량 증폭시키고, 또한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3'-말단에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연결시켜 얻어지는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소 성장호르몬 단백질을 대량 제조하여 값싸게 제공함으로써 소 성장을 촉진시키고, 우유분비를 증가시키며, 사료효율을 높이는 등의 목적에 용이하게 사용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동물성장 촉진제들은 스테로이드(steroid) 계통 제품들(예 : Estradiol-Compudose by Eli Lilly, Estradiol Benzoate-Synovax by Syntax Agribusiness Inc., Zeramol-Ralgro by International Minerals and Chemicals)인데, 이들은 지용성(fet-soluble) 물질들로서 사용 후 체내에 잔류하게 되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져, 미국을 위시한 선진 각국에서는 사용을 금지시키고 있다.
한편, 동물의 뇌하수체에서 생산분비되는 성장호르몬은 불지용성이며, 종특이성(Species-Specific)을 나타내고 동물에 사용시 성장촉진, 젖소 우유 분비 증가 및 사료 효율을 높이는 등의 영향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참고문헌 : Bauman, D. E. et al., Journal of Animal Sciencs 60, 583(1985); Hart, I. C. et al., Journal of Endocrinology 105, 189(1985); Newswatch, June 17, 1985; Wall Street Journal, July 22, 1986). 그러나 1940년이래 근래까지 이러한 연구는 직접 동물의 뇌하수체에서 추출, 정제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 양이 크게 제한을 받아 직접 가축업에 응용할 수 없었으나, 유전공학 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동물 성장호르몬을 대장균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시버그(Seeburg)등은 소의 뇌하수체로부터 소 성장호르몬을 코딩하는 cDNA를 분리하여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밝히고 이 유전자를 trp 프로모터를 이용한 대장균 발현 벡터에 클로닝하여 발현시킨 바 있다(Seeburg, P.H. et al., DNA 2, 37(1983)). 그 이후 많은 연구 그룹에서 소 성장호르몬의 발현율을 높이려는 시도를 하여 왔는데 조오지(George) 등은 리보솜 결합부위(ribosome binding site)와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번역 시작 코오돈인 ATG 간의 염기배열 및 염기길이에 따라 발현율에 많은 차이가 존재함을 밝히고 이를 통해 대장균 전 단백질 대비 15%의 소 성장호르몬을 발현시켰다(George H.J., et al., DNA 4, 273(1985)). 올슨(Olsen)등은 리보솜 결합부위와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번역 시작 코오돈인 ATG 간의 염기배열을 A-T 다발(rich) 염기서열로하고 trp 프로모터를 이용한 대장균 발현 벡터에서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발현시킨 결과 대장균 전 단백질 대비 15~20%의 소 성장호르몬이 생산되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Olsen, M.K., et al., J. Biotechnol. 9, 179(1989)). 왓슨(Watson) 등은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가 클로닝된 플라스미드를 무작위 돌연변이(random mutation)시킨 결과 소 성장호르몬의 N말단 4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염기서열 중 1개 염기가 치환된 돌연변이체에서 대장균 전 단백질 대비 20%의 소 성장호르몬이 발현되었음을 보고하였다(Watson et al., Gene 86, 137(1990)). 본 발명자들도 소 성장호르몬의 유전자를 대장균이 선호하는 유전자로 합성한 뒤 이를 연어 성장호르몬이 발현될 수 있는 trp 프로모터를 지닌 대장균 발현 벡터 운반체에 클로닝시키고 또한 리보소옴 결합부위와 시작 코오돈인 ATG 사이에 mRAN 2차 구조가 생기지 않도록 합성링커를 연결하여 소 성장호르몬 발현 운반체를 만든 뒤 이를 대장균에서 발현시켰을 때 대장균 전단백질 대비 27%의 소 성장호르몬이 발현되었음을 보고하였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86-11712호).
한편 trpA 전이 터미네이터는 매우 효율적인 rho-비의존성(rho-independent) 터미네이터로서(Christie, G.E.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8, 4180(1981)), 발현시키고자 하는 유전자의 3'-말단 뒤에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삽입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이과정을 차단시키고 플라스미드 유래의 불필요한 단백질 생산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단백질만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Gentz, 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8, 4936(1981)). 실제로 마츠키(Matsuki)등은 쥐의 칼모듈린(Calmodulin) 유전자를 대장균에서 trp 프로모터 및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이용하여 발현시킨 결과 대장균 전 단백질 대비 30%의 쥐 칼로듈린이 발현되었음을 보고하였고(Matsuki, S. et al., Biotech. Appl. Biochem. 12, 284(1990)), 사토(Sato) 등은 인터루킨-2 유전자를 trp 프로모터 하에 대장균에서 발현시켰을 때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삽입한 경우 삽입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발현율이 약 5배 증가하였음을 보고한 바 있다(Sato, et al., J. Biochem. 101, 525(1987)).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대장균 전단백질 대비 최고 30%의 소 성장호르몬 밖에 얻을 수 없으므로 보다 경제적이고 수율이 높은 소 성장호르몬을 얻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더 높은 소 성장호르몬 발현율을 얻을 수 있는 발현 벡터 제조에 노력하던 중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 부분에 코딩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변화없이 염기서열만을 무작위로 변이시킬 수 있는 무작위 시발체로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합성하여 mRNA의 2차 구조의 생성을 최소화하는 염기서열을 찾아내고 또한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번역 종료 코오돈 뒤에 trpA 전이 터미네이터 유전자를 삽입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이를 차단시킨 결과 대장균 전 단백질 대비 50% 이상으로 소 성장호르몬을 대량 발현시키는 발현벡터를 제조 완성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변형시켜 mRNA의 2차 구조를 최소화하고 3'말단 뒤에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삽입함으로써 대장균에서 전 단백질 대비 50% 이상의 소 성장호르몬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 발현벡터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아울러 이러한 발현 벡터에 의해 제조되는 소 성장호르몬을 값싸게 대량 공급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이 그에 코딩되는 아미노산 서열 변화없이 변형된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 및 상기 유전자의 3'-말단에 연결된 trpA 전이 터미네이터 유전자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현 벡터, 상기 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된 대장균 및 이를 이용하여 소 성장호르몬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발현벡터는 소 성장 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 부분의 염기서열이 mRNA의 2차 구조를 비안정화시켜 유전자의 발현율을 높이도록 변형된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은 염기서열을 갖는 5'-말단 부분을 포함한다 :
5'-ATG GCT TTT CCG GCT ATG TCT CTA TCT GGC CTA
TTC GCA AAT GCC GTT CTT CGA GCT CAG CAT CTT
CAT CAG CTG GCT-3'
또한 본 발명의 발현벡터는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3'-말단 뒤에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포함하며, trpA 전이 터미네이터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염기 서열을 갖는다 :
5'-AGCCCGCCTAATGAGCGGGCTTTTTTTT-3'
이러한 본 발명의 발현벡터는 공지된 유전자 재조합 또는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소 성장호르몬을 코딩하는 염기서열 정보(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특허 출원 제86-11712호 : 공고번호 제92-3665호)로부터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을 변형시키기 위해 중합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용 무작위 시발체(random primer)를 고안합성한다. 이 무작위 시발체에는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내에 제한효소 Sac I의 인지부위가 존재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아미노산 변화없이 염기서열만이 무작위로 변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가 클로닝된 재조합 벡터 ptrphs BGH 1-13(대한민국 특허출원 제86-11712호; ATCC 68975 (1992. 5. 6 기탁))내의 유일한 제한효소인 Pvu I 인지부위가 존재하도록 시발체를 합성한 후 이 시발체와 무작위 시발체를 시발체를 사용하는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의해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의 염기서열이 변형된 돌연변이 유전자를 증폭하고, 이 증폭된 유전자를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얻은 유전자 단편을 ptrphs BGH 1-13 재조합 벡터 내 제한효소 PvuI과 SacI으로 절단한 단편과 접합한 후 대장균을 형질전환시켜 ptrphs BGHRAN 플라스미드를 얻는다.
또한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소 성장호르몬 발현벡터에 삽입하고자 trpA 전이 터미네이터 유전자 및 제한효소 SalI 인지부위가 존재하도록 시발체를 합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시발체는 ptrphs BGHRAN 재조합 벡터내 유일한 제한효소 PvuI 인지부위가 존재하도록 시발체를 합성한 뒤 이들 시발체들을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유전자를 증폭한 뒤 이 증폭된 유전자를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얻은 유전자 단편과 ptrphs BGHRAN 플라스미드를 플라스미드내 제한효소인 PvuI과 SalI으로 절단한 단편을 접합한 후 대장균을 형질전환시켜 ptrp3H BGHRAN 플라스미드를 얻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발현 백터로 상기 백터내의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발현시키기에 적절한 대장균을 형질전환시켜 대장균 형질 전환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대장균 형질 전환체를 적합한 배지에서 배양한 후 발현된 소 성장호르몬을 분리·정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 5' 말단에 변형된 염기서열을 갖는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증폭 및 변형된 소 성장 호르몬의 발현벡터 제조]
(단계 1)
기존에 클로닝된 소 성장 호르몬 유전자의 염기서열(대한민국 특허출원 제86-11712호) 정보로부터 다음과 같은 무작위 시발체를 합성하였다. 시발체 PBGHRAN(5'- TGCTGAGCTCGNAGNACNGC(G/A)TTNGC(A/G)AANAGNCCNGANAGNGACATNGCNGG(A/G)AANGCCATTTATAATTCCTCCA-3')은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내 제한효소인 Sac I 인지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소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 부분이 코드하는 16개 아미노산 서열의 변화없이 염기서열만이 변형된 것이다. 시발체 PPBR3720(5'-TCCTTCGGTCCTCCGATCGTTGTCA-3')는 소 성장호르몬 발현벡터인 ptrphs BGH 1-13의 Ampr유전자에 위치하여 제한효소 PvuI 인지부위를 포함하고 있다.
(단계 2)
반응튜브에 소성장 호르몬 발현벡터인 ptrphs BGH 1-13(대한민국 특허출원 제86-11712호 참조, ATCC 68975) 1ng을 주형으로 넣고 단계 1에서 만든 시발체 PBGHRAN 2㎍ 및 시발체 PPBR3720 2㎍을 넣은 다음 10㎕의 10배 중합 완충용액, 10㎕의 2mM dNTP(각 2mM dGTP, 2mM dCTP, 2mM dATP, 2mM dTTP), 2.5 단위체의 Taq 중합효소와 증류수를 가하여 총부피를 100㎕로 한 후 95℃에서 1분(denaturation), 55℃에서 40초(annealing), 72℃에 2분(polymerization)의 조건으로 중합연쇄반응을 40회 실시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PCR 산물을 5%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젤에서 분리한 결과 약 990 염기쌍의 DNA가 증폭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동일조건의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젤로부터 분리정제하였다. 이하 이 단편을 단편 BGHRAN이라 칭한다.
(단계 3)
플라스미드 ptrphs BGH 1-13 2㎍을 제한효소 Sac I으로 NEB(New England Biolab. 사) 완충용액 1(10mM Bis Tris propane-HCl, 10mM MgCl2, 1mM DTT, pH 7.0)의 조건하에서 완전절단한 뒤 제한효소 PvuI으로 NEB 완충용액 3(100mM NaCl, 50mM Tris-HCl, 10mM MgCl2, 1mM DTT, pH 7.9)의 조건하에서 완전절단하였으며 이를 0.7% 아가로오스 젤로 분리하여 약 2Kb 단편을 분리정제하였다. 이하 이 단편을 단편 PBGH-T/P라 한다. 한편 (단계 2)에서 얻은 단편 BGHRAN을 제한효소 Sac I으로 NEB 완충용액 1의 조건하에서 완전절단한 뒤 제한효소 Pvu I으로 NEB 완충용액 1의 조건하에서 완전절단한 후 이들을 페놀/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20㎕의 TE 용액에 용존하였다. 이를 단편 BGHRAN-T/P라 한다. 상기에서 얻은 단편들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접합반응 튜브에 상기에서 얻은 100ng의 단편 BGHRAN-T/P와 100ng의 단편 PBGH-T/P, 2㎕의 10배 접합완충 용액, 10단위체의 T4 DNA 리가제를 넣고 총부피가 20㎕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한 다음 16℃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뒤 접합 반응물로 대장균 W3110(ATCC 37339)을 형질전환시켜 단편 BGHRAN을 함유한 플라스미드 ptrphs BGHRAN을 얻었다(제2도).
실시예 2 : 5'-말단에 변형된 염기서열을 갖는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발현유도 및 그 염기서열 확인
(단계 1)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재조합 대장균 100여개의 콜로니를 50㎍/㎖의 엠피실린이 함유된 액체 루리아(Luria) 배지(6% 박토트립톤, 0.5% 효모추출물, 1% 염화나트륨)에서 12시간 동안 진탕배양한 다음, 이중 3㎖씩을 각기 300㎖의 M9 배지(40mM K2HPO4, 22mM KH2PO4, 8.5mM NaCl, 18.7mM NH4Cl, 1% 포도당, 0.1mM MgSO4, 0.1mM CaCl2, 0.4% 카사미노산, 10㎍/㎖ Vit. Bl, 40㎍/m1 엠피실린)로 옮겨서 37℃에서 약 4시간 동안 진탕배양하여 박테리아의 흡광도가 650nm의 파장에서 약 0.3 정도가 될 때 인돌아크릴산(indole acrylic acid, IAA)을 최종 농도 50㎍/㎖이 되게 첨가하였다. IAA 첨가한지 약 4시간 후에 세포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기(Beckman J2-21, JA14 rotor)를 이용하여 11,000rpm에서 25분간 원심분리하여 박테리아 세포 침전물을 수거하였다. 수거한 세포침전물들을 램리의 방법(Laemmli, Nature 227, 680(1970))에 따라 SDS의 존재하에 15%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젤에서 전기영동하여 발현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40% 발현이 증가된 클론이 선별되었으며 이를 ptrphs BGHRAN #5라 명명하였다(제3도).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선별된 ptrphs BGHRAN #5 클론의 염기서열을 확인하기 위해 생거(Sanger)등의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먼저 플라스미드 ptrphs BGHRAN #5 2㎍을 제한효소 Sac I으로 NEB 완충용액 1의 조건하에서 완전절단한 뒤 제한효소 EcoRI으로 NEB 완충용액 3의 조건하에서 완전 절단하였으며 이를 10% 아크릴 아마이드 젤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약 187 염기쌍의 핵산 절편을 분리정제하였다. 이하 이 핵산 절편을 단편 BGHRAN-T/R이라 한다. 한편 플라스미드 M13mp18 2㎍을 제한효소 Sac I으로 NEB 완충용액 1의 조건하에서 완전 절단하여 0.7% 아가로스 젤로 분리하여 약 7Kb의 핵산 절편을 분리하였다. 이하 이 핵산절편을 단편 M13-T/R이라 칭한다. 접합반응 용기에 상기에서 얻은 100ng의 단편 BGHRAN-T/R, 100ng의 단편 M13-T/R, 2㎕의 10배 접합 완충용액 및 10 단위체의 4 DNA 리가제를 넣고 총 부피가 20㎕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한다음 16℃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접합 반응물 10㎕와 대장균 JM105(ATCC 47016) 컴피턴트 세포 200㎕를 혼합한 다음 8㎕의 0.2M IPTG 용액, 미리 배양된 헬퍼세포(대장균 JM105) 100㎕, 3㎖의 2XYT 상층아가 (연성아가 : 16g 박토트립톤, 10g 효모 추출물, 5g NaCl, 5g 박토아가/Liter)와 25㎕의 4% X-gal 용액을 혼합하고 Min A 플레이트(10.5g KH2PO4, 1g(NH4)2SO4, 0.5g Na 시트레이트, 12g 박토아가, 1ml 20% MgSO4, 0.5ml 1% Vit B, 10ml의 50% 글루코스/ Liter) 위에 고르게 도포한 후 37℃에서 12시간 배양하여 생성된 투명한 플라크(plaque)를 이쑤시게로 찍어서 2ml의 2XYT 액체배지에서 37℃, 5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에 1/4 부피의 PEG/NaCl(20% polyethylene glycol, 2.5M NaCl)을 넣은 다음 M13 파아지(phage)를 수거해서 단일가닥 핵산을 추출한 후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의 변형을 확인하였다(제1도).
[실시예 3 : trpA 전이 터미네이터 유전자를 갖는 발현벡터 제조]
(단계 1)
trpA 터미네이터 유전자를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소 성장 호르몬 발현벡터에 삽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발체를 합성하였다. 시발체 PTRPATER(5'-GCTTTGTCGACTAATTAAAGCCCGCCTAATGAGCGGGCTTTTTTTTGCCTCGCGCGTTTCGGT-3')는 제한효소 Sal I 인지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23번째 염기부터 50번째 염기는 trpA 전이 터미네이터 유전자를 나타내며 51번째 염기부터 67번째 염기까지는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 3'-말단 뒤의 발현벡터내 염기서열을 포함하고 있다. 시발체 PPBR3740(5'-TGACAACGATCGGAGGA CCGAAGGA-3')는 소 성장호르몬 발현벡터인 ptrphs BGH 1-13의 Ampr 유전자에 위치하며 제한효소 Pvu I 인지부위를 포함하고 있다.
(단계 2)
반응튜브에 소 성장호르몬 발현벡터인 ptrphs BGH 1-13 1ng을 주형으로 넣고 단계 1에서 만든 시발체 PTRPATER 2㎍ 및 시발체 PPBR3740 2㎍을 넣은 다음 10㎕의 10배 중합완충용액, 10㎕의 2mM dNTP(각 2mM dGTP, 2mM dATP, 2mM dCTP, 2mM dTTP) 및 2.5 단위체 Taq 중합효소를 넣고 증류수를 가하여 총 부피를 100㎕로 한후 95℃에서 1분, 55℃에서 40초, 72℃에서 2분의 조건으로 중합연쇄반응을 25회 실시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PCR 산물을 1% 아가로오스 젤에서 분리한 결과 약 1.5Kb 염기쌍의 핵산이 증폭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동일조건의 아가로스 젤로부터 분리정제하였다. 이하 이 핵산단편을 단편 PBR 이라 한다.
(단계 3)
플라스미드 ptrphs BGH 1-13(ATCC 68975) 2㎍을 제한 효소 Sal I과 Pvu I으로 NEB 완충용액 3의 조건하에서 완전 절단하였고 이를 0.7% 아가로스 젤로 분리하여 약 1.5Kb의 핵산절편을 분리정제하였다. 이하 이 핵산절편을 단편 PBGH-P/L이라 한다.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얻은 플라스미드 ptrphs BGHRAN #5 2㎍을 제한효소 Sal I과 Pvu I으로 NEB 완충용액 3의 조건하에서 완전절단하고 이를 0.7% 아가로스 젤로 분리하여 약 1.5Kb의 핵산 절편을 분리정제하였다. 이하 이 핵산절편을 단편 PBGHRAN-P/L이라 한다. 한편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단편 PBR을 제한효소 Sal I과 Pvu I으로 NEB 완충용액 3의 조건하에서 완전절단한 후 이를 페놀/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20㎕의 TE 용액에 용존한 후 이를 단편 PBR-P/L이라 한다.
상기에서 얻은 단편으로 다음과 같이 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접합반응 튜브 A에 단편 PBGH-P/L 100ng, 접합 반응 튜브 B에 단편 PBGHRAN-P/L 100ng을 각각 넣고 양쪽에 100ng의 단편 PBR-P/L, 2㎕의 10배 접합반응 용액, 및 10단위체의 T4 DNA 리가제를 넣고 총 부피가 20㎕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한 다음 16℃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뒤 접합 반응물로 대장균 W3110(ATCC 37339)을 형질전환시켜 반응튜브 A로부터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함유한 ptrp3H BGH 1-13을, 반응 튜브 B로부터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함유한 ptrp 3H BGHRAN을 얻었다(제2도 참조).
[실시예 4]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함유한 소 성장호르몬 발현 벡터로부터 소 성장 호르몬 발현 유도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재조합 대장균 세포를 50㎍/ml의 엠피실린이 함유된 액체 루리아(Luria) 배지(6% 박트트립톤, 0.5% 효모추출물, 1% 염화나트륨)에서 12시간동안 진탕배양한 다음, 이중 3ml 씩을 각기 300ml의 M9 배지(40mM K2HPO4, 22mM KH2PO4, 8.3mM NaCl, 18.7mM NH4Cl, 1% 포도당 0.1mM MgSO4, 0.1mM CaCl2, 0.4% 카사미노산, 10㎍/ml Vit. Bl, 40㎍/ml 엠피실린)로 옮겨서 37℃에서 약 4시간동안 진탕배양하여 박테리아의 흡광도가 650nm의 파장에서 약 0.3정도가 될 때 인돌아크릴산(indole acrylic acid, IAA)을 최종농도 50㎍/ml이 되게 첨가하였다. IAA를 첨가한지 약 4시간 후에 세포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기(Beckman J2-21, JA14 rotor)를 이용하여 11,000rpm에서 25분간 원심분리하여 박테리아 세포침전물을 수거하였다. 수거한 세포침전물들을 램리의 방법(Laemmli, Nature 227, 680(1970))에 따라 SDS의 존재하에서 15%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젤에서 전기용동하여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제3도에 나타내었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플라스미드 ptrp3H BGH 1-13으로 형질 전환된 대장균으로부터 발현된 소 성장 호르몬은 대장균 전 단백질 대비 39.9%의 발현율을 보였으며 플라스미드 ptrp3H BGHRAN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으로부터 발현된 소 성장호르몬은 대장균 전 단백질 대비 57.3%의 발현율을 보여 플라스미드 ptrphs BGH 1-13으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으로부터 발현된 소 성장호르몬의 경우 대장균 전 단백질 대비 26.3%의 발현율을 보인것과 플라스미드 ptrphs BGHRAN #5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으로부터 발현된 소 성장호르몬의 경우 대장균 전 단백질 대비 39.9%의 발현을 보인 것에 비해 40~50% 발현율 상승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제4도 참조). 플라스미드 ptrp 3H BGHRAN에 의해 형질전환된 대장균 W3110은 1994년 12월 26일자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유전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KCTC)에 기탁번호 KCTC 0143BP로 기탁되어 있다.
상기에서 보듯이, 소 성장 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 부분의 염기서열 변환에 따른 mRNA 2차 구조 비안정화와 3'-말단 뒤의 불필요한 전이과정을 억제하는 trpA 전이 터미네이터를 삽입함으로써 대장균 전 단백질 대비 57.3%의 소 성장호르몬을 생산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값싸고 수율이 높은 소 성장호르몬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Claims (7)

  1. (1) 프로모터와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 서열 사이에 연어 성장호르몬 또는 그 일부가 암호화하는 코돈이 위치하고, (2)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3'-말단에 trpA 전사 터미네이터가 연결되며, (3)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 부위에 사일런트 체인지가 도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 성장호르몬의 발현 벡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5'-말단 부분이 다음의 염기 서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현 벡터 :
    5'-ATG GCT TTT CCG GCT ATG TCT CTA TCT GGC CTA
    TTC GCA AAT GCC GTT CTT CGA GCT CAG CAT CTT
    CAT CAG CTG GCT-3'
    (상기에서, ATG는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번역 개시 코돈을 가리킨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rp A 전사 터미네이터가 하기 염기 서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현 벡터 :
    5'-AGCCCGCCTAATGAGCGGGCTTTTTTTT-3'
  4. 제3항에 있어서, 발현 벡터 ptrp 3H BGHRAN.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의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6. 제5항에 있어서, 벡터 ptrp 3H BGHRAN에 의해 형질전환된 대장균 W3110 (KCTC 0143BP).
  7. 제5항 또는 제6항의 대장균을 배양한 다음, 소 성장호르몬을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 성장호르몬의 제조 방법.
KR1019940040025A 1994-12-30 1994-12-30 소 성장호르몬의 대량 생산 방법 KR100225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025A KR100225511B1 (ko) 1994-12-30 1994-12-30 소 성장호르몬의 대량 생산 방법
NZ280764A NZ280764A (en) 1994-12-30 1995-12-21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bovine growth hormone gene modified at the 5'end region without changing the encoded protein sequence and a trpa transcription terminator
JP34263295A JP3234478B2 (ja) 1994-12-30 1995-12-28 牛成長ホルモンの大量生産方法
CO95062000A CO4480064A1 (es) 1994-12-30 1995-12-28 Proceso para la produccion masiva de hormonas de crecimiento en bovinos
BG100264A BG64565B1 (bg) 1994-12-30 1995-12-28 Вектор за експресия на волски хормон на растежа и метод за неговото масово производство
AU40768/95A AU713218B2 (en) 1994-12-30 1995-12-28 Process for the mass production of bovine growth hormone
ZA9511030A ZA9511030B (en) 1994-12-30 1995-12-28 Process for the mass production of bovine growth hormone
AR33489496A AR000606A1 (es) 1994-12-30 1996-01-02 Un vector expresión para una hormona de crecimiento bovino celúla e.coli transformada con dicho vector y proceso para la producción en masa de la hormona mediante el uso de un transformante e.coli
BR9600009A BR9600009A (pt) 1994-12-30 1996-01-02 Vetor de expressão para hormônio de crescimento bovino célula de entamoeba coli transformada e processo para a produção em massa de hormônio de crescimento bovino
TW085106241A TW505694B (en) 1994-12-30 1996-05-25 Process for the mass production of bovine growth horm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025A KR100225511B1 (ko) 1994-12-30 1994-12-30 소 성장호르몬의 대량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059A KR960023059A (ko) 1996-07-18
KR100225511B1 true KR100225511B1 (ko) 1999-10-15

Family

ID=3695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40025A KR100225511B1 (ko) 1994-12-30 1994-12-30 소 성장호르몬의 대량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JP (1) JP3234478B2 (ko)
KR (1) KR100225511B1 (ko)
AR (1) AR000606A1 (ko)
AU (1) AU713218B2 (ko)
BG (1) BG64565B1 (ko)
BR (1) BR9600009A (ko)
CO (1) CO4480064A1 (ko)
NZ (1) NZ280764A (ko)
TW (1) TW505694B (ko)
ZA (1) ZA95110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2318A (zh) * 2018-08-16 2019-01-11 湖北大学 一种利用pBV220表达载体高效表达色氨酸合成酶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5078A1 (en) * 1986-12-31 1988-07-14 Lucky, Lt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bovine growth hormone using a synthetic gene
DE4101736A1 (de) * 1991-01-22 1992-07-23 Gruenenthal Gmbh Neue als plasminogenaktivatoren einsetzbare polypeptide, dafuer codierende plasmid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G100264A (bg) 1996-12-31
NZ280764A (en) 1997-02-24
CO4480064A1 (es) 1997-07-09
BG64565B1 (bg) 2005-07-29
KR960023059A (ko) 1996-07-18
JP3234478B2 (ja) 2001-12-04
BR9600009A (pt) 1998-01-21
TW505694B (en) 2002-10-11
AU4076895A (en) 1996-07-11
AU713218B2 (en) 1999-11-25
ZA9511030B (en) 1996-07-09
JPH08228787A (ja) 1996-09-10
AR000606A1 (es) 199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40371C (en) Methods and products for facile microbial expression of dna sequences
Williams et al. Design, synthesis and expression of a human interteukin-2 gene incorporating the codon usage bias found in highly expressed Escherichia coli genes
HU197349B (en) Process for producing cloning vectors usable for the expression of growth hormones
CA1340867C (en) Expression plasmids for improved production of heterologus protein in bacteria
US5254463A (en) Method for expression of bovine growth hormone
KR100225511B1 (ko) 소 성장호르몬의 대량 생산 방법
CA1263943A (en) Promoter and use thereof
HU197937B (en) Process for producing new cloning carriers usable for the expression of polypeptides in microbiological host cells
US4880910A (en) Terminal methionyl bovine growth hormone and its use
KR100427587B1 (ko) 신규 d-글루탐산 합성효소 유전자 dna 및 이를 이용한 항생제 비의존성 벡터
EP0295285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bovine growth hormone using a synthetic gene
HU214698B (hu) Eljárás rekombináns deszulfátó-hirudin HV-1 peptidek előállítására
US5270180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lmon growth hormone using a synthetic gene
US5366876A (en) Method for production of bovine growth hormone using a synthetic gene
US5489529A (en) DNA for expression of bovine growth hormone
RU2235776C1 (ru) Рекомбинантная плазмидная днк plp-3,1, кодирующая полипептид проинсулина lyspro человека, и штамм бактерий escherichia coli plp-3-1/tg-1-продуцент рекомбинантного проинсулина lyspro
KR920003662B1 (ko) 합성유전자에 의한 효모세포로부터 연어 성장 호르몬의 제조방법
KR940005593B1 (ko) 양 성장호르몬 유전자 및 그의 발현방법
KR920003663B1 (ko) 합성유전자에 의한 효모세포로부터 돼지 성장 호르몬의 제조방법
KR920003664B1 (ko) 합성유전자에 의한 효모세포로부터 소성장호르몬의 대량 제조방법
KR920001745B1 (ko)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 발현벡터[pYLBC-A/G-UB-HGH]와 그의 제조방법
KR100289691B1 (ko) 콜라게네이즈 인지부위를 가진 재조합 인간 성장 호르몬
KR0184770B1 (ko) 광어 성장 호르몬의 대량 생산방법
JPH0720436B2 (ja) 合成遺伝子を使用したサケ成長ホルモンの製造方法
IE53898B1 (en) Microbially produced bovine growth hormone (bgh) and its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