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947B1 - 전하 조절제로서의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 - Google Patents

전하 조절제로서의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947B1
KR100224947B1 KR1019910016257A KR910016257A KR100224947B1 KR 100224947 B1 KR100224947 B1 KR 100224947B1 KR 1019910016257 A KR1019910016257 A KR 1019910016257A KR 910016257 A KR910016257 A KR 910016257A KR 100224947 B1 KR100224947 B1 KR 100224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s
radical
alkyl
cyano
sulf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805A (ko
Inventor
기트젤 외르그
벨레 데틀레프
마콜트 한스-토비아스
Original Assignee
마이어, 라피체
헥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04029653 external-priority patent/DE4029653A1/d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어, 라피체, 헥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마이어, 라피체
Publication of KR92000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 G03G9/135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characterised by stabiliser or charge-control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34Charge control ag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1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or side chai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5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properties, e.g. acidity, molecular weight, sensitivity to reacta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0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carrier particles
    • G03G9/113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carrier particles having coatings applied thereto
    • G03G9/1132Macromolecular components of coatings
    • G03G9/1133Macromolecular components of coating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4/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4/904Powder coating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5/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5/934Powdered coating com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터의 복사 또는 복제 및 저장된 정보의 전자, 자기 또는 광학적 프린팅 또는 칼라교정에 사용되는 전자 사진 토너 및 현상제에 전하 조절제로서 또는 분말 및 분말 코팅제에 전하 조절제로서 단독으로 다른 화합물과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약 5000 내지 약 500,000의 분자량을 가지며, 예를들면 디알릴디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단량체들을 단독 중합시키거나 약 0.5 : 0.5 내지 약 0.95 : 0.05 의 공중합체중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디에틸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디알릴메틸 옥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2개의 단량체 혼합물을 고중합시키고, 이어서, 경우에 따라, 음이온 교환시켜 수득한 중합체성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하 조절제로서의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
본 발명은 전자사진 기록 공정용 토너 및 현상제에, 및 표면 코팅용 분말 및 분말 코팅재에 전하 조절제(charge control agents)로서 단독중합성 또는 공중합성 폴리(디알릴 암모늄) 유도체 및 폴리(디알릴암모늄) 유도체와 선택된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관한 것이다. 특정 중합체성 암모늄 양이온과 선택된 음이온의 특정 조합의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은 특히 높고 일정한 전하 조절성 및 매우 우수한 열안정성 및 분산성을 갖는다.
전자사진 기록 공정에서는, '전하 잠상(潛像)(latent charge image)이 공전도체상에 발생된다. 이것은 예를들면 코로나 방전에 의해 광전도체를 하전시킨 후 광전도체의 대전된 표면을 광에 상형성 부분씩 노출시키므로써 이룩된다(광에 대한 노출은 노출된 지점에서 접지시킨 기재에 전하를 배출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전하 잠상은 이어서 토너를 적용하므로서 현상된다. 후속 단계에서, 토너는 광전도계로부터 예를들면 종이, 택스타일, 필름 또는 플라스틱에 옮겨지고, 예를들면 압력, 방사선, 열 또는 용때의 작용에 의해 고정된다. 사용된 광전도체를 청소하고 새로운 기록 공정에 사용한다.
토너의 최적화는 다수의 특허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중에서도 토너 결합제의 영향(수지/수지 성분 또는 왁스/왁스 성분의 변화) 및 캐리어(carriers)(2성분 현상제중의)의 영향 및 자기 안료(1성분 현상제중의)의 영향이 조사중에 있다. 토너의 특정 전하량 q/m(단위 중량당 전하)는 그 품질의 적도이다. 정전하의 부호 및 양 이외에도, 원하는 전하량의 급속한 달성 및 장기간의 활성기간 동안 상기 전하의 일정성은 결정적인 품질 기준이다. 실제로, 상기 성질은 토너가 수천장을 복사하기 위한 기간동안 현상제 혼합물에 때때로 남아 있기 때문에, 공전도체에 옮기기 전에 현상제 혼합물에 상당한 활성 시간동안 노출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더욱더 토너가 온도 및 대기 습도와 같은 기후의 영향에 민감하지 않은 것이 중요한 안정성 기준이다.
양으로 하전된 및 음으로 하전된 토너 모두가 공정 및 장치의 유형에 따라 복사기 및 레이저 프린터에 사용된다.
이른바 전하 조절제가 양의 또는 음의 전하를 갖는 전사사진 토너 또는 현상제를 얻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전하 조절의 부호 뿐 아니라, 보다 높은 활성은 소량을 적용하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전하 작용의 양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토너 결합제는 활성 시간동안 현저한 전하 의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하 조절제의 역할은 한편으로 토너 전하의 부호 및 양을 조절하고, 다른 한편으로 토너 결합재의 전하 드리프드(charge drift)를 없애고 토너 전하의 일정성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토너 또는 현상제가 연장된 사용 기간동안 (숙성기간동안) 높은 전하 드리프트를 나타내지 못하도록 할 수 없는 전하 조절제는 실제로 부적당하며, 더한층 토너 또는 현상제의 전하를 반전시킬 수 있다.
전색 칼라 복사기 및 레이저 프린터는 3색 이론 원리로 작동하며, 3개 기본색상(노란색, 푸른색 및 붉은색)의 색조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색 칼라 복사기 및 프린터가 완전히 원본과 같이 생산할 수 있기 위해서는, 3개의 기본 색상중 단지 한 색상의 색조가 최소 변화할 때 조차도 다른 2색상의 색조 변화가 필요하다. 칼라 토너에 필요한 개별 착색재의 색상이 서로서로에 대해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에, 전허 고유색상이 없는 전하 조절제가 특히 중요하다.
칼라 토너에서, 노란색, 푸른색 및 붉은색의 3가지 토너는 또한 이들의 마찰전기성 뿐 아니라 정확히 규정된 색상 필요조건에 대해서 서로 정확히 일치해야 한다. 상기 마찰 전기성의 일치가 필요한 이유는 3색 토너(또는 검은색이 또한 포함된다면 4색 토너)는 동일한 장치내에서 계속 전색 칼라 프린터 또는 전색 칼라 복사기로 옮겨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착색제가 때때로 토너의 마찰전기 전하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H.-T. Macholdt, A. Sieber, Dyes Pigments 9(1988), 119-27; and U.S. Patent 4,057,426). 착색제의 상이한 마찰전기 효과 및 생성된 토너 전하능에 대한 때때로 매우 현저한 영향력에 의해, 일단 토너 기본 배합물이 만들어진 다음 상기 착색제를 간단히 착색제로 첨가할 수 없다. 오히려, 각각의 착색제가 그 자신의 배합물을 만드는 것이 필요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필요한 전하 조절제의 성질 및 양을 구체적으로 맞춘다. 이 공정은 그와 상응하게 비용이 많이 들며 또한 프로세스 칼라를 위한 칼라 토너의 경우(삼색 이본)에 대해 이미 기술한 단점이 또한 야기된다.
그러므로, 여러 착색제의 상이한 마찰전기성을 보상하고, 원하는 전하를 토너에 제공할 수 있는 대단히 효과적인 무색 전하 조절제가 필요하다. 마찰전기 성질이 대단히 상이한 착색제를 먼저 배합한 토너 기본 배합물의 도움으로 동일한 전하 조절제를 갖는 것이 필요한 여러 토너(노란색, 푸른색, 붉은색 및 경우에 따라 검은색)에 이런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더, 실제로 전하 조절제는 높은 열안정성과 우수한 분산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전하 조절제를 토너 수지에 혼입하는 전형적인 온도는 예를들면 혼련기 또는 압출기를 사용할 때 100℃ 내지 200℃ 이다. 200℃ 또는 더한층 250℃의 열안정성이 따라서 대단히 유리하다. 또한 장기간(약 30분) 및 여러 결합제 시스템에서 열안정성이 보장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성질은 되풀이하여 일어나는 매트릭스 효과가 토너 수지중의 전하 조절제를 너무 이르게 분해(이것은 토너수지가 짙은 황색 또는 짙은 갈색이 되고 모든 또는 일부의 전하 조절 효과가 상실됨을 의미한다)시키기 때문에 중요하다. 전형적인 토너 결합제는 중합, 중부가 및 중축합 수지이며, 예를들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한, 스티렌,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페놀 및 에폭시 수지이며, 또한 착색제, 왁스 또는 흐름 보조제와 같은 다른 성분을 함유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성분을 나중에 첨가할 수 있다.
우수한 분산성을 위해, 전하 조절제가 가능한한 왁스성, 점착성을 갖지 않고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의 융점 또는 연화점을 갖는 경우가 대단히 유리하다. 점착성은 종종 토너 배합물로 계량하는 동안 문제를 야기시키며, 낮은 융점 또는 연화점은 물질이 케리어 물질중에서 예를들면 소적 형태로 결합하기 때분에 분산시키는 동안 균일한 분포가 이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전하 조절제는 전자사진 토너 및 현상제중에서 이외에도, 또한 분말 및 와니스의 정전하를 재선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예를들면 금속, 목재,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콘크리트, 택스타일 물질, 종이 또는 고무로 제조된 제품을 표면 코팅시키는데 사용되는 마찰전기 또는 동전기학적으로 분무된 분말 코팅제에 정전하 개선제로 사용할 수 있다. 분말 코팅 기법은 그중에서도 특히 작은 제품, 예를들면, 정원 가구, 캠핑물품, 가전제품, 자동차 부품, 냉장고 및 선반을 와니스하는데, 및 복잡한 형태의 작품을 와니스하는데 사용된다. 분말 코팅재 또는 분말은 일반적으로 하기 2개의 공정중 하나에 의해 그의 정전하를 부여한다.
a) 코로나 공정에서는, 분말 코팅재 또는 분말을 하전된 코로나를 통과시켜 상기 공정중에 하전시킨다.
b) 마찰전기 또는 동전기학적 공정에서는, 마찰전기의 원리를 이용한다. 분말 코팅재 또는 분말은 분무 장치내에서 정전하를 수용하는데, 이 장치는 마찰상태, 일반적으로 호스 또는 분무관(예를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전하와 반대이다.
상기 두 공정의 조합도 또한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사용된 분말 코팅 수지는 에폭시 수지, 카복실 및 하이드록시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우레탄 및 아크릴 수지를 상응하는 경화제와 함께 사용한다. 수지 조합물도 또한 사용한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에폭시 수지는 종종 카옥실 및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함께 사용된다.
에폭시 수지에 전형적인 경화제 성분을 예를들면 산무수물, 이미다졸 및 디시안디아미드 및 그의 유도체이다.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표적인 경화제 성분을 예를들면 산 무수물,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비스아실우레탄, 페놀 수지 및 멜라민 수지이며, 카복실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전형적인 경화제 성분은 예를들면 트리클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이다. 옥사졸린, 이소시아네이트,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디카복실산은 예를들면 아크릴 수지에서 전형적인 경화제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전하의 결핍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특히 카복실 그룹을 함유하는 플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초로 제조하거나 또는 혼합 분말, 또는 혼성 분말을 기초로 제조한, 마찰전기 또는 동전기화적으로 분무된 분말 및 분말 코팅재에서 특히 발견될 수 있다. 혼합 분말은 분말 코팅재로 생각되며, 그의 수지 기재는 에폭시 수지와, 카복실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조합물로 이루어진다. 혼합 분말은 실제로 가장 흔히 나타내는 분말 코팅재를 기초로 형성된다. 상기 연급한 분말 및 분말 코팅재의 부적절한 전하는 코팅시킬 작품에 융착속도 및 균일 전착성이 부적절함을 의미한다(균일전착성이란 표현은 분말 또는 분말 코팅재가 반대 표면, 중공 공간, 틈 및 특허 내측 가장자리 및 구석을 포함하여 코팅될 작품에 융착되는 양의 척도이다).
무색 전하 조절제가 다수의 특허에 주장되었다. 예를들면 DE-A 3,144,017, JP-A2 61-236,557 및 U.S. 특허 4,656,112 는 무색 전하 조절제로 금속 착화합물 및 금속 오가닐을 기술하고, DE-A 3,837,345, DE-A 3,738,948, DE-A 3,604,827, EP-A 242,420, EP-A 203,532, U.S. 특허 4,684,596, U.S. 특서 4,683,188 및 U.S. 특허 4,493,883 은 암모늄 및 암모늄 화합물을 기술하고 DE-A 3,912,396, U.S. 특허 4,496,643 및 U.S. 특허 3,893,935 는 포스포늄 화합물을, 유럽 특허 185,509, JP-A2 01-136,166, JP-A2 63-060,458, JP-A2 62-264,066, U.S. 특허 4,840,863, U.S. 특허 4,639,043, U.S. 특허 4,378,419, U.S. 특허 4,355,167 및 U.S. 특허 4,299,898 은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을 기술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알려진 무색 전하 조절제는 그들의 실제 사용을 크게 제한하거나 또는 때때로 불가능하게 맘드는 다수의 단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DE-A 3,144,017 및 U.S. 특허 4,656,112 에 기재된 크롬, 철, 코발트 및 아연 착화합물 및 JP-A2 61-236,557 에 기재된 안티몬 오가닐은 중금속 문제 뿐 아니라 몇몇 경우 이들이 사실상 무색이 아닌 단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칼라 토너 또는 희색 또는 착색된 분말 코팅재에서만 한정된 용도를 찾을 수 있다.
공지된 4급 암모늄 화합물은 그 자체로는 적합하지만, 종종 분산되기가 어려우며, 이는 토너의 비균일 하전을 유도한다. 더욱더 상기 화합물에 의해 생성된 토너 전하가 장기간의 활성시간 (24시간 이하의 활성시간), 특히 고온 및 대기습도하에서 안정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종종 일어난다(EP-A 242,420). 이로 인해 잘못 하전되거나 또는 충분치 못하게 하전된 토너 입자가 복사 또는 프린트 도중에 축적되어 공정을 정지시킨다. 또한 암모늄 및 암모늄 기재 전하 조절제는 광 또는 기계적 효과에 민감하며(EP-A 203,532 및 U.S. 특허 4,683,188), 열에 불안성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토너의 전기마찰 하전에 대해 부작용을 미칠 수 있고 (U.S. 특허 4,684,596) 및/또는 짙은색, 종종 짙은 갈색의 고유 색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DE-A 3,738,948, DE-A 3,604,827 및 U.S. 특허 4,493,883). 이들은 종종 왁스성질을 나타내고, 일부 경우에 수용성 및/또는 전하 조절제로 낮은 활성을 갖는다.
대단히 불소화된 암모늄, 암모늄 또는 포스포늄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고 그 자체가 적합한 전하 조절제(DE-A 3,912,396 및 DE-A 3,837,345)는 비용이 많이 드는 합성방법의 단점을 가지며, 높은 제조비용은 상응하는 물질로부터 발생하며 열에 적절히 안정하지 못하다.
포스포늄 염은 암모늄 염 보다 전하 조절제로 덜 효과적이며(U.S. 특허 4,496,643 및 U.S. 특허 3,893,939) 독성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을 기본으로 한 전하 조절제는 토너 또는 현상제의 아민 냄새의 원인이며 이 물질의 전하 조절성은 비교적 용이한 산화 및 수분 흡수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산화 생성물은 더욱더 색이 짙으며 특히 칼라 토너에 어려움을 야기시킨다(U.S. 특히 4,840,863). 전자사진 토너 및 현상제에 대해 전술한 전하 조절제는 예를들면 그들의 착색성에 의해, 주로 흰색이거나 또는 투명한 마찰전기 또는 동전기학적으로 분무된 분말 및 분말 코팅재에 사용하는 것이 부적합하다. 분말 코팅재를 예를들면 200℃ 이상의 온도에서 15분간 말리기 때문에 열안정성의 부족은 더욱더 상기 전하조절제의 사용을 크게 제한한다. 분말 및 분말 코팅재에 대한 전하 조절제로 DE-A 3,837,345 및 DE-A 3,600,395 에 청구된 전하 조절제는 그들의 왁스성 및 수용성 또는 흡습성에 의해 취급하기 어렵고 제한된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다. 분말 및 분말 코팅재에 대한 전하 조절제로 EP-A 0,371,528 에 청구된 아민은 불쾌취에 의해 실제 사용에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하량 이외에도, 상기 전하의 급속한 달성 및 일정성이 보장되어야만 하고 전하 조절 효과가 온도 및 대기 습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아야 하는 개선된, 특히 활성의 무색 전하 조절제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 화합물들은 더욱더 특히 특성 캐리어 물질(수지)중에서 장시간동안 고도로 열에 안정해야 하고, 가능한한 수불용성이고, 토너 또는 분말 코팅 성분에 쉽게 분산될 수 있고 그와 양립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화합물의 합성은 또한 적은 양의 경비가 필요해야 하고 제법도 비용이 저렴해야 한다.
놀랍게도, 단독 중합체성 또는 공중합체성 폴리(디알킬 디알릴암모늄)유도체 및 폴리(디알릴암모늄) 유도체와 선택된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특정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이 전자사진 토너 및 현상제에 특히 효과적인 전하 조절제이고 또한 이를 표면 코팅재, 특히 마찰전기 또는 동전기학적으로 분무된 분말 코팅제용 분말 및 와니스에 전하 개선재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이제 밝혀냈다. 화합물의 무색성, 높은 활성, 통상적인 토너 및 분말 코팅 수지와의 우수한 양립성 및 분산성 및 그들의 화학적 불활성에 의해, 및 온도 및 대기 습도 변화에 대한 전하 첨가제의 둔감성에 의해, 이 화합물은 삼색이론의 원리(감색혼합)에 따른 전색 칼라 복사기 및 레이저 프린터용 칼라 토너 또는 현상제에 또한 일반적으로 착색된 토너 또는 현상제에 및 검은색 토너 또는 현상제 뿐 아니라 분말 및 분말 코팅제에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화합물은 더욱더 캐리어 코팅재에 적합하거나 또는 캐리어 코팅재의 성분으로 적합하다. 상기 쉽게 분산될 수 있는 화합물의 큰 기술적 잇점은 양이온-음이온 조합에 의해 동일한 화합물 부류의 물질을 양의 또는 음의 전하 조절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토너 기본 배합물이 제조된 후 토너 결합제에 혼입시키는 문제 및 토너 결합제와의 양립성 문제는 최소화 된다. 양의 토너 및 음의 토너는 모두 고정된 토너 기본 배합물(토너 결합체, 착색제, 흐름 보조재 및 경우에 따라 다른 성분 포함)을 사용하여 원하는 조절제를 혼입하므로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된 화합물의 경우 적은 비용이 드는 합성, 저렴한 제법, 높은 활성 및 탁월한 열 안정성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은 마스터(master)의 복사 또는 복제 및 저장된 정보의 전자, 자기 또는 광학적 프린팅, 또는 칼라교정(colorproofing)에 사용되는 전자사진 토너 및 현상제에 전하 조절제로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화합물과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하기 일반식(I) 또는 (II) 담량체를 딘덕증힙시키거나, 또는 약 0.5 : 0.5 내지 약 0.95 : 0.05 의 공중합체중의 (I) : (II) 및 (I) : (III) 및 (II) : (III) 단량체의 몰비를 갖는, 하기 일반식(I) 내지 (III)중 2개의 단량체의 혼합물을 공중합시키고, 이어서, 경우에 따라, 음이온 교환시켜 수득한, 약 5000 내지 약 500,000 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디알릴암모늄) 유도체 또는 그의 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들에서, 라디칼 R1내지 R12및 R1' 내지 R12' 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 라디칼,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신 에스테르 라디칼, 설폰산 또는 설폰산 에스테르 라디칼 또는 시아노 또는 니트로 라디칼이거나, 또는 각각 헤테로원자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탄화수소를 기본으로 한 라디칼이며, 라디칼 R13내지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하이드록실 라디칼,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에스테르 라디칼, 설폰산 또는 설폰산 에스테르 라디칼 또는 시아노 또는 니트로 라디칼이거나, 또는 각각 헤테로 원자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탄화수소를 기본으로 한 라디칼이고, 라디칼 R1및 R2또는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C1-C18) 또는 알콕시(C1-C18) 라디칼, 일반식-(알킬렌(C1-C5)-O)n-R [여기서, R은 수소원자, 알킬(C1-C4) 라디칼 또는 아실 라디칼, 예를들면, 아세틸, 벤조일 또는 나프토일 라디칼이고, n은 1 내지 10 이다]의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라디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라디칼(예를들면, 페닐, 나프틸 또는 피리딜 라디칼), 아르알킬 라디칼(예를들면, 톨릴 라디칼), 아르알콕시 라디칼(예를들면, 메특시페닐 라디칼), 알크아릴 라디칼(예를들면, 벤질 라디칼)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예를들면,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 라디칼)이고, 라디칼 R1및 R2또는 R1' 및 R2' 는 또한 결합하여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질소 및/또는 산소 및/또는 황 원자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예를들면, 모르폴리늄 환), 치환될 수 있고/있거나 다른 환 시스템(예를들면 퀴놀리늄 환 시스템)과의 융합 또는 가교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포화 또는 불포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의 5원 내지 7원 환 시스템을 형성(예를들면, 피리디늄환)할 수 있으며, 이때 라디칼 R1및 R2또는 R1' 및 R2' 는 예를들면 질소 및/또는 산소 및/또는 황 및/또는 인 원자 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 카복실, 설폰산, 시아노 또는 메르캅토 라디칼, -NH-C(O)-알킬 (C1-C4)과 같은 카복스아미드 라디칼, -NH-SO2-알킬(C1-C4)와 같은 설폰아미드 라디칼, -NH-C(O)-알킬(C1-C4)와 같은 우레탄 라디칼, -C(O)-알킬(C1-C4)와 같은 케토 라디칼, -NH[알킬-(C1-C4)] 또는 -N[알킬-(C1-C4)]2와 같은 일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니트로 라디칼, -알킬렌(C1-C4)-O-알킬(C1-C4)와 같은 에테르 라디칼, 알킬(C1-C30), 알콕시 (C1-C30) 라디칼, 아르옥시 라디칼(예를들면, 페녹시 라디칼), 할로게노알킬(C1-C30) 또는 할로게노 알콕시(C1-C30) 라디칼 또는 -C(O)-O-알킬(C1-C4)와 같은 에스테르 라디칼로 치환될 수 있고, R3내지 R12또는 R3' 내지 R12' 라디칼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C1-C18) 또는 알콕시(C1-C18) 라디칼, 일반식 -(알킬렌(C1-C5)-O)n-R [여기서, R 은 수소원자, 알킬(C1-C4) 라디칼 또는 아실 라디칼, 예를들면, 아세틸, 벤조일 또는 나프토일 라디칼이고, n 은 1 내지 10 이다]의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라디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라디칼(예를들면, 페닐, 나프틸 또는 피리딜 라디칼), 아르알킬 라디칼(예를들면, 톨릴 라디칼), 아르알콕시 라디칼(예를들면, 메톡시페닐 라디칼), 아르옥시 라디칼(예를들면, 페녹시 라디칼), 알크아릴 라디칼(예를들면, 벤질 라디칼)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예를들면,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 라디칼)이고, 라디칼 R3및 R12또는 R3' 및 R12' 2개는 또한 결합하여,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질소 및/ 또는 산소 및/또는 황 원자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모르폴리늄 환), 치환될 수 있고/있거나 다른 환 시스템(예를들면 퀴놀리늄 환 시스템)과의 융합 또는 가교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포화 또는 불포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의 5원 내지 7원 환 시스템을 형성(예를들면, 피리디늄 환)할 수 있으며, 이때 라디칼 R3및 R12또는 R3' 및 R12' 는 예를들면 질소 및/또는 산소 및/또는 황 및/또는 인 원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 카복실, 설폰산, 시아노 또는 매르캅토 라디칼, -NH-C(O)-알킬(C1-C4)과 같은 카옥스아미드 라디칼, -NH-SO2-알킬(C1-C4)와 같은 설폰아미드 라디칼, -NH-C(O)-알킬(C1-C4)와 같은 우레탄 라디칼, -C(O)-알킬(C1-C4)와 같은 케토 라디칼 -NH[알킬-(C1-C4)] 또는 -N[알킬-(C1-C4)]2와 같은 일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니트로 라디칼, -알킬렌(C1-C4)-O-알킬(C1-C4)와 같은 에테르 라디칼, 알킬(C1-C30) 또는 알콕시(C1-C30) 라디칼, 아르옥시 라디칼(예를들면, 페녹시 라디칼), 할로게노알킬(C1-C30) 또는 할로게노알콕시(C1-C30) 또는 -C(O)-O-알킬(C1-C4)와 같은 에스테르 라디칼로 치환될 수 있고, R13및 R16라디칼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C1-C30) 라디칼, 일반식-(알킬렌 (C1-C5)-O)n-R [여기서, R은 수소원자, 알킬(C1-C4) 라디칼 또는 아실 라디칼, 예를들면 아세틸, 벤조일 또는 나프토일 라디칼이고, n 은 1내지 10 이다]의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라디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라디칼(예를들면, 페닐, 나프틸 또는 피리딜 라디칼), 아르알킬 라디칼(예를들면, 톨릴 라디칼), 아르알콕시 라디칼(예를들면, 메록시페닐 라디칼), 알크아릴 라디칼(예를들면, 벤질 라디칼)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 (예를들면,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 라디칼), 카복실, 설폰산 또는 시아노 라디칼, 카복스 아미드 라디칼(예를들면, -NH-C(O)-알킬(C1-C4)), 설폰아미드 라디칼 (예를들면, -NH-SO2-알킬(C1-C4)), 에스테르 라디칼(예를들면, -C(O)-알킬(C1-C4)), 카복실레이트 라디칼(예를들면, -O-C(O)-알킬(C1-C4)), 케토 라디칼(예를들면, -C(O)-알킬(C1-C4)), 락탐 라디칼(예를들면) 또는 에테르 라디칼(예를들면, -알킬렌(C1-C4)-O-알킬(C1-C4))이고, 이 때 , 라디칼 R13내지 R16은 질소 및/또는 산소 및/또는 황 및/또는 인 원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염소 또는 브롬원자, 하이드록실, 카복실, 설폰산, 시아노 또는 메르캅토 라디칼, 카복스아미드 라디칼 (예를들면, NH-C(O)-알킬(C1-C4)), 설폰아미드 라디칼(예를들면, -NH-SO2-알킬(C1-C4)), 일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예를들면, -NH[알킬(C1-C4)] 또는 -N[알킬(C1-C4)]2) 또는 니트로 라디칼에 의해 치환 될 수 있고, X- 및 Y- 는 각각 화학양론적 등가량의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 또는 유기 및/또는 무기 음이온의 혼합물이고, 일반식(I) 또는 (II) 단량체를 단독중합시키는 경우에는, R1및 R2및/또는 R1' 및 R2' 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일반식(I) 내지 (III)중 2개의 단량체의 혼합물을 공중합 시키는 경우에는, 라디칼 R1및 R2및/또는 R2' 및 R1' 및 음이온 X- 및 Y- 가 모두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금속, 목재,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콘크리트, 택스타일 물질, 종이 또는 고무로 제조한 제품을 표면 코팅하기 의한 분맡 및 와니스에, 특히 마찰전기 또는 동전기학적으로 분무된 분말 코팅재에 전하 개선제로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전자사진 복사기 또는 프린터의 현상제에 사용된 캐리어 코팅재에 또는 개리어 코팅재의 한 구성성분에 전하개선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특허청구된 화합물은 특정 토너, 현상제, 와니스 또는 분말에 균일 분포형으로 약 0.01 내지 약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히 적합한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은 상기 언급한 일반식(I) 또는 (II)의 단량체를 단독중합시키거나 또는 약 0.5 : 0.5 내지 약 0.95 : 0.05 의 공중합체중의 일반식 (I) : (II) 및 (I) : (III) 및 (II) : (III) 단량체의 몰비를 갖는, 상기 언급한 (I) 내지 (III)중 2개의 단량재의 혼합물을 공중합시키고, 이어서 경우에 따라 음이온 교환시켜 수득한, 분자량 약 20,000 내지 약 250,000 을 갖는 폴리(디알릴암모늄) 유도체 또는 그의 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식(I), (II)및 (III)에서, R1및 R2또는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C1-C18) 또는 알콕시(C1-C18) 라디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라디칼(예를들면, 페닐, 나프틸 또는 피리딜 라디칼), 아르알킬 라디칼(에를들면, 톨릴 라디칼), 아르알콕시 라디칼(예를들면, 메톡시페닐 라디칼), 알크아릴 라디칼(예를들면, 벤질 라디칼)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예를들면,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 라디칼) 이고, 라디칼 R1및 R2또는 R1' 및 R2' 는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실, 카복실 또는 설폰산 라디칼, -NH-C(O)-알킬(C1-C4)과 같은 카복스아미드 라디칼, -NH-SO2-알킬(C1-C4)와 같은 설폰아미드 라디칼, -C(O)-알킬(C1-C4)와 같은 케토 라디칼, -NH[알킬-(C1-C4)] 또는 -N[알킬-(C1-C4)]2와 같은 일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니트로 라디칼,-알킬렌 (C1-C4)-O-알킬(C1-C4)와 같은 에테르 라디칼, 알킬(C1-C4) 또는 알콕시(C1-C4) 라디칼, 아르옥시 라디칼, 예를들면, 페녹시 라디칼, 할로게노알킬(C1-C4) 또는 할로게노알콕시(C1-C4) 라디칼 또는 -C(O)-O-알킬(C1-C4)와 같은 에스테르 라디칼로 치환될 수 있고, R3내지 R12또는 R3' 내지 R12' 라디칼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C1-C8) 또는 알콕시(C1-C8) 라디칼, 아릴 또는 헤테로 라디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라디칼(예를들면, 페닐, 나프틸 또는 피리딜 라디칼), 아르알킬 라디칼(예를들면, 톨릴 라디칼), 아르알콕시 라디칼(예를들면, 메톡시페닐 라디칼), 아르옥시 라디칼(예를들면, 페녹시 라디칼), 알크아릴 라디칼(예를들면, 벤질 라디칼)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예를들면,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 라디칼)이고, 라디칼 R3및 R13또는 R3' 및 R13' 은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 카복실 또는 실폰산 라디칼, -NH-C(O)-알킬(C1-C4)과 같은 카복스아미드 라디칼, -NH-SO2-알킬(C1-C4)와 같은 설폰아미드 라디칼,-C(O)-알킬(C1-C4)와 같은 케토 라디칼, -NH[알킬-(C1-C4)] 또는 -N[알킬-(C1-C4)]2와 같은 일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니트로 라디칼, -알킬렌(C1-C4)-O-알킬(C1-C4)와 같은 에테르 라디칼, 알킬(C1-C4), 알콕시(C1-C4) 라디칼, 아르옥시 라디칼, 예를들면, 페녹시 라디칼, 할로게노알킬(C1-C4) 또는 할로게노알콕시(C1-C4) 라디칼 또는 -C(O)-O-알킬(C1-C4)와 같은 에스테로 라디칼로 치환될 수 있고, R13내지 R16라디칼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C1-C8) 라디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라디칼(예를들면, 페닐, 나프틸 또는 피리딜 라디칼), 아로알킬 라디칼(예를들면, 톨릴 라디칼), 아르알콕시 라디칼(예를들면, 메톡시페닐 라디칼), 알크아릴 라디칼(예를들면, 벤질 라디칼)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예를들면,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 라디칼), 카복실, 설폰산 또는 시아노 라디칼, 에스테르 라디칼(예를들면, -C(O)O-알킬(C1-C4)), 카복실레이트 라디칼(예를들면, -O-C(O)-알킬(C1-C4)), 카복스아미드 라디칼(예를들면, -NH-C(O)-알킬(C1-C4)), 설폰아미드 라디칼(예를들면, -NH-SO2-알킬(C1-C4)), 케토 라디칼(예를들면, -C(O)-알킬(C1-C4)), 락탐 라디칼(예를들면) 또는 에테르 라디칼(예를들면, -알킬렌(C1-C4)-O-알킬(C1-C4)이고, R13내지 R16라디칼은 염소 또는 브롬원자, 하이드록실, 카복실, 설폰산, 시아노 또는 메르캅토 라디칼, 카복스아미드 라디칼(예를들면, NH-C(O)-알킬(C1-C4)), 설폰아미드 라디칼(예를들면, -NH-SO2-알킬(C1-C4)), 일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예를들면, -NH[알킬(C1-C4)] 또는 -N[알킬(C1-C4)]2)또는 니트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X- 및 Y는 각각 화학양론적 등가량의 음이온 또는 음이온의 혼합물, 예를들면 F-, Cl-, Br-, I-, NO3-, OH-, HSO4-, SO4-, S2-, SO3 2- , S2O3 2-, HCO3-, CO3 2-, H2PO4-, HPO4 2-, PO4 3-, CN-, 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아연 테트라시아네이트, 아연 테트라티오시아네이트, 퍼클로레이트, BF4-, PF6-, B(아릴)r(예를들면, 테트라페닐 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테트라(클로로페닐)보레이트, 테트라톨릴 보레이트, 테트라나프틸 보레이트, 테트라(메톡시페닐)보레이트, 테트라비페닐 보레이트, 테트라 벤질 보레이트 또는 테트라피리딜 보레이트), 에틸- 및 메틸-설포네이트, 페놀레이트, 니트로페놀레이트,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의 카복실 레이트 또는 설포네이트(예를들면,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벤조에이트, 살리실레이트, 2-하이드록시-3-나프토에이트, 2-하이드록시-6-나프토에이트, 에틸-설포네이트, 페닐설포네이트 또는 토실레이트) 및 더욱더 과불소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카복실레이트 또는 실포네이트(예를들면, 퍼플루오로아세테이트, 퍼플루오로알킬 벤조에이트, 퍼플루오로에틸설포네이트, 또는 퍼플루오로알킬벤젠 설포네이트) 및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지환된 또는 방향족 디 또는 트리카복실레이트(예를들면, 시트 레이트, 옥살레이트 또는 숙시네이트, 또는 디- 또는 토리설포네이트, 텅스테이트, 몰리브데이트 또는 헤테로폴리산 음이온, 예를들면 포스포-몰리브네이트 또는 -텅스테이트, 실리코-몰리브네이트 또는 -텅스테이트)이며, 음이온 F-, Cr-, Br-, I-, BF4 -, B(아릴)4 -, PF6 -및 P(MO3O10)4 3-이 특히 적합하다.
특히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의 단독중합체
상기식에서, X-는 Cl-, BF4 -, B(페닐)4 -또는 PF6 -이고, R1=H 또는 CH3이고 R2=CH3또는 C8H17이고 상기 화합물은 약 20,000 내지 약 250,000 의 분자량을 갖는다.
의 공중합체
상기식에서, X-및 Y-=Cl-, BF4 -, B(페닐)4 -또는 PF6 -이고, R1및 R1' =H 또는 CH3이고 R2및 R2' 는 CH3또는 C8H17이고, 상기 화합물은 약 20,000 내지 약 250,000 의 분자량을 갖고, 공중합체에서 단량체의 몰비는 약 0.5 : 0.5 내지 약 0.95 : 0.05 이다.
의 공중합체
상기식에서, X-및 Y-=Cl-, BF4 -, B(페닐)4 -또는 PF6 -이고,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CH3또는 C8H17이고, R3은 H또는 CH3이고 R4는 COOH, C(O)OCH3, C(O)OC2H5, C(O)NH2, OC(O)CH3또는 CN 이고, 상기 화합물은 약 20,000 내지 약 250,000 의 분자량을 갖고, 공중합체에서 약 0.5 : 0.5 내지 약 0.95 : 0.05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다.
언급할 수 있는 개별 화합물을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 분자량 약 100,000 을 갖는 단독중합체(1)
- 분자량 약 100,000 을 갖는 단독중합체(2)
- 분자량 약 100,000 을 갖는 단독중합체(3)
- 분자량 약 100,000 을 갖는 단독중합체(4)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물비를 갖는 공중합체(5)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6)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7)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8)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9)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10)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11)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12)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95 : 0.05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13)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95 : 0.05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14)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95 : 0.05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15)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95 : 0.05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16)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17)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18)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19)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20)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21)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22)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23)
- 분자량 약 100,000 과 공중합체에서 약 0.8 : 0.2 의 단량체 몰비를 갖는 공중합체(24)
일반식(I) 내지 (III)의 화합물 및 이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고 하기 문헌에 상세히 개시된 방식으로 제조한다[예를들면 G.B. Butler, R.J. Angelo, J. Am. Chem. Soc. 79(1957), 3128-31; G.B. Butler in: E.J. Goethals, Polymeric Amines and Ammonium Salts, Pergamon Press, 1980, 125-42; D.H. Solomon, D.G. Hawthorne, J. Macromol. Sci.-Rev. Macromol. Chem. C15(1976), 143-64;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Methods of Organic Chemistry), Vol. XIV/1, Thieme-Verlag, Stuttgart, 1961, 561-1182; K. Weissermel, H.-J. Arpe, Industrielle Organische Chemie(Industrial Organic Chemistry), Verlag Chemie, Weinheim 1988, 230-51; East German Patent 127,729; European Patent 0,103,698; 및 US Patent 3,288,770].
그러므로 일반식(I) 및 (II)의 화합물은 예를들면, 알릴 할라이드와 N,N-디알킬알릴아민의 반응에 의해 또는 알킬 니트릴을 환원시키고 아민과 알릴 할라이드의 후속 반응 및 디알릴아민을 4급화시키므로서 제조한다.
일반식(III)의 화합물은 예를들면 할로겐화 수소를 에틴에 첨가하므로서, NaCN과 알콜의 반응에 의한 에틸렌클로로 히드린으로부터, 락트산을 에스테르화시킨 후 열분해시키므로서, 에텐과 아세트산의 반응에 의해, 방향족 화합물을 프리델-크라프트 알킬화시킨 후 크랙킹시키므로서, 프로펜의 암모산화에 의해 또는 아크릴아미드의 촉매 가수분해에 의해 제조한다.
일반식(I) 및 (II)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및 일반식(I) 내지 (III)중 2개의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는 예를들면,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또는 암모늄 퍼옥시디설페이트와 같은 유리 라디칼 개시제의 도움을 받아 극성 용매(예를들면, 물 또는 디메틸 포름아미드)하에서 유리 라디칼 단독중합 또는 공중합에 의해 제조한다(할라이드 염이 단량체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화합물 (2) 내지 (4), (6) 내지 (8), (10) 내지 (12), (14) 내지 (16), (18) 내지 (20) 및 (22) 내지 (24)의 여러 염들은 음이온 교환에 의해, 예를들면 제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성 매질로부터 침전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라 특허청구한 화합물의 특성 잇점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무색이고, 높은 전하 조절 효과를 가지며, 전하 조절 효과가 일정한 활성 기간(24시간 이하)동안 일정하다는 점이다. 예를들면, 화합물(3) 1 중량% 를 함유하는 시험 토너는 10분 후 -8μC/g, 30분 후 -21μC/g, 2시간 후 -31μC/g 및 24시간 후 -33μC/g, 의 전하를 나타낸다(용도 실시예 3). 화합물(13) 1 중량% 를 함유하는 시험토너는 하기 양태플 나타낸다. 10분 후 +30μC/g, 30분 후 +25μC/g, 2시간 후 +16μC/g 및 24시간 후 +12μC/g 의 전하(용도 실시예 10). 화합물(15) 1 중량% 를 함유하는 시험토너는 하기 값을 나타낸다. 10분 후 -20μC/g, 30분 후 -28μC/g, 2시간 후 -33μC/g 및 24시간 후 -33μC/g 의 전하(용도 실시예 11).
화합물(3) 1 중량% 를 함유하는 시험 분말 코팅재는 10분 후 -3μC/g, 30분 후 -1μC/g, 2시간 후 +4μC/g 및 24시간 후 +2μC/g 의 전파를 나타낸다(용도 실시예 5). 화합물(1) 1 중량% 를 함유하는 시험 분말 코팅재는 10분 후 -6μC/g, 30분 후 -7μC/g, 2시간 후 -7μC/g 및 24시간 후 -6μC/g 의 전하를 나타낸다(용도 실시예 6). 높은 전하 조절 효과는 예를들면, 순수한 토너 결합제 Dialec S-309의 하전성(비교실시예 1 : 10분 후 -4μC/g, 30분 후 -12μC/g, 2시간 후 -27μC/g, 24시간 후 -48μC/g), 순수한 분말 코팅 결합재 Alftalat AN 757의 하전성 (비교실시예 3 : 10분 후 -35μC/g, 30분 후 -32μC/g, 2시간 후 -24μC/g, 24시간 후 -13μC/g) 및 순수한 분말 코팅 결합제 A1ftalat AN 792의 하전성(비교실시예 3:10본 후 -15μC/g, 30분 후 -17μC/g, 2시간 후 -13μC/g, 24시간 후 -2μC/g)을 비교하기 위해 고려할 때 더욱더 분명해진다. 용도 실시예 7, 8 및 9 에서, 높은 전하 조절 효과는 비교 실시예 4, 5 및 6 과 비교할 때 특히 분명해진다(그 이유는 대조 실시예 4, 5 및 6에서 마찰전기 문제가 존재하는 착색제(C.I. Pigment Red 57 : 1 및 C.I. Solvent Blue 125)를 추가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청구한 화합물이 화학적으로 불활성이고, 결합제 예를들면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에폭사이드 및 폴리우레탄과 쉽게 양립할 수 있는 점이 실제로 대단히 중요하다. 화합물은 또한 열안정성이 있으며 어려움 없이 통상적인 조건(100℃ 내지 200℃ 의 온도)하에서 통상적인 공정(압출 또는 혼련)에 의해 통상적인 결합제에 혼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청구한 화합물의 합성은 거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높은 수율로 생성물이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식 예를들면 압출 또는 혼련에 의해 특성 결합제에 약 0.01 내지 약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5.0 중량% 의 농도로 균질하게 혼입된다. 토너용 전하 조절제 또는 표면 코팅재, 특히 마찰전기 또는 동전기학적으로 분무된 분말 코팅재용 분말 및 와니스의 전하 개선제를 본 발명에서 건조된 분말 및 마쇄된 분말, 분산액 또는 용액, 프레쓰-케익(press-cakes) 또는 마스터배취로, 수용액 또는 비수용액으로부터 적합한 캐리어(예를들면, 실리카겔, TiO2또는 Al2O3) 상에 흡착된 화합물 또는 또다른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화합물은 원칙적으로 특정 결합재의 제조 과성중에 미리 첨가할 수 있다. 즉 결합제의 중합, 중부가 또는 중축합 과정중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하 조절제가 균질하게 혼입된 전자사진 토너 또는 분말 코팅재의 정전하량은 실온 및 50% 상대 습도하에서 동일한 조건(예 : 동일한 분산시간, 동일한 입자 크기 분포 및 동일한 입자 형태)하에 표준 시험 시스템에서 측정했다. 롤러 스탠드(roller stand)(150rpm)상에서 캐리어, 즉 표준화된 마찰 파트너(캐리어 97 중량부당 토너 3중량부)를 휘저으므로써 토너 또는 분말 코팅재의 정전하를 발생시켰다. 이어서 정전하를 통상적인 q/m 측정 스템드상에서 측정했다(비교 : J.H. Dessauer, H.E. Clark, Xerography and related Processes, Focal press, N. Y., 1965, page 289; J. F. Hughes, Electrostatic Powder Coating, Research Studies Press Ltd., Letchworth, Hertfordshire, England, 1984, Chapter 2). 입자크기는 q/m 값을 측정할 때 대단히 영향을 미치므로 체질하여 수득한 토너 및 분말 코팅제 샘플의 표준 입자 크기 분포에 엄격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한다. 언급한 부는 중량부이다.
제조 실시예
제조 실시예 1
디알릴디메틸암모늄 염화물의 단독중합체(분자량 약 100,000g/mol) 10g(0.06mol)을 물 200㎖ 에 용해시키고, 물 100㎖에 용해시킨 나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7.5g(0.07㎖)을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서서히 적가한다. 흰색 침전물을 흡입여과 시키고, 물로 염화물로부터 세척하여 서서히 100℃ 하에 진공 캐비넷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흰색 분말의 화합물(2) 12.2g(이론치의 92.4%)
융점: 300℃(분해)
원소 분석:
계산치 45.1% C, 7.5% H, 6.6% N, 35.7% F
실측치 44.5% C, 7.9 % H, 6.5% N, 33.4% F
제조 실시예 2
나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대신에 나트륨 테트라페닐보레이트 23.9g(0.07mol)을 사용함을 제외하고, 제조 실시예 1 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한다.
수율 : 화합물(3), 원색 분말 27.2g(이론치의 98.7%)
융점 : 225℃
원소 분석 :
계산시 86.3% C, 8.1% H, 3.1% N, 2.4% B
실측치 84.2% C, 8.1% H, 3.4% N, 2.0% B
제조 실시예 3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염화물과 디 알릴메틸옥틸암모늄 염화물의 공중합체(분자량 약 100,000g/mol, 공중합체에서 단량체 단위의 몰비 약 0.8 : 0.2) 10g(0.06㎖)을 물 400㎖ 에 용해시키고, 물 100㎖ 에 용해시킨 나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7.5g(0.07 mol)을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서서히 적가한다. 흰색 침전물을 흡입여과해내고, 물로 염화물로부터 세척하고 진공 캐비넷에서 100℃ 하에 건조시킨다.
수율 : 흰색 분말의 화합물(10) 12.4g(이론치의 89.9%)
융잠 : 300℃(분해)
원소 분석 :
계산치 48.0% C, 8.0% H, 6.1% N, 33.0% F
실측치 46.9% C, 8.2% H, 6.2% N, 32.7 X F
제조 실시예 4
나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대신에 불 150㎖ 에 용해시킨 나트륨륨 테트라페닐보레이트 24.0g(0.07mol)을 사용함을 제외하고, 제조실시예 3 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한다.
수율 : 흰색 분말의 화합물(11) 26.7g(이론치의 96.3%)
융점 : 205-210℃
원소 분석 :
계산치 86.2% C, 8.3% H, 3.0% N, 2.4% B
실측치 85.6% C, 8.4% H, 3.3% N, 2.2% B
제조 실시예 5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염화물과 디 알릴메틸옥틸암모늄 염화물의 공중합체(분자량 약 100,000g/mol, 공중합체에서 단량체 단위의 몰비 약 0.95 내지 0.05) 10g(0.06mol)을 물 400㎖ 에 용해 시키고, 물 100㎖ 에 용해시킨 나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7.5g(0.07mol)을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서서히 적가한다. 약간 호박색의 침전물을 흡입여과해내고, 물로 염화물로부터 세척하고 진공 캐비넷에서 100℃ 하에 건조시킨다.
수율 : 약간 호박색 분말의 화합물(14), 9.5g(이론치의 72.0%)
융점 : 270℃(분해)
윈소 분석 :
계산치 46.0% C, 7.7% H, 6.4% N, 5.0% B
실측치 45.5% C, 8.0% H, 6.7% N, 4.3% B
제조 실시예 6
나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대신에 물 150㎖ 에 용해시킨 나트륨 테트라페닐보레이트 24.0g(0.07mol)을 사용함을 제외하고, 제조실시예 3 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한다.
수율 : 흰색 분말의 화합물(15) 25.8g(이론치의 95.6%)
융점 : 240℃
원소 분석 :
계산치 86.3% C, 8.2% H, 3.1% N, 2.4% B
실측치 85.7% C, 8.8% H, 3.0% N, 2.2% B
제조 실시예 7
디알릴디메틸암모늄 염화물과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분자량 약 100,000g/mol, 공중합체에서 단량체 단위의 몰비 약 0.8 내지 0.2) 10g(0.08mol)을 물 400㎖ 에 용해시키고, 물 200㎖ 에 용해시킨 나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9.9g(0.09mol)을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서서히 적가한다. 흰색 침전물을 흡입여과해내고, 물로 염화물로부터 세척하고 진공 캐비넷에서 100℃ 하에 건조시킨다.
수율 : 흰색 분말의 화합물(22) 11.6g(이론치의 78.2%)
융점 : 3000 (분해)
원소 분석 :
계산치 45.4% C, 7.5% H, 7.6% N, 4.8% B
실측치 45.1% C, 7.7% H, 7.4% N, 4.3% B
용도 실시예
용도 실시예 1
웨르너 앤드 프플레이더러[(Werner Pfleiderer)(Stuttgart)]의 혼련기를 사용하여 45분간 화합물(1) 1.0 부를 토너 결합체 99.0 부(다이아몬드 샴로크 (Diamond Sharmrock)의 Dialec S-309, 스티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60 : 40)에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100LU 만능 실험실 밀 (Alpine, Augsburg)에서 분쇄한 후 100 MZR 원심분리체(Alpine)상에서 등급을 매겼다. 스티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90 : 10)로 코팅시킨 자철광 입자의 캐리어[플라즈마 머터리알즈 인코포레이티드(Plasma Materials Inc.)(Manchester, NH, USA)의 90㎛ 제록스 복사기 캐리어 타입, 크기 50 내지 200㎛]로 원하는 입자 단편(4 내지 25㎛)을 활성화시켰다. 통상적인 q/m 측정 스탠드(Epping GmbH, Neufahrn)상에서 측정했다. 25㎛ 메쉬너비의 시브(Gebr. Kufferath, Duren)를 사용하므로써 톤를 내뿜을 때 캐리어가 남아 있을 수 없도록 했다. 실온에서 50% 상대 대기습도하에 측정했다. 하기 q/m 값[μC/g]을 활성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용도 실시예 2
용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3) 0.5 부를 토너 결합제 99.5 부에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 값 [μ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용도 실시예 3
용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3) 1.0 부를 토너 결합제 99.0 부에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 값 [μ 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용도 실시예 4
용도 실시예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3) 2.5 부를 토너 결합제 97.5 부에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 값 [μ 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용도 실시예 5
화합물(3) 1.0 부를 분말 코팅 결합재(카복실 그룹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Hoechst AG 의 Alftalat AN 757) 99.0 부에 용도 실시예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 값[μ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용도 실시예 6
화합물(1) 1.0 부를 분말 코팅 결합제(카복실 그룹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Hoechst AG 의 Alftalat AN 792) 99.0 부에 용도 실시예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 값[μ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용도 실시예 7
화합물(3) 2.5 부 및 착색제 C.I. 솔벤트 블루 125 2.5 부를 토너 결합재 95.0 부에 용도 실시예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값[μ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용도 실시예 8
화합물(3) 2.5 부 및 착색제 C.I. 피그먼트 레드 57 : 1 2.5 부를 토너 결합제 95.0 부에 용도 실시예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값[μ 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용도 실시예 9
화합물(3) 1.0 부 및 착색제 C.I. 피그먼트 레드 57 : 1 5.0 부를 토너 결합제 94.0 부에 용도 실시예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값[μ 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용도 실시예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13) 1.0 부를 토너 결합제 99.0 부에 균질하계 혼입시켰다. 하기 q/m 값 [μ 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용도 실시예 11
용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15) 1.0 부를 토너 결합제 99.0 부에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 값[μ 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비교 실시예 1
(용도 실시예 1내지 4 및 10 내지 11과 비교)
용도 실시예 1 에 개시된 토너 결합제 Dialec S-309 100 부를 용도 실시예 1 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추가의 혼련기에서 45분간 혼련시키고 분쇄시킨 후 분류하고 q/m 측정 스탠드상에서 측정했다. 하기 q/m 값[μ 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비교 실시예 2
(용도 실시예 5와 비교)
토너 결합제 Dialec S-309 대신에, 분말 코팅 결합제 Alftalat AN 757을 사용함을 제외하고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했다. 하기 q/m 값[μ 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비교 실시예 3
(용도 실시예 6과 비교)
토너 결합제 Dialec S-309 대신에, 분말 코팅 결합재 Alftalat AN 792를 사용함을 제외하고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했다. 하기 q/m 값[μ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비교 실시예 4
(용도 실시예 9 와 비교)
착색제 C.I. 피그먼트 레드 57 : 1 5.0 부를 토너 결합제 95.0 부에 용도 실시예 1 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 값[μ 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비교 실시예 5
(용도 실시예 8 과 비교)
착색제 C.I. 피그먼트 레드 57 : 1 2.5 부를 토너 결합제 97.5 부에 용도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 값[μ 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비교 실시이ㅖ 6
(용도 실시예 7 과 비교)
착색제 C.I. 솔벤트 블루 125 2.5 부를 토너 결합제 97.5 부에 용도 실시예 1 에 게시된 바와 같이 균질하게 혼입시켰다. 하기 q/m 값[μ C/g]을 활성 시간의 함수로 측정했다:

Claims (12)

  1. 마스터(master)의 복사 또는 복제 및 저장된 정보의 전자, 자기 또는 광학적 프린팅, 또는 칼라교정(colorproofing)에 사용되는 전자사진 토너 및 현상제에 전하 조절제로서 또는 분맡 및 분말 코팅재에 전하 조절제로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화합물과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하기 일반식(I) 또는 (II) 단량체를 단독중합 시키거나, 약 0.5 : 0.5 내지 약 0.95 : 0.05 의 공중합체중의 (I) : (II) 및 (I) : (III) 및 (II) : (III) 단량체의 몰비를 갖는, 하기 일반식(I) 내지 (III)중 2개의 단량체의 혼합물을 공중합시키고, 이어서, 경우에 따라, 음이온 교환시켜 수득한, 약 5000 내지 약 500,000 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성 암모늄염의 용도.
    상기식들에서, 라디칼 R1내지 R12및 R1' 내지 R12' 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 라디칼,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에스테르 라디칼, 설폰산 또는 설폰산 에스테르 라디칼 또는 시아노 또는 니트로 라디칼이거나, 또는 각각 헤테로원자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탄화수소를 기본으로 한 라디칼이며, X-및 Y-는 각각 화학양론적 등가량의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 또는 유기 및/또는 무기 음이온의 혼합물이고, 라디칼 R13내지 R18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하이드록실 라디칼,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에스테르 라디칼, 설폰산 또는 설폰산 에스테르 라디칼 또는 시아노 또는 니트로 라디칼이거나, 또는 각각 헤테로 원자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탄화수소를 기본으로 한 라디칼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라디칼 R1및 R2또는 R1' 및 R2' 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C1-C18) 또는 알콕시(C1-C18) 라디칼, 일반식 -(알킬렌(C1-C5)-O)n-R [여기서, R 은 수소원자, 알킬(C1-C4) 라디칼 또는 아실 라디칼이고, n 은 1 내지 10 이다]의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라디칼 또는 아르알킬, 아르알콕시, 알크아릴,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이며, R1및 R3또는 R1' 및 R2' 가 또한 결합하여, 헤테로원자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 치환될 수 있고/있거나 다른 환시스템과의 융합 또는 가교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포화 또는 불포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의 5원 내지 7원 환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라디칼 R1및 R2또는 R1' 및 R3'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으며,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 카복실, 설폰산, 시아노, 메르캅토, 카복스아미드, 실폰아미드, 우레탄 또는 케토 라디칼,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또는 니트로, 에테르, 알킬(C1-C30), 알콕시(C1-C30), 아르옥시, 할로게노알킬(C1-C30), 할로게노 알콕시(C1-C30) 또는 에스테르 라디칼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중합체성 암모늄염의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라디칼 R3내지 R12또는 R3' 내지 R12' 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C1-C18) 또는 알콕시(C1-C18) 라디칼, 일반식 -(알킬렌 (C1-C5)-O)n-R [여기서, R 은 수소원자, 알킬(C1-C4) 라디칼 또는 아실 라디칼이고, n 은 1 내지 10 이다]의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라디칼 또는 아르알킬, 아르알콕시, 아르옥시, 알크아릴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이며, 라디칼 R3내지 R12또는 R3' 내지 R12' 중 2개는 또한 결합하여, 헤테로원자를 추가로 함유한 수 있고 치환될 수 있고/있거나 다른 환 시스템과의 융합 또는 가교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포화 또는 불포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의 5원 내지 7원 환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라디칼 R3내지 R12또는 R3' 내지 R12' 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 카복실, 설폰산, 시아노, 메르캅토, 카복스아미드, 설폰 아미드, 우레탄 또는 케토 라디칼,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또는 니트로, 에테르, 알킬(C1-C30), 알콕시(C1-C30), 아르옥시, 할로게노알킬(C1-C30), 할로게노알콕시(C1-C30) 또는 에스테르 라디칼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중합체성 암모늄 염의 용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라디칼 R13, 내지 R16이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C1-C30) 라디칼, 일반식 -(알킬렌(C1-C5)-O)n-R [여기서, R 은 수소원자, 알킬(C1-C4) 라디칼 또는 아실 라디칼이고, n 은 1 내지 10이다]의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라디칼, 아르알킬, 아르알콕시, 알크아릴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 또는 카복실, 설폰산, 시아노, 카복스아미드, 설폰아미드, 에스테르, 카복실레이트, 케토, 락탐 또는 에테르 라디칼이며, 이때 라디칼 R13내지 R16은 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염소 또는 카복실, 설폰산, 시아노, 메르캅토 아미드 라디칼,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또는 니트로 라디칼에 의해 치환도리 수 있는 중합체성 암모늄 염의 용도.
  5. 일반시(I) 또는 (II) 단량체를 단독중합시키는 경우에는, R1및 R2및/또는 R1' 및 R2' 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일반식(I) 내지 (III)중 2 개의 단량체의 혼합물을 공중시키는 경우에는, 라디칼 R1및 R1' 및/또는 R2및 R2' 및 음이온 X-및 Y-가 같거나 다를 수 있는 중합체 암모늄 염의 용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항에서 언급한 일반식(I) 내지 (II)에서, X-및 Y-가 로 독립적으로 할라이드, 니트레이트, 하이드록사이드,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설페이트, 설파이드, 설파이트, 티오 설페이트 비카보네이트, 카보네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 페이트, 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포스페이트, 시아나이드, 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아연 테트라시아네이트, 아연 테트라티오시아네이트, 퍼클로레이트, BF4 -, PF6 -, B(아릴)4 -, CH3OSO3 -, 페놀 레이트 또는 니토로페놀레이트 음이온,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카복실레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음이온, 과불소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카복실레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음이온,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또는 트리카복실산 음이온 또는 디-또는 트리설폰산 음이온 또는 텅스테이트, 몰리브데이트 또는 헤테로폴리산 음이온(상기 음이온들은 혼합물 형태로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인 중합체성 암모늄 염의 용도.
  7. 제1항에서 언급한 일반식(I) 내지 (III)에서, 라디칼 R1및 R2또는 R1' 및 R3'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 (C1-C8),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페닐, 나프틸, 피리딜, 벤질, 톨릴 또는 메톡시페닐 라디칼이고, 이들 라디칼은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 시아노 또는 메르캅토 라디칼,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또는 니트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라디칼 R3내지 R12또는 R3' 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C1-C8),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페닐, 나프틸, 피리딜, 벤질, 톨릴 또는 메톡시페닐 라디칼이고, 이들 라디칼은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 시아노 또는 메르캅토 라디칼,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또는 니트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라디칼 R13내지 R16이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시아노, 알킬(C1-C8),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페닐, 나프틸, 피리딜, 벤질, 톨릴, 메톡시페닐, 카복실, 설폰산, 카복스아미드, 설폰아미드, 에스테르 또는 락탐 라디칼이며, 이들 라디칼은 염소 또는 브롬원자, 하이드록실, 시아노 또는 메르캅토 라디칼,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라디칼 또는 니트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X-및 Y-는 서로 독립적으로 F-, Cl-, Br-, I-, BF4 -, B(아릴)4 -, PF6 -또는 P(MO3O10)43-음이온(상기 음이온은 혼합물 형태로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인 중합체성 암모늄 염의 용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항에 나타낸 일반식(I) 내지 (III)중 2개의 단량쳬의 혼합물을 공중합시키는 경우에는, 공중합체중의 (I) : (II) 및 (I) : (III) 및 (II) : (III) 단량체의 몰비가 약 0.5 : 0.5 내지 약 0.95 : 0.05 인 중합체성 암모늄 염의 용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약 20,000 내지 약 250,000 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성 암모늄 염의 용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화합물과 혼합하여 약 0.01 내지 약 30 중얄%의 농도로 사용되는 중합체성 암모늄 염의 용도.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마스터의 전자사진 복사 또는 복제 및 저장된 정보의 전자, 광학 또는 자기적 프린팅, 또는 칼라교정을 위한 현상제어에 사용되는 캐리어의 코팅재로 또는 캐리어 코팅재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중합체성 암모늄 염의 용도.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금속, 목재,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콘크리트, 택스타일 물질, 종이 또는 고무로 제조한 제품을 표면 코팅하기 위한 분말 또는 와니스에, 특히 마찰전기 또는 동전기학적으로 분무된 분말 코팅재에 전하 개선제로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화합물과 사용되는 중합체성 암모늄 염의 용도.
KR1019910016257A 1990-09-19 1991-09-18 전하 조절제로서의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 KR100224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029653.9 1990-09-19
DE19904029653 DE4029653A1 (de) 1990-09-19 1990-09-19 Polymere ammoniumverbindungen als ladungssteuermittel
DEP4029653,9 1990-09-19
DEP41036107 1991-02-07
DE4103610 1991-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805A KR920006805A (ko) 1992-04-28
KR100224947B1 true KR100224947B1 (ko) 1999-10-15

Family

ID=2589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257A KR100224947B1 (ko) 1990-09-19 1991-09-18 전하 조절제로서의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87038A (ko)
EP (1) EP0476647B1 (ko)
JP (1) JP3381932B2 (ko)
KR (1) KR100224947B1 (ko)
CA (1) CA2051794A1 (ko)
DE (1) DE5910857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3941B1 (en) * 1993-03-09 1997-08-06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Polymer electrets with improved charge stability
DE4332170A1 (de) * 1993-09-22 1995-03-23 Hoechst Ag Polyestersalze und ihre Verwendung als Ladungssteuermittel
DE4418842A1 (de) * 1994-05-30 1995-12-07 Hoechst Ag Verwendung ringförmiger Oligosaccharide als Ladungssteuermittel
DE4447593C2 (de) * 1994-10-05 2000-12-07 Clariant Gmbh Toner für elektrophotographische Entwickler, enthaltend ein Azogelbpigment
TW363901B (en) * 1994-11-16 1999-07-11 Dsm Ip Assets Bv Proces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owder paint composition
US6342273B1 (en) 1994-11-16 2002-01-29 Dsm N.V. Proces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owder paint composition
DE19517034A1 (de) * 1995-05-10 1996-11-14 Hoechst Ag Verwendung von Einschluß-Verbindungen ringförmiger Polysaccharide als Ladungssteuermittel
DE19628933A1 (de) * 1995-07-19 1997-01-23 Iwatsu Electric Co Ltd Magnetischer Toner zum Entwickeln eines latenten Bildes
US5830616A (en) * 1995-07-19 1998-11-03 Iwatsu Electric Co., Inc. Magnetic latent image developing toner
US6159649A (en) * 1996-06-13 2000-12-12 Clariant Gmbh Electrophotographic, resin-containing, electret, or inkjet compositions containing magenta azo pigment and use thereof
DE19732995A1 (de) * 1997-07-31 1999-02-04 Clariant Gmbh Verwendung von Inter-Polyelektrolyt-Komplexen als Ladungssteuermittel
KR20020040015A (ko) * 2000-11-23 2002-05-30 이상철 흙을 주재료로한 토목 및 건축자재
DE10154987A1 (de) * 2001-11-08 2003-06-05 Schott Glas Kunststoffton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unststofftone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7426A (en) * 1975-09-29 1977-11-08 Xerox Corporation Magenta toner with a coated carrier
US4299898A (en) * 1979-05-03 1981-11-10 Xerox Corporation Positively charged toners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salts attached to acrylate polymers
US4397934A (en) * 1981-12-31 1983-08-09 Xerox Corporation Developer compositions containing quaternized vinylpyridine polymers, and copolymers
US4415646A (en) * 1982-03-03 1983-11-15 Xerox Corporation Nitrogen containing polymers as charge enhancing additive for electrophotographic toner
US4496643A (en) * 1984-03-23 1985-01-29 Eastman Kodak Company Two-component dry electrostatic developer composition containing onium charge control agent
DE3580777D1 (de) * 1984-03-30 1991-01-17 Du Pont Mit polymeren quaternaeren ammonium-salzen und schmiermitteln behandelte toner und verfahren.
US4656112A (en) * 1984-09-12 1987-04-07 Orient Chemical Industries, Ltd.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s
US4621039A (en) * 1984-12-18 1986-11-04 Xerox Corporation Developer compositions with fast admixing characteristics
US4683188A (en) * 1985-05-28 1987-07-28 Hodogaya Chemical Co., Ltd. Electrophotographic toner containing metal complex charge control agent
US4684596A (en) * 1986-02-18 1987-08-04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graphic toner and developer composition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salt charge-control agent
US4840863A (en) * 1986-04-17 1989-06-20 Fujikura Kasei Co., Ltd. Positively chargeable toner for use in dry electrophotography
JPS63200160A (ja) * 1987-02-17 1988-08-18 Fuji Xerox Co Ltd 静電荷像用正帯電トナ−
DE3737493A1 (de) * 1987-11-05 1989-05-18 Hoechst Ag Verfahren zur erhoehung der elektrostatischen aufladbarkeit von pulverlacken oder pulvern und deren verwendung zur oberflaechenbeschichtung von festen gegenstaen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108575D1 (de) 1997-04-10
EP0476647A1 (de) 1992-03-25
JP3381932B2 (ja) 2003-03-04
EP0476647B1 (de) 1997-03-05
JPH04261549A (ja) 1992-09-17
KR920006805A (ko) 1992-04-28
US5187038A (en) 1993-02-16
CA2051794A1 (en) 199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22347B2 (ja) 電子写真記録法の為の電荷制御剤として激しく弗素化した無色のアンモニウム―およびイミニウム化合物を用いる方法
US5563016A (en) Diallylammonium compound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KR0121884B1 (ko) 전하 조절제로서의 아릴 및 아르알킬 설파이드, 설폭사이드 또는 설폰 화합물의 용도
KR100224947B1 (ko) 전하 조절제로서의 중합체성 암모늄 화합물
JP3179663B2 (ja) ポリエステル塩を荷電制御剤として使用する方法
US4021358A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s
US5147748A (en) Use of colorless highly fluorine-substituted phosphonium compounds as charge control agents for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processes
US4464452A (en) Developer compositions containing diaryl sulfonimides
US5500323A (en) Charge control with cyclic polysulfonyldially ammonium salts
US6221550B1 (en) 4H-pyran charge control agents for electrostatographic toners and developers
EP0659738B1 (en) N-(Carbonyl, carbonimidoyl, carbonothioyl) sulfonamide charge control agents and toners and developers
US4269922A (en) Positive toners containing long chain hydrazinium compounds
JPH0197966A (ja) 乾燥トーナー
SE434681B (sv) Tonarpulver, forfarande for framstellning av tonarpulvret samt en anvendning derav
US7541130B2 (en) Sulfone charge control agents for electrostatographic toners
DE4029653A1 (de) Polymere ammoniumverbindungen als ladungssteuermittel
JPH0973193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DE4209919A1 (de) Toner für die Elektrofotografie, neue Indolderiv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S63226663A (ja) 静電荷像用現像剤
JPH0895300A (ja) 正帯電性ト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