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827B1 -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827B1
KR100224827B1 KR1019960015962A KR19960015962A KR100224827B1 KR 100224827 B1 KR100224827 B1 KR 100224827B1 KR 1019960015962 A KR1019960015962 A KR 1019960015962A KR 19960015962 A KR19960015962 A KR 19960015962A KR 100224827 B1 KR100224827 B1 KR 10022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be
subject
image pickup
image
cc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3781A (ko
Inventor
쥰지 사토
마사요시 우루시다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960043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3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Abstract

피사체의 화상을 CCD등의 촬상소자로 촬상하는 촬상장치에 관한것으로, 스트로보 촬영시의 노광제어가 확실하면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트로보를 CCD(10)에 축적한 전하를 배출하는 배출펄스에 동기하여 발광시키는 구성으로 하며, 스트로보 발광시에는 거리측정부(6)에 의해 측정된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CCD(10)에의 전하의 축적기간을 설정하여 배출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스트로보 발광기간내에 축적기간이 설정되도록 배출펄스의 CCD(10)에의 공급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럭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파형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부의 동작그래프이다.
제4도는 종래의 일례의 블럭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틸카메라 일체형 비디오카메라 2 : 자기테이프
3 : 비디오 카메라부 4 : 필름
5 : 스틸카메라부 6 : 거리측정부
7 : 제어부 21 : 게이트회로
29 : 스트로보 34 : 시스템 컨트롤러
35 : 배출펄스 카운터
본 발명은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사체의 화상을 CCD등의 촬상소자에 의해 촬상하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의 기록을 행할 때, 비디오 카메라등에 의해 동화상을 기록하는 이외에 스틸카메라에 의해 정지화상도 기록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이경우, 사용자로부터 VTR과 스틸카메라를 따로따로 휴대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라는 불만을 사고 있다.
상기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스틸카메라와 비디오 카메라를 일체화한 스틸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가 생각되고 있다. 스틸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각각의 카메라를 사용함과 동시에 같은 피사체를 스트로보 촬영하는 경우, 비디오 카메라에 사용되고 있는 촬상소자의 감도에 비해 스틸카메라에 사용되고 있는 은염필름의 감도가 낮으므로 촬상소자가 스미어(Smear), 블루밍(Blooming)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제4도에 종래의 일례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다.
비디오카메라부(51)의 렌즈부(52)로부터의 입사광은 CCD(53)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CDS(54)에서 검파된 후,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ADC ; 55)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더욱이, 이 신호는 DSP(56)에서 신호처리된 후, 필요에 따라 필드메모리(57)에 기억되며,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DAC, 58)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DSP(56)에서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되어 각각 Y필터(59), C필터(60)을 거쳐 VTR(6l)에 입력된다. 또한 CCD(53), CDS(54), ADC(55), DSP(56), 필드메모리(57), DAC(58)등에는 타이밍발생부(62)로부터 타이밍신호, 클럭이 공급된다. 또한 렌즈부(52)는 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63) 및 조리개 컨트롤러 (AE컨트롤러, 64)에 의해 조리개(65)가 제어되어 노광이 제어된다.
그리고, 스틸카메라부(74)에서는 셔터버튼(73)이 조작되면 스틸카메라부(74)의 렌즈부(66)로 부터의 입사광은 조리개(67), 셔터(68)를 거쳐 은염필름(69)을 감광시킨다. 이때 피사체가 어두운 경우에는 스트로보전원(71)이 공급되는 스트로보(70)가 시스템 컨트롤러(72)로 조절된 전하량, 즉 스트로보 트리거 온 펄스에 따라 스트로보 온 스위치(74)를 작동시켜 발광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비디오카메라와 스틸카메라로 동시에 같은 피사체를 스트로보 촬영하는 경우, 비디오카메라에 사용되고 있는 자동노출제어(AE, 이후 AE라 표현한다)는 피사체가 이동하고 있고, 너무 반응을 좋게 하면 화상이 가물거리기 때문에 반응을 늦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스트로보 발광시의 노광데이타에 기초한 적절한 AE가 불가능하였다. 지금까지 비디오카메라의 피사체가 역광일 때만 스트로보를 발광하는 방식(특개명 4-255181호)과 셔터 스피드를 절환하고, CCD의 축적기간내에 스트로보의 발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방식(특개명 4-326874호)등이 제안되어 있다.
비디오카메라의 조리개에 의한 AE에서는 전방에서 장해물이 횡절하는 등 피사체의 급격한 변화에는 따르지 않는 편이 좋기 때문에 시정수를 길게 취하고 있으며, 스트로보 촬영을 행하는 경우, 스트로보 발광기간은 대략 2mSEC 정도로 고속이므로 실제로 스트로보광에 의해 노광된 피사체의 밝기를 측광하여 AE를 실행하는 것은 곤란하며, 비디오카메라에 의한 스트로보 촬영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트로보 촬영시의 노광제어가 확실하면서도 용이하게 행한 수 있는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피사체의 화상을 축적기간에 전하로 변환하고, 배출기간에 배출펄스로 순차 출력하는 촬상소자를 가지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스토로보를 상기 배출펄스에 동기된 타이밍으로 발광시키는 스트로보 발광제어수단과, 상기 스트로보 발광제어수단에서 제어되는 스트로보의 발광 타이밍 기간내에서 상기 촬상소자의 전하 축적기간을 상기 배출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설정하는 축적기간 설정수단과, 상기 축적기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상기 축적기간 동안에 상기 촬상소자에로의 상기 배출펄스의 공급을 금지하는 게이트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정으로 한다.
청구항 2는 상기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정지화상 기록수단을 가지며, 상기 스트로보를 상기 해당 정지화상 기록수단과 공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은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측하는 거리측정수단을 가지며, 상기 축적기간 설정수단은 상기 거리측정수단에 의해 계측된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축적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면, 스트로보의 발광을 촬상소자로부터 피사체의 화상에 따른 전하를 배출하는 배출펄스에 동기한 타이밍으로 행하고, 스트로보 발광기간내에서의 촬상소자에 의한 전하의 축적기간을 배출펄스의 계수값에 대응시켜 제어함으로써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상시의 촬상소자의 전하 축적기간을 배출펄스의 값에 따라 자유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스트로보 발광시의 조리개만으로는 추종할 수 없었던 노출제어를 축적기간의 제어에 의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르면,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상 이외에 정지화상을 촬상하는 정지화상 촬상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정지화상과 촬상소자를 이용한 동화상의 촬상이 가능해지며, 정지화상 촬상수단과 촬상소자에 스트로보를 공요킴으로써 정지화상 촬상수단에 의해 스트로보를 이용하여 정지화상을 촬상할 때 촬상소자의 노출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촬상된 화상에 대해서도 스트로보에 의한 효과적인 촬상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따르면, 거리측정수단을 설치하고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배출펄스의 계수제어를 행하며 스트로보 발광중의 촬상소자의 전하축적기간을 제어함으로써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른 최적의 노광에 의한 촬상을 행할 수 있다.
제1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의 동화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는 비디오카메라와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필름에 기록하는 스틸카메라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스틸카메라 일체형 비디오카메라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스틸카메라 일체형 비디오카메라(1)는 피사체의 동화상을전기신호로 변환한후,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비디오카메라부(3),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필름(4)에 기록하는 스틸카메라부(5), 피사체의 밝기 및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측하는 거리측정부(6), 비디오카메라부(3)및 스틸카메라부(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로 구성된다.
비디오카메라부(3)에서 피사체로부터의 상이 렌즈부(8)에 입사되어 집광되며, 조리개부(9)를 경유하여 CCD(Charge Coupled Device, 10)에 입사된다. CCD(10)에 입사된 광은 CCD(10)에서 입사광에 따른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상관이중 샘플링회로(CDS, 11)에 공급된다.
CCD(10)에서 변환된 피사체의 화상에 따른 전기신호는 CDS(11)에서 검파중폭기등의 처리가 되어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ADC, 12)에 공급된다.
ADC(12)에서는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인 CDS(11)에서 처리된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탈신호 처리회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13)에 공급한다.
DSP(13)에 공급된 디지탈신호는 DSP(13)에서 미리 설정된 디지탈 연산처리가 실시되며,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되고 촬상화상이 정지화상인 경우 필드메모리(14)에 저장된다. 이때 동화상의 경우에는 필드메모리(14)는 바이패스된다. 필드메모리(14)에 저장 또는 바이패스된 디지탈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DAC ; Digital Analog Converter, 15)에 공급된다. DAC(15)에서는 DSP(13) 또는 필드메모리(14)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얻는다.
DAC(15)에서 얻어진 휘도신호는 Y필터(16)에 공급되며, DAC(15)에서 얻어진 색신호는 C필터(17)에 공급된다. Y필터(16)에서는 DAC(15)로부터 공급된 휘도신호로부터 불필요 성분을 제거하여 기록/재생부(18)에 공급한다. 또한, C필터(17)에서는 DAC(15)로부터 공급된 색신호로부터 불필요 성분을 제거하여 휘도신호와는 별개로 기록/재생부(18)에 공급한다.
기록/재생부(18)에서는 Y필터(16)로 부터 공급된 휘도신호와 C필터(17)로부터 공급된 색신호를 중첩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폰(19) 및 음성처리부(20)에 의해 얻어진 주위의 음성에 따른 음성신호를 중첩하여 자기 테이프(2)에 기록한다. 기록/재생부(18)에는 비디오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로부터 동작지시신호가 공급되며, 비디오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로부터의 동작지시신호에 따라 자기테이프(2)의 주행, 회전드럼 헤드의 구동 등의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CCD(10)에는 타이밍발생부(22)로부터 게이트회로(21)를 경유하여 CCD(10)의 화상에 입사광에 따라 축적된 전하를 배출하는 배출펄스가 공급되며, CCD(10), CDS(11), ADC(12), DSP(13), 필드메모리(14), DAC(15)에는 타이밍발생부(22)로부터 직접 각종 타이밍펄스가 공급된다. 또한, 배출펄스는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수평블랭킹기간에 출력된다. CCD(10), ADC(12), DSP(13), 필드메모리(14), DAC(15)는 타이밍발생부(22)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펄스에 따라 동작하고, 상호간에 동기되어 동작한다.
타이밍 발생부(22)는 비디오 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와 접속되어 있으며, 비디오 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로부터의 동작지시 신호에 따라서 타이밍 펄스를 발생하여 CCD(10), ADC(12), DSP(13), 필드메모리(14), DAC(15)에 공급한다.
비디오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에는 비디오카메라 AE컨트롤러(24)가 접속되어 있으며, 비디오카메라 AE 컨트롤러(24)는 비디오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작하며, CCD(10)에서 수광한 광량에 따라 조리개(9)를 구동하여 노출제어를 행한다. 이때, 비디오카메라 AE컨트롤러(24)는 피사체의 밝기의 급격한 변화에 따르지 않도록 시정수를 길게 쉬하고 있으며, 스트로보등에 의한 급격한 광량의 변화에서는 조리개(9)가 조정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비디오카메 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에는 시스템제어부(7)로부터 동작지시신호 및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등이 공급되며, 시스템제서부(7)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지시신호에 따라 비디오카메라부(3)의 기록/재생, 노출제어동작 등의 각종 동작이 제어된다.
스틸카메라부(5)에서는 피사체로부터의 상이 렌즈부(26)에 입사되어 집광되며, 필름(4)에 상이 결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렌즈부(26)와 필름(4) 사이에는 조리개(27) 및 셔터(28)가 설치되며, 필름(4)에 공급되는 광의 노출제어가 행해진다. 조리개(27) 및 셔터(28)는 시스템제어부(7)에 접속되며, 시스템제어부(7)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지시신호에 따라 조리개량 및 셔터 스피드가 컨트롤되어 소위 노광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스틸카메라부(5)에서는 피사체의 밝기가 충분히 없으면 필름(4)이 감광되기 어렵고, 피사체의 영상이 불량해지므로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스트로보(29)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로보(29)는 셔터(28)의 동작에 동기하여 온하는 스위치(30)를 개재시켜 스트로보 구동부(31)와 접속되어 있으며, 스트로보 구동부(3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발광한다.
스트로보 구동부(31)는 시스템제어부(7)와 접속되며, 시스템제어부(7)로부터의 동작지시에 따라 스트로보(29)를 발광시키는 구동신호를 발생한다.
시스템제어부(7)는 비디오카메라부(3)의 동작을 제어하는 비디오카메라 조작부(32), 스틸카메라부(5)의 셔터(28)를 동작시키는 셔터버튼(33), 비디오카메라 조작부(32), 셔터버튼(33)의 조작에 따라 비디오카메라부(3) 및 스틸카메라부(5)에 동작지시신호를 공급하는 시스템 컨트롤러(34)로 구성된다.
비디오카메라 조작부(32)에는 기록버튼, 재생버튼, 빨리감기, 되감기 버튼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예를들어 기록버튼이 조작되면 시스템 컨트롤러(34)는 비디오카메라부(3)를 제어하는 비디오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에 기록동작을 지시하는 동작지시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셔터버튼(33)을 조작하면 시스템 컨트롤러(34)는 셔터(28)를 조리개(27)의 조리개량에 대응한 셔터(28)의 셔터개방시간(셔터스피드)만 개방상태로 한다. 이때, 측정부(6)에 의한 피사체의 밝기의 측정 결과,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스트로보 구동부(31)에 동작 지시하고, 스트로보(29)가 발광 가능한 상태로 함과 동시에 셔터버튼(33)의 조작시에 스의치(30) 및 게이트회로(21)에 대해서 스트로보 트리거 온펄스를 공급한다.
스위치(30)는 시스템 컨트롤러(34)로부터 스트로보 트리거 온펄스가 공급되면, 온하여 스트로보 구동부(31)에서 발생되는 구동신호를 스트로보(29)에 공급한다. 스트로보(29)는 스트로보 구동부(31)로부터의 구동신호에 따라 발광하여 피사체에 광을 조사한다.
또한, 게이트회로(21)는 배출펄스 카운터(35)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타이밍발생부(22)로부터 CCD(10)에 공급되는 배출펄스의 공급을 금지하고, 스트로보(29)의 발생중의 카메라신호의 CDS(11)에의 공급을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른 시간만을 금지한다.
배출펄스 카운터 (35)에는 타이밍발생부(22)로부터 배출펄스가 공급되며, 배출펄스를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을 게이트회로(21)에 공급한다. 게이트회로(21)에는 배출펄스 카운터(35)로부터 카운트값이 공급됨과 동시에 비디오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에 내장된 테이블에 의해 측정부(6)의 거리측정결과에 따라 설정된 노광시간(전하축적기간)에 따른 카운트값이 공급되며, 게이트회로(21)는 배출펄스 카운터(35)로부터의 카운트값과, 비디오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로부터의 노광시간에 따른 카운트값을 비교하여 배출펄스 카운터 (35)로부터의 카운트값이 비디오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로부터의 노광시간에 따른 카운트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 타이밍발생부(22)로부터 공급되는 배출펄스를 게이트하여 CCD(10)에의 공급을 금지한다.
또한 거리측정회로(6)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렌즈(8), 렌즈(26)를 구동하여 AF(오토 포커스)를 행한다. 스트로보 발광기간은 2mS정도이며, 그 발광종료시를 CCD(10)의 전하배출펄스와 동기시키고, 배출펄스의 거의 직전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와같이 스트로보의 발광기간을 배출펄스에 등기시켜 이것으로부터 배출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스트로보의 발생기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스트로보의 발광기간내에서 CCD(10)에 의한 촬영에 기여하는 전하축적기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2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파형도를 나타낸다. 제2도 (a)는 수직 동기 신호이며, 일반적으로 CCD촬상소자로부터의 축적 전하 독출펄스는 수직동기신호의 블랭킹기간의 전후에 위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직동기신호의 블랭킹기간의 직후에 있는 것으로 한다.이 CCD촬상소자로부터의 축적전하 독출펄스를 제2도 (c)에 도시한다. 즉, 제2도에서는 타이밍(t0), (t3)...에서 CCD에 축적된 전하, 즉 카메라 신호가 출력된다. 결국 통상의 촬영에서는 to-t3 사이에 CCD에 축적된 모든 전하가 1/60초마다 축차 출력된다.
제2도 (b)는 하이레벨 기간이 스트로보의 발광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제2도 (d)는 CCD(10)에 축적된 전하를 CCD기판만에 배출하는 배출펄스이다. 지금 t0에 있어서 CCD(10)의 전하는 출력된 후, 새로운 전하의 축적이 시작되는데, 제2도 (d)의 배출펄스에 의해 축적-배출을 반복한다. t2 시점에서는 전하는 0가 되며, t2이후는 배출펄스가 없으므로 전하의 배출이 행해지지 않고 전하는 축적되며, 결국 t2-t3 까지 축적이 이루어진다.
이때, 필요한 노광시간(t2-t3)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해진다. 현재 거리측정부(6)로부터 공급되는 거리측정데이타에 의해 비디오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에 설치된 테이블이 참조되어 설정된다. 제3도에 테이블의 특성도를 나타낸다. 피사체로부터 반사광은 피사체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거리의 제곱으로 감소되므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하축적기간을 거리에 제곱에 따른 비율로 증가시킴으로써 일정 노광이 얻어진다. 예를들어 스트로보 발광기간 2mS중 0.6mS만큼 유효한 경우, 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배출 펄스 카운터(35)가 253펄스만 계수하고, 이 사이는 배출펄스를 60게이트를 통해서 출력한다. 그후는 게이트회로(21)를 동작시켜 배출펄스의 CCD(10)에의 공급을 금지시키고, 9펄스 =9수평기간은 배출펄스를 CCD(10)에 공급하지 않는다. 이때문에 CCD(10)에는 이 9H분만큼 전하가 축적된다. 즉 2mS는 약31H에 상당하므로 0.6mS는 3/109H가 된다.
이와같이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CCD(10)에의 입사시간이 제어되며, 입력광량이 제어된다. 따라서, 스트로보촬영의 경우에는 미리 거리에 따른 축적시간(t2-t3)을 설정하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을 카메라 프로세스 컨트롤러(23)에 설치해 두고, 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축적기간의 설정이 가능해진다. 스트로보 촬영시에는 거리측정 데이타에 의한 이 테이블 데이타를 기초로 t2-t3을 설정하면 된다. 이때 조리개(9)에 의한 AE제어는 불가능하므로 조리개(9)의 조리개량은 일정값으로 고정해 두는 것으로 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CCD 축적전하 독출펄스를 스트로보 발광시에 CCD(10)에 의한 피사체의 밝기에 따른 전하축적 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스트로보 발광기간에 비디오 카메라의 CCD축적전하 독출펄스와 스트로보 발광이 시간적으로 중복되지 않고 촬상이 가능해지며, 스트로보 발광시에 전하를 축적할 수 있으며, 스트로보 발광시에도 안정된 노광제어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스트로보 발광시 완전한 화상이 얻어지므로 CCD(10)에 의해 스트로보를 이용한 효과적인 화상이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면, 스트로보 발광을 촬상소자로부터 피사체의 화상에 따른 전하를 배출하는 배출펄스에 동기한 타이밍으로 행하고, 스트로보 발광기간내에서의 촬상소자에 의한 전하의 축적기간을 배출펄스의 계수값에 대응시켜 제어함으로써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상시의 촬상소자의 전하축적기간을 배출펄스의 값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스트로보 발광시의 조리개만으로는 추종할 수 없었던 노출 제어를 축적기간의 제어에 의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청구항 2에 따르면,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상 이의에 정지화상을 촬상하는 정지화상 촬상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정지화상과 촬상소자를 이용한 동화상의 촬상이 가능해지며, 정지화상 촬상수단과 촬상수단에 스트로보를 공용함으로써 정지화상 촬상수단에 의해 스트로보를 이용하여 정지화상을 촬상할 때, 촬상소자의 노출도 최적 제어할 수 있으므로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촬상된 화상에 대해서도 스트로보에 의한 효과적인 촬상이 가능해지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청구항 3에 따르면, 거리측정수단을 설치하고,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배출펄스의 계수제어를 행하며, 스트로보 발광중의 촬상소자의 전하축적기간을 제어함으로써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른 최적의 노광에 의한 촬상을 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Claims (3)

  1. 피사체의 화상을 축적기간에 전하로 변환하고, 배출기간에 배출펄스로 순차 출력하는 촬상소자를 가지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스트로보를 상기 배출펄스에 동기된 타이밍으로 발광시키는 스트로보 발광제어수단, 상기 스트로보 발광제어수단에서 제어되는 스트로보의 발광 타이밍 기간내에서 상기 촬상소자의 전하 축적기간을 상기 배출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설정하는 축적기간 설정수단, 및 상기 축적기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상기 축적기간 동안에 상기 촬상소자에로의 상기 배출펄스의 공급을 금지하는 게이트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정지화상 기록수단을 가지며, 상기 스트로보를 상기 해당 정지화상 기록수단과 공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측하는 거리측정수단을 가지며, 상기 축적기간 설정수단은 상기 거리측정수단에 의해 계측된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축적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19960015962A 1995-05-18 1996-05-14 촬상장치 KR100224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020895A JP3242549B2 (ja) 1995-05-18 1995-05-18 撮像装置
JP7-120208 1995-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781A KR960043781A (ko) 1996-12-23
KR100224827B1 true KR100224827B1 (ko) 1999-10-15

Family

ID=1478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962A KR100224827B1 (ko) 1995-05-18 1996-05-14 촬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42549B2 (ko)
KR (1) KR100224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4778B2 (ja) 2003-03-28 2007-01-31 富士通株式会社 撮影装置
KR100732931B1 (ko) * 2005-04-13 2007-06-2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촬영 장치, 촬영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388A (ja) * 1989-09-11 1991-04-23 Nec Corp 固体撮像テレビカメ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388A (ja) * 1989-09-11 1991-04-23 Nec Corp 固体撮像テレビ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317278A (ja) 1996-11-29
JP3242549B2 (ja) 2001-12-25
KR960043781A (ko) 199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06160B2 (ja) 電子内視鏡装置
US5101276A (en) Electronic still camera capable of 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luminance levels within a field being photographed
EP0280511B1 (en) Still video camera
JPH0115226B2 (ko)
US5229856A (en) Method for the control of stroboscopic light used in electronic still cameras
KR100224827B1 (ko) 촬상장치
JPH0324836B2 (ko)
JPS62143571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3234127B2 (ja) 撮像装置
JP3805658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797339B2 (ja) 電子カメラ
JP2810728B2 (ja) 電子内視鏡装置
JPS58153464A (ja) 固体撮像素子を使用したスチルカメラ
JP2608163B2 (ja) 撮像装置
JP3232566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3260747B2 (ja) 電子的撮像装置
JPH0690464A (ja) 画像記録装置
JPH01109877A (ja) 露光制御機能を有する固体撮像素子駆動装置
JP2578185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H02134986A (ja) 撮像装置
JP2714951B2 (ja) 撮像装置
JPS59100670A (ja) 撮像装置
JP3348962B2 (ja) カメラ
JP3630859B2 (ja) 撮像装置
JP3371008B2 (ja) ムービ/スチル・ビデオ・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