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310B1 -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310B1
KR100222310B1 KR1019940700785A KR19940700785A KR100222310B1 KR 100222310 B1 KR100222310 B1 KR 100222310B1 KR 1019940700785 A KR1019940700785 A KR 1019940700785A KR 19940700785 A KR19940700785 A KR 19940700785A KR 100222310 B1 KR100222310 B1 KR 100222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assis frame
axle
pair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지 다하라
세이지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구치 류이치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2/001132 external-priority patent/WO1993004881A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310B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셀러레이터(1)와 새시프레임(7)의 사이에 끼워지는 완충스프링(21L)(21R)과,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만큼 떨어져 설치되고, 튜브측(22a)과 로드측(22b)은 각각 새시프레임(7)및 액셀러레이터(1)에 지지된 한쌍의 왕복운동 실린더(22L, 22R)와 새시프레임(7)과 액셀러레이터(1)의 사이의 차량의 전후 좌우방향의 수평변위는 규제하고 상하방향의 변위는 허용하도록 한단이 새시프레임(7)에, 다른단이 액셀러레이터(1)에 연결된 링크장치(24)를 구비하고 굴삭 작업시에는 왕복운동실린더 (22L, 22R)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오일식 유압 셔블(shovel) 등의 작업차량에 이용되는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제7도~제10도는 종래의 오일식 유압 셔블의 현가장치의 한예를 도시한다.
제7도는 오일식 유압셔블의 하부주행체의 측면도이고, "1"은 한바퀴측의 차축, "2"는 뒷바퀴측의 차축이고 각 차축(1)(2)의 가운데 빈 부분에는 앞 구동축(1a) 및 뒤구동축(2a)이 끼워져 있다. 이러한 앞구동축(1a) 및 뒷구동축(2a)에는, 전동장치(3)로 부터 샤프트(4)(5)를 거쳐 주행구동력이 전달된다. 앞바퀴용 차축(1)의 중앙상부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pin)(6)에 의해 새시프레임(7)이 차량좌우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새시프레임(7)위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선회(旋回) 프레임에는 도시하지 않은 운전석, 붐과, 앞 및 버킷(bucket)등으로 이루어진 작업부착물이 설치되고,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새시프레임(7)의 차량좌우양단에는 단동(簞動)실린더(8)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8도에 있어서 부호(11)는 타이어를 나타낸다.
단동실린더(8)는 제9도,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튜브(8a)가 플랜지부(8d)를 통해서 볼트(9)에 의해 새시프레임(7)에 설치되고 피스톤로드(8b)의 앞단부는 차축(1)위에 돌출하여 설치되어있는 브래킷(bracket)(10)에 접하고 있다. 주행시는 실린더(8)의 실린더실(8c)을 탱크와 접속하고 피스톤로드(8b)가 자유롭게 늘어나고 줄도록 하여 좌우 타이어의 접지성을 좋게하고 있다. 굴삭작업시는 실린더실(8c)을 유압적으로 잠그고, 차축(1)에 대해서 새시프레임(7)이 고정된 상태로서 굴삭작업시에 차체의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같은 종래의 작업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차축(1)과 새시프레임(7)이 핀(6)에 의해 직접 연결되고 그 사이에 완충장치가 설치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주행시에 노면으로 부터의 충격이 직접 새시프레임에 전해져 승차감에 문제가 있었다. 또 고속회전주행시의 롤링하중에 의해 핀(6)주위의 순간 하중이 새시프레임(7)에 가해지지만 단동실린더(8)는 프리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그 순간 하중을 지지 할 수 없어 새시프레임(7)이 원하지 않는 쪽으로 기울게 된다.
덤프트럭 등에 사용되는 현가장치는 그 자체는 꽤 하중이 있는 차체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오일식 유압셔블 등의 작업차량은, 통상의 주행이외에 굴삭작업 등을 행할 필요가 있고 차량의 전후, 차량의 좌우 및 상하의 각 방향에 커다란 굴삭 반작용이 부하되기 때문에, 트럭 등의 현가장치를 채용할 수가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이외에 굴삭 등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량에 있어서, 굴삭시의 차체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게 주행시의 승차감과 고속선회 주행시의 내롤링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새시프레임이 앞ㆍ뒤 바퀴한쌍의 차축위에 지지되고, 작업시 차량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 하증이 새시프레임에서 차축 측으로 입력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에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은 다음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관한 현가장치는 차축과 새시프레임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완층나사와,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설치되고 튜브측과 로드측은 각각 새시프레임 및 차축에 지지된 한쌍의 왕복실린더와, 새시프레임과 차축과의 사이의 전후 좌우 방향의 수평 변위는 규제하고 상하방향의 변위는 허용하도록 한단부는 새시프레임에, 다른단부는 차축에 연결된 링크와 왕복실린더를 잠그어 완충나사의 작동을 저지하고 왕복운동실린더를 프리하게 하여 완충나사의 작동을 허용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다.
주행시는 왕복 실린더의 바닥실과 로드실을 탱크와 접속하여 프리하게 한다.
노면으로 부터의 충격은 완충나사에 의해 흡수된다. 또 단차 등에 실은 타이어가 낙하할 때 왕복 실린더가 늘어날때의 저항력에 의해 차축은 종래에 비해 천천히 낙하한다.
고속선회 주행시의 롤링하중에 의해 새시프레임에 순간하중은 완충스프링의 탄성력의 저항을 받아 흡수되고, 고속선회주행시의 새시프레임의 기울기가 억제된다.
왕복운동 실린더의 바닥실과 로드실의 각각을 조임기를 통해서 탱크와 접속하도록 하면 왕복실린더 수축시에 유압저항력이 발생해서 왕복실린더를 유압댐퍼(damper)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굴삭 작업시는 왕복실린더의 로드실과 바닥(bottom)실을 잠근다. 굴삭시에 작업 부착물을 통해 새시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새시프레임은 요동하려고 하지만 그 운동은 왕복운동실린더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굴삭시의 부하에 의해 차량의 전후 좌우방향으로 새시프레임이 수평운동을 하려고 하지만 그 운동은 그 링크장치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승차감과 내롤링 성능을 향상시켜도 굴삭기의 차체안정성은 손상되는 일이 없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a)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인 작업차량의 현가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b)도는 제1(a)도에 나타낸 왕복운동실린더의 잠금, 안잠금을 전환하는 유압회로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를 앞바퀴측에 설치한 오일식유압 셔블의 측면도.
제3도는 완충 스프링설치부의 상세함을 나타내는 제2도의 주요부 확대도.
제4도는 링크의 설치부의 상세함을 나타내는 제2도의 주요부 확대평면도.
제5도는 왕복운동실린더의 설치부의 상세함을 나타내고 차량우측 단부를 차량 뒷측에서 본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우측도면.
제7도는 종래의 현가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오일식 셔블의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현가장치의 차량앞쪽에서 본 도면.
제9도는 제7도의 단동실린더의 설치부의 상세도.
제10도는 제9도의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a)도 ~ 제6도에 의해서, 본 발명을 오일식 유압셔블의 현가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7도 ~ 제10도와 같은 곳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상위점을 주로 설명한다.
제1(a)도는 본 발명에 관한 현가장치의 개략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차축 (1)과 새시프레임(7)과의 사이에는 완충스프링(21L), (21R)이 끼워지고, 차량좌우 방향에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설치된 한쌍의 왕복실린더 (22L), (22R)의 튜브측(22a)과 로드측(22b)은 각각 새시프레임(7) 및 차축(1)에 핀(23a)(23b)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 새시프레임(7)과 차축(1)과의 사이의 전후 좌우방향의 수평변위는 규제하고, 상하방향의 변위는 허용하는 링크장치(24)의 한단부는 핀(25a)에 의해 새시프레임(7)에, 다른단부는 핀(25b)에 의해 차축(1)의 차량중앙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왕복운동실린더(22L)(22R)의 로드실(22C)과 바닥실(22d)은 각각 파일럿작동체크(Pilot Operate Check) 밸브(41L)(41R)를 통해서 탱크(42)에 접속되어있다. 파일럿 작동체크밸브(41L)(41R)의 각각의 파일럿포트(port)는 전자전환밸브(43)를 통해서 유압원(44)과 접속되고 이 전자전환밸브(43)의 솔레노이드(Solenoid)부(43S)는 스위치(45)를 통해서 전지(46)와 접속되어있다.
굴삭작업시에 스위치(45)를 열고 주행시에 스위치(45)를 닫는다. 스위치(45)를 닫으면 전환밸브(43)는 a위치로 전환하고 파이롯작동 체크밸브(41L), (41R)의 각각의 파일럿포트에 유압원(44)에 압유가 작용하여 파일럿 작동체크밸브(41L)(41R)가 개방되고 왕복운동실린더(22L)(22R)는 프리해진다. 스위치(45)를 열면 전환밸브(43)은 b위치로 전환하고 파일럿 작동체크(41L)(41R)의 각각의 파일럿 보트는 탱크(42)와 연통하여 파일럿 작동체크밸브(41L)(41R)에 의해 바닥실(22d)과 로드실(22c)이 각각 차단되고, 왕복운동실린더(22L)(22R)는 잠긴다.
또 주행시에 관로(47L)(47R)에 조임기를 설치하며 왕복운동실린더(22L)(22R)을 유압댐퍼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제2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를 앞바퀴측에 설치한 오일식 유압셔블의 측면도, 제3도는 완충스프링 설치부를 상세히 도시한 제2도의 요부확대도, 제4도는 링크장치(24)의 설치부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2도, 제3도의 좌측이 차량뒷측, 제4도의 아래쪽이 차량뒤측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좌우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L, R을 생략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잘 도시한 바와같이 완충스프링(21)은 차축(1)의 바닥면에 설치부재(31)로 설치된 완충스프링 이고, 완충스프링(21)의 차량전후 방향의 양단부상면에는 새시프레임(7)에서 아래쪽에 돌출하여 설치된 스프링부(7a)(7b)가 맞닿게 되어 타이어(11)의 충격을 완충스프링(21)에 의해 흡수한다.
제3도, 제4도에 있어서 링크장치(24)는 새시프레임(7)에 핀(25a)으로 연결되는 원통상의 핀 연결부(24a)와, 차축(1)에 핀(25b)으로 연결되는 플랜지 상의 핀 연결부(24b)와, 양핀 연결부(24a)(24b)를 접속하는 한쌍의 측판(24c)과 상하 한쌍의 덮개판(24d)을 갖는다. 이와같은 링크장치(24)에 따른 새시프레임(7)과 차축(1)과의 연결에 의해 새시프레임(7)과 차축(1)과의 사이의 전후좌우방향의 수평변위가 규제되고 상하방향의 변위는 허용된다.
링크장치(24)를 구성하는 부재중, 특히 가장자리판(24c)에 의해 차량좌우방향의 강도가 확보된다. 그리고 덮개판(24d)의 접합에 의해 가장자리판(24c)이 특히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크게 보강되고 단일의 링크장치(24)에 차량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어디에도 높은 강도를 줄수 있다.
이 예에서는 가장자리판(24c)이 연결부재, 덮개판(24d)이 보강부재가 된다.
제5도 및 제6도는 왕복운동 실린더(22)의 설치부를 상세히 나타내고 제5도는 차량 양 우측단부를 차량 뒷측에서 본 도면, 제6도는 그 정면도이다.
새시프레임(7)의 우측면에는 하중 받침부(7d)가 돌출하여 설치된 블록(7c)이 용접되고 이 블록(7c)에는 하중받침부(7d)와 끼워맞춰지는 하중 받침부(32a) 설치된 한쌍의 브래킷(32)이 볼트(33)로 나사장착되어 있다.
왕복운동실린더(22)의 튜브(22a)가 대향하는 2측면에서는 핀(23a)이 각각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핀(23a)이 브래킷(32)에 삽입되어 왕복운동실린더(22)가 새시프레임(7)에 연결된다. 또한 차축(1)의 상면에는 한쌍의 브래킷(1b)이 설치되고 왕복운동 실린더(22)의 피스톤로드(22b)가 핀(23b)으로 차축(1)에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현가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행시는 스위치(45)를 닫고, 왕복운동실린더(22L)(22R)의 로드실(22C)과 바닥실(22d)을 함께 탱크에 연통시키고 프리의 상태로 해 놓는다. 우측의 타이어가 어느 걸림턱에 오르면 완충스프링(21R)이 휘고, 차축(1)는 핀(25b)을 중심으로 제1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때 차축(1)의 요동에 따라서 좌우한쌍의 왕복운동실린더(22L)(22R)의 피스톤로드(22b)는 늘어나고 줄어든다. 여기에서 왕복운동실린더(22L)(22R)의 각각의 늘어나과 줄어듦에 의해서 어느 정도는 유압 저항력이 발생하지만, 주로 완충스프링(21)의 휘어짐에 의해 노면에서의 충격이 흡수된다.
좌측의 타이어에서 충격을 받는 경우에는 차축(1)의 요동방향이 역으로 될 뿐이고, 완충스프링(21)에 따른 충격력의 완충작용은 같다. 또 좌우의 타이어가 동시에 걸림턱에 올라갈때는, 좌우의 완충스프링(21R)(21L)이 동시에 휘어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완충스프링(21)은 왕복운동실린더(22)가 수축단까지 수축할 때까지 휜다. 단차에서 양타이어가 낙하할때는 왕복운동실린더(22)가 늘어나는 단까지 진출하도록 복원된다.
이와같이 노면에서의 충격은 주로 완충스프링(21R)(21L)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새시프레임(7)에는 종래와 같이 노면에서의 충격이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 또 걸림턱에 오르는 타이어가 낙하할 때, 종래는 액셀러레이타(1)가 타이어에 추종하여 낙하하고 있지만, 본예에 따르면 차축(1)은 새시프레임(7)에 왕복운동실린더(22)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왕복운동실린더(22)가 늘어날때의 저항력에 의해 종래에 비해서 천천히 낙하한다. 이상에 따라 본예의 현가장치에 의해 승차감이 향상한다. 또한 종래에는 고속선회 주행시에 움직이는 롤링하중에 의해 새시프레임(7)이 기울고 있지만, 도면에 도시한 현가장치에 따르면, 롤링하중에 의해 핀(25b)주위에 새시프레임(7)에 가해지는 순간하중은, 완충스프링(21R)(21L)의 스프링힘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고속선회주행시의 새시프레임(7)의 기울기가 억제되어 종래에 비해서 내롤링성능이 향상한다.
완충스프링(21R)(21L)의 양단부를 새시프레임(7)에 결합하지 않은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 것이다. 새시프레임(7)은 차축(1)에 대해서 링크장치(24)로 연결하여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좌우로 변위한다. 따라서 완충스프링(21R)(21L)을 새시프레임(7)에 연결하지 않고 새시프레임(7)의 좌우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 왕복실린더(22)에 유압 댐퍼의 기능을 부여한 경우에는 롤링하중에 의해 핀(25b)주위에 새시프레임(7)에 가해지는 순간하중은, 완충스프링(21R)(21L)의 스프링의 힘과 왕복운동실린더(22L)(22R)의 유압력으로 흡수된다. 또한 굴삭시는 스위치(45)를 열고 왕복운동 실린더(22)의 로드실(23c)과 바닥실(22d)을 파일럿 작동체크밸브(41L)(41R)로 차단하여 왕복운동실린더(22L)(22R)를 잠그고 완충스프링(21L)(21R)의 작동을 저지한다. 이에따라 핀(25b)의 주위 새시프레임(7)의 요동은 왕복운동실린더(22)로 규제되고 차량전후좌우방향의 운동은 링크장치(24)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완충스프링(21L)(22R)을 이용하여 종래보다도 승차감 성능을 향상시켜도 굴삭기의 차체 안정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왕복운동실린더(22)의 튜브(22a)의 중간부에서 핀(23a)을 돌출시켜 설치하고, 이 핀(23a)에 의해 왕복운동실린더(22)를 새시프레임(7)에 연결하도록 했기 때문에 튜브 기단부를 새시프레임(7)에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서 현가장치의 높이 방향의 전체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왕복운동실린더(22)를 설치하는 브래킷(32)의 하중받침부(32a)는 새시프레임(7)의 하중 받침부(7d)와 걸어 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굴삭기의 하중과 노면입력 하중에 의해 브래킷(32)의 설치용 볼트(33)에 절단력이 작용하지 않아 강도(强度)상에도 문제는 없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1) 완충스프링으로서 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왕복운동실린더에 유압댐퍼의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왕복운동실린더의 구조는 굴삭시에는 잠기고 주행시에 프리해지는 구조라면 어느것이라도 좋다.
(3) 상기한 링크에서는 새시프레임이 차축에 대해서 요동하기 때문에 세밀하게 새시프레임의 차량좌우방향의 변위를 규제하고 있지 않지만 수평방향의 어떠한 변위도 규제하는 링크장치에도 좋고 링크장치의 여러 가지의 형태의 것이 사용가능하다.
(4) 현가장치를 앞바퀴측에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뒷바퀴측만 또는 앞뒤바퀴의 양쪽에 설치해도 좋다.
[산업상이용가능성]
오일식 유압 셔블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주행과 작업을 행하는 각종 작업차량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새새프레임이 앞ㆍ뒤바퀴의 차축위에 지지되고 작업시의 차량의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하증이 상기 새시프레임에서 상기 차축측에 입력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축과 상기 새시프레임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완충스프링, 차량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만큼 떨어져 설치되고, 튜브측과 로드측은 각각 상기 새시프레임 및 상기 차축에 지지된 한쌍의 왕복운동실린더, 상기 새시프레임과 상기 차축 사이의 전후좌우방향의 수평변위는 규제하고 상하 방향의 변위는 허용하도록 한단부가 상기 새시프레임에, 다른단부는 상기 차축에 연결되어 작업시의 차량전후 좌우방향의 부하를 받는 링크장치, 및 상기 왕복운동 실린더를 잠궈 상기 완충 스프링의 작동을 저지하고 상기 왕복운동 실린더를 프리하게 하여 상기 완충스프링의 작동을 허용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차축의 연결점은 상기 차축의 차량중앙부에 핀으로 결합되고 상기 링크장치의 새시프레임측 연결점은 상기 새시프레임의 가장자리측에 핀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운동실린더의 튜브의 중간부가 새시프레임에 핀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운동 실린더의 튜브에서 차량전후방향으로 핀이 각각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새시프레임에는 상기 왕복운동실린더를 끼워서 한쌍의 브래킷이 볼트로 연결되고, 상기핀은 상기 브래킷에 끼워 맞춤되고, 상기 브래킷과 새시프레임은 상기 왕복운동실린더를 통해 입력되는 노면에서의 하중에 의해 상기 볼트 결합부에 절단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걸어 맞춤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스프링은 상기 차축에 상기 차량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각각 고정부착 되고 차량전후 방향으로 길게 늘어난 한쌍의 판스프링이고, 상기 새시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차량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각각 스프링 받침부가 설치되고, 새시프레임은 이 한쌍의 스프링 받침부를 통해 판스프링의 차량 전후방향의 양단부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의 변위가 허용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 상기 완충 스프링, 좌우한쌍의 왕복운동 실린더는 앞바퀴의 차축측에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주행시에는 상기 왕복운동실린더의 로드실과 바닥실을 연결하여 통하게 하고, 굴삭작업시에는 상기 로드실과 바닥실을 차단하는 유압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8. 새시프레임이 전후 바퀴한쌍의 차축 위에 지지되고 작업시의 차량상하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방향의 하중이 상기 새시프레임에서 상기 차축측으로 입력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축과 상기 새시프레임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완충스프링, 차량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만큼 떨어져 설치되고 튜브측과 로드측이 각각 상기 새시프레임 및 상기 차축에 지지된 한쌍의 왕복운동실린더, 상기 차축과 상기 새시프레임을 연결하여 작업시의 차량전후 좌우방향의 무게를 받는 링크이고, 상기 차축과의 연결점은 그 차축의 차량중앙부에 있어서, 차량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핀으로 결합되고 상기 새시프레임과의 연결점은 그 새시프레임의 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차량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핀으로 결합되어 있는 링크장치와, 상기 왕복운동실린더를 잠그고 상기 완충 스프링의 작동을 저지하고 상기 왕복운동실린더를 프리하게 하고 상기 완충스프링의 작동을 허용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왕복운동실린더의 튜브의 중간부가 새시프레임에 핀 결합되고, 상기 완충스프링은 상기 차축의 하면위에서 상기 차량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각각 고정하여 설치하고, 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한쌍의 판 스프링이고, 상기 새시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차량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각각 스프링 받침부가 설치되고, 새시프레임은 이 한쌍의 스프링 받침부를 통해서 판 스프링의 차량전후 방향의 양단부의 상면에 차량의 좌우방향으로의 변위가 허용된 상태에서 지지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운동실린더의 튜브에서 차량양측 방향으로 핀이 각각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새시프레임에는 상기 왕복운동실린더를 끼워서 한쌍의 브래킷이 볼트로 결합되고 상기핀은 상기 브래킷에 끼워 맞춤되고 상기 브래킷과 새시프레임은 상기 왕복운동 실린더를 통해 입력되는 노면에서의 하중에 의해 상기 볼트 결합부에 전단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끼워 맞춤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상기 완충스프링 및 좌우한쌍의 왕복운동실린더는 앞바퀴 차축에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주행시에는 상기 왕복운동실린더의 로드실과, 바닥실을 연결하여 통하게 하고, 굴삭작업시에는 상기 로드실과 바닥실을 차단하는 유압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12. 새시프레임이 전후 바퀴한쌍의 차축위에 지지되고 작업시의 차량의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하중이 상기 새시프레임에서 상기 차축측으로 입력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축과 상기 새시프레임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완충스프링,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설치되고, 튜브측과 로드측은 각각 상기 새시프레임 및 상기 차축에 지지된 한쌍의 왕복운동실린더, 상기 새시프레임과 상기 차축사이의 전후좌우방향의 수평변위는 규제하고, 상하방향의 변위는 허용하도록, 한단부는 상기 새시프레임에 다른단부는 상기 차축에 연결되어 작업시 차량전후 좌우방향의 부하를 받는 링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새시프레임과의 연결점에서 상기 차축과의 연결점까지 이어지는 연결부재, 차량의 전후방향 및 좌우 방향중 상기 연결부재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갖는 링크장치, 및 상기 왕복운동실린더를 잠그고, 상기 완충 스프링의 작동을 저지하고 상기 왕복운동실린더를 프리하게 하여 상기 완충 스프링의 작동을 저지하고 상기 왕복운동실린더를 프리하게 하여 상기 완충 스프링의 작동을 허용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스프링은, 상기 차축에 상기 차량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만큼 떨어져 각각 고정하여 부착되고 차량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쌍의 판 스프링이고, 상기 새시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차량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각각 스프링 받침부가 설치되고, 새시프레임은 이 한쌍의 스프링 받침부를 통해 판스프링의 차량전후 방향의 양단부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변위가 허용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차축과의 연결점 및 상기 새시프레임과의 연결점에 설치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어지는 한쌍의 핀의 차량앞쪽의 단부사이를 잇는 앞측 연결부재와, 상기 한쌍의 핀의 차량 뒤쪽의 단부사이를 잇는 뒷측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이들 앞측 연결부재 및 뒷측 연결부재 사이를 차량의 앞 뒤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KR1019940700785A 1991-09-09 1992-09-04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KR100222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57105 1991-09-09
JP25710591 1991-09-09
PCT/JP1992/001132 WO1993004881A1 (en) 1991-09-09 1992-09-04 Suspension system for work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2310B1 true KR100222310B1 (ko) 1999-10-01

Family

ID=2643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785A KR100222310B1 (ko) 1991-09-09 1992-09-04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31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6951B2 (ja) 作業車両の懸架装置
CA2144329C (en) Vibration dampening device
JP3321047B2 (ja) 枢動可能なばね取り付け車軸懸架装置
US4053171A (en) Spring suspension arrangement for off-road vehicles
WO2007058572A1 (en)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component
US4186815A (en) Suspension and drive for tandem wheel vehicle
US6056304A (en) Elastic suspension for industrial vehicle axles and the like
US5131802A (en) Vehicle equipped with balancing device
US7451840B2 (en) Articulated crawler dozer with direct load path structure
US4186814A (en) Motor grader roadwheel arrangement
WO2002014094A1 (en) Hydraulic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JP3583504B2 (ja) 道路仕上げ機
US4053170A (en) Panhard spring suspension arrangement for off-road vehicles
KR100348506B1 (ko) 차축의요동제어용유압실린더의지지구조체
SE463925B (sv) Byggmaskin, en paa hjul mobil skoplastare eller liknande av knaeledstyp
CN1098171C (zh) 以减震器的安装位置为特点的工业车辆
JP5914389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22310B1 (ko) 작업차량의 현가장치
JP3759521B2 (ja) 作業車両のアクスルシャーシ連結構造
JP3759522B2 (ja) 作業車両のシリンダ取付構造
JPH0930229A (ja) 作業車両の懸架装置
US4149606A (en) Wheel tractor suspension system
JP5914370B2 (ja) ホイール式作業車両
JP3649023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3623385B2 (ja) ホイールショベルのサスペ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