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141B1 - 자기센서 - Google Patents

자기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141B1
KR100224141B1 KR1019950042249A KR19950042249A KR100224141B1 KR 100224141 B1 KR100224141 B1 KR 100224141B1 KR 1019950042249 A KR1019950042249 A KR 1019950042249A KR 19950042249 A KR19950042249 A KR 19950042249A KR 100224141 B1 KR100224141 B1 KR 100224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ensor
sensor element
metal terminals
plat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342A (ko
Inventor
하루오 이또
사다오 미야모또
사또시 구와바라
나오끼 후꾸다
Original Assignee
루라까미 아끼라
데이꼬꾸 쓰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라까미 아끼라, 데이꼬꾸 쓰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루라까미 아끼라
Publication of KR960019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9Magnetoresis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a variable number of pulses in a trai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counting or timing of machine ope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all/Mr Element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자기센서는, 평판상의 기판의 표면에 자기저항 패턴과 이 자기저항 패턴으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전극패턴을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자기센서 소자와, 탄성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 상기 자기 센서 소자의 하단변을 사이에 끼우는 형상의 클립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금속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금속단자의 클립부를 자기센서 소자의 하단변을 사이에 끼움과 동시에 각 클립부를 상기 복수의 전극 패턴에 각각 압접하여 고정시켰다.
상기 복수개의 금속단자 내의 양측단에 있는 금속단자에, 이 금속단자로부터 양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위치조정판을 설치하여도 좋다.

Description

자기센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한 자기센서를 바깥쪽에서 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자기센서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자기센서의 측면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자기센서(10-1)를 고정판(30-1)상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자기센서(10-2)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자기센서(10-3)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9도는 자기센서(10-3)를 고정판(30-3)상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자기센서(10-4)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3도는 자기센서(10-5)를 부착하는 고정판(30-5)의 상면을 도시하는 요부 사시도.
제14도는 자기센서(10-5)를 고정판(30-5)상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5도는 자기센서(10-5)를 고정판(30-5)상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측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자기센서(10-6)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자기센서(10-7)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2,10-3,10-5,10-6,10-7 : 자기센서
15-1,15-2,15-3,15-5,15-6,15-7 : 자기센서소자
20-1,20-2,20-3,20-4,20-5,20-6,20-7 : 금속단자
33-1,33-5,35-1,35-5 : 랜드부
201-1,201-2,201-3,201-5,201-6,201-7 : 클립부
본 발명은 자기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기저항을 이용하여 자계의 상태를 검출하는 자기센서가 개발되어, 여러가지의 전자기기에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자기센서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254881호 공보나, 일본국 실개평 2-24390 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들 종래의 센서는, 모두 평판모양의 자기센서소자를 몰드수지제의 홀더에 부착한 구조였다.
자기센서소자는, 그 표면에 자계의 방향이나 강도에 따라서 저항치가 변화하는 자기저항 패턴 및 이 자기저항 패턴으로부터 인출되는 전극패턴을 형성하고, 이 전극패턴에 금속단자를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자기센서로부터 정확한 검출신호를 얻으려면, 자기센서소자의 표면이 피측정물에 대하여 매우 정확히 평행을 이루어야 하며, 동시에 자기센서소자의 표면과 피측정물간의 이간거리가 매우 정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자기센서를 피측정물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뜨린 위치에서 소정의 부착부재에 부착할 때는, 피검출물과의 이간거리나 설치각도의 미세조정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자기센서의 홀더 일단의 하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타단에 관통공을 형성해 두며, 상기 돌기를 부착부재에 형성한 구멍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이 돌기를 중심으로 하여 자기센서를 미소각도로 회전운동시켜 그 최적인 위치를 알아내고, 그후, 상기 관통공에 나사를 삽입하여 이 나사의 선단을 부착부재에 형성한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그 고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① 자기센서의 위치의 미세조정은, 홀더에 형성한 돌기를 중심으로 하여 이 자기센서를 회전운동시켜 수행되므로, 자기센서소자의 표면을 정확히 평행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 자기센서소자의 표면을 피검출물에 대하여 정확한 이간거리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여, 자기센서로부터 올바른 검출신호를 얻을 수 없게 될 염려가 있다.
② 종래의 자기센서는, 자기센서소자와 금속단자 외에 홀더나 고정용의 나사가 필요하여 부품수가 많고, 또 구조가 복잡하며, 그러한 것 때문에 그 제조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센서의 위치의 미세조정이 정확하게 수행되어 정확한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는 자기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가 적고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자기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점은, 평판모양의 기판 표면에 자기저항 패턴과 이 자기저항 패턴으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전극패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기센서소자 및 탄성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 상기 자기센서소자의 하단변을 사이에 끼우는 형성의 클립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금속단자를 구비하고, 각 금속단자의 클립부에 자기센서소자의 하단변을 끼움과 동시에 각 클립부를 상기 복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압접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센서이다.
또 본 발명의 요점은, 상기 복수의 금속단자중 양측단에 있는 금속단자에, 이 금속단자로부터 양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위치조정판을 설치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제2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자기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1도는 바깥쪽에서 본 사시도, 제2도는 안쪽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측면도이다.
제1도∼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센서(10-1)는, 평판모양의 자기센서소자(15-1)의 하단변에, 4개의 금속단자(20-1)의 일단에 설치한 클립부(201)를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센서소자(15-1)는, 평판모양의 글래스, 실리콘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기판(151-1)의 표면에, 소망하는 자기저항패턴(153-1)과, 이 자기저항패턴(153-1)으로부터 인출된 4개의 전극패턴(155-1)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전극패턴(155-1)은 기판(151-1)의 하단변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판(151-1)의 세로×가로×두께 치수는, 3.3m/m×2.7m/m×0.7m/m이다.
또, 자기저항 패턴(153-1)은, 퍼멀로이(permalloy ; 니켈ㆍ철합금) 또는 니켈ㆍ코발트합금을 기판(151-1)에 진공증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전극패턴(155-1)은 구리를 기판(151-1)에 진공증착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금속단자(20-1)는 인 청동 전체에 땜납도금을 실시한 것으로서 그 두께가 0.1m/m의 탄성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 대략 J자 모양으로 벤딩된 클립부(201-1)를 설치하고, 이 클립부(201-1)의 타단측은 일단 위쪽으로 끌어올려진 후에 다시 상기의 클립부(201-1)의 가장 하강한 위치와 대략 동일한 위치까지 하강하도록 접어 구부리고 그 높이에서 후방으로 더 연장된 고정단부(203-1)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경사 하방으로 벤딩된 부분을 위치조정용 가압부(205-1)라 한다.
그리고 이 자기센서(10-1)를 제조하는데는, 4개의 금속단자(20-1)의 클립부(201-1)에 자기센서소자(15-1)의 하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이 클립부(201-1)를 상기 4개의 전극패턴(155-1)에 각각 압접시키고, 이 상태에서 각 전극패턴(155-1)과 클립부(201-1) 사이를 땜납(17-1)(제3도 참조)에 의해서 고정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본 발명의 경우, 금속단자(20-1)의 클립부(201-1)가 자기센서소자(15-1)를 삽입한 상태에서 땜납(17-1)으로 고정함으로써, 자기센서소자(15-1)와 금속단자(20-1) 사이의 접속강도는 충분하게 되고, 따라서, 이 땜납(17-1)상에 추가로 다른 보강재를 도포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보강재를 도포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이 자기센서(10-1)는, 금속단자(20-1)의 클립부(201-1)와 고정단부(203-1)를 고정판 상에 두는 것만으로 자기센서소자(15-1)가 수직으로 직립하여 유지되므로, 발명의 배경에서 설명한 홀더가 불필요해지며, 이 2개의 부품만으로 자기센서(10-1)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제4도, 제5도, 제6도는 이 자기센서(10-1)를 고정판(30-1)상에 부착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먼저 고정판(30-1)의 표면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회로패턴(31-1)의 랜드부(33-1)와 4개의 고정용 랜드부(3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랜드부(33-1),(35-1) 상에는 땜납을 인쇄해 둔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고정판(30-1)상에 자기센서(10-1)를 탑재하는데, 이때, 금속단자(20-1)의 각 고정단부(203-1)를 각 랜드부(33-1)상에 탑재하고, 동시에 각 클립부(201-1)를 각 랜드부(35-1)상에 탑재한다. 그리고 랜드부(33-1)에만 열을 가하여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인쇄한 땜납(40-1)을 녹여서 그 랜드부(33-1)에 고정단부(203-1)를 고정한다.
다음에, 금속단자(20-1)의 위치조정용 가압부(205-1)를 제5도에 도시된 화살표(A)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자기센서소자(15-1)를 화살표(B)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이동시켜서 그 위치를 조정하고, 도시하지 않은 피검출물과의 간격을 조정한다. 이때자기센서소자(15-1)는, 이 자기센서소자(15-1)의 면에 대하여 정확히 평행하게 이동하므로, 피검출물에 대한 간격의 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센서의 감도는 양호해진다.
그리고, 이 위치결정이 종료한 후에 랜드부(35-1)에만 열을 가하여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인쇄한 땜납(41-1)을 녹여서 이 랜드부(35-1)에 클립부(201-1)를 고정한다. 이로써 고정판(30-1)에 대한 자기센서(10-1)의 고정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센서(10-1)의 고정판(30-1)에 대한 고정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작업이 용이하다.
다음에,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자기센서(10-2)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자기센서(10-2)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위점은, 금속단자(20-2)의 형상이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금속단자(20-2)는, 금속단자(20-2)의 일단을 대략 L 자 모양으로 벤딩한 후, 일단 하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벤딩하고, 또한 소정길이의 부분에서 다시 180도 벤딩하여 상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클립부(201-2)를 구성한 후, 추가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벤딩하여 상기 클립부(201-2)의 가장 하강한 위치와 대략 동일위치까지 하강시킨 후에 그 높이에서 추가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고정단부(203-2)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클립부(201-2)중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한 부분(207-2)를 높이 조정부라 한다. 또 경사하방으로 벤딩한 부분을 위치조정용 가압부(205-2)라 한다.
즉, 높이 조정부(207-2)는, 클립부(201-2)에 고정된 자기센서소자(15-2)의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어떠한 홀더 등의 다른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금속단자(20-2) 자체에 높이 조정부(207-2)를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자기센서소자(15-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자기센서(10-3)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한 점은, 금속단자(20-3)의 고정부(203-3)부근의 형상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금속단자(20-3)는, 고정단부(203-3)의 선단에 V 홈(209-3)을 형성하고, 또한 이 선단에서 4개의 금속단자(20-3)를 1매의 프레임(210-3)으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자기센서(10-3)를 고정판(30-3)상에 고정하는 데에는, 프레임(210-3)에 접속된 상태로 4개의 금속단자(20-3)의 고정단부(203-3)와 클립부(201-3)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판(30-3)상에 고정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V 홈(209-3)의 부분에서 프레임(210-3)을 들어올려서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금속단자(20-3)를 프페임(210-3)으로 일체로 유지하면 각 금속단자(20-3)가 흐트러지지 않고, 금속단자(20-3)의 고정판(203-3)으로의 접속이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수행된다.
다음에,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자기센서 (10-4)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한 점은, 클립부(201-4) 부근에서의 금속단자 (20-4)사이의 간격보다도, 고정단자(203-4) 부근의 금속단자(20-4)사이의 간격을 넓게 한 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 자기센서(10-4)의 고정판으로의 탑재가 안정하고, 또 고정단부(203-4)의 납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있어서는, 금속단자(20-1∼20-3)의 클립부(201-1∼201-3)의 하단을 고정판(30-1)∼(30-3)에 형성한 랜드부(35-1)∼(35-3)에 납땜하였지만, 이 납땜 및 랜드부(25-1∼35-3)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그 대신에 금속단자(20-1∼20-3)의 클립부(201-1∼201-3)를 고정판(30-1∼30-3) 상에 직접 절연성 접착제로 고정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11도는 사시도, 제12도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위한 점은, 금속단자(20-5)의 구조이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4개의 금속단자(20-5) 중에서 양측단에 위치하는 2개의 금속단자(20-5)에, 각각 이 양 금속단자(20-5)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위치조정판(207-5)을 설치하고 있다.
이 위치조정판(207-5)은, 클립부(201-5)의 자기센서소자(15-5)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L 자형으로서 그 선단을 후방으로 향하여 직각으로 벤딩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위치조정판(207-5)의 자기센서소자(15-5)의 면에 평행한 면의 부분을 이하 위치조정부(209-5)라 부르고, 그 하단의 직각으로 벤딩된 부분을 이하 고정부(211-5)라 부른다. 고정부(211-5)의 면의 위치는, 상기 클립부(201-5)의 가장 낮은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13도는 이 자기센서(10-5)를 부착하는 고정판(30-5)의 상면을 도시하는 요부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고정판(30-5)상에는, 상기 자기센서(10-5)의 4개의 금속단자(20-5)의 고정단부(203-5)를 각각 납땜하는 4개의 랜드부(33-5)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랜드부(33-5)에는 각각 회로패턴(31-5)이 접속되어 있다. 또, 이 고정판(30-5)상에는, 상기 자기세선(10-5)의 2개의 고정부(211-5)를 납땜하는 2개의 랜드부(35-5)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랜드부(33-5,35-5)상에는 땜납을 인쇄해 둔다.
여기에서, 제14도 및 제15도는 자기센서(10-5)를 고정판(30-5)상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14도는 평면도, 제15도는 요부 측면도이다.
자기센서(10-5)를 고정판(30-5)에 부착하는 데에는, 먼저 고정판(30-5)상에 자기센서(10-5)를 탑재하는데, 이때, 금속단자(20-5)의 각 고정단부(203-5)를 각 랜드부(33-5)상에 탑재한다.
그리고, 랜드부(33-5)에만 열을 가하여 그 위에 인쇄한 땜납(40-5 : 제15도 참조)을 녹임으로써 이 랜드부(33-5)에 고정단부(203-5)를 고정한다.
이때, 자기세선소자(15-5)는 제15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0-5)상에 부착된 피검출물 (DC 모터 : 50-5)의 회전판(51-5)에 부착된 자석(53-5)의 외주면에 그 면이 평행하게 되도록 접근시켜 배치된다.
그 다음에, 자기센서(10-5)에 형성한 2개의 위치조정판(207-5)의 위치 조정부(209-5)를 도시하지 않은 지그에 의해서 동일한 힘으로 가압 또는 인장(引張)하여, 자기센서소자(15-5)와 자석(53-5)간의 이간거리를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기센서소자(15-5)의 양측에 위치조정판(207-5)을 형성하고, 이들 양 위치조정판(207-5)을 동일한 힘으로 가압하여 (또는 인장하여) 자기센서소자(15-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자기센서소자(15-5)의 표면을,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하여, 더욱 정확하게 평행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석(53-5)에 대한 자기센서소자(15-5)의 이간거리의 조정이 이 자석(53-5)의 면에 대하여 정확히 평행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정시, 금속단자(20-5)의 출력을 도시하지 않은 장치로 모니터링(monitoring)해 두고, 자기센서소자(15-5)의 위치를 가장 적절한 출력이 얻어지는 위치(이간거리가 제15도에 도시된 L의 위치)로 조정하였을 때에, 랜드부 (35-5)에만 열을 가하여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부(35-5)상에 인쇄한 땜납(41-5)을 녹여서 이 랜드부(35-5)에 고정부(211-5)를 고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이간거리(L)는 100㎛ 정도이다.
이로써, 고정판(30-5)에 대한 자기센서(10-5)의 고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위치조정판(207-5)의 고정부(211-5)의 고정판(30-5)에 대한 고정은, 반드시 땜납(41-5)에 의해 수행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순간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랜드부(35-5)는 불필요하다.
다음에,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자기센서(10-6)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5와 상위한 점은, 위치조정판(207-6)의 형상뿐이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위치조정판(207-6)은, 클립부(201-6)로부터 돌출하여 자기센서소자(15-6)의 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위치조정부(209-6)와, 이 위치조정부(209-6)를 후측으로 향하여 직각으로 벤딩하여 이루어지는 접속부(213-6)와, 이 접속부(213-6)의 하단을 추가로 직각으로 벤딩하여 이루어지는 고정부(21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211-6)의 면이 위치가, 상기 클립부(201-6)의 가장 낮은 위치와 일치하고 있는 점은,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다.
위치조정판(207-6)을 이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하면, 그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고, 또한 가장 적절하게 된다.
다음에,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자기센서(10-7)를 도시하는 개략사시도이다.
이 자기센서(10-7)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6과 상위한 점은, 위치조정판(207-7)의 형상이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위치조정판(207-7)은, 상기 제16도에 도시된 자기센서(10-6)와 동일하게, 위치조정부(209-7)와, 접속부(213-7)와, 고정부(211-7)를 구비하고 있지만, 한쪽의 고정부(211-7)는 바깥쪽으로 향하여 벤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한쪽의 고정부(211-7)에는 타원형의 관통공(217-7)을 형성하고, 다른 쪽의 고정부(211-7)에는 이 고정부(211-7)에 절결을 형성하여 하방으로 돌출하는 지지돌기(215-7)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자기센서(10-7)의 고정판(30-7)에 대한 고정은, 고정판(30-7)에 형성한 원형공(37-7)에 상기 지지돌기(215-7)를 회전가능하게 삽입하고, 이 지지돌기(215-7)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시켜서 자기센서소자(10-7)의 위치의 미세조정을 행하고, 최적인 위치를 결정한 후에, 나사(60-7)를 관통공(217-7)에 끼우고 고정판(30-7)에 형성한 나사구멍(39-7)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 5, 6 및 7의 위치조정판(207-5, 6, 7)의 고정부(211-5, 6, 7)의 위치나, 금속단자(20-5, 6, 7)후단의 고정단부(203-5, 6, 7)의 위치는, 클립부(201-5, 6, 7)의 가장 낮은 위치와 일치시켰지만, 반드시 이를 일치시킬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 변경가능하다.
위치조정판(207-5, 6, 7)의 고정부(211-5, 6, 7)의 위치를 클립부(201-5, 6, 7)의 가장 낮은 위치보다도 더욱 하측위치에 위치시키면, 자기센서소자(15-5, 6, 7)를 고정판(305, 7)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소정높이 만큼 높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래서, 상술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점에서 단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제한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며, 명세서 본문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는 어떠한 구속도 받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전부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Claims (2)

  1. 평판모양의 기판의 표면에 자기저항 패턴 및 상기 자기저항 패턴으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전극패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기센서소자,
    탄성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상기 자기센서소자의 하단변을 사이에 끼운 형상의 클립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금속단자, 및
    상기 복수의 금속단자중 양측단에 있는 금속단자에 상기 금속단자로부터 양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위치조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금속단자 각각의 클립부에서 상기 자기센서소자의 하단변을 사이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클립부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압접하여 납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센서.
  2. 평판모양의 기판의 표면에 자기저항 패턴과 상기 자기저항 패턴으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전극패턴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자기센서소자, 및
    탄성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상기 자기센서소자의 하단변을 사이에 끼운 형상의 클립부를 설치하고 상기 클립부의 타단측은 일단 위쪽으로 끌어올려진 후에 상기 클립부가 가장 하강한 위치와 대략 동일한 위치까지 하강하도록 절곡하여 위치조정용 가압부를 형성하며 그 단부가 고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금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금속단자의 각 클립부에서 상기 자기센서소자의 하단변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클립부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압접하여 납땜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기센서.
KR1019950042249A 1994-11-24 1995-11-20 자기센서 KR100224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5649A JP2789172B2 (ja) 1994-11-24 1994-11-24 磁気センサ
JP94-315649 1994-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342A KR960019342A (ko) 1996-06-17
KR100224141B1 true KR100224141B1 (ko) 1999-10-15

Family

ID=1806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249A KR100224141B1 (ko) 1994-11-24 1995-11-20 자기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89172B2 (ko)
KR (1) KR100224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0789A (ja) * 2008-12-12 2010-06-24 Mitsumi Electric Co Ltd 電気的接続構造及びアンテナ装置
JP5156683B2 (ja) * 2009-04-24 2013-03-0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流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及びブラケット
JP2009276358A (ja) * 2009-08-27 2009-11-26 Seiko Epson Corp 素子取付パッケージ
JP5267543B2 (ja) * 2010-11-19 2013-08-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的接続構造及びアンテナ装置
JP5935688B2 (ja) * 2012-12-28 2016-06-15 住友電装株式会社 磁気センサー、及び端子製造方法
JP6500649B2 (ja) * 2014-11-19 2019-04-17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測定装置付回転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1116B2 (ja) * 1988-10-24 1998-02-10 愛知時計電機株式会社 磁気抵抗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342A (ko) 1996-06-17
JP2789172B2 (ja) 1998-08-20
JPH08148734A (ja) 199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4082B1 (en) Printed circuit boards multi-axis magnetometer
CN105324710B (zh) 相机模块
KR100224141B1 (ko) 자기센서
KR100348227B1 (ko) 프린트 배선판 모듈
JP2002040057A (ja) 電流検出コイルおよび電流検出方法
US11026326B2 (en) Peripheral end face attachment of exposed copper layers of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to the surface of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by surface mount assembly
US5631421A (en) Piezoelectric acceleration transducer
KR0168744B1 (ko) 전자기 방사 측정 장치
KR100889896B1 (ko) 인쇄회로기판용 격리부
JPH04259104A (ja) 小型発振器
CN112272853A (zh) 分流电阻器以及分流电阻器的安装结构
JP2805602B2 (ja) 磁気センサ
JP2011153998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ユニット
JP2964071B2 (ja) 磁気センサ
CN1213491C (zh) 板式磁阻感测片元件的固定装置
CN220154783U (zh) 一种分辨率扩增装置
US6191369B1 (e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marker trace for component alignment
JPH11101658A (ja) 磁気センサ
KR102182216B1 (ko) 프로브 카드
JP4074677B2 (ja) 検査用ヘッド
US5499035A (en) Phased array antenna aperture and method
JP2711116B2 (ja) 磁気抵抗素子
JP2000346877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前記コンタクトプローブを用いたプローブ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1124586A (ja) 回転式磁気センサ
TW522332B (en)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